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저산소 자극에 대한 세포대응 유전자 발현 양상과 AK3의 발현 행태

        문재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denylate kinase (AK)는 원핵 세포로부터 진핵 세포까지의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는 효소로써 ATP와 AMP 사이에서 인산 그룹의 전이를 가역적으로 촉매를 함으로서 에너지 대사와 핵산의 합성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에서는 7가지 이상의 AK isozyme들이 밝혀져 있으며, 이들은 각각 조직특이적 및 세포 소기관 특이적 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생화학적으로 AK isozyme은 활성이 높고 세포질에 존재하는 short-form 과 활성이 매우 낮고 mitochondria에 존재하는 long-form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AK3는 미토콘드리아의 기질에 위치하는 활성이 낮은 long-form isozyme으로서. 다른 모든 AK isozyme들과는 달리 기질로서 ATP대신 GTP를 사용하고, 신장, 간 그리고 심장 등의 소수로 국한된 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된다. AK isozyme 중 유일하게 AK3는 hypoxic condition에서 HIF-1a 에 의해 유도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이와 관련한 생리학적 기능은 규명되지 못한 상태이다. Hypoxic stress에 대한 AK3의 역할을 연구하기 위한 시도로서 AK3가 발현되는 조직의 세포주로서 인간 배아 신장 세포주 HEK293과 인간 간암 세포주 HepG2 를 각각 1 % O2의 hypoxia 상태에서 1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western blot법에 의해 HIF1-a 및 AK3의 발현 양상의 비교 및, micro DNA array 분석을 통한 hypoxia에 대응하는 세포주 별 활성화 경로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 의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hypoxic stress에 의해 두 세포주는 모두 HIF-1a가 1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유도 발현되었으며,. Hypoxia 조건에서 AK3의 발현은 HEK293의 경우 발현 증가를 보였으나, HepG2세포주의 경우에는 AK3의 발현이 반대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hypoxia 상태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의 양상은 HEK293과 HepG2에서 mRNA level이 2배 이상 증가 혹은 50% 이상 감소가 확인된 유전자에 대하여 apoptosis, cell proliferation-protein and nucleotide synthesis related protein mRNA), homeostasis, wound healing 및 기타의 5개 분야의 functional pathway로 구분하여 비교할 수 있었다. 두 세포주의 counter-hypoxia responses 는 homeostasis 와 wound healing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HEK293의 경우에는 cell proliferation pathway gene들의 변화 개체수가 크게 증가한 반면 apoptosis pathway genes들은 상대적으로 개체수가 적었고, 반대로 HepG2세포에서는 apoptosis pathway genes 변화 개체수가 크게 증가한 반면 cell proliferation pathway gene들은 상대적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었다. 결론적으로 AK3는 hypoxia stress에 의해 cell proliferation pathway gene의 발현 조절과 동일한 양상으로 HIF-1a 의 조절을 받아 두 세포주에서 상반되는 발현 양상을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AK3의 세포 생리적 기능은 세포사멸보다는 오히려 세포 증식에 관련한 기능을 갖고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으며, 향 후 이와 관련된 기능 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창업가 특성이 기술창업과 일반창업 및 지속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재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문 재 희 지도교수 김 철 중 창업 및 기술경영 전공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최근 성공하기 시작한 인터넷 플랫폼사업은 많은 예비 창업가들에게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키고 희망의 메시지를 던져주었다. 우리나라 창업은 1세대를 이어받은 인터넷 플랫폼 기업이 성공신화를 만들었고,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나 인터넷을 활용한 새로운 사업들이 나타나며 더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국외에서는 후발 주자인 알리바바나 Airbnb와 같은 기업이 국제적인 성공을 이루어내는 등 외국의 사회 환경도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국제창업으로 글로벌화 되었다. 국가들의 지리적 경계인 국경과 사회적 경계인 경제와 문화의 차이가 급격히 무너져가고 있으며, 세계 경제는 새로운 연결고리의 국제 산업구조로 점차 개편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통신기술 주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서 성장해온 청년들은 자신들이 축적해온 정보통신 기술 능력과 친화력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더한 새로운 형태의 창업을 만들어 가고 있다. 반면에 장년이상의 세대는 성장 환경이 다르고 정보통신기술에 적응하지 못하여 창업과 재취업의 선택 범위와 방향이 청년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자 정부는 2019년부터 창업지원 정책을 청년뿐 아니라 장년, 실버 창업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여 창업에 유리한 사회 환경을 조성해 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체 창업기업의 1년 생존율이 62.7%, 5년 생존율이 27.5% 정도로 낮은 성공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에서 창업가가 인적 역량들을 축적하고 창업을 결정할 때, 정보통신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술 창업과 아이디어로 시작하는 일반 창업 두 가지 유형의 기업을 지속 성장시키는데 창업가 특성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인 정보통신기술 사회 환경은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요소인지 확인하였고, 정보통신기술 사회 환경에서 영향을 받고 있는 인적자본의 구성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창업가의 특성을 구성하는 요소는 창업가 정신과 리더십, 마케팅 능력과 기회인식 능력 및 기술 능력으로 축약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범위에 창업 연령을 추가하였고, 창업 유형에 따라 이들이 보유한 기술 능력과 기기에 대한 친화력이 기업의 성공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창업가 특성이 기술 창업과 일반 창업의 성공을 지속시키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수집하고 고찰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 논문의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 설계 모형을 만들었고, 이를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 이론에 의거하여 가설에 대한 설문서를 작성한 후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대상과 조사 범위를 사전에 설정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설문 조사는 전문 리서치 기관에 의뢰하였고 유효하지 않은 부분을 제외한 453개를 검증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데이터는 SPSS vr.24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창업기업을 포함한 안정된 장에 근무하거나 근무했던 직장인 및 소수의 사업 경영자들이다. 전체 표본의 성별구성은 남성이 129명(81.8%), 여성이 30명(18.9%)이고 연령 분포는 20세부터 66세까지이며 20대(33%)와 50대(60.4%)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대학 재학생은 17명(10.7%)이고 기술과 경력을 가진 장년층은 평균 25.7 년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총 16개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개별 검증을 실시한 결과, 11개 가설의 유의성이 확인되어 채택되었으며 5개 가설은 유의성이 부족하거나 신뢰 범위를 벗어나 기각되었다.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에서 창업가 정신이 기술창업에 주는 영향은 95%의 신뢰수준에는 미치지 못해 항목간의 조사를 통해 일부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는 기술력을 보유한 기술 창업은 창업가 정신에 영향을 받지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능력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론된다. 일반 창업은 예상대로 창업가 정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가 리더십은 기술 창업과 일반 창업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창업가의 마케팅 능력은 창업가 정신과 같이 일반 창업에만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회인식 능력은 기술, 일반 창업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창업가의 정보통신기술 능력도 모든 유형의 창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정보통신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받는 기술 창업과 일반창업은 모두 지속성장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며, 처음 예상과 다르게 창업 연령에 대한 기술창업과 일반 창업의 성장 정도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령이 창업에 주는 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결론짓게 되었다. 끝으로 정보통신기술 사회의 영향을 받은 창업가 특성을 변수로 만들어 창업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기술 창업과 일반 창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기술 창업만 지속 성장의 매개 역할을 하며, 일반 창업의 지속성장을 매개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창업가의 관련 기술 능력은 다양한 유형의 창업에 필요한 요소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기술 능력이나 기술 친화력을 키우는 것이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내리게 되었다.

      • 한국창작무용의 작품에 관한 분석 연구 : 창작무용작품 ‘빈 山’을 중심으로

        문재희 서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창작무용 춤동작의 실제와 그 춤동작에 내재된 감정을 80년대 후반의 한국창작무용작품을 통하여 분석하므로써 한국창작무용의 기록과 보존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더불어 독창적인 창작무용의 춤동작을 통한 연구의 답습으로, 창의적인 동작을 연구해 나가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창작무용계를 이끌어 간 이화여대 창무회의 창작작품 '빈산'을 통하여 작품의 구성요소를 1989년 초연과 2001년 재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동작의 높낮이를 '움직임의 고저 기준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비디오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호흡에 관한 연구와 함찌 동작의 의미와 동작의 방법에 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작품의 배경적 구성요소로써 조명 및 무대구성, 음악, 의상은 산의 이미지를 극대화하거 위하여 눈으로 보이는 선과 색을 산의 굴곡과 자연의 색채를 그대로 옮겨 놓았으며, 음악 또한 산의 웅장하고 장엄한 이미지를 한국적 장단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작품의 본질적 구성요소로써 움직임은 낙관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확장되고 자유로우며 역동적인 위로 향하는 동작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비관적인 감정을 표현하기 위하여 안으로 흡수되고 응축되는 아래로 향하는 동작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무용작품분석의 중요성과 기록 및 보존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앞으로는 실기위주의 연구뿐만 아니라 작품에 대한 구조적 분석을 비롯한 동작연구를 병행하여 사고력의 확장과 창조작업의 중요성을 위한 교육을 실현하고, 무용을 지도하거나 전공하는 사람, 혹은 일반인들도 쉽게 창작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2002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for making basic frames, note of creative dance and preservation reality of creative dance of Korea and the emotion in the act of dance through Korea creative dance work of end of 80 age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ggests to study creative act as step of act analysis through creative dance with dancer's necessary condition, movement of natural body. To accomplish such purpose of study, this is analyzed first performance and arrangement of a dance in 2001 year as constituent of work through creation work 'Binsan' of Chang-moo society in Ewha university leading society of creation dance as head of advance of Korea creation dance. Also, this research analyzed about high and low standard number of movement high and low of act and goes abreast study about meaning of act and methode of dance with study about expiration that is not able to observe through what to watch video. As a result of this study : First. As setting organization element of work, lighting, stage-organization, music, dresses move visible lines and colors, winding of mountain and color of nature like that in order to maximize mountain's inage. Also music is expressed grandeur of mountain and impressive image by korean beat. Second. As essential organization element of work, movement uses mainly extensive, free, movable, ascensive motion so as to express optimistic emotion. And, to express pessimistic feeling, it uses mainly absorbed, condensed, facing down motion. In a this study, we have to consider that importance of work analysis and note and necessity of continuing research about preservation and labor through this study. And must realize education for importance of work to create and increase of thinking faculty through research of act and structural analysis about work as well as study about practice. Besides, it means that must give help people who teach dance or don't teach can understand creation work easi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2.

      • 취업준비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프로그램 연구  : 에릭슨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재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표는 Erikson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 취업준비생을 위한 자기효능감 향상 예술치료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기효능감 향상은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넘어 실제 삶의 다양한 문제 해결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특히 취업준비생은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며,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으므로 자기효능감 향상은 주요 화두이다. 그러나 자기효능감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이덴티티 확립 과정이 필요하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부분적으로 이를 다루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아이덴티티 요소를 프로그램 전체 내에서 체계적으로 접목하였다. 또한 자기 탐색을 수월하게 만드는 예술치료프로그램을 이를 위한 도구적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Erikson의 이론에 따른 아이덴티티를 개념을 살펴보고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 26편의 선행연구에서 아이덴티티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취업준비생의 자기효능감 향상 예술치료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의 목표를 Erikson의 아이덴티티 이론의 구성요소인 신뢰감, 자율성, 주도성, 근면성, 정체성, 친밀감으로 설정하여 활동내용을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를 Erikson의 아이덴티티 이론의 결과요소인 희망, 의지, 목적, 실력, 충실, 사랑 등으로 정하여 총1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단기별 목표를 아이덴티티 확립에 필요한 자기 인식과 자기 이해, 자기 수용으로 하였다. 초기, 중기1, 중기2, 후기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자기효능감 향상을 도모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가 아니므로 객관적 수치로 증명되지 못한 한계를 보인다. 하지만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방법이 취업준비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 뉴로-피드백 기반의 집중력 향상 시스템

        문재희 高麗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뉴로-피드백(Neuro-feedback)은 자신의 뇌파 정보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뇌 발달에 필요한 뇌파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뇌 훈련 기술이다. 이러한 뉴로-피드백 기술은 일반적으로 환자는 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일반인은 잠재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뉴로-피드백은 최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뉴로-피드백 기반의 트레이닝을 통해 뇌 기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뉴로-피드백에 기반을 둔 집중력 향상을 위한 그림 그리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선추적장치(Eye-tracke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EEG (Electroencephalography) 신호 측정 및 뇌파 분석에 기반한 집중력 레벨을 계산한다. 집중력 레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집중력 상태 추정을 통해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밑그림을 통한 집중력 유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뉴로-피드백 기반의 그림 그리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집중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보육시설의 전자바우처제도 도입에 관한 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

        문재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체감도 향상이라는 목적으로 정부에서 묵시석바우처에서 명시적바우처로 바꾸게 된 i-사랑카드 도입에 따른 공급자와 수요자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결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바우처 도입에 관련한 보육서비스 공급자의 인식은 무엇인가? 둘째, 전자바우처 도입에 관련한 보육서비스 수요자의 인식은 무엇인가? 셋째, 전자바우처 도입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충청남도에 있는 보육시설 중 정부지원시설과 정부미지원시설을 골고루 선정하였으며, 시설장을 대상으로 65부 배포하여 62부를 회수하였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하여 321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응답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을 제외한 시설장 59부, 학부모 312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전반적으로 i-사랑카드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보다 시설장이 더 많이 알고 있으며, i-사랑카드를 활용한 보육료 지원제도의 전반적인 인식도나 기대효과에 대해 학부모나 시설장에서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면에서도 시설장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보육시설 전자바우처 도입의 취지인 복지체감도 향상과 보육시설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실시된 i-사랑카드 도입에 대한 수요자와 공급자의 인식도나 기대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앞으로 궁극적인 복지체감도 향상과 보육시설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탄산수가 뇌졸중노인환자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문재희 부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arbonated water on the cerebrovascular accident(CVA) elderly patients with tubal feeding and bed-ridden status. Forty CVA elderly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in a double-blind fashion. Experimental group drank carbonated water and control group drank tap water for two weeks. Six subjects were dropped out during the study period. Related factors of constipation such as physical activity, diet, dietary fiber intake, disease, age were controlled, except use of laxative.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d ANCOVA and covarience was dose of used laxative for two weeks. Subjects were evaluated by defecation frequency and The Knowles-Eccersley-Scott-Symptom Questionnaire score(K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feca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KES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results suggest that carbonated water intake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the intervention of constipation of CVA elderly patients.

      • 이산수학에 대한 의식 조사 및 효과적인 지도 방안

        문재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산수학을 처음 배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산수학에 대한 의식과 학습 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산수학에 대하여 바람직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과정에서 이산 수학을 처음 배운 학생들의 이산수학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 2) 이산수학 학력 검사를 통하여 나타난 학생들의 이산 수학 학습 능력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 문제의 분석을 위해 제주도내의 여자 고등학교 1학년 2학급, 남자 고등학교 1학년 2학급, 2학년 2학급을 대상으로 의식 조사 질문지 검사와 이산수학 학습 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의식 조사 질문지는 이산수학에 대한 선호도, 난이도, 중요도, 이해도, 수능선택 여부, 학습정도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산수학 학습 능력 검사지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교과서 내용 체계를 기준으로 기존의 수학과 겹치지 않는 그래프 단원과 의사 결정과 최적화 단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이산수학에 의식 조사에서 이산수학에 대한 필요성은 대체로 인식하고 있으나 이해력이 미치지 못해 흥미가 별로 없고 어렵게 느끼는 학생이 다소 많아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이산수학을 배운 학생들이 이산수학을 학습하거나 이산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인 능력을 습득했고, 학력 또한 기초적인 부분의 학력은 갖추었음을 알 수 있으나 다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기존의 수학과 밀접하게 관련된 내용들에 대해서는 학습 능력이 양호하나 기존의 수학에서 다루지 않은 단원들에 대해서는 개념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여 문제 해결력이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산수학에 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충분한 설명을 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배울 수 있는 과목임을 인식시켜야 하겠다. 둘째, 학생들이 다소 생소한 과목으로 여겨질 수 있는 이산수학에 대한 필요성을 교사 스스로가 먼저 인식하고 고등학교의 선택 과목으로서 많은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보다 능동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discrete mathematics and the level of study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first learned discrete mathematics at school and to suggest directions leading to desirabl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result. To achieve such purposes this study deals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es the students who first learned discrete mathematics at high school course think of the subject? 2) How is students' learning ability in discrete mathematics revealed by achievement test? To analyze the questions above it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test of learning ability in discrete mathematics of two first grade classes at women's high school, two first grade classes and two second grade classes at men's high school in Jejudo.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urvey for students' perception consists of questions about preference, the level of difficulty, the level of import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whether to take the Academic aptitude test, and the amount of study. The test of learning ability in discrete mathematics contains questions from graph unit, decision-making and optimization unit which were not covered in the existing mathematics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discret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reached.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quite a few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ies with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even though they are aware of the necessity of discrete mathematics. Therefore,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should be devised Second, students who have learned discrete mathematics before are not doing well in solving discrete mathematics questions, even though they have some basic knowledges. On the whole, stud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 in area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ing mathematics, but reveale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parts which were not covered in the existing mathematics. A few suggestions can be made based on the finding result First, sufficient explanation through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re required to give students an impression that discrete mathematics is easy Seco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discrete mathematic which students may feel unfamiliar with and adopt a more active teaching method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who take it as an el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