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북지역 남성들의 피부관리 실태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문영주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전북지역 남성들의 피부관리 실태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문영주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남성들에게도 외모에 대한 관심으로 표현되어 그동안 여성의 전유물로만 여겼던 피부미용을 이제 남성들도 공유하게 되었고 남성들의 삶에 외모는 능력과 더불어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았다. 본 연구는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전북지역남성들의 피부관리 실태 및 선호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2013년 1월 15일부터 2월 28일까지 45일간에 걸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271부를 최종 분석한 통계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국내외에서 발간된 전문서적과 연구논문, 학술지에서 이론적 배경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실증적 연구에서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시행하여 문헌연구에 뒷받침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피부는 복합성(27.3%), 건성(17.0%), 지성(13.7%) 순이었으며, 피부상태는 보통이다(58.3%), 나쁘다(23.9%), 좋다(17.7%)로 나타났다. 피부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29.2%), 흡연-음주(21.8%), 생활습관(19.6) 순이었으며, 대상자의 77.9%는 피부로 인한 스트레스 받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스트레스 원인은 주름-탄력저하(32.7%), 칙칙한 얼굴 톤(19.9%), 건조-여드름(11.4%)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중 92.6%는 개선의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에 대한 관심도는 20대(88.7%), 40대(71.9%), 30대(60.8%), 50대 이상(52.6%)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관리에 관심이 없는 경우는 외모에 관심이 없어서(40.0%), 시간적 부담/경제적 부담(20.0%) 순이었다. 피부 관리 정보는 신문-잡지(32.1), 친구나 지인(27.3%), 인터넷(22.5%) 순이었으며, 대상자의 59.8%가 클렌징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피부관리 빈도는 연령이 적을수록, 직업은 학생이나 판매서비스직이, 결혼여부는 미혼이, 소득별로는 100~200만원미만의 응답자가 피부관리를 자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이 피부 관리를 위한 월 투자비용을 알아보기 위한 F-test(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가 평균 3.45로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적당하다고 응답했으며, 연령별로는 30대/40대가 3.68로 월 투자비용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는 3.20이 적당하고 응답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F=4.513, P<0.05). 대부분의 남성들이 관리실보다는 집에서 스스로 관리하거나 특별히 관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45.5%)와 30대(35.7%)는 집에서 화장품을 이용하여 관리한다는 응답이 많았고 40대(36.5%)와 50대(47.5%)는 특별히 관리를 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많았다. 전문 관리실이나 , 병원ㆍ한의원 내에 있는 피부 관리실을 이용하여 관리하는 이유는 신뢰감이 주요 원인이었으며, 집에서 화장품을 이용해 관리한 이유는 비용(55.1%), 시간적 여유 없어서( 40.4)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피부관리실은 주로 30대(68.8%), 40대(70.8%)의 사무직/판매직(70%)이 이용하였으며, 고학력자일수록 전문피부관리실은 선호하였다. 전문피부관리 시 유형은 일반 피부 관리실(37.4%), 프렌차이즈 관리실(23.5%) 순이며, 관리이유는 스트레스 해소(32.4%), 젊은 피부유지(26.8%), 피부고민 해결(22.3%) 순이며, 전문피부관리실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부족(38.0%), 비용문제(27.2%)로 나타났지만 82.6%는 향후 관리실 경험을 희망하였다. 전문피부관리실 선호프로그램은 경략마사지(32.1%), 오일 마사지(30.3%),순이며, 이유는 피부미용효과(44.6%), 휴식(34.7%) 순으로 나타났다. 피부 관리는 20대는 주로 얼굴관리(65.9%), 30대(46.4%), 40대(46.9%)는 전신관리를 희망하였다. 관리실 선택 기준은 관리사의 전문성(36.2%), 관리효과(22.9%) 순이며, 개선사항으로는 피부관리사의 전문성 및 서비스 향상(30.6%), 관리실 제품 향상(20.7%)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북지역 남성들 피부관리 실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본인 피부에 대해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하면서 피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 관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일반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성 전문피부관리실이 활성화되기 시작하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 피부 관리 시장의 활성화와 점진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이에 따라 피부상태에 대한 인식의 수준을 높이고, 전문화된 관리 혹은 자기 피부 관리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남성들의 피부 관리 실태를 향상시켜 피부 미용 산업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문영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문직 정체성의 측정 도구를 개발한 Hall(1968)의 전문직 속성 중 태도적 측면의 5가지 하위 영역(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의 신념, 자체 규제의 신념, 소명 의식, 자율성)을 토대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작업치료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 2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한 후 불성실한 응답 76부를 제외한 17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2.0 버전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통계, 평균 비교(독립표본 t 검정, One way ANOVA)를 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Scheffe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근무경력, 근무 기관, 치료대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05), 근무지역, 작업치료사의 수, 근무 형태, 수입 만족도는 전문직 정체성 차이가 없었다. 하위 영역 중 자체 규제의 신념과 소명 의식을 제외한 세 가지 하위 영역(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서비스의 신념, 자율성)에서 성별, 최종학력,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최종학력은 자체 규제의 신념을 제외한 대부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전문직 정체성과 하위 영역을 분석한 결과 전문직 정체성 평균 3.33±.41점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공공서비스의 신념 3.68±.79점, 자율성 3.67±.64점, 소명 의식 3.43±.67점, 자체 규제의 신념 3.30±.49점, 전문조직의 활용 2.60±.41점 순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Cronbach’s 계수 .63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체 규제의 신념을 제외하고 대부분에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공공서비스의 신념은 최종학력에서 가장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소명 의식은 근무경력 5년∼10년에서 가장 낮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넷째, 전문직 정체성에 각 변수가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최종학력, 즉 고학력을 가진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이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문가로서 스스로 자신의 직업을 인식하고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방안으로 상위 학위를 취득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차후 작업치료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This work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five sub-regions of attitude aspects (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belief in public services, belief in self-regulation, calling awareness, and autonomy) among the professional attributes of Hall (1968) who developed a tool for measuring professional identity. The study subjects surveyed 253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work-related tasks and analyzed 177 final parts, excluding 76 insincere responses. Data analysis use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0 version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verage comparison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 way ANOVA). Scheffe's pos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dditi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of task therap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ffered significantly in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ork experience, work organization, and treatment targets (p<.05), the number of work areas, the number of work therapists, the type of work they did, and the level of income satisfaction did not differ in professional ident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final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three sub-regions (except for the conviction and vocation of self-regulation, 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public service beliefs, and autonomy) (p<.05). In additio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ost cases, except for the belief in self-regulation (p<.05). Second, the analysis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area show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averaged 3.33±.41 points, and by sub-area 3.68±.79 points of belief in public services, 3.67± of autonomy.64 points, followed by 3.43±.67, belief in self-regulation 3.30±.49, and 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2.60±.41. Reliability Cronbach's coefficient is 0.63. Thir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ere largely correlated, except for the belief in self-regulation (p<.05). Public service beliefs showed the highest (+) correlation in final education, and calling consciousness showed the lowest (+) correlation in five to ten years of working experience. Fourt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each variable affects professional identity confirmed that the final academic, or professional identity of highly educated task therapists, was a significant factor that could affect professional ident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ask therapists are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as an expert, it is thought that efforts will be needed to obtain a higher degree in a way that recognizes one's job and meets social expectations. There should be ongoing research to find ways to improv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work therapists in the future.

      • 고삼 추출물의 피부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문영주 남부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력을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다. 고삼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은 10㎎/㎖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은 60.01%, 열수 추출물은 31.77%으로 에탄올 추출물이 소거능이 의존적인 경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1.84±14.95, 35.80±4.79㎎/㎖ 그리고 열수 추출물은 각각 61.20±2.35, 42.32±1.05 ㎎/㎖의 함량이 확인 되었다. HaCaT 세포에 대한 고삼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독성 정도는 100 ㎎/㎖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내지 않았으며, H2O2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보호효과가 확인 되었다. SFE, SFW 추출물이 NO 생성 억제 및 소거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활용한 항염증 관련 활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조군을 100±1.0%로 나타냈을 때 SFE 추출물의 5 ㎍/mL, 10 ㎍/mL, 20㎍/mL, 50 ㎍/mL, 100 ㎍/mL, 200 ㎍/mL로 세포생존율과 실험에 사용될 유효농도 범위를 결정하였을 때 SFE 추출물의 농도에서 100±5.6%, 107.53±8.1%. 103,19±6.3% 98.99±6.31%, 97.13±8.1%, 94.66±4.3% 로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SFW 추출물은 100%, 106.53±5.6%. 102,19±6.3% 97.4±6.3%, 96.7±8.1%, 92±8.5%, 85.25±5.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다. SFE, SFW 추출물이 NO 생성 억제 및 소거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활용한 항염증 관련 활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 epidermidis 균에 대하여 고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paper disc 로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의 S. epidermidis 균에 대해서는 0.5 mg/disc, 1mg/disc, 5 mg/disc, 10 mg/disc의 농도에서 각각 14 mm, 15mm, 18 mm, 20mm의 clear zone이 확인되었다. 열수 추출물에서는 0.5 mg/disc, 1 mg/disc, 5mg/disc, 10 mg/disc의 농도에서는S. epidermidis 균에 대해서 고삼 열수 추출물에서는 생육환이 저해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부 상재균인 S. epidermidis, S. aureus, P. acnes, M. furfur에 대해 고삼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etanol 균주에서 clear zone이 나타났다. M. furfur에 대해서는 DW에서도 항균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고삼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항균ᆞ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의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임상목회교육(clinical pastoral education) 그룹 수퍼비전에서 나타난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

        문영주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목회교육 수퍼비전에 참여한 상담훈련생들의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이란 그 자신이 가지고 있던 불완전한 하나님의 상에 정체되었던 것에서 벗어나 온전한 하나님의 형상을 찾아 통합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특히 상담 훈련생들의 하나님 이미지 통합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하여 형성되는지 살펴보고 있으며, 그리고 그것에 대한 원인과 요인에 대하여 논의한다. 또한 이 논문은 상담훈련생들의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에 영향을 준 수퍼비전의 형태와 내용이 무엇인지,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에 작용을 한 수퍼바이저의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관찰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자는 목회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훈련생들의 ‘하나님 이미지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a$$a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을 상담 훈련생들의 시각에서 보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상담훈련생들의 특유하고 개인적인 하나님 이미지 통합의 경험과 그들의 수퍼비전의 경험을 표현해내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에서도 Strauss와 Corbin(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채택하였다. 자료는 ‘심층면접조사''와 ‘참여관찰방법''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상담훈련생은 모두 15명이다: 20대가 3명, 30대가 6명, 40대가 4명, 50대가 2명이다. 종교는 가톨릭 4명, 개신교 11명이며, 그들은 모두 신학생과 성직자이다.$$a$$a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모두 219개의 범주로서 이는 16개의 상위 범주, 47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총 156개의 속성과 차원으로 개념화된다. 패러다임 모형의 분석은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기''라는 중심 현상을 보여준다. 이 중심 현상에 대한 인과적 조건으로는 ‘내적 성장에의 욕구'', ‘전문가로서 성장하고픈 욕구'', ‘내재된 신앙 이해''가 도출되며, 이것에 대한 맥락적 조건으로는 ‘그룹에 대한 경험'', ‘수퍼바이저에 대한 인상'', ‘중요 경험 사건''이 도출된다. 이 중심 현상에 대처하거나 이것을 다루기 위하여 취해지는 의도적인 행위인 작용/상호 작용 전략은 ‘인식을 전환하기'', ‘관계의 형성과 그 유지를 위해 노력하기'', ‘행동적 차원에서의 대처하기''로 나타난다. 이 중심 현상과 관련하여 구조적 맥락에서 상호 작용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역할을 하는 중재적 조건은 ‘임하는 태도의 재정비'', ‘수퍼바이저 영성의 영향'', ‘체험에 의한 인식의 전환''으로 나타난다.$$a$$a이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는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기''의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차원과 관계적인 차원의 전략을 통하여 나타난다. 그래서 ‘기존의 하나님 이미지의 변화'', ‘기존의 하나님 이미지의 확장'', ‘기존의 하나님 이미지의 강화'', ‘기존의 하나님 이미지의 유지''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하나님 이미지 수정형'', ‘하나님 이미지 확장형'', ‘하나님 이미지 강화형'', ‘하나님 이미지 정체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 유형들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하나님 이미지 통합의 경험 결과이다.$$a$$a이 연구에서 본 연구자는 목회상담학적 관점에서 4가지 유형들에 대한 해석적 논의를 하였다. 그리고 4가지 유형들에 속하는 상담훈련생들의 ‘심리적 특성'', ‘환자를 돌보는 형태'',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형태''를 분석하여, 이 유형들에 적합한 ‘각 유형별 수퍼비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나님 이미지 통합과정을 촉발한 요인으로써 ‘질병에 대한 편협된 이해’, ‘환대 받지 못함의 경험’을 살펴보았고, 촉진 요인으로는 ‘수퍼바이저의 인간을 대하는 태도’, ‘거룩함의 경험''을 제시하였다.$$a$$a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연구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a$$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of supervisee who participates in C.P.E. supervision.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seeks for incorporating various aspects of the image of God, trying to present a holistic imago of God rather than partial images.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in what form and through what process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of supervisee appears, and argues for its causes and factors. This paper also shows what form and content of supervision as well as what supervisory acts influences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of the supervisee.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I aim to supply basic data to prepare for a plan that can promote the integration of the image of God of supervisee in Pastoral counseling supervision.$$a$$a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I try to see and understand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from a supervisee''s perspective. I choose to u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2001) out of some other methods of the Qualitative Study to express the experience of a special and private integration of the image of God of supervisee and the experience of their supervision. Data a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method''. The total number of supervisees is 15; 3 supervisees in their twenties, 6 in their thirties, 4 in their forties, and 2 in their fifties. Four of them are Roman Catholics, and the other 11 are Protestants, all of them being seminary students and clergymen.$$a$$aThrough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16 main categories, 47 sub-categories, and 156 characters and dimensions of categories are conceptualized, making 219 categories in total. An analysis of a paradigm model observes a core phenomenon of ''overcoming self-centeredness''. ''Need to inner growth,'' ''need to grow professional'' and ''indwelled faith understanding'' appear to be the causes of this phenomenon, and ''experience for group'', ''impression about supervisor'', and ''events of importance experiences'' appear to be the contexts of those causes. The intentional action/interaction strategy as a way to cope with this core phenomenon and solve it appears in the form of ''changing of cognition,'' ''trying for formation and preservation of relation'' and ''coping in action dimension.'' What is necessary for any intermediary actions, which may promote or hamper the action/interaction as such, appear to be ''realignment of attitude to face'', ''effect of supervisor''s spirituality'', and ''conversion of cognition by experience''.$$a$$aThe result of this action/interaction strategy comes from and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strategies for ''overcoming self-centeredness'' both in personal and relational levels; it may be ''change of the previous image of God,'' ''expansion of the previous image of God,'' ''strengthening of the previous image of God'' and ''keeping of the previous image of God,'' from which I coined the names such as ''the type of changing the image of God,'' ''the type of expanding the image of God,'' ''the type of strengthening the image of God'' and ''the type of keeping the image of God'' respectively. These types are possible results of both the performance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and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of the image of God.$$a$$aIn this study, from a perspective of a Christian counselor, I discuss 4 types, and analyze ''psychological character'', ''type of looking after patient'', and ''relation type with supervisor'' of supervisee in 4 types. So, I present ''Supervision strategy for each type'' to be suitable to these types. Also I observ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death and disease'' and ''bitter experiences of inhospitality'' as major igniting factors of integration process of the image of God, and present ''supervisor''s way of treating supervisees'' and ''experience of holiness'' as major strengthening factors.$$a$$aFinally, I summarize and conclude this study and propose a further study.$$a$$a

      • 이직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잡플래닛 데이터를 중심으로

        문영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Employee turnover remains a significant concern for organizations in an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Job satisfaction plays a pivotal role in this context, as it influences an employee's decision to remain with or leave an organization. This study adop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focusing on five key factors: welfare and benefits, salary, organizational culture, work-life balance, and other relevant aspects.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data from around 800 domestic companies were gathered from online business review platform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annual turnover rates of 802 compani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mployee satisfaction with welfare and benefits, as well as work-life balance,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urnover rates, highlighting their crucial role in retention. Conversely, satisfaction with promotion opportuniti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urnover rates. To gain deeper insights into the complexities of job satisfaction and its impact on turnover, the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using a substantial dataset of 70,263 reviews from 2022. Employing topic modeling, the study identified factors contributing to both job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Subsequently, a fixed-eff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specific dimensions of welfare and benefits satisfaction and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Interestingly, the factors influencing welfare and benefits satisfaction were found to differ from those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satisfaction. This research presents a novel perspective by employing online business review data to analyze the interplay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Furthermore, it offers valuable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seeking to devise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employee turnover rates and fostering a more stable and productive workforce.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져가는 시대에 조직 구성원의 잦은 퇴사는 기업에 많은 비용과 부담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훌륭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만큼이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인적자본관리에서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직무만족 요인을 복지·급여, 사내 문화 등 5가지로 구분하고, 이 직무만족 요인들이 조직 구성원의 이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우선 800여 개의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업 리뷰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5가지 직무만족 요인이 기업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복지·급여에 대한 만족도와 업무와 삶의 균형에 대한 만족도가 기업의 연간 이직률에 대해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였으며 승진기회, 사내문화, 경영진에 대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직률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직무만족 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2022년에 작성된 70,263건의 리뷰를 수집하여 토픽모델링 하였다. 이를 통해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을 도출한 후, 기업 고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복지·급여 만족도와 업무와 삶의 균형 만족도의 구체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복지·급여 만족도와 업무와 삶의 균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기업 리뷰 데이터를 통해 직무만족도와 이직률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기업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참여자의 치유 경험

        문영주 서울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질적 연구를 통하여 그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이것은 현 시대의 일상적 영성체험의 욕구에 부응하고 목회 돌봄 사역의 정체성의 위기, 진리의 위기, 그리고 실제방법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목회/기독교 상담의 한 방법론으로 기대되어 진다. 본 연구는 이것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실천하였다. 첫째, 그리스도요법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그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이 부분에서 본 연구는 그리스도요법에 영향을 끼친 이론들의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더욱 폭넓게 이론을 다루었다. 그리고 그리스도요법 ‘실존진단검사’ 체크리스트와 ‘실존의 명료화 도식’을 창조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리스도요법의 핵심기법인 ‘마음-비우기와 영혼-즐기기’를 세 가지 방법으로 조직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의 정신 역동적 발달과정의 원리를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그리스도요법의 이론과 실제 방법들을 토대로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집단상담은 2013년 5월 17일〜19일까지 2박3일간 약 36시간 동안 본 연구자를 포함한 2명의 코-리더와 10명의 자발적인 연구 참여자로 구성되어 경기도 시흥 성 바오로 피정센터에서 실시되었다. 참여자는 20대에서 60대까지 8명의 여성과 2명의 남성으로 모두 기독교인이지만 그중에 3명은 당시 교회에 출석하지 않고 있었다. 셋째,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참여자들의 치유경험을 바르게 이해하고 그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버나드 로너간(Bernard J. K. Lonergan)의 ‘신학방법’중 ‘해석’(interpretations)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집단 사전 만남에서부터 2박3일 집단상담, 집단 후 인터뷰, 그리고 추수상담까지 총 6주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자료는 집단상담 워크북 및 사진, 그리스도요법 실존진단 사전/사후 검사, 사전 심층면담 자료와 사후 심층면담 자료를 전사한 것, 집단상담 진행 내용 녹취자료와 집단 후 추수상담을 통한 그룹면담 전사자료 등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참여자 개개인의 깨달음을 통한 치유경험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 속에서 본질적 의미가 드러나게 되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요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 참여자의 치유 경험에서 드러난 본질적 의미는 모두 아홉 가지다. 첫째로 하나님께서 우리 존재의 궁극적 근거가 되심이 치유의 시작임, 둘째로 하나님의 사랑에 사로잡힌 존재는 다른 존재를 용납하게 됨, 셋째로 참된 자기-이해는 ‘나’-‘너’-‘하나님’을 자유롭게 함, 넷째로 그리스도는 연약한자들 가운데 현존하시며 치유하심, 다섯째로 영감 넘치는 이해는 사랑의 존재가 되게 함, 여섯째로 참된 삶은 우리의 존재를 나누어 주는 것임, 일곱째로 성령은 우리 안에서 그리스도의 의미와 가치를 깨닫게 하심, 여덟째로 살아있는 존재는 ‘부름’을 갈망하며 그 속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고자 함, 그리고 마지막 아홉째로 깨달음과 치유는 기쁨으로 세계에 참여하게 함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아홉 가지의 본질적 의미를 통하여 성 삼위일체의 하늘 작용(omni-action)을 볼 수 있었다. ‘성부-성자-성령’은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자들에게 깨달음을 통한 치유를 불러일으키셨고, 참여자로 하여금 새로운 존재(New Being)에 참여하므로 자유와 사랑의 열매를 맺게 하셨다. 즉 참여자를 반-자기(anti-self)로부터 자기(self)로, 반그리스도-자기(antichrist-self)로부터 그리스도-자기(Christ-self)로 변모케 하셨다. 또한 그리스도요법 집단상담이 하워드 클라인벨(Howard Clinebell)이 요청한 “하나님요법”(theotherapy)에 부합하며, 스탠턴 존스(Stanton L. Jones)와 리차드 버트만(Richard E. Butman)이 도전으로 제시한 기독교상담의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의 18가지 요소에 대부분 부합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그리스도요법은 목회/기독교 상담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중요한 상담이론 중 하나임에 틀림없으며, 하나님과의 실존적인 만남을 체험하므로 전인적 치유와 영적성장을 추구하고자하는 목회/기독교 상담자들과 개인들, 그리고 교회의 목회 돌봄 사역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Healing Experiments of Christotherapy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Young Joo Moon Directed by Professor Lee, Jung Kee, Ph.D.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Theology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This thesi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through qualitative study of Christotherapy Group Counseling including developing & suggesting the programs. It satisfies the needs of aiming for the experiential spirituality in everyday life at the contemporary age and can be expected as a way of the pastoral/Christian counseling to overcome a crisis of an identity, of truth, and of the methodology of pastoral care & counseling ministry. For this study, three steps were followed strategically. First, to understand the Christotherapy clear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actical methods were considered. The theory was more broadly dealt with the primary source influencing Christotherapy. 'Existential diagnosis examination' check lists and 'existential clarification diagrams' were creatively presented. And the core method of Christotherapy, 'Mind-Fasting and Spirit-Feasting', was organized into three ways. Also, the psychodynamic developmental principle of Christotherapy group counseling was surveyed. Seco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the Christotherapy's theory and practical methods were developed and executed. Group counseling was done with 10 voluntary participants and 2 co-leaders including researcher at the ST. PAUL retreat center located at Si-heung city, Gyeonggi-do. The participants were 8 women and 2 men aged from twenties to sixties, who were christians but 3 people weren't attending at the church in those days. Third, to understand the healing experience correctl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o grasp their essential meaning,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the "interpretations" from Bernard J.K. Lonergan's theological methodology. The collection of materials had been done for six weeks, such as preliminary group meeting, group counseling for 2 nights and 3 days, interviews, and follow up session. The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daily records and photographs of group counseling, the Christotherapy existential diagnosis pre/after examinations, the transcription of pre-depth interview data and post-depth interview data, the group counseling information recording material process, and the group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through follow up session. With these collected data, the healing experiences were figured out through their own realization and its essential meanings were found out. In this process, the effectiveness of Christotherapy could be proved. Nine essential meanings were revealed from the healing experiences of Christotherapy group counseling participants. First, realizing that God is the ultimate ground for our existence is the start of healing. Second, the existence captured by love of God could accept other existences. Third, the true self-understanding makes 'I'-'You'-'God' free. Fourth, Christ is present among the weak and heals them. Fifth, understanding with full inspiration becomes the presence of love. Sixth, the true life is to share our existence and ability. Seventh, the Holy Spirit is in us and makes us to enlighten the meaning and value of Christ. Eighth, the living beings crave for 'calling' and want to find th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Ninth, enlightenment and healing makes us participate in the world with joy. On this study, with these nine essential meanings, the "omni-action" of the Holy Trinity in heaven could be seen. 'The Holy Father'-'The Holy Son'-'The Holy Spirit' aroused the healing of participants with enlightenment in many ways and enabled us to participate on New-Being and bear the fruits of freedom and love. That is, it made us to transform from anti-self to self and from antichrist-self to Christ-self. Also, Group counseling program of Christotherapy corresponded with the "theotherapy" requested by Howard Clinebell and could be seen to apply with the 18 factors of "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approach" given by Stanton L. Jones and Richard E. Butman. Therefore, Christotherapy must be one of the exciting counseling theo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pastoral/Christian counseling and is considered to be helpful to the pastoral/Christian counselors, individuals, and the ministry by experiencing existential meetings with God.

      • 하이브리드 로켓 후연소실 화염소멸과 저주파수 연소불안정

        문영주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experiments, positive coupling of pressure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in 500 Hz band were observed when LFI occurred with heat release oscillations having peak frequency of 20 Hz b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s between positive coupling region of pressure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in 500 Hz band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in 20 Hz band. To examine the coupling between pressure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rayleigh index, coherence, phase difference and flame images were analyzed. No noticeable coupling between pressure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was observed in stable combustion. However, positive coupling regions in 500 Hz band were repeatedly observed, which correspond to positive peaks of rayleigh index in 500 Hz band during unstable combus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ransition region, occurrence of these positive peaks has a frequency of 20 Hz band. Furthermore, frequency of heat release oscillations in 20 Hz band was exactly same to that of positive peaks, which means correlations do exist between positive coupling regions in 500 Hz band and heat release oscillations in 20 Hz band. This is clearly supported by observation of partial flame extinction occurred in positive coupling regions. It seems, therefore, that partial flame extinction is a critical phenomenon to develop the LFI.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flame and CH chemiluminescence images representing flow fluctuation and combustion region, respectively, a mechanism of partial flame extinction is investigated. It is strongly suspected that the partial flame extinction is related to a amplification of shear layer oscillations and recirculation zone behind a backward facing step. 하이브리드 로켓 LFI의 발달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후연소실 내부를 가시화하여 연소반응의 진동, 연소영역 변화, 압력 진동과의 상관관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안정 연소와 불안정 연소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불안정 연소 실험에서 후연소실 내부의 연소반응을 측정하였다. 압력, 연소반응 진동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불안정 연소는 공통적으로 20 Hz, 500 Hz 대역에서 압력, 연소반응 진동이 증폭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불안정 연소에서 후연소실 내부 연소영역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20 Hz 주파수로 큰 와류 형태의 연소영역과 화염소멸 현상이 발달하였다. 뿐 만 아니라, 500 Hz 주파수로 작은 와류 구조를 갖는 연소영역이 형성되며, 직후에 부분적으로 화염이 소멸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500 Hz 대역 압력, 연소반응 진동의 상호작용은 불안정 연소에서만 관찰되는 20 Hz 대역 화염소멸 현상과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흥미롭게도, 500 Hz 대역 압력, 연소반응 진동 사이의 상관관계와 상호관련성을 관찰한 결과, 양의 결합은 연속적으로 지속되지 않았다. 오히려 진동 형태로 발달하였으며, 주파수는 대략적으로 20 Hz로 나타났다. 이 때, 연소영역 이미지를 분석하여, 양의 결합 시점마다 부분적 화염 소멸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500 Hz 대역 압력, 연소반응 진동의 양의 결합은 20 Hz 연소영역 진동과 매우 유사한 진동 특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종합하면, 불안정 연소에서 관찰되는 500 Hz 대역의 압력, 연소반응 진동의 상호작용에 의한 부분적 화염 소멸은 점차 20 Hz 대역의 주파수로 나타나며, 최종적으로 LFI를 발생시키는 핵심적 현상으로 추정하였다. 부분적 화염 소멸의 원인을 좀 더 명확히 알아보기 위해, 화염 이미지와 CH 화학발광 이미지를 각각 유동과 연소영역으로 가정하여 천이 구간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분적 화염 소멸은 후연소실 내부 전단 유동의 진동이 증폭하고 재순환 영역이 크게 움직일 때 활발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동 진동과 화염 소멸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초등학생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문영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based the programs on creative education which is highlighted in the 7th curric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programs which is necessary for creative dance teaching by suggestion of creative dance class model founded on the preceding study for creativity improvement and by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program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s in this study, creative dance section in third grade education course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y and data for creative dance class model, creativity development. The program have seven classes and each class time is 40min. The program of creative dance class model was developed for developing creativity by primary school students's multiple expression activity as the subject and by body expression activity through creative idea generation process from basic body activity. The developed progra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after discussion with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 dance expert for the examination of reasonability of contents. We can expect that the programs will effect the followings. 1. The creative dance programs will effect on idea creation ability because of introducing many creative teaching systems into the creative class. 2. The creative dance programs can promote their adaptability in creative factors for problem solving by developing various motions of students. 3. Only if they are trained systematically through the creative dance, the students can be improved their creativity, that is an ability of thinking out very new and original things. 4. The creative dance programs can improve their ability of delicacy by the motion activity in the step of performance, review and application of their various idea. 5. They can be improved their openness by the creative dance programs because of the first suggestion of a theme and stress on expression of the theme every class. As above mentioned,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reative dance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creative thinking power. Accordingly, as in the view of the positive effect of the creative dance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if the further study is worked on the creative dance program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it is sure that the position and usefulness of creative dance will be more raised up as a important part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