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학대의 인식과 대처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문광자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 아동학대 발생율이 상당히 높게 추산됨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율이나 인식정도는 극히 저조하다는 아동학대의 실태를 고려할 때, 현재의 아동학대 및 방임의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에 관한 아동의 인식과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하여 아동이 당하는 학대로부터 가정, 학교, 사회기관, 국가적 차원의 예방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초등학생 4년(30%), 5년(35%), 6년(35%) 262명을 표본으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계량화한 후 빈도측정과 교차분석 χ^2 과정을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남자 118명(45%), 여자 144명(55%)이며, 연령별로는 10세 7명, 11세 71명, 12세 100명, 13세 8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모의 교육수준으로는 대학졸업(재학포함) 이상의 학력이 분석대상 인원의 75%였고, 고졸이하는 22%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에 관한 아동인식의 개념을 중심 가설로 설정하였고,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학대의 개념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명확한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그 원인은 무엇이며, 가정 환경이 아동 학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학대받는 아동을 위해 가정, 학교, 사회기관, 국가의 예방에 관한 역할과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분석에 의한 결과는 아동이 아동학대의 개념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 에서는 아동들의 학대개념 인식도에서 가장 높은 것은 10세의 경우 상처가 나도록 심하게 매를 때리는 행위와 심하게 벌을 받음(43%)으로 알고 있었으며, 11세는 폭언이나 욕설(55%), 12세의 경우 지나친 폭언이나 욕설과 성적학대(68%)로 인식하였고, 13세의 경우 정신적 스트레스(70%)를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연령의 변화에 따라 학대의 개념이 신체적 학대에서 정신적 학대로 영역의 폭이 넓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식부족의 원인을 살펴보면 학대를 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아동 중 거짓말을 했을 때와 버릇이 없을 때의 항목에는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해 학대와 훈육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성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아동학대의 가정환경적 요인으로 부모와 아동의 대화시간이 30분 미만일 때(47%), 부모의 지나친 간섭과 존재의 부인(75%), 부부갈등으로 인한 학대(88%) 등이 주요 원인으로 가정환경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어 아동학대에 가정환경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학대에 대한 예방과 대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먼저 가정의 역할로는 부모와 아동간의 유대관계형성을 위해 1시간이상의 대화를 하며, 가족회의 등을 통해 서로의 의견이 올바르게 전달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아동에 대해 신뢰와 믿음을 가지며, 부부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부모들의 훈육과 체벌을 구분하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학교는 아동이 학대를 당하는 제2의 장소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예방교육을 최우선으로 실시하여 학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교육과 아동 학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편성하여 교육하고, 자모회 등을 통해 부모의 예방교육에도 힘써야 할 것이며, 전담교사를 두어 상담과 피해사례연구조사를 통한 사회기관과의 연개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사회기관은 학대받는 아동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에 대한 개입이 신속해야 하며, 피해아동에 대한 장ㆍ단기보호를 위해 그룹홈 제도의 확대 실시를 통해 피해아동이 정상적인 가정환경과 비슷한 보호체제에서 치료받을수 있도록 하며, 치료를 위하여 의료종사자, 경찰권자, 법관련자와의 긴밀한 협조를 지니며, 아동학대에 대한 지속적인 캠페인, 국민포럼 등을 전개하여 국민적 호응을 얻어야 할 것이다. 국가는 관계법의 강화 및 학대규정에 따른 개선점을 통하여 법의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복지정책을 수립하여, 기초생활보장 수급권 세대의 아동에 대한 지원과 빈곤 가구 내 아동에 관한 지원 등을 통해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학대아동이 안전한 보호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재정의 확충을 통한 사회기관의 역할수행에 적극적인 후원을 해야한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공익방송과 국정홍보활동 등을 벌이며, 국민계몽의식에 노력하는 한편 아동이 건강한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는 물질적 지원과 인적 지원의 관리체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Considering the facts of lowering report rate and awareness regarding child abuse in this country where higher child abise is estimated in recent, present child abuse and countermeasures plan can not be tolerated and it checks on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nderstanding of child regarding child abuse and countermeasures, and protect child abuse in aspect of home, school, society, organization and government. This study surveyed 4th 5th and 6th elementry students or total 262 students in Gwangju City. The analyzing method was the process of estimated frequency, crossing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fter measur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setting up as 7 people at 10 years old, 71 people at 11 years old, 100 people at 12 years old and 83 people at 13 years old among effective 118 men(45%), 144 women(55%). The academic career for their parents was 75% of degree university qualification, 22% of high school qualification. This study is to set up the hypothesis for the notion of understanding child regarding child abuse based on its result,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Do they understand the exact notion of abuse? Secondly, If not, what is the reason, and what does home environment affects it? Thirdly, What is the role of home, school, community, organization and government for abused child? With the results, firsty, 10 years old considerde the abuse as whipping the child(43%), and 11 years old considered it as the word of abuse, violent language(55%), and 12 years old considered it as the word of abuse, violent language and sexuality abuse(68%), and 13 years old considered it as mental stress(70%), it can be said that the notion of abuse move from physical abuse to mental abuse as they grew up. Secondly, the children who answered that they were not abused, considered the discipline as a abuse, in other words, they do not have a clear notion between abuse and discipline. The main reason for child abuse on home was the lack of conversation less than an half-hour(47%), inordinate interference(75%), abuse from parent's problems(88%). The understanding of child regarding child abuse are very limited as above. Hence prevention and plan for child abuse are needed. Over I hour conversation need for the ties that bind parents and child together at home, each family members need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y having family meeting. School need to consider that school can be other area for abuse. School need to facilitate the education for children's consciousness and parent's education. Social organzation also intervene for children protection, and doctor, police and lawyer need to be work closly for children, and need to produce the atmosphere of national campaign. Government need to reinforce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ithin law permitted, and establish the policy of welfare, and support the social organization financially. What is more, it is neccessaty to have a national enlightenment through the public media or national public information to support children in healthy environment physically.

      • 순차패턴을 이용한 만성질환 위험요인 분석 : 고혈압, 간장질환, 당뇨질환, 고지혈증의 생활습관 중심으로

        문광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 및 의식 수준의 향상은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있고, 흡연, 음주, 운동 등 생활습관은 만성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과 생활습관과의 구체적인 연관성 정도를 규명하여 만성질환 예방에 종사하는 건강관리자들에게 제공함으로서 질환예방을 위한 생활지도에 활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실시한 건강검진을 2년마다 모두 수검한 대상자 중 문진내역에 생활습관과 관련된 흡연, 음주, 운동 항목을 모두 응답한 294,197명이고, 질환은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간장질환이다. 분석방법은 로지스틱 회귀분석, Cox's 비례위험 회귀모형, 순차패턴을 적용하였다. 고혈압은 50세 이상에서는 남자가 6.97배, 여자가 14.49배 고혈압 발생률이 높았고, 운동하는 여자보다 운동하지 않은 여자가 고혈압 발생률이 1.36배 높았다. 음주하지 않는 남자보다 음주하는 남자의 고혈압 발생률이 1.36배이고, 음주와 흡연을 6년 연속하는 남자의 고혈압 발생률은 5.61%, 여자는 4.27%였다. 당뇨질환은 50세 이상에서 남자가 4.46배, 여자가 5.23배 당뇨질환 발생률이 높았다. 운동하는 여자보다 운동하지 않은 여자가 당뇨질환 발생률이 1.32배 높았다. 흡연에서는 남녀 모두 비흡연자보다 흡연하는 사람이 당뇨질환 발생률이 높았다. 음주와 흡연을 4년 연속하는 남자의 당뇨질환 발생률은 2.39%였다. 고지혈증은 50세 이상에서 남자가 2.44배, 여자가 9.96배 고지혈증 발생률이 높았다. 비흡연자보다 흡연자가 고지혈증 발생률이 높았다. 음주와 흡연을 4년 연속하는 남자의 고지혈증 발생률은 2.56%였다. 4년 연속 음주와 흡연을 할 경우 남자의 고혈압 발생률이 41.36%로 가장 높았고, 간장질환은 7.14%, 고지혈증은 2.56%, 당뇨질환은 2.39%로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40세 이상 국민에게 격년으로 실시하는 대용량 건강검진 자료를 전사적으로 분석하여 흡연, 음주, 운동이 만성질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었고, 건강정책의 결과와 기획에 활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분석방법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충실성을 높이고 향후 지속적인 모형수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