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ude sur une exploitation de la grammaire orale en fran?ais langue ?trang?re au sein des lyc?es g?n?raux en Cor?e du Sud

        마혜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Le développement fulgurant des moyens de communication a permis non seulement de rendre plus réels les interactions entre les individus mais aussi de rapprocher, de faire vivre les apprenants leur langue cible. Il devient alors de plus en plus facile aux différents apprenants d’avoir accès au français parlé d’aujourd’hui. Ce phénomène leur permet de se rendre compte, surtout dans la langue parlée, des écarts entre le contenu linguistique acquis en classe de FLE et celui appliqué dans la vie quotidienne par les natifs. L’enseignement et l’acquisition d’une compétence propre à l’oral devient donc un fait inévitable et majeur dans ce monde connecté et mondialisé. En Corée du Sud, un corpus concernant l’oral fait partie intégrante des deux principaux manuels destinés à l’enseignement du français en tant que seconde langue dans les lycées généraux. Dans un cadre communicatif, les différents actes langagiers, expressions idiomatiques et les dialogues se veulent au plus proche d’un français de la vie quotidienne. Les manuels utilisés tendent à un développement et une pratique de la compétence linguistique orale. Néanmoins, un contenu se basant sur des faits grammaticaux propres à l’oral reste, paradoxalement, encore à un stade théorique. Or, la maîtrise des régularités grammaticales provenant de la langue parlée paraît essentielle, si l’on souhaite enseigner ou acquérir une compétence linguistique d’un français parlé. La présente recherche se veut pour objectif premier de proposer aux professeurs coréens en fonction dans les lycées généraux des régularités/faits grammaticaux provenant de la langue parlée et concernant un niveau A1. Cette étude se destine à la fois à présenter un ensemble de données propres à la grammaire orale afin de compléter celui présenté par le manuel du lycée général, Le français I, et à établir les grands axes dans la réalisation d’un cours sur la grammaire de la langue parlée. Dans la chaîne orale, la grammaire est une composante importante dans la production d’une énonciation. Chaque locuteur se doit de maîtriser les différents outils grammaticaux dont il dispose afin d’élaborer une phrase. Ainsi,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 la grammaire orale apparaît une étape nécessaire dans le développement d’une compétence communicative à l’oral. Au sein de cette recherche, nous sommes orientés, dans un premier temps, vers une analyse générale de la grammaire dans un cadre linguistique, pédagogique, et neurolinguistique. Cette analyse constituait une étape fondamentale dans une délimitation de la grammaire orale. Pour ce faire, nous avons traité en premier lieu la notion de grammaire à travers son étymologie, puis au sein du domaine linguistique et didactique. Puis, en nous penchant sur l’aspect grammatical dans le domaine écrit/oral, nous avons pu mettre en avant des propriétés propres soit à la grammaire écrite, soit à celles de l’oral. De plus, l’étude des diverses caractéristiques de la grammaire orale ont montré que la grammaire de la langue orale constituait un prolongement de la grammaire écrite. Parallèlement, notre regard, porté sur la neuroscience, nous a permis de constater l’existence de deux grammaires autonomes sur le plan cognitif. À la suite de ces analyses, nous avons abordé l’aspect grammatical en mettant en relief des différences dans l’état réel de la grammaire dans un discours orale d’apprenants et de natifs. Puis, nous avons pu percevoir un décalage entre les faits grammaticaux des apprenants et la réalité grammaticale des natifs dans les échanges communicatifs à l’oral. Par la suite, nous nous sommes penchés sur les traces éventuelles et la situation de la grammaire orale au cours des principales méthodologies. Via cette observation, nous avons pu vérifier une prédominance d’une même grammaire normative pour le domaine oral et écrit. Dans une quatrième partie, nous avons exploré la place donnée à la grammaire orale au sein du programme d’enseignement des deuxièmes langues de l’Éducation nationale en Corée et du manuel de référence dans les lycées généraux, Le français I. À travers cette analyse, nous avons relevé qu’une seule et même grammaire était proposée pour les compétences communicative (expression orale/écrite et production orale/écrite). De plus, d’autres composantes interagissant avec la grammaire telles la prosodie et le lexique répondent à un même besoin communicatif, identique aux quatre compétences. En somme, il n’existe pas de distinction entre un contenu propre à la langue parlée et un autre à langue écrite. Au sein de l’avant dernière partie, nous avons proposé un contenu oral exploitable en classe de FLE et s’associant à celui déjà établit par le manuel. Nous y avons dressé un contenu lexical, prosodique et surtout grammaticale, propre à un français parlé actuel. Le lexique oral présenté renvoie à l’univers des apprenants et correspond à un niveau A1. L’enseignement de la prosodie est traité de manière simple et est adapté au niveau des apprenants. La grammaire coïncide avec les points grammaticaux du manuel mais sous leur forme oralisée. Nous avons mis en parallèle certaines structures employées par les apprenants avec les régularités grammaticales correspondantes, celles utilisées par les natifs à l’oral. Et enfin, dans le dernier chapitre, nous avons regroupé les différents paramètres à prendre en considération dans l’objectif d’une pratique au sein de la classe. Nous y avons exposé les divers domaines de variations portées sur les structures grammaticales à l’oral. Nous avons également proposé différentes méthodes d’enseignement/acquisition, tout en prenant garde de relater les principaux problèmes que peuvent rencontrer tout professeur non-natif dans l’enseignement de la grammaire orale. En dernier lieu, nous avons établi et proposé les grands axes et une proposition d’application dans l’objectif d’un contenu/support relatif à la grammaire orale en classe de FLE. À travers cette recherche, nous avons voulu apporter une contribution dans la réflexion concernant l’enseignement/apprentissage d’une grammaire orale propre un français réel en Corée du Sud. Sur le plan grammatical, nous avons surtout souhaité avec cette dernière combler l’absence de natifs dans les lycées généraux en proposant aux professeurs non-natifs un contenu propre à une grammaire orale. 정보ˑ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은 타인과 더욱 활발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사용으로 외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전세계 어디에서든 원어민의 프랑스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프랑스어 교육에서도 말하기 학습은 그 중요성을 더해가면서 새로운 활력을 얻게 되었다. 특히, 현대 외국어 교수법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의사소통접근법의 출현 이후, 구어 능력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중등 프랑스어 교육 역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내세우면서, 실제 프랑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언화 행위, 대화문, 관용 표현 등을 교과서에 제시하고 있다. 프랑스어로 의사소통을 할 때, 문법, 어휘, 발음, 억양, 문화 등의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구어 문법은 문법의 규칙성을 파악하여 바르고 체계적인 의사소통을 구사하는 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중등 프랑스어 교육과정에서 구어 문법은 여전히 이론적 단계에 그치는 수준이며, 교과서에서는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비원어민 교사들은 프랑스어의 구어 요소를 구성하고 제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자들은 구어 문법을 거의 접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내국인 교사들에게 구어 문법과 관련된 교육적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어 Ⅰ」 교과서를 보완하는 구어 문법의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를 사용하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 1장은 문법의 어원, 정의를 살펴보고, 외국어로서의 프랑스어 교육에서 다루는 문법의 유형을 정리해 보았다. 제 2장은 구어 문법과 문어 문법의 정의와 차이점을 분석해보고, 구어문법이 갖는 특징을 5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신경과학적인 관점과 인지적 관점에서 구어문법이 갖는 특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제 3장은 전통교수법에서부터 의사소통접근법에 이르는 프랑스어 교수방법론에서 구어 문법의 위상과 역할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구어 문법과 문어 문법이 구분되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하나의 문법 범주처럼 다루어지고 있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4장은 [2015 프랑스어 개정 교육과정]과 「프랑스어 Ⅰ」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는 구어문법, 어휘, 음운을 분석해 보았다. 현 교육과정은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한 문법만이 제시될 뿐, 구어문법의 실제적 개념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음운, 어휘 그리고 억양 등의 요소 역시 언어의 네 가지 능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있어서 차별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획일적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5장은 앞서 분석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구어 문법의 내용을 제안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현행 교과서의 내용을 뒷받침 하기 위하여 실제 프랑스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일상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구어 어휘, 음운, 구어문법을 소개했다. 마지막 제6장은 5장에서 제시한 구어 문법의 내용을 실제 프랑스어 교실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여기에서는 먼저 구어 문법과 관련된 수업을 할 때 프랑스어 교실에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를 제시하고, 교실에서 문법교육 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 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거를 통한 방법’과 ‘비교를 통한 방법’이라는 두 가지 구어 문법 학습 방안을 소개한 후, 실제 수업 교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는 프랑스어 교육에서의 구어 문법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현재 한국의 중등 프랑스어 교육에서 상실된 부분을 고찰하고 보완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사들이 구어 문법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본 연구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육에 조금이나마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 연구

        마혜미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인식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과정 마 혜 미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유치원에 재직, 3-5세를 담당하는 교사와 어린이집·유치원에 자녀가 재원 중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4월 28일~5월 16일까지 방문, 우편, e-mail, 모바일로 배포하여 어린이집 교사 120부, 유치원 교사 100부, 총 220부 중 198부(90%)가 회수되고 어린이집 이용 학부모 180부, 유치원 이용 학부모 100부, 총 280부 중 255부(91%)가 회수되었다. 그중 누락되거나 부실 기재된 20부를 제외한 43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이기숙 외(2011)의 ‘미디어 안전교육의 필요성 및 내용’과 보건복지부 외(2013)의 전자미디어의 범주 및 활동방법, 미래창조과학부 외(2013)의 미디어 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사용 지도서, 주효정(2009)의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실태 등을 참고해 질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해 제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인식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질문은 두 집단이 유사하게 응답한 의견을 중심으로 정리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경험,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에게 위험한 것인지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스마트기기와 그에 대한 관심도는 교사와 학부모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 교육이 누리과정 내용범주에 포함된 것을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필요성 정도는 교사와 학부모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와 학부모는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일부 있었고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내용에 따른 필요성 중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기기의 과몰입 위험성에 대한 내용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터넷 세계에서의 인터넷 윤리의식에 대한 내용을 교육할 필요성’, ‘유해한 스마트기기로부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선택 및 활용에 대한 내용 교육의 필요성’에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스마트기기의 적정이용시간에 대한 기준을 안내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가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식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대한 지도원칙, 적절한 교수매체, 적절한 활동형태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가 없었다. 반면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바람직한 연령을 교사와 학부모가 공통적으로 만3세~만5세가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연령임을 높은 비율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외의 연령에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에 적절한 실시횟수,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에 적절한 그룹형태, 적절한 담당자, 교육 실시에 필요한 자료, 적절한 교육 장소에 대한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대상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시 경험, 스마트기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참여 정도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거나 소극적인 원인,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활성화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마트기기 안전교육 실행 및 보완점에 대한 개방형 문항에서 ‘유아교육기관 및 가정과 연계된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등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스마트기기 안전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이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실제적인 실행을 위해 국가적인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a, Hye-Mi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ucksung Wome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about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any different perceptions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problem of safety education and activation plan for smart devices. This study was done targeting fo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3 to 5 year old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the children's par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20 questionnaires for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120 copies) and kindergarten(100 copi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28, 2004 to May 16 in person, by postal mail, e-mail or mobile and collected 198(90%) out of them, and 255 copies(91%)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280 questionnaires for parents using child care centers(180) and kindergartens(100).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433 copies excluding 20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or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modified by the researcher for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The Needs and Contents for Media Safety Education' by Lee, Gisook, et al.(2011), 'The Category and Activity Method of Electronic Media'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2013), 'A Teacher's Guidebook for Media Safety Education Program' b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2013), and Teacher’s Understating and Operating status of Electronic Media and Electronic Media Education by Joo, Hyojeong(2009).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χ²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parents regarding to the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nd the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similar opin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smart devices and risk of using smart devices for children.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 and parent in regards to smart devices effecting on children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smart devic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regards to perception of recognizing whether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is included in the Nuri curriculum and the necessity level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Most of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tha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s needed while some of them did not agree with its necessit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among the items of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including 'the effect of using smart devices on children's health',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risk of overindulgence in smart devices',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ethics consciousness on internet', and 'the necessity of educating about the choice and utilization of self-protecting from harmful smart devices'. On the contrary, both teachers and parents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guidelines to criterion of appropriate set time during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they showed no difference in perception. It had no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guidance principl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proper instructional media, and proper type of activity. Although teachers and parents had in common with perception at high rates that children aged 3 to 5 are desirable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there was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any other aged children,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o a proper frequency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 proper type of group for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of smart devices, a proper practitioner, a necessary material for implementing education, and a proper educational sit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ards to the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the related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courses.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regarding the immediate problems to address the failure or passiveness of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activation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mong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o implementing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complementing problems,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commonly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connect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home'. Accordingly, it also needs to put forth a multilateral and continued effort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for smart devices and to make a national effort for its actual implementation.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proposed for future studies. First, f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