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영 당동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 군집분석

        이근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통영 당동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지역에 따른 군집구조 변화와 환경평가방법을 통한 저서의 시·공간적 환경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경남 통영시 당동만 인근해역에서 10개의 조사 정점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계절별 채집하였다. 조사방법은 Peterson grab(0.1㎡)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환경요인은 Cd(카드뮴), Pb(납), COD(납), 강열잔존물을 해양환경 공정 시험방법을 기준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군집의 구조와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생태학적 제지수를 구하였으며,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한 Spearman rank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저서환경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BPI, SAB curve, ABC curve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환경변화를 파악하였다. 환경요인은 2008년부터 2011년까지의 Cd 함량은 0.67~4.76 ㎎/㎏로 주변 해역인 진해만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났다. Pb 함량은 44.5~77.3㎎/㎏의 범위였고,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29,092~49,634 ㎎/㎏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열잔류물은 27.4~44.7% 범위를 나타났다. Cd이 상승에 따라 Pb도 증가하는 비례적 양상을 보였다. 대형저서동물 분석 결과 조사기간 중 총 152종, 249.8 inds./㎡ 출현하였다. 그 중 환형동물이 72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 하였고, 환형동물인 Prionospio pinnata가 146.5 inds./㎡, Ancistrosyllis hanaoka가 10.7 inds./㎡ 그리고 Lumbrineris nipponica가 5.71 inds./㎡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09년 춘계시기에 33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 하였고, 2010년 추계시기에 2종으로 가장 낮았다. 2009년 동계시기에 1,219 inds./㎡로 가장 높았고, 2010년 하계시기와 2011년 동계시기에 가장 낮게 출현하였다. 출현밀도와 종수는 동계시기와 춘계시기에 높게 나타나고, 하계시기와 추계시기에 낮게 나타나 계절에 따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량은 875.408 gWWt/㎡였고, 연체동물이 579.43 gWWt/㎡로 가장 높았다. 연체동물 중 Anomalodesmata가 396.33 gWWt/㎡로 다른 종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체량을 가진 것으로 출현하였고, 춘계시기에 출현 종으로 보였다. 우점종은 Le bris index를 사용하여 상위 10종을 선정하였고, 조사기간 내내 P. pinnata가 우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 다양도 지수는 2010년 추계시기에 0.46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시기에 출현밀도 및 종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다양도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과 환경요인(Cd, Pb, COD, 감열잔류물)간의 Spearman rank correlation 결과, Cd과 Pb은 우점종인 P. pinnata와 Callianassa japonica, Capitella capitata와 양의(+)의 상관관계로 중금속과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평가 결과, BPI는 전 지역에서 4~5등급 유기물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간과 지역에 따라 오염 지수가 변화는 것으로 나타났다. SAB curve 결과 연도에 따른 오염은 다소 안정되어 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업시설 근해는 오염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C curve는 산업시설 근해에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년간에 걸쳐 환경요인과 대형저서동물의 군집변화를 분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은 계절적인 양상을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생·화학적인이 서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정 한 가지 요인에 연관 지어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대형저서동물의 공간에 대한 경쟁과 포식에 관한 연구와 인근해역에 환경요인과 대형저서동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천수만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연구

        박상혁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천수만 갯벌에서 동측과 서측으로 구분하여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구조 및 분포 양상을 결정하는 저서환경을 파악하고 갯벌의 건강도를 평가하여 시․공간적인 천수만 갯벌의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조사기간은 2017년(동측갯벌) 6월과 9월, 2018년과 2019년(서측갯벌)에 계절별(2월, 5월, 8월, 10월)로 실시했으며, 퇴적물과 대형저서동물을 채집하고 분석하였다. 천수만 갯벌은 세립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측갯벌에서 모래와 실트, 서측갯벌에서 실트가 우세하였고 동측갯벌의 평균입도는 4.7±0.6 φ, 서측갯벌은 5.9±0.1 φ로 나타났다. 유기물함량은 만 입구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고 서측갯벌이 동측갯벌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천수만 갯벌의 출현종수는 143종, 평균 서식밀도 230±94 개체/m2 그리고 생체량이 57.0±39.8 g/m2로 나타났다. 분류군별 출현 양상은 출현종수에서 환형동물이 50종(35.0%), 서식밀도에서 절지동물이 126 개체/m2 (54.9%) 그리고 생체량에서 연체동물이 45.3 g/m2 (79.0%)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유사한 시기에 채집한 동측갯벌과 서측갯벌의 종 조성의 비교 결과, 동측갯벌은 83종, 평균 서식밀도 286 개체/m2, 생체량이 27.3 g/m2로 나타내었고 서측갯벌은 90종, 평균 서식밀도 174 개체/m2, 생체량이 86.6 g/m2로 분석되었다. 상위 1%이상의 우점종은 17종으로 나타났고 그 중 쏙(Upogebia major)은 전체의 27.6%로 가장 우점 하였으며 서측에서 출현하지 않고 동측갯벌에서 출현하여 최우점종으로 나타났다.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는 전체의 9.1%로 두 번째로 우점 하였고 모든 정점에서 출현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선 중 서측갯벌에 위치한 중장리 정점에서 멸종 야생생물Ⅱ급인 흰발농게(Austruca lactea)가 출현하였다. 생태학적 지수는 지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 >0.05) 만 안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 천수만 갯벌의 집괴분석 결과 동측갯벌과 서측갯벌로 구분되는 양상을 보였고 퇴적상으로도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건강도 평가 결과, 천수만 갯벌은 약간 오염된 상태이며 서측갯벌이 동측갯벌보다 더 양호한 생태계로 판단되었다. 유기물량과 실트 그리고 입도는 저서환경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