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교육기관 조직 비교연구

        마자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Korea and China, which are close to the rapidly developing modern society, have a high historical relevance and are still interacting with each oth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craze,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want to study Korean has also increased, and foreign students and tourists have also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China, Korean language department, Chinese self - study Korean language institut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Korean university in Korea. I have visited several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and China. I have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researchers, not student positions again. In order to better show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organization chart and the tasks of each department were lis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find ou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goals of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make a more detailed comparison, we analyzed all the data in the form of figures or chart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each other's comparisons.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identify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China, I would like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nd give some help in recruiting talent in the future.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거리가 가깝게 된 한국과 중국, 역사적 연관성도 높고 지금도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다.“한류”열풍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싶은 외국인도 많이 증가하였고 유학생이나 관광객도 많아졌다. 그래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중국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한국에 있는 한국대학의 외국인대상인 한국어교육원을 선정하여 조직구조 조직목표, 구성요소 등 내용을 비교 분석을 하였다. 한국과 중국에 있는 여러 한국어교육기관을 다녀봤고 다시 학생 입장이 아닌 연구인원의 입장에 조사해왔다. 조직구성을 더 잘 살펴보기 위해 조직도, 각부서의 업무등 나열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한국어교육기관 조직구조, 조직목표 등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비교하기 위해, 모든 자료들을 그림이나 도표로 처리해서 서로 비교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했다.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한국대학의 외국인대상 한국어교육원은 모두 한국어를 가르치는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같은 경우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수익을 얻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은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입학가능하기 때문에 어학원에서 꼭 어느 수준까지 한국어능력을 도달해야 하는 필요는 없다. 반면에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와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에 학생이 입학하거나 졸업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한다. 즉,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입학이나 졸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한국어교육기관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지만 완전한 조직구조를 보인다.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와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의 리더인 학과장(원장)은 본교과 연결하고 소통하는 중요한 역학을 맡고 있는 동시에 학과(교육원)내부의 업무도 전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두 조직의 조직구성원들은 자기의 의사를 잘 표현할 수 있어서, 의사결정의 권력이 집중하게 되지 않는다.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은 리더인 교장은 독재적인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많은 업무 결정과 권력을 갖고 있다. 특히, 고객인 학생들이 어학원직원이나 서비스에 불만이 발생할 때 직접 리더에게 반응하는 게 더 효과적인 방법인 것 같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에 있는 한국어교육기관의 조직구조, 조직목표, 구성요인등의 공통점, 차이점을 알아볼 수 있고, 각 한국어교육기관의 성격도 파악하면서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한국어교육기관을 선택할 때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취직하려고 할 때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