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新聞의 環境關聯 報道傾向에 關한 硏究 : 조선·동아·한겨레 신문을 중심으로

        류춘록 東國大學校 言論情報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문제가 국내적으로 수질오염, 대기오염, 쓰레기 배출, 해양오염, 토양오염 등에 있다면, 전 지구적으로는 오존층의 파괴, 해양오염, 산성비, 지구 온난화, 산림훼손 및 생물종 다양성 감소 등 어느 지역이나 국가의 문제로 한정된것이 아니라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세계 경제의 불럭화현상, 국제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 따른 환경관련 무역규제 강화 등 세계기구 등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가지게 되었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한국의 언론은 환경문제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보도 태도는 어떠하였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감시자로써 언론이 환경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즉 한국 언론이 환경문제를 어떻게 보도하고 있으며, 거기서 나타난 환경문제가 국민들에게 올바르게 전달되는가? 라는 물음의 해답을 찾음으로써 과연 한국의 언론이 환경문제에 대해 올바른 정보전달자, 여론형성자, 정책과 제도의 개선에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하여 한국 언론의 환경관련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하여 언론의 올바른 보도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과 같이 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서 급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언론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신문의 환경관련 보도가 어떻게 다루어 지고 있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자는 각 신문들의 환경관련보도에서 어떤 주제가 부각되고 있고, 어떤 문제가 부각되지 않는가를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언론의 기능인 환경감시 기능, 정책결정기능, 조직화 기능 중 주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각 신문은 환경관련 보도에서 어떤 주제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각 신문에 나타난 환경문제 보도에서 취재원, 기사유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각 신문에 나타난 환경문제 보도경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 한국 신문에 나타난 환경관련 보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 주제의 관심도에 있어서 각 신문간의 차이는 없었다. 두 번째, 각 신문간의 취재원의 이용도에 있어서도 하나 같이 정부 및 그 유관기관에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에 따라 기사의 유형은 스트레이트 기사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또 언론의 기능은 환경감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신문간에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환경문제에 대한 한국의 신문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신문은 환경문제를 보도함에 있어서 장기적인 보도의 계획을 수립하여 탐사보도, 사후보도 등에 치밀해야 할 것이며, 또한 취재원의 영역을 확대하여 한다고 본다. 또한 전문기자의 양성과 교육을 통하여 기자의 전문성을 높임으로해서 환경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기자의 윤리의식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그럴때만이 환경문제에 대한 공중의 여론이 올바르게 형성될 것이며, 정책결정자들의 정책결정에 올바른 합의형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사회 심리적 패닉현상이나 지역이기주의적인 악영향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어지며, 나아가 환경시대를 맞이하는 오늘날에 있어 한국 신문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The Korean environment suffers increasing stress; pollution, reckless deforestation and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to name a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erception that the Korean press has of the environment, and what source materials it uses.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question of how the Korean press perform its role as an information transmitter, public opinion molder, and policy and system improver. This study discusses the issues of how the press perceives environmental problems, reporting procedures and public broadcasting of the same.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in the reporting accuracy of environment-related articles in the Korean press. The role of the press is especially significant at this point in time when problems of the environment are evolving into serious social issues. A systematic analysis was made of how environment-. related reports by the press have been treated.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what subjects have been emphasized in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of newspapers, and what subjects have been underestimated. It also inquires into how the press performs: inclu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policy making systematization, and so forth. The questions this study po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Question 1 : What Environment'-related subjects are individual newspapers interested in reporting, and to what extent? Question 2 : What sources do newspapers draw information from in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and in what style of articles. Question 3 : What differences are shown between newspapers' environment-related reporting tendencies? After researching environment - related press reports in Korean newspapers, the following has been concluded :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est in the subject matters was represented among different newspapers. Second, the newspapers' rate of utilization of news gathering sources were found to depend largely upon government offices and their pertinent institutions. Straight-type repor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mong different types of reports. Journalism was revealed to perform a function as an environmental monito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various newspapers. However. newspapers in Korea reflected a negative response in general on the matters of environment. Consequently, it is recommended that newspapers in Korea should pay careful attention to probed reports, ex post facto reports, and so forth by formulating a long -term reporting plan, particularly on environmental issues. Furthermore, newspapers should be required to seize opportunities to enhance journalists'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thics via training and educating specialist reporters. When these needs have been met, correct public opinion will be mold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decisions will be more in concordance with internat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Also if the press is more accurate in their environment -related reporting; sociopsychological panic phenomena and localized egocentric infection will be relieved. Furthermore it can expected that in this environmentally conscious age, the newspaper industry will improve its role as an information gatherer and dissemin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