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의 사례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토

        도인환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탄소 녹색마을을 농촌지역에 설치한다는 전제에서 환경성, 경제성, 에너지자립도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대상지역은 Y군의 협조를 얻어 A, B, C마을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마을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의 종류 및 량은 돈분 25.5 ton/day, 젖소분 2.6 ton/day, 과수전정지 2 ton/day로 하여 하루 30.1 ton규모로 시설용량을 설정하였다. 시설은 습식계(돈분, 젖소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가스화 시설과 건식계(과수전정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시설, 열병합발전기, 퇴비화시설 등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시스템을 운전하였을 때, 전기생산량은 540,540 kWh/yr, 열에너지 생산량은 1,762 Gcal/yr 으로 분석되었다. 대상마을 가구(129가구)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너지는 309,600 kWh/yr로 시설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대상지역의 전기에너지 자립율은 100%가 되며, 잉여전력은 230,940 kWh/yr이다. 또한 열에너지는 대상마을의 비닐하우스에서 소요되는 양을 산정하였으며, 기존 사용량 1,415 Gcal/yr으로 열에너지 자립율 역시 100%가 되며, 잉여량은 347 Gcal/yr가 된다. 경제성은 시설설치비용 504,000만원, 운영비 56,898만원, 수익 33,712만원으로 연간 약 2억3천만원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5년동안 약 35억원의 적자로 분석되지만, 환경성 분석에서 원유대체효과 약 178백만원, 온실가스감축효과 약 92백만원으로 연간 총 2억7천만원의 환경적 편익이 발생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를 적용시키면, 연간 약 4천만원 정도 이익이 발생되는 것으로 산출된다. 지원금 없이는 경제성이 어려운 것으로 검토된 Y군의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사업이 정부 및 지자체의 예산지원을 통하여 진행하더라도 국익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고, 경제성, 환경성, 에너지자립도를 종합하여 볼 때, 타당성 있는 사업이라고 판단되었다. 향 후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의 원활한 조성을 위하여 녹색마을에 대한 충분한 사전설명으로 마을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의식 고취 및 시설에 대한 인식개선문제 등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바이오매스관련 제도적, 정책적 재정비를 통하여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가 구축된다면 경제성 면에서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feasibility of low carbon green village formed in rural area by analyzing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B and C village with the cooperation of Y district. The biomass of the villages was set as 25.5 ton/day of pig feces, 2.6 ton/day of cow feces and 2 ton/day of cut fruit tree branches which make up the total of 30.1 ton per day. The facility consisted of a bio gasfication facility using wet (pig and cow feces) biomass and combined heat power generator, composting facility and wood boiler using dry (cut fruit tree branches) biomass. When operating the system, 540,540 kWh/yr of electricity and 1,762 Gcal/yr of heat energy was produced. The households (129 houses) were using 309,600 kWh/yr of electricity and if the electricity provided by the facility is added, the region's electricity energy self-reliance rate will be 100%, and its redundant electricity will be 230,940 kWh/yr. Also, the amount of heat energy consumed by the greenhouses of the villages was calculated; its existing amount was 1,415 Gcal/yr, the heat energy self-reliance will be 100% and the redundant electricity will be 347 Gcal/yr. The economic feasibility was found as a loss of 230 million won where the facility installation cost is 5.04 billion won, operation cost is 568.98 million won and profit is 337.12 million won. There will be a loss of about 3.5 billion won in 15 years but in the environment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crude replacement effect is about 178 million won,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is about 92 million won making up the total environmental benefit of 270 million won. This means, there will be a yearly profit of about 40 million won. Y district's low carbon green village project is difficult to be carried out without the support fund but if it manages to get help from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it will be in the national interest. Also, in terms of its environmental and economic feasibility and energy self-reliance, it seemed to be a feasible project in overall. In the future, for seamless formation of rural low carbon green village, the residents' awareness and perception of the facility will be another problem that needs to be looked at. Moreover, if advanced country level infrastructure can be built through institutional and political reorganization, it will be a very competitive project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를 활용하는 그린 데이터센터의 실현에 관한 연구

        도인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린 데이터센터 기법 제안과 차세대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SCM) 기술 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동시에 고려한다. 최근 막대한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데이터센터에 대한 에너지 절감이 화두로 등장한다. 한편 최근 SCM 기술 발전에 힘입어 SCM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에 비상한 관심들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CM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즉각적인 구동 및 종료라는 새로운 특성을 기존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 새로운 컴퓨팅 개념을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활용함으로써 적절한 서비스 응답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유휴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한다. 본 연구는 메인 메모리의 비휘발성 속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최초의 경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즉각적인 종료 및 구동 가능한 시스템과 이를 활용하는 그린 데이터센터를 실제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구현함으로써 그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다. 실험 결과는 SCM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구동 시간이 대략 1.2초 내외로 단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워크로드에 대하여 수행된 데이터센터 실험을 통해서, 먼저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에너지 절감 방안을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는 조절 가능한 수준의 서비스 만족도를 제공하면서도 사용자 요청에 비례하는 만큼의 에너지만을 소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접근 방식이현실적인환경에서동작할수있을만큼충분히높은적응력을가지고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의 그린 데이터센터를 실제 서버급 시스템 환경으로 확장하기 위한 고려 사항들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현실화가능성을 제시한다. Studies have shown much of today’s data centers are over-provisioned and underutilized. Over-provisioning cannot be avoided as these centers must anticipate peak load with bursty behavior. Under-utilization, to date, has also been unavoidable as systems always had to be ready for that sudden burst of requests that loom just around the corner. Previous research has pointed to turning off systems as one solution, albeit, an infeasible one due to its irre-sponsivenes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feasibility of using new Storage Class Memory (SCM, which encompasses specific developments such as PCM, MRAM, or FeRAM) tech- nology to turn systems on and off with minimum overhead. This feature is used to control systems on the whole (in comparison to previous fine-grained component-wise control) in finer time scale for high responsiveness with minimized power lost to idleness. Our empiri-cal study is done by executing various workloads on a prototype ”data center” of embedded systems deploying FeRAM. We quantify the energy savings and performance trade-off by turning idle systems off. We show that our energy savings approach consumes energy in proportion to user requests with configurable service of quality. Based on observations made on this data center, we discuss the requirements for real deployment. Finally, our conclusion is that SCM should not be viewed as just a replacement of RAM, but rather, as a component that could potentially open a whole new field of applications.

      • 경량의 클러스터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한 확장이 용이한 웹 클러스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도인환 (都仁煥)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391

        웹의 꾸준한 성장과 더불어 복잡하고 처리량이 많은 웹 서비스들의 등장은 웹 서버의 성능 향상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속적인 웹 서버의 성능 향상을 위한 해결책으로써 웹 클러스터 시스템이 선호되고 있다. 웹 클러스터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일환으로써 경량의 클러스터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yer-7 기반의 웹 클러스터 시스템을 설계하고 리눅스 상에서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클러스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IP 레벨에 구현함으로써 클러스터 제어를 위한 통신을 처리하는 데 소비되는 자원을 경량화 하고자 하며, 이것이 TCP 영역 기반의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기존의 웹 클러스터 시스템 관련 연구와 크게 차별되는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웹 클러스터 시스템은 이상적인 시스템에 가까운 선형적인 확장성을 나타냄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The need for web services is constantly increasing, while the requirements for web services are getting more and more complicated. Thus, web server systems with ever increasing performance are constantly in need. To efficiently satiate this need, web cluster systems, which has been a topic of much research, has been suggested due to its scalability. In this thesis, we propose to improve scalability by using a light-weight cluster control network protocol. We design and implement a scalable web cluster system using this light-weight cluster control protocol in the IP layer within the Linux operat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implementation of the web cluster system linearly improves performance as the server nodes incr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