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롱의 클라우제비츠적 전쟁사상과 미래전쟁

        도응조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tudy on Raymond Aron has scarcely been conducted today. But the changing situation of strategic scene, and emergence of nuclear threat in Korean Peninsular make it necessary to study and comprehend on Raymond Aron's thought in the perspective of new approach. Today Clausewitz's On War has still critique on its complexity. In particular, the relations between the short war and the long war, and political purposes, the center of gravity, dispersion and mass, as well as a difficulty on nuclear war matters. While Clausewitz focused on war among nations, Aron opened his eyes wider on international politics and socio-historical perspectives under the relation of force. He thought that conflicts could not end through only one blow among political units. And he saw that interrelations in heterogeneous world lie under power, glory and idea, which make international society complex. Recently, with the United States on the center, the human society largely expects a decisive possibility of the technological system like RMA in waging war. In Aron's view, War is not a science, rather a complex social conflict. Thus, it is out of the way of Aron's historical pattern that the technology will make a decision in war. We need to understand the war as more a simple social phenomena. Also,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political inten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the society. Prudence of morality that leads the war will make it possible to avoid the holocaust in human societies. Then, how should we make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war on the basis of Aron's philosophy? First of all, the highest goal of strategy should be the survival itself. Survival is vital to keep the pace with the historical pattern of expending the liberal thought that leads the world. And retaining the defensive alliance will give us a better chance to wage a more reasonable war. What should we worry for the future? That may be the dominance by a fanatical and primitive passion in human society. The grave danger is eradicating all the human social root by that. Thus, the human reason must stand against the fanatical and primitive passion of people. Among others, the one side should guarantee the political freedom of the other side. This will be the prudent war direction inferred by Aron's philosophy that will bring the victory with a prolonged war strategy and survival by those who are having a liberal democracy thought. 프랑스가 낳은 세계적인 역사사회학자 레이몽 아롱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가장 잘 해석한 인물로 평가되어 있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클라우제비츠와 같이 전쟁 본질에 주안을 두고 관념론적으로 해석한 수준이 아니라 역사학, 사회학, 경제학, 철학 등을 포괄하여 전쟁을 보다 현실적이고, 세계 전략적 시각으로 확대하여 연구한 종합사상가였다. 특히, 그가 제시한 “평화의 전략”은 적중하여 소련을 무너뜨린 전략으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레이몽 아롱은 외국과는 다르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연구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최근 세계의 전략적 상황의 변화와 정치 현실을 볼 때, 종합적 지식을 토대로 전쟁을 연구했던 아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롱의 사상을 기초로 할 때, 클라우제비츠의 전쟁 철학은 몇 가지 쟁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의 모호함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은 여전하다. 특히, 단기전과 장기전 그리고 정치적 목적과의 관계, 중심(重心), 분산과 집중, 그리고 핵전쟁과 관련된 모호함이 그것이다. 이러한 면은 아롱 사상의 핵심인 역사의 개연성, 절제, 그리고 분별지와 대립된다. 클라우제비츠가 국가 대 국가의 전쟁 그 자체에 집중했다면, 아롱은 이것을 국제정치적 시각과 그의 역사사회적 시각으로 확대하여 바라보았다. 그는 헤테로지니어스 국제사회 속에서 대립은 단일 국가 간의 분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 속에서 권력, 영광, 그리고 사상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전쟁은 국가가 분별지를 지닌 도덕성 없이 열정에 호소하고 단기결전에 지나치게 집착하고 이것을 추구하게 되면, 무제한 폭력을 가져올 개연성이 높다고 보았다. 따라서 아롱은 분별지 있는 정치적 목적 하에 장기적인 시간을 가지고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오늘날 미국을 중심으로 군사혁명과 같은 과학기술에 의존하는 전쟁방식에 대한 커다란 기대가 있다. 아롱적 시각으로 볼 때, 전쟁은 과학이 아닌 복잡한 사회적 갈등이고, 제 사회적 요소들이 작용하는 정치적 현상이었다. 그러므로 과학기술로 전쟁을 좌우한다는 것은 아롱의 역사적 패턴에서 벗어난 것이다. 보다 사회적 현상으로서 전쟁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정치적 의도를 제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도덕적 분별지(分別智)가 전쟁을 주도해야만 인간 역사에 치명적인 참화를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아롱적 시각에서 볼 때, 어떻게 미래전쟁 수행의 방향을 이끌어야 할 것인가를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의 결론은 전략의 최우선 목적은 생존이 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자유사상이 확대되고 인간의 사상을 주도하는 역사적 패턴을 이끌기 위해서는 우선 생존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방어적 동맹을 유지하게 된다면, 보다 이성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주장한다. 미래에 가장 우려되는 것은 포용하지 않고, 원초적인 열정과 군사적 폭력성만이 전쟁을 지배해서는 안된다고 본다. 정치와 전쟁은 이성이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일 정치적 이성이 지배하지 않게 되면, 인간 역사사회를 뿌리째 뽑아 버리는 참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신적이고 원초적인 열정과 이성의 대립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무엇보다도 상대의 정치적 자유를 일단 보장해야 하는 것을 이끌어 낸다. 이것이 자유주의적 사상을 가진 세력이 생존하면서 장기적으로 승리하는 미래전쟁 수행을 위한 분별지적 전쟁 방향이며 가장 “정치적인 것”이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