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BTI를 활용한 교육경험이 기혼여성의 자기분화 향상에 미치는 영향

        노은미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MBTI Program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pattern theory in Bowen's differentiation of self theory influenced the married wom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people such as spouse and children and their understanding level. An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nd evaluate the appropriate MBTI Program regarding the differentiation of self suitable for the married women. Program of this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s from Oct. 01 to 22 in the year of 2002 and each phase lasted 120 minutes. Sample group consists of 8 members of sisterhood in A Chapel.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evaluation for the program was also performed. Major results acqui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tudy verifying the effect of educational experience used MBTI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married women's differentiation of self does no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 as the results in the t-test on the levels of differentiation of self for the sample group after and before the performance of program(p<.05). But, as shown in the table <Ⅴ-1>, it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for the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ven if it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on for the program, the people participated the program are shown to be satisfied with over all program, and for example, the contents of program was evaluated as 3.8 in the average, the way of education was evaluated as 4.1 in the average and the effect was evaluated as 3.5 in the average respectively. Therefore, we see the educational experience used MBTI positively influences the married women in short terms. The study on the effect of MBTI Program to the level of individual's differentiation of self are unexampled, so this program is developed. And also, the MBTI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attempt to see how it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participant's differentiation of self.

      • 페르골레지의 <스타바트 마테르>와 J.S. 바흐의 <높으신 분이여, 나의 죄를 사하소서, BWV 1083>비교연구

        노은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탈리아 희극 오페라의 선구자로 알려진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지는 세상을 떠난 직후에 더 유명해진 작곡가다. 그는 21세부터 본격적으로 오페라 작품을 썼는데 특히 <마님이 된 하녀>는 사후에 인기를 누렸다. 그렇다고 오페라만 작곡한 것이 아니라 오라토리오와 칸타타, 종교작품들을 다양하게 썼다. 1734년 이미 건강이 좋지 않던 그는 나폴리의 귀족 종교단체의 의뢰를 받고 곡을 쓰기 시작하여 <스타바트 마테르>를 마지막으로 수도원에서 폐결핵으로 26세의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스타바트 마테르>는 13세기에 만들어진 종교시에 곡을 붙인 것으로 16세기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금지되었다가 1727년 다시 카톨릭 교회의 예배에 사용이 허락된 부속가인데, 페르골레지의 작품은 종교음악의 모범으로 여겨졌다. 바흐는 이 곡을 1746~1747년에 시편 51편(Psalm 51) <높으신 분이여, 나의 죄를 사하소서>로 편곡하였는데, 노년의 바흐가 왜 <스타바트 마테르>를 편곡할 생각을 가졌는지 분명하지 않다. 그리고 왜 <스타바트 마테르>의 텍스트를 시편 51편의 내용으로 바꾸었는지, 바흐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편곡하였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의문들을 해결하고자 음악사가 찰스 버니의 자료를 통해 페르골레지의 당대의 명성에 대해 알아보고 <스타바트 마테르>와 <높으신 분이여, 나의 죄를 사하소서>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그들의 음악이 서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왜 바흐가 이 곡을 편곡했는지에 대한 가설을 세워본다. Giovanni Battista Pergolesi who becomes known as the vanguard of the Italy comedy opera becomes is composer more famously after passing away. He writes the operatic work in earnest since 21 years old but the <La serva padrona> of his work enjoyed a popularity specially after death him. However he writes variety not only the opera music but also Oratorio, Cantata and the work of religion. He who already had been not good health in 1734, was hired by the religious nobility of Napoli began to write songs then <Stabat Mater> Tuberculosis in the last monastery was closed to the 26 year old short lived. <Stabat Mater> is the music that the poem was set to music in the 13th century. It was prohibited in Trient assembly in the 16th century and was permitted to use for the Catholic adoration again in 1727. Giovanni Battista Pergolesi's music was considered as the model of sacred music. Johann Sebastian Bach arranged this music to Psalm 51 ,<Tilge, Höchste, meine Sünden, BWV 1083>, in 1746 ~ 1747 year, but it is not clear why old Bach had an idea to arrange the <Stabat Mater>. And, it make us curious why he changed the text of <Stabat Mater> to text of Psalm 51 and How Johann Sebastian Bach particularly arranged it. In this thesis, for resolving these questions, after finding fame of at the time for Pergolesi from music historian Charles Burney’s data, after finding their music has what kinds of points of sameness and difference by comparing <Stabat Mater> with <Tilge, Höchste, meine Sünden, BWV 1083>, make an hypothesis for why Johann Sebastian Bach arranged this music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 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노은미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interpers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3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test, F-test with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1.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 matrix in AMOS 18.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Also 'Bootstrapping Methods' were used to confirm the statistical of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ccording to the age and marital status.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 the age of 30 showed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than those over 30. The married teachers reported a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than those who were unmarried. Also, job satisfaction level varied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vealed a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al level, types of institution, and marital status. The married teachers who worked at a public kindergarten and whose educational level was the graduation from graduate school showed a high level of general life satisfaction. The kindergarten teachers over the age of 40 showed a high level of subjective happiness.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was over the age of 40, married, and worked at a public kindergarten revealed a high level of the meaning of life. The positive emotion was high for those over 30 years old. The negative emotion was high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under 30 years old and worked at a private kindergarten. Third, the personality of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of a kindergarten teacher directly affected the interpersonal stress. Unlike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the remaining personality of conscientiousness, openness and extraversion did not have any 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stress. Fourth, the personality of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directly affected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Unlike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other personality of extraversion, openness and agreeableness did not directly affect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ifth, the personality of conscientiousness had a direct effect on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personality of neuroticism had a direct effect on all dimensions of happiness such as genera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the meaning of life,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personality of extraversion directly affected subjective happiness and positive emotion. The personality of openness direct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emotion. The personality of agreeableness had a direct effect on genera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emotion. Sixth, kindergarten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However, all dimensions of happiness were not directly affe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Seventh,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genera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emotion. Also,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general life satisfaction and the meaning of life whereas it did not directly affect negative emotion. Eighth, kindergarten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in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with the personality as the mediation. It also indirectly affected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emotion with job satisfaction as the mediation.

      •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노은미 대구한의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2009년 4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3개월간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연구 분석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특성별 구강보건지식은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월평균 용돈이 많을수록 구강보건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보건태도는 학력, 결혼상태, 현 동거형태, 월평균용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구강보건행동은 연령, 직업유무, 직업유형, 학력, 현 동거형태, 월평균용돈에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있는 경우에, 학력이 높을수록, 배우자 있는 경우, 월 평균용돈이 많은 경우에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는 성별, 연령, 직업유무, 직업유형, 학력, 결혼상태, 동거형태, 월평균 용돈에서 비교적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2. 구강보건행태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자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구강보건태도가 좋을수록, 구강보건행동을 잘 실천할수록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나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3.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느끼고 음식저작장애, 치통, 치주문제, 턱관절장애, 구강건조증, 구취등의 증상이 ‘가끔’ ‘자주’있는 것보다 없는 경우가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와의 상관관계 변수들 간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사회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구강보건행동, 구강보건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은 구강보건지식, 성별, 음주유무, 학력 순이었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사회적 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구강보건태도, 성별, 연령, 학력, 구강보건행동, 직업유무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구강보건지식이 높고, 구강보건태도가 좋을수록, 구강보건행동을 잘 실천할수록 사회적 효능감과 대인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도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열악한 구강상태로 인하여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에 제한을 주게 되어 사회적 소외감과 고립감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을 합리적으로 관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과 노인 대상의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강보건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웹드라마의 서사전략 연구

        노은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웹드라마는 2010년에 처음 제작된 이래로 2016년도까지 최소 250편 이상이 제작·유포 되었다. 웹드라마 제작초기인 2013년도에 9편에 이르던 것이 2016년에는 약 150편 가까이 제작됨에 따라 갈수록 웹드라마 제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제 웹드라마는 머지않아 주류 드라마를 위협하고 경쟁할 수 있는 새로운 드라마 형식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최근에 드라마의 새로운 형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웹드라마에 주목하였다. 이 글은 웹드라마의 초기적 형태와 2016년도까지 국내 웹드라마의 형성과정을 정리하였으며, 본격적인 작품분석을 통하여 웹드라마의 특징과 서사전략을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서 웹드라마는 2010년도에 처음 등장하였으나 이미 인터넷이 발달하기 시작했을 무렵부터 인터넷 환경을 이용한 새로운 이야기적 욕구가 분출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999년엔 인터넷 전용 드라마, 2002년엔 모바일 전용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여 웹과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이야기를 만들기 위한 시도들이 꾸준히 있어왔다. 그리고 LTE서비스와 스마트폰의 발달, 웹드라마 전용 플랫폼의 등장 이후 오늘날과 같은 형태의 웹드라마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었다. 이후 웹드라마는 기존의 주류 드라마에서 보지 못했던 형식과 주제를 토대로 새로운 서사전략을 확보해나가며 발전해갔다. 웹드라마는 10분 내외의 짧은 방송이라는 형식을 토대로 소규모 단일사건을 활용하고, 캐릭터를 압축적으로 소개하며, 내레이션과 보이스오버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서사전략을 이용하였다. 또한 개성적 주체들이 어우러져 다양한 장르의 이야기가 섞이는 혼종성 역시 웹드라마만의 새로운 형식이다. 뿐만 아니라 웹드라마는 주류 드라마에서 유통되지 못했던 소수성을 띤 주제, 젊은 세대의 관심사나 고민을 토대로 한 주제, 광보나 홍보의 실용적 목적과 드라마가 결합된 융합적 주제를 선보이기도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험적 이야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탈가족적 인물구성, 간접광고에 적합한 서사, 당대의 관심사나 유행을 빠르게 반영할 수 있는 기동력이 웹드라마의 주요 서사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웹드라마는 얼핏 최근의 기술발달을 토대로 하여 갑작스레 등장한 새로운 드라마 형식처럼 보인다. 그러나 오래전부터 웹과 모바일을 통해 드라마를 시청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합쳐져 오늘날 웹드라마를 탄생시켰으며, 웹드라마는 텔레비전드라마와 구별되는 자신들만의 특징과 서사전략을 확보해나가는 과정에서 발달하고 대중화되었다. 본 연구는 웹드라마의 발달과정과 본격적인 작품분석을 통하여 텔레비전드라마와 구별되는 웹드라마만의 서사전략을 밝히고자 하였다.

      •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노은미 한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과 몇 년 사이에 정보통신의 발전과 파급효과는 우리의 하루 생활 전반을 지배하였으며 정보의 양은 바쁜 현대인을 더욱 바쁘게 만든 장본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정보통신의 발전이 곧 질적인 발전을 동반하지는 않은 것 같다. 건전한 도덕성 함양과 바람직한 사회 생활을 저해하는 불건전 정보에 대한 증가는 이전 사회에서는 생각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들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그 해악의 파급효과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와 친구가 된 초등학교 아동들에게도 이에 대한 역기능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제 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의식과 교사들의 정보통신교육에 대한 생각을 조사해 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현 7차 교육과정에서 주당 1시간씩 실시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에는 정보통신 윤리교육 부분은 전무하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3학년부터 인터넷윤리교육을 시작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나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윤리교육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지금의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 200시간 중에서 정보윤리교육부분은 4%인 8시간이 배정되어 있으나 이 8시간도 40분 중 10분 정도를 배려하고 있어 현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부분은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컴퓨터가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있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조금도 배려하는 교육과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교육과정이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변화를 반영치 못하고 매번 뒤쳐지고 있다. 2. 본 연구에서 조사된 초등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의식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채팅을 하고 있으며 욕설과 채팅용어나 이모티콘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채팅 문화 정립을 위한 윤리교육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초등학생의 대부분이 이메일을 사용하나 이메일에 대한 윤리의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자의 지적재산권은 중요하고 복사해서 사용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알고는 있으나 자신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친구의 것을 빌리거나 불법구입 및 복제를 한다고 답한 아동이 대부분인 것을 볼 때 실천윤리의식은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게시판 이용은 학교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아동이 대부분이며 게시판 이용 예절에 대한 윤리의식은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나 개인 ID에 관해서는 관리의식이 미흡하여 친구들과 서로 빌려주고 빌려 쓰는 아동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초등학생들의 통신예절은 컴퓨터 보급률과 사용시간에 비하여 높은 편이라 할 수 있으나 사이버 상의 정서적 문화 형성을 위하여 초등학교에서 통신윤리예절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불건전 정보유통과 해킹행동, 바이러스유포에서는 높은 윤리의식을 보이고 있으나 인터넷 게임은 초등학교의 전체 어린이가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그 중의 50%의 어린이가 초기 중독증상을 나타내고 있어 인터넷 게임에 대한 윤리교육은 필요하며 하이퍼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어린이들은 앞으로 인터넷과 더욱 가까워지는 세대이므로 통신 중독 및 게임에 대한 윤리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은 사이버 폭력에도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 초등학교 교사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과정에 대한 생각은 다음과 같다. 현직에 계신 선생님들은 컴퓨터의 사용으로 현재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심각하게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시급한 시점이라고 생각하고 계시며 지금의 정보통신기술교육으로는 윤리교육이 부족하므로 정보윤리부분을 교육과정에 추가시켜 저학년부터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선생님들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그 생각에는 20대, 30대, 40대의 선생님들 모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설문 결과 분석을 볼 때 초등학교에서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은 이제 필수 과정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컴퓨터는 매일매일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있다. 정보의 바다 속을 헤매게 될 우리 아동들에게 올바른 정보통신 윤리의식을 정립 해 주는 일은 학교교육에서 해야 할 최우선의 과제이다. 교사 또한 아동의 바람직한 인간형성이 되도록 이끌어야 하는 것이 사명이다. 매일을 험하고 무한히 넓은 정보의 바다 속을 헤매고 다니는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 구명장치를 마련해 주어 아동들을 바람직한 민주사회의 시민으로 기르는데 학교교육이 앞장서야 한다.

      • 액팅 게임(Acting games)을 통한 배우의 상상력 개발에 관한 연구

        노은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how acting games help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in acting training for actors and present the specific games. This study has, however, limitations in the application to actual training as it is an approach utilizing various academic theses and literature. Imagination is a mental phenomenon arising from personal interest in certain subjects. Generally, it is believed that imaginations occur from individual actions of human brains independent of external stimuli. But E. Husserl says that all of human consciousness is exterior oriented and related to certain subjects. Not only that, Gaston Bachelard relates that imagination is a phenomenon of thinking that appears by the interest of each individual in external stimuli, i.e., concrete physical existences called subjects. That is, imagination is one of valuable human potentials that can become a motive to make new things. The value of imagination is in the creation of images that are the products of human mental activities. Images are the sensual reproductions of certain subjects and such encapsulating works help actors make the reality out of fictitious beings and concrete forms. There are games as the means to help the creation of images. Excitement, the essential property of games makes participants absorbed in the processes and concentration is developed through it. Also, concentration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by enhancing of association effects of image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gin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Acting games are a type of games based on the imagination of actors which is one of the method for actor training. The concrete effects of acting games on actor training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removal of metal barriers and the removal of physical barriers. The removal of mental barriers allows actors to focus on their roles and the removal of physical barriers allow the internal stimuli of actors to be followed by the acquisition of the motive of actions or physical expressions. This researcher divided the methods of training in acting games into the method using mental stimuli , the method using physical stimuli and the method using spot performances to research for the two effects. Mental stimuli and physical stimuli are the processes of the training of imagination and spot performances are the extension of the training that show what effects are exerted if the foregoing types of training are reflected on dramas. The effects to be obtained through the 3 types of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mental stimuli remove tensions, the mental stimuli for the training for the strengthening of concentration enhance the ability to recreate roles and the mental stimuli for the remembrance of emotion enhances the ability to encapsulate the casts. Eventually actors become to learn the processes of image associations and creations. Second, Physical stimuli remove tensions through the relaxation of muscles and the physical stimuli for the training of bodily senses give the perceptions of interactions of 5 senses and the physical impulses that initiate physical movements. Therefore, physical stimuli bring about the stabilization of bodies and bodily stabilization helps the enhancement of imagination and bodily expressions. Third, spot performances bring about the identification of the result of the training on mental·physical stimuli and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by developing immediate and reflexive emotional responses to subjects. Also,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wned by spot performances, actors become to develop instantaneous reactionary abilities, abilities to think logically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scenarios. Consequently, spot performa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imagination of actors by making them to use entire minds and bodies. It is a basic and essential requirement for actors to become free through the overcome of the mental or physical barriers and enhance imagination through the free activities to associate images. This thesis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wned by the games and performances and researched the usefulness of games in the development of imagination in an actor training. 본 연구는 액팅 게임(Acting Games)이 배우 연기 훈련에 필수적인 요소인 상상력 개발에 어떠한 도움을 주는지 규명하고 그 구체적인 게임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여러 학술 논문과 서적을 이용한 이론적 접근이므로 실제 훈련 적용에 있어 한계성을 갖는다. 상상력은 어떤 대상에 대한 개인적인 관심에 의해 나타나는 정신 현상이다. 대체로 상상력이라고 하면 외부 자극과 상관없이 인간 두뇌의 독자적 작용에 의해서 생겨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후셀(E. Husserl)은 인간의 모든 의식이 외부 지향적이고, 어떤 대상과 관계가 있다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에 의하면 상상력은 외적 자극, 즉 대상이라고 하는 구체적인 물질적 현존에 대한 개개인의 관심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상상 현상이라고 한다. 즉 상상력은 인간의 귀한 잠재능력 중 하나로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상력의 가치는 인간 정신활동의 결과물인 이미지 창출에 있다. 이미지란 어떤 대상을 감각적으로 재현해낸 것으로, 이러한 형상화 작용은 배우가 역할을 창조하는데 허구의 존재에 대한 생생함과 구체적 형태를 만들게 도와준다. 이미지 창출에 도움이 되는 수단으로 게임이 있다. 게임의 근본 성질인 재미는 참여자를 그 과정에 몰입하게 하고, 이를 통해 집중력이 발달된다. 또한 집중력은 이미지의 연상효과를 높여줌으로써 상상력의 발달을 가져온다. 즉 게임이 상상력 발달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액팅 게임은 배우의 상상력을 전제로 한 게임 양식으로서 배우 훈련법 중 하나이다. 배우 훈련에 있어 액팅 게임의 구체적인 효과는 크게 정신적 장애와 신체적 장애의 제거로 볼 수 있다. 정신적 장애 제거는 배우가 역할에 집중하도록 해주며, 신체적 장애 제거는 배우의 내부 자극을 행동의 동기 획득이나 신체적 표현으로 이을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자는 두 가지 효과를 위해 액팅 게임의 훈련 방법을 정신적 자극, 신체적 자극 그리고 즉흥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정신적 자극과 신체적 자극은 상상력의 훈련과정이며 즉흥연기는 훈련의 확장으로서 앞의 훈련들이 극에 투영되면 어떤 효과를 주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세 가지 훈련을 통해 얻게 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적 자극은 긴장을 제거해주고, 집중력 강화 훈련을 위한 정신적 자극은 역할 재창조 능력을 향상시키며, 감정기억을 위한 정신적 자극은 배역의 형상화 능력을 높여준다. 결국 배우는 집중력과 감정의 기억 훈련들을 통해 이미지 연상과 창출의 과정을 배우게 된다. 둘째, 신체적 자극은 근육 이완을 통해 긴장을 제거해주며, 신체 감각 훈련을 위한 신체적 자극은 오감의 상호활동과 신체 움직임이 시작되는 신체적 충동을 인지시켜준다. 따라서 신체 자극은 신체의 안정을 가져오며, 신체 안정은 상상력과 신체 표현력의 향상을 돕는다. 셋째, 즉흥연기는 대상에 대한 즉각적이고 반사적인 감정반응을 키워줌으로써, 정신적 · 신체적 자극에 대한 훈련 효과의 확인과 상상력의 발전을 가져온다. 또한 즉흥연기가 갖는 특성을 통해서 배우는 순발력, 논리적 사고능력, 대본 해석력을 키우게 된다. 결과적으로 즉흥연기는 배우로 하여금 정신과 신체를 전체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배우의 창조적 상상력발달에 중요한 몫을 한다. 배우가 정신이나 신체의 장애를 극복하여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자유로운 이미지의 연상 작용을 통해 상상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기본적이며 필수적인 요건이다. 본 논문은 게임이 가지는 특성과 연기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 배우 훈련에 있어 액팅 게임이 상상력 개발에 미치는 유용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 4-6세 지적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별 수용어휘능력 비교 연구 : 그림어휘력검사를 적용하여

        노은미 원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품사별 수용어휘능력을 알아보고 두 그룹 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지적장애 아동그룹과 정상 아동그룹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별 수용어휘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4, 5, 6세 각 연령별 지적장애 아동그룹과 정상 아동그룹의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별 수용어휘능력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만 4세-6세 지적장애 아동 9명과 정상 아동 9명을 선정하여서 품사(명사, 동사, 형용사)별 수용어휘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품사별 수용어휘능력검사의 정답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지적장애 아동의 품사별 수용어휘능력을 정상 아동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지적장애 아동그룹의 품사별 수용어휘능력은 명사, 동사, 형용사 모두 정상 아동그룹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그룹은 명사의 수용어휘능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사, 형용사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상 아동그룹은 명사와 동사의 수용어휘능력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명사와 동사보다 형용사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4, 5, 6세 각 연령별로 비교한 품사별 수용어휘능력에서 모든 연령의 지적장애 아동그룹은 정상 아동보다 품사별 수용어휘능력이 낮게 나타났으며, 명사, 동사, 형용사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4세와 5세 정상 아동그룹은 명사와 동사가 비슷한 수준으로 수용어휘능력을 보였으며, 6세 아동은 오히려 동사가 명사보다 약간 높았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정상 아동그룹은 동사의 수용어휘능력이 증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지적장애 아동그룹의 형용사 수용어휘능력은 정상 아동그룹에 비해 월등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체적인 참조물이 있는 명사보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와 추상적인 형용사의 수용어휘능력이 훨씬 더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모든 연령에서 형용사 수용어휘능력은 정상 아동과 비교했을 때 지적장애 아동그룹이 두 배에서 네 배정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아동들이 명사보다 동사와 형용사의 수용어휘능력에서 낮은 특성을 보인 것은 그들의 낮은 지적 능력으로 인하여 언어적 자극이나 사회적 경험, 상호작용 등이 정상 아동보다 절대 부족해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치료 중재 시에 동사와 형용사의 어휘를 확장해서 제시하여 아동에게 많은 어휘적 경험을 제공하면 더욱더 효과적일 것임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which were categorized by parts of speech including nouns, verbs, and adjectives and to compa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normal controls. For this, differences of receptive vocabulary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his, its abilities between the groups were also classified by age 4, 5, and 6 to observe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Each group includes 9 children aged 4 through 6 yea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verage intelligence respectively. These children in two groups performed the test to get evaluated for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which were tested by using nouns, verbs, and adjectives.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vocabulary comprehension test were calculated and statistics were complied and proved by t-test to compare its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The meaningful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disabled group showed lower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than normal controls in three parts of speech; nouns, verbs, and adjectives. Noun vocabulary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considere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verbs and adjectives respectively among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However, there is no major difference in noun and verb vocabulary comprehension skills among normal controls although that of adjectives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parts of speech. Secondly, the groups divided by age 4 through 6 years showed that every age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s lower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in all three parts of speech than normal one (noun, verb, and adjective are in order.) On the other hand, 4 and 5 years old children with average intelligence has no reliable difference in noun and verb vocabulary comprehension skills but verb vocabulary showed slightly higher than nouns in children at age 6. In other words, the study revealed the older children with average intelligence are the more its abilities expand. In particular, adjective vocabulary comprehension abilities in the disabl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rmal one. Thus, verbs describing actions and adjectives containing abstraction were less receptive than nouns indicating specific properties. Adjective vocabulary comprehension skills in all age group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d two times through four times lower than normal controls when comparing these two groups. The reasons why intellectually challenged children have lower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in verbs and adjectives than in nouns may be that their low intellectual abilities cause them to have a remarkable lack of linguistic stimulation, social experiences, and social interaction when comparing it with children with average intelligence.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will be very helpful if speech pathologist provides a lot of verbs and adjectiv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ndergoing speech therapy to offer them more linguistic experiences.

      • 중년 여성의 주름과 미백관리에 대한 실태 및 인식도 연구

        노은미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중년여성의 노화현상 중 대표적 현상인 주름과 색소문제에 대하여 인식현황, 심리상태, 피부관리 통한 노화 지연을 유지시키는데 관련한 부분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인 중년여성의 70%는 본인의 일을 가지고 있는 중산층 이상의 소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본인의 미적인 아름다움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려는 욕구가 매우 높으며, 생활 습관적으로 건강을 위한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고 있었다. 육체적 건강을 위한 개인의 노력은 지속되지만 정신적인 상태에서는 스트레스를 항상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피부는 건성피부 타입의 수분감과 유분감이 낮은 노화상태가 이미 진행되고 있었으나, 본인들은 피부에 대한 정학한 식별이 다소 떨어지는 현상으로 자가 판단의 피부상태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보이는 부분도 알 수 있었다. 피부노화의 가장 큰 문제점 중 본 연구에서 다룬 주름과 색소에 대해 74%의 대상자들이 주름문제라고 답하였으나, 발생된 주름에 대한 스트레스는 자연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반면 색소문제에 관련해서는 소수가 문제점이라 선택하였으나 발생된 현상에 대한 스트레스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노화현상에 대한 전문 관리 효과 또한 주름에 비해 색소 관련 피부관리 효과가 매우 미약하게 나타나 향후 꾸준한 관리를 통해 그 효과를 증대시켜야 하며 색소 관련 전문적인 방법들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전문피부 관리의 효과면에서 대다수가 만족한다 답하였으며, 심리적 안정 효과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답변을 보여 현대 사회의 가장 큰 문제인 심리적 스트레스의 부분에서 큰 영향력을 보일 수 있을거라 본 연구를 토대로 생각해본다. 주름과 색소부분에 전문 관리시 외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내적 심리부분까지 케어할수 있는 멀티 테라피법을 통해 피부관리도 건강증진을 위한 한 분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른 뷰티 산업의 긍정적인 미래를 희망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