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위생사의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노우정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목적: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를 파악하여 연하장애의 인식과 예방 실천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전문화된 노인구강건강 관련 지식 및 교육의 필요성 인지와 교육요구도를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2022년 4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광주‧전남 소재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98부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직무수행 대상자 빈도는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치과위생사의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 간의 관련성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이용하였다.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의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하장애 지식은 연하장애 관심도가 높다(0.72), 노인 진료 빈도가 높다(0.6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하장애 예방 태도는 석사 이상(3.95), 예방 및 교육(3.76), 연하장애 관심도가 높다(4.03), 연하장애 교육경험 있다(4.41), 연하장애 교육의사 있다(3.66), 노인 진료 빈도가 높다(3.6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는 석사 이상(4.74), 연하장애 관심도가 높다(4.52), 연하장애 교육경험 있다(4.39), 연하장애 교육의사 있다(4.11), 노인 진료 빈도가 높다(4.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치과위생사의 연하장애 지식, 연하장애 예방 태도 및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하장애 예방 태도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r=0.447, p<0.01), 연하장애 지식과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r=0.327, p<0.01), 연하장애 지식과 연하장애 예방 태도(r=0.314, p<0.01)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하장애 예방 태도(β=0.243, p<0.01), 최종 학력 석사 이상(β=0.217, p<0.01), 연하장애 지식(β=0.203, p<0.01), 연하장애 교육의사 있다(β=0.193, p<0.01)이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연하장애 지식 및 예방 태도가 노인구강건강 관련 교육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연하장애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및 예방 실천을 통해 노인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구강건강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치과위생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을 파악하여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제주 해녀공동체의 특성과 지속가능한 마을어장 관리

        노우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주도는 한반도의 남쪽 바다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화산분출로 형성된 섬이다. 제주도의 연안바다는 쿠로시오 난류가 거칠지만 완만한 지형의 현무암 지대와 만나 각종 수산자원이 풍부한 천혜의 어장환경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건속에서 제주에는 거의 맨몸으로 바다에 뛰어들어 해조류와 어패류를 채집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아 살아가는 ‘해녀’라는 여성들이 존재한다. 전세계적으로 유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해녀’의 존재는 역사적으로 최소 수백년을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는데, 고무옷과 물안경 같은 신기술의 도입을 최소화하면서 초기의 장비들을 이용하여 ‘물질’이라는 이름으로 생산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물질의 독특함과 더불어 해녀공동체의 존재, 환경친화적이면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이어가고자 하는 해녀의 노력을 전세계적으로 인정받아 2016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바 있다. 본 논문은 제주 해녀들과 그들의 공동체가 제주바다 생태계의 건강함과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쳐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적으로 해녀가 근대화와 더불어 자본주의 도입이라는 외적 조건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무엇을 기반으로, 어떠한 방식을 통해 적응과 생존을 이어올 수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주목할 점은 물질을 통해 거둬들이는 해녀의 생산물이 자본주의가 도입된 근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충분한 상품성을 인정받으면서 해녀 노동의 가치가 유지되어져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가족과 같은 친족집단은 물론이고 제주사회 전반에서 해녀의 경제적 독립성을 촉진시켰고 자부심의 원천이 되기에 충분했다. 한편으로 제주의 해녀에게 ‘바다’라는 장소는 단지 수산자원을 채취하는 노동의 공간으로 머물지 않는다는 것 역시 중요한 지점이다. 해녀는 자신의 활동공간인 연안의 바다, 즉 마을어장 일대를 ‘바당밭‘이라고 부르면서 소중히 가꿔왔다. 이는 육지에서 농산물을 경작하는 보통의 밭을 대하는 것과 동일한 관점을 갖고 성실하게 가꾸어 왔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주의 해녀는 개별적 직업인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공동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지켜왔다는 점이 특히 중요하다. 강한 결속력을 갖고 있지만 위계와 서열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닌 상호간의 존중과 협력을 통해 유지되어온 것이 해녀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들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지면서 제주의 해녀들은 물질을 통해 거둬들이는 생산물의 수익성 확보와 자신들 마을어장의 생태적인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절묘한 균형점을 찾아낼 수 있었다. 차가운 물속에서 장시간의 물질을 견딜 수 있게 해주는 ’고무옷‘과 같은 신기술의 도입과 관련해서 해녀들은 생산성의 증가의 측면만을 바라보지는 않았다. 보다 중요하게 바라본 것은 마을어장의 자원고갈과 생태계 훼손의 측면이었다. 따라서 신기술 도입이 불가피하게 여겨지는 상황에서는 해녀들 스스로 생산을 통제하거나 바다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배려하는 방향으로 대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른바 ’금채‘라고 하여 시기별, 어종별, 크기별로 수산자원의 채집과 포획을 제한하는 제도를 마련하기도 했고, ’갯닦기‘라고 하는 자율적인 어장청소를 통해서 해조류와 어패류의 원활한 생장을 도모하기도 했다. 이러한 해녀들의 노력에 적잖이 힘입은 결과로 인해 제주의 연안바다는 개발열풍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운 경관 속에서 풍요로운 생태계를 유지해올 수 있었다. 본고는 그러한 해녀들의 고유한 생태적 지속가능성 추구의 기반은 다름 아닌 해녀공동체의 존재라는 점에 특히 주목하고자 한다. 자본주의적 근대화의 물결속에서 전 근대사회의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활용하던 공유자원들이 명맥을 잃고 사라져가는 상황에서도 제주의 해녀들은 ‘공유지의 비극’이라고 하는 상황의 도래를 강력하게 억제해 나갈 수 있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공동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해녀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형성된 초기의 공동체의식을 발전시켜 나가면서도 호혜성과 민주성을 잃지 않았던 제주해녀 공동체가 존재했기 때문이다. ‘불턱민주주의’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해녀공동체는 자신들이 속한 마을의 대소사에서부터 마을어장의 특성에 따른 물질의 수량과 방법까지도 수평적인 의견교환을 통해 결정해온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동체를 기반으로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생산성까지 확보해온 제주 해녀들의 지혜야말로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위기의 상황을 맞은 인류 모두에게 시사점을 준다. 제주 해녀와 그들의 공동체가 보여주는 모습에서 위기와 격변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의미를 되새겨 보아야할 “오래된 미래”로 여기기에 충분하다. Jeju Island is a volcanic island located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women with occupations named ‘Haenyeo’ in Jeju Island. Haenyeo are women divers collecting seashells or seaweeds as their occupation in Jeju island’s coastal water. Haenyeo is a unique profession that has been existed around for hundreds of years in Koean history. Using a very simple tool, they make a living and earn money through the underwater harvesting sea foods. Haenyeo are well known for their uniqueness of underwater work called Muljil, community with strong solidarity, and their efforts to maintain the ecosystem of coastal water. Haenyeo’s value were certifi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16. This thesis explores how the activities of Jeju Island’s women divers have helped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Jeju island’s coastal ecosystem.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Haenyeo were able to survive in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First of all, the Haenyeo's products has exchangeable value even in a capitalist society. It serves as the basis for their economic independence and a source of pride. Also, for Haenyeo, the sea is not just a working place. They call the coastal water as “Badangbat(maritime garden)” and they care for their Village fishing ground(maeul-eojang). Like Terrestrial ploughland, Haenyeo cultivate and care for the coastal water and its seashells and seaweed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Haenyeo’s existence is the long-standing Haenyeo community itself. The strong but caring community connected by sisterhood became the basis for their joint activities. Due to these conditions, Jeju Island's Haenyeo are able to create a amazing balance between their occupational products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When a new technology were introduced, Haenyeo first considered whether it would lead to excessive harvesting and resource exhaustion or not. No matter how high the efficiency is, they clearly expressed opposition to technologies that lead to resource exhaustion. At the same time, they did the best they could to ensure that the ecological abundance of the sea continues. Harvesting was banned at certain times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a creatures’s growth. Haenyeo cleaned their Badangbat(maritime garden) regularly so that the sea resources they wanted could grow in a best conditions. As a result of such efforts, Jeju Island has a world famous clean sea. This thesis also focuses on the existence of the Haenyeo’s community. The common resources in the sea around Jeju Island remain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beyond the “the tragedy of the commons” thanks to the efforts of Haenyeo’s community. They voluntarily controlled the total amount of sea products through democratic decisions. It can be said that Haenyeo’s community has very futuristic aspects. We are living in a time of climate change. And it is a time when human survival itself becomes an urgent problem. I believe that this thesis on Jeju Haenyeo’s maritime work and their community can give a little inspiration in such an era of upheaval.

      • 杜甫 七言律詩 硏究

        노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杜甫의 七言律詩에 대한 성취는 역대로 높은 평가를 받아왔으나 이에 관한 기존 연구는 형식에 대한 단편적인 고찰에 국한되었으며 내용과 풍격에 대한 연구는 초보적인 수준에 있었다. 이에 본고는 杜甫의 七言律詩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杜甫 七言律詩를 安史亂 以前 時期·戰亂時期·成都 草堂時期·夔州 및 그 以後 時期로 시기를 나누고, 내용·형식·풍격을 망라하여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杜甫의 七言律詩에 관한 역대의 평가가 결코 지나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安史亂 以前 時期의 杜甫 七律은 初唐의 唯美主義 영향으로 模倣 단계에 있었다. 戰亂時期는 安史亂 以前 時期의 모방적인 창작에서 도약하여 개성 있게 창작함으로써 큰 발전을 보였다. 成都 草堂時期는 이전의 창작경험을 바탕으로 성숙하고 完美한 작품을 창작함으로써 완숙한 단계로 진입하였으며, 夔州 및 그 以後 時期는 내용과 형식에서 대담한 혁신을 보여 다양한 풍격을 드러냄으로써 七律의 새로운 境界를 개척하였다. 이처럼 杜甫는 模倣·發展·完熟·革新의 단계를 통해 七律體를 완성시켰기에 七律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내용면에서는 먼저 다양한 제재를 사용하여 七言律詩의 표현범위를 확대한 것을 들 수 있다. 初盛唐의 시인들은 奉和와 應制를 위주로 하여 제재가 협소하였으나 杜甫는 이를 탈피하여 어떠한 題材이든 七言律詩에 편입시킴으로써 意境을 확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抒情詩가 주류를 이루었던 七律에 敍事的 요소를 증가시킴으로써, 抒情·敍事·議論을 융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七律로 敍事하고 議論하는 기풍을 조성하였다. 杜甫는 七律의 고유한 형식 특징을 발전시켜 그 수준을 제고시켰을 뿐 아니라 실험정신을 十分 발휘하여 형식상에 새로운 시도를 하여 뛰어난 성취를 거두었다. 煉字에서는 入神의 경지에 들어갔으며 동시에 聲律美를 심화시켰다. 口語와 俗語를 자유자재로 사용함으로써 친근감을 지니게 하였고, 詩語의 善用으로 詩意를 풍부히 하였다. 특히 連作詩와 拗體詩의 도입은 七言律詩의 고정된 형식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게 함으로써, 杜甫 七律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杜甫는 大同小異했던 初盛唐의 詩風에서 벗어나 淸新婉約, 蕭淡婉麗, 沈鬱頓挫, 雄渾悲壯, 沈渾富麗와 같은 風格을 創新하였기에 七言律詩가 다양한 풍격을 반영할 수 있는 詩體임을 새롭게 인식케 하였다. 杜甫는 七律형식을 대대적으로 革新하여 그 특성을 集大成함으로써 예술성을 최고의 경지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다. 그 결과 五律이 주도했던 唐 詩壇에 七律을 중시하여 作詩하는 분위기를 高潮시켰다. Successively, It is evaluated very high that achievement for Tu-Bo's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But existing researches about this have been localized in fragmentary inquire into form and researches of contents and remarkable character(風格) have stayed at rudimentary level. Therefore, I have felt keenly necessity of overall research about Tu-Bo's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so I devide it into four times - time of before Ansa warfare(安史亂 以前時期), time of the Ansa warfare(戰亂時期), time of the Seongdo thatched cottage(成都 草堂時期), time of the Gyju and after the time of Gyju(夔州及其以後的時期) - and have get along with research, comprising content, form, and remarkable character. In the result, I am sure that successive evaluation for Tu-Bo's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is not too much. Tu-Bo's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before the Ansa warfare stayed imitative. Tu-Bo's in the time of warfare made rapid progress by excelling Tu-Bo's in the time before the Ansa warfare and creating writings idiomatically. Tu-Bo's in the time of the Seongdo thatched cottage was putted into maturity, because it was created maturely and bigotedly, and Tu-Bo's in the time of Gyju and after the time of Gyju cultivated new boundary of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which displayed various remarkable character which show a bold innovation. Like this, Tu-Bo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by completing a style of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throughout a phase of imitation, development, maturity and innovation. In the aspect of contents, It can be cited that Tu-Bo use various materials and extend expressive boundary. Poets in the early and prosperity-T′ang(初盛唐) gave the first consideration to the poem for the king, so material is limited. But Tu-Bo could extend a boundary of the poem because he escaped from limitation and could let any materials be admitted into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Also, he fused lyricism, epic and consultation by increasing epic elements in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in which lyric poetry had formed main stream. Hereby, he seted descriptive and consultative trait with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Tu-Bo raised a level by development of peculiar formal feature of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he got excellent achievement by showing inspective mind and making a new attempt of the form. He entered into state of the god in the improvement of words and deepened rhythmical beauty(聲律美). He let it have intimate emotion by using an oral language and slang language freely and let poetic meaning be rich by making a good use of poetic word. Specially, He established milepost by introducing poem which sequence more than two poems(連作詩) and accent-varied poem(拗體詩), and putting liveliness into fixed form of the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Tu-Bo made recognition that a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can reflect various remarkable character, because Tu-Bo escape from a poetical style which was substantial identity with negligible differences and created remarkable character which is fresh and mediate, restful and indirect, melancholy and disheartened, grand and tragic, and inactive and brilliant. Tu-Bo could maximize artistical character by innovating a form of the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extensively, then achieving a synthesis. Consequently, Tu-Bo increased surroundings that the poet writes a poem under the importance of the stanza of eight lines with seven-chinese characters in poetical circles that a stanza of eight lines with five-chinese characters leaded.

      • 시간은 흐르지만 기억은 새겨진다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노우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인의 작업은 태양에 드리워진 그림자를 통해 기억을 감정적으로 표현한다. 다시 말해 주관적인 기억들을 그림자를 통해 나타내면서 과거와 현재의 기억을 이어주고 더 나아가 미래까지 나타내며 이것을 본인의 감정을 이입시켜 표현한다. 본 연구는 시간의 최소단위인 찰나에서 느낀 감정, 감동으로 시작되었다. 찰나의 느껴진 감정들을 붙잡으려 하지만 그 감동은 그 때일 뿐 다시는 똑같이 느낄 수 없었다. 마음의 울림을 가져다준 순간은 모두 시간 안에 존재되어짐을 알고 시간의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 시간은 태양을 움직임을 중심으로 만들어지며 모든 생명체들은 태양이 지고 뜸에 따라 그 주기에 맞춰 생활하게 된다. 본인의 작업에서는 태양의 빛이 사물에 부딪혀 생기는 그림자를 통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시간 속에 이루어진 현재의 것들은 곧 기억으로 남겨진다. 기억은 주관적으로 같은 시공간에 있더라도 그때의 감정과 상황에 의하여 각자 다르게 기억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재구성하여 기억되어지거나 망각되어진다. 망각된 기억은 무의식 속에 존재 되어져 그때의 비슷한 느낌이라든지 상황이 맞닿으면 떠오른다. 그림자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짧고, 길어지며 선명하기도 하면서 흐려지고 구름에 가려 덮어지기도 하는 양상이 기억과 비슷한 맥락으로 보여 진다. < 도판 3 >~< 도판 5 >까지는 여러 가지 사물을 화판위에 올려놓고 태양이 그린 그림자를 드로잉하는데 이 여러 가지 사물들은 혼자 사는 것이 아니 여럿이 공존하며 생각을 공유하기 때문에 여러 사물들을 함께 드로잉하게 된다. 바탕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윤슬을 표현하고자 한다. 시간의 따라 다른 빛을 나타내는 윤슬은 시간의 흐름이며 이것을 정사각형으로 잘라 콜라쥬 한다. 정사각형은 알베르티가 말한 “자연을 향한 창”으로 태양의 빛이 들어올 수 있는 창을 뜻하며 콜라쥬의 기법을 채택한 것은 창에 틀을 없애고 빛이 걸림돌이 없이 들어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정사각형의 창을 겹쳐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억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매개체이다. 이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기억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이 되어 꿈을 꾸게 한다. < 도판 7>를 보면 작은 화분이 큰 나무가 되는 꿈을 꾼다. 그림자는 그 화분의 형상을 닮게 표현하고 크기를 확장시켜 작은 화분의 꿈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 도판10 >~< 도판 13>은 감정의 그림자로 변하게 된다. 그림자의 덩어리가 아닌 선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기억은 순차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연상을 통해 엉켜있음을 나타낸다. 이 엉켜있음은 불현듯 찾아온 망각에서 이루어진 기억이나, 현재의 상황에 의하여 엉킨 감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엉켜져 조직하는 감정 안에 우리의 삶을 나타내고 있으며 감정으로 다르게 보여 지는 상황은 < 도판 13 >을 통해 나타낸다. 본인의 감정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착각 속에 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인이 믿는 것이 정답이라고 살고 있지만 모두 주관적으로 다르게 생각하기 때문에 본인의 생각은 모든 사람이 생각하는 정답일 수 없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의 시간 속에 존재되어지는 기억에 관한작업을 정리하여 공통점을 추려 낼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본인의 작업에 있어 방향지시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work is emotionally expressed memory through shadow from the Sun. Namely, shows the subjective memories through shadow, connects past, present and the future. And expresses with my emotion. This study has started from my feeling and impression from a moment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time. We usually try to catch our emotion; however, we have never gotten the same feeling again. I realized that the moment which brought the echo of mind exists in every time and I wo. Time is would try to study for that. Time is made by movement centering around the Sun and every life lives by matching the cycle of the Sun like sunset and sunrise. In my work, it tells through shadow that is made when the Sun faces to things. Present things which are made up in time remain as memory. Although, memory is at the same time ans space, subjectvely, it remembers with different way each other by emotions and circumstances of that time. As time goes by, it reforms or loses its sight of fact. The forgotten memory is existed in unconsciousness and comes across when it is faced with similar feelings or situations. Shadow becomes short, long, clear blurred and covered by the movement of the Sun. This kind of aspect looks similar context with memory. From <Plate no.3> to <Plate no.5>, I put many things on a drawing board and drew shadow which is already drawn by the Sun. However, it doesn't mean the things live alone, they coexist and share their thinking; so I could draw with various of things. In the background, I wanted to express 'YUN-SUL'. YUN-SUL that makes dfferent light by time is a flow of time and cut this into a squre and collage. The squre means a window to the nature as Alberti said. The reason why I chose the collage technique is to remove the frame of the window and can make sun light come without any obstacle. Besides, I wanted to express the overlapping of window. Memory is the medium that connects the past and present, this memory can proceed to the future and make a dream. In <Plate no.7>, a small flowerpot dreams to be a huge tree. The shadow looks like the shape of the flowerpot and extends the sight and indicates a dream of the little flowerpot. Lastly, from <Plate no.10> to <Plate no.13>, it turns into the feeling of shadow. It implies with lines but not the mass of shadow, and memory is not recalling in order. It is complexified through complex thinkings. This tangle shows the memory that suddenly comes from oblivion or complex emotions by present situation. In this tangle emotion, it shows out life and emotions through <Plate no.13> which is shown differently depends on situation. With our own feeling, it expresses people who live in illusion. We believe something that we see as a right answer. Yet, we all think subjectively, as a result, our own thinking doesn't mean the right answer that we all think it is right. With this study, I could find some common points by arranging the memories that have existed during our life. Also, I expect that it probably give me direction at m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