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유형과 몰입 특징에 관한 연구 : 경북 영주 지역을 중심으로

        나창훈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1)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types and demographical the characteristics and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e according to types and learning flow of the participants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long education centers of the community. Based on total 188 questionnaires collected, technical statistics were used to comprehe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patternize the items of participationmotives. In order to grasp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firmed participation motives,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Also, in order to comprehend the forms of learning flow according to classified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ANOVA was conducted. The significance level at that time was set as 5%. As for statistical programs, SPSSWIN 12.0K and SAS 8.02 were used. In order to patternize the participat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Choi Woon-sil (1988), which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Bosher’s EPS focusing on Houle’s participation motive theory. As a result, the motiv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Goal-Learning-Activity", "Activity-Learning" and "Participation-Exploratio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types of "Learning-oriented", "Goal-oriented", and "Activity-oriented"by having reliability and objectivity with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item.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otive factors of the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were not so simple and a learner can have the diverse motive types of Houle. Based on the findings, a Butt Table was created with thre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and demographical variables. Then,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 were schematized. Three correspondence relations were form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age,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recognition path of the program. Each correspondence relation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which was formed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Activity-Learning"type is a group of which survival desire has been already fulfilled. They showed the highest activity propensity and they were the greatest in numbers for the participants of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y showed persistent interest in the education relatedto liberal programs and hobbies such as self-realization, use of leisure time, etc., while they tended to get along with other participants of the program rather than pursuing a clear goal. The "Goal-Learning-Activity" type, on the other hand, is much interested in economic problems or social achievements and they make active efforts in developing themselves in the long term or short term. They are, however, somewhat indifferent to smooth relationship between people or personal exchange, unlike other two groups. The "Participation-Exploration" type is lag behind in every aspects than other groups because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ithout specific motive or goal.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s of learning flow, a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Kim Jin-ho(2003)’s Flow State Scale(FSS), and it was possible to achiev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item with reliability and objectivity. "Activity-Learning"type showed sense of fruitfulness in participating programsand enjoyed learning lectures and they would register the program again if they could in the future. "Goal-Learning-Activity" type actively selected the content of learning for themselves and accepted them. They can control the scope and quantity of learning for themselves. They also have the challenging mindset that they can catch the lecture with their current ability, even though the lecture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they show high sense of trust on the ability of themselves. Thus, this type can achieve the highest level of learning flow. The "Participation-Exploration" type has low sense of participation motive than other groups, showing "so-so" response. Rather than having particular goal or motive, they just participate in the program or try to find something in the process of copyright by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hich leads low level of learning flow. On the whole, the learning flow of participant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show the great figure by the types of "Goal-Learning-Activity", "Activity-Learning", and "Participation-Exploration" in ord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participation motives.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of the participants, 85.6% were women. As for the age, 33% were 40s, 26% were 30s and 23% were 50s in that order. Regarding the education background, 42% were university graduates, and 36% were high school graduates. In terms of occupation, housewives were 72% and office workers were 12%. Married persons took the 90% and those who had children in school were 55% while those who had married girls and boys or working children were 25%. As for income, 40% earned less than 3 million won, 25% earned less than 2 million won, and 15% earned 4 million won. Regarding the experience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30% had less than 3 months, 23% had less than 6 months, and 13% were less than one month. As for the recognition path, 37% learned through neighbors, 25% learned through community newspapers and advertisements, and 22% learned through the news magazines or leaflets issued by lifelong education center. From the facts, o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most respondents, most of them were housewives in their 30s and 40s with children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high school graduate and their monthly income were less than 4 million wo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they selected based on the knowledge obtained throughdiverse paths, for less than one year. 본 연구는 지역 내 평생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참여자들의 참여 동기를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로 나타나는 학습 몰입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188부의 설문지를 SPSSWIN 12.0K와 SAS 8.0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요인 분석, 군집 분석, 다중 대응 분석, ANOVA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절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의 중요 사항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 유형은 어떠한가? 먼저 참여 동기를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 분석과 군집 분석을 하였다. 참여 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Houle(1961)의 참여 동기 이론을 중심으로 삼고Boshier(1985)의 EPS를 근거로 개발된 최운실(1988)의 조사지를 바탕으로 하였다.참여 동기를 구성하는 개념적 요소인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 학습 지향형 요인들을 수렴시키기 위해 신뢰성과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과정에서 도출된 각 항목과 변인들의 상관 관계, Cronbach's 값의 변화 추이 등을 고려하여 시행착오적 방법을 통한 탐색적 과정을 진행하였다. 참여 동기 변인 중 13개를 추출하여 고유값이 1이상인 3개의 요인을 형성하였다. 요인 분석을 통해서 목표 지향형 요인, 활동 지향형 요인, 학습 지향형 요인을 파악한 후 요인 적재치를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 분석은 계층적 방법과 비계층적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표 23>처럼 1)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원만한대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동기가 확실히 부여된 상황에서 배움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아실현을 하려는 성향들 내포된 집단, 2) 경쟁, 소질, 자격, 문제 해결 등 당면한 상황에 대한 타파와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게 진행되어 있으며, 그것을 위한 지속적인 학습과 지식 탐구를 진행하기는 하지만, 1)집단에 비해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에 대한 동기는 부족하게 진행되는 집단, 3) 특별한 목적의식이나 참여 동기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기보다는 참여 자체에 목적을 두거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지향점을 찾으려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기존의 학습 지향형,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의 특성에 견주어 각각 ‘목표-학습-활동’형,‘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는데, 각 항목별로 내적 일치도를 가지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처럼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되었으나, 프로그램 참여자의 동기 요인은 간단치 않아 Houle의 동기 유형들이 한 학습자 내에서도 복합적으로 다양하게 유형별로 혼재해 있음을 알 수 있다.둘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유형별 참여 동기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우선 각 유형별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분된 세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변인들로 버트표를 구성하여 다중 대응 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 분석을 통해서 확인된 참여 동기의 유형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의 대응 관계를 도식화하였다. 주로 학력, 소득, 연령, 참여 기간, 프로그램 인지 경로 등에 따라 특징화된 3개의 대응 관계를 형성하였다. 각 대응 관계들은 군집 분석을 통해서 형성된 집단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 ‘활동-학습’형은 대학원 졸업 이상의 학력과 400만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고학력· 고소득 집단으로 결혼 유무와는 별로 상관없다. 결혼한 여성들은 40대로 자녀들이 취학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주로 판매 서비스직에 종사하며, 평생교육기관 소식지나 홍보 전단을 통해서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1년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참여 경험을 가진 집단으로 파악된다. 이 유형은 이미 생존욕구가 충족된 집단이다. 세 유형 중 활동 성향이 가장 높으며, 지역사회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자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자아실현이나 여가 선용 등 교양이나 취미 관련 교육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지만, 뚜렷한 목표를 추구하기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과 서로 어울리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목표-학습-활동’형은 대졸 학력을 가진 20?30대의 일반 사무직 종사자로서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3개월 이하로 최근에 강의를 수강하였거나, 2년 6월 이하로 다년간의 참여 경험을 가진 집단이다. 연령대가 보여주듯 자녀는 없거나 미취학 상태이다. 젊은 세대답게 컴퓨터와 인터넷 등 정보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평생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이 유형은 경제 문제나 사회적 성취에 관심이 많아서 장?단기적으로 자신을 계발하는 데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다. 따라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단순한 일회성 교양 강좌나 여가 선용을 위한 취미 교육뿐만이 아니라 전문 교육으로서 직업 기술 훈련 및 자격, 면허 취득 그리고 고학력에 상응하는 인정을 수반하는 교육 프로그램들을 선호한다. 이들은 경쟁, 소질 계발, 자격 취득, 문제 해결 등 당면한 상황에 대한 타파와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음을 알 수 있다.그리고 이를 이루기 위해 지속적인 학습과 지식 탐구를 수행한다. 그러나 목표 성향이나 학습 성향과 달리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와 같은 활동 성향에는 다소무관심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참여-탐색’형은 50대로 중졸 저학력에 300만원 이하의 소득을 가지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6개월 이하로 짧으며,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인근 이웃들을 통해서 전해 듣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특별히 어떠한 동기나 목적의식을 가지고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유형에 비해 활동성이나 성취 의욕, 학습력 등 모든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평생교육 유인 체제를 갖추는 일은 시급하다는것을 시사한다. 셋째, 지역사회 평생교육 기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유형별 참여 동기와 학습 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참여 동기의 요인화를 통해 추출된 목표 지향형, 활동 지향형, 학습 지향형은 학습 동기에 따라 ‘목표-학습-활동’형, ‘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세 가지 유형을 형성하였다. ‘활동-학습’형의 경우 다소 낮은 수준의 목표 동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학습 성향이 꾸준하긴 하지만, 이에 비하여 활동 성향은 다른 유형보다 월등하게 높다. 이들은 자신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증진시키려는 상황에서 배움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아실현을 하려는 성향이 내포된 집단이기 때문이다. 고학력 · 고소득의 40대 집단으로 기관 소식지나 홍보 전단을 통해서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1년 6개월 이상 장기적으로 참여한다. 이 유형은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수행 중인 과제에 대한 집중’, ‘자기 목적성’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분명한 목표’에서는 ‘목표-학습-활동’형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 ‘자의식의 상실’ 항목에서는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통제감’ 항목에서도 거의 제일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데 대하여 많은 보람을 느끼며, 강의 내용을 즐겁게 받아들이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추후 기회가 된다면 다시 등록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목표-학습-활동’형은 다른 집단에 비해 당면한 상황에 대한 문제 해결 및 도약에 대한 동기 부여가 높은 목표 성향을 강한 유형으로 지속적인 학습과 탐구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원만한 대인 관계나 인적 교류 등 활동 성향은 전자의 유형보다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2,30대 대졸자로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며, 프로그램 참여 경력은 3개월 이하로 일천하거나 2년 6월 이하의 장기 참여자이다. 젊은 세대답게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참여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도전과 능력의 균형감’, ‘분명한 목표’, ‘명확한 피드백’,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등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에서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들은 참여자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수용하며, 스스로 학습의 양과 범위도 조절하는 경향이 가장 높다. 그리고 강의 내용이 어렵고수준이 높아지더라도 자신의 노력과 현재의 실력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는 도전성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 유형은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학습 몰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참여-탐색’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저 그렇다’ 정도의 저조한 참여 동기 의식을 가지고 있다. 특별한 목적의식이나 참여 동기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다기보다는 참여 자체에 목적을 두거나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무언가를 탐색하려는 집단이다. 50대 중졸 저학력자로 대부분 300만원 이하의 소득과 인근 이웃들을 통하여 참여하였으며, 6개월 이하의 짧은 참여 경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학습 몰입의 9개 하위 범주 중 ‘양적 시간 개념의 상실’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통제감’, ‘행위와 인식의 일체감’, ‘자의식의 상실’ 항목에서 ‘활동-학습’형과 비슷한 저수준을 보이지만, 학습 몰입 전반에 걸쳐서 낮은 수준의 몰입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몰입은 참여 동기 유형의 특성에 따라 ‘목표-학습-활동’형, ‘활동-학습’형, ‘참여-탐색’형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넷째, 빈도, 백분율 등 기술 통계를 통해서 조사 대상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을살펴 보았다. 성별은 여자가 85.6%, 연령은 40대 33%?30대 26%?50대 23%순이었으며, 교육수준은 대졸 42%?고졸 36%, 직업은 주부 72%? 직장인 12%, 결혼 여부는기혼 90%? 자녀는 재학 55%? 취업 및 출가 25% 소득 수준은 300만원 이하 40%? 200만원 이하 25%? 400만원 이하 15% 순이었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력은 3개월 이하 30%?6개월 이하 23%? 1년 이하 13% 순이었으며, 그 인지 경로는 인근 이웃으로부터 37%? 지역 신문이나 광고를 통하여 24%? 평생교육기관소식지나 전단을 통하여 22% 순이었다. 이로 볼 때,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징은 결혼해서 자녀를 둔 30?40대의 여성 주부들로,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월 소득 400만원 이하의 가정에 살며,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얻은 프로그램에 대한정보를 기반으로 채택한 프로그램을 1년 미만 수강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역 사회의 평생교육은 지방 자치 단체의 주도로 개인의 자아 실현, 경제적 경쟁력 제고, 사회적 응집력 제고 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지역사회의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사회 평생학습이다. 그러나 조사 결과,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 학습자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이 단기적인 취미나 교양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격적이고 집약적인 평생교육이 실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신문사진 검색시스템에 관한 연구

        나창훈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Data or document can be retrieved when index word assigned to the document and search word chosen by users are matched. But assigning index word(s) to newspaper photos is much difficult in comparison with assigning index words to documents. Feelings, meanings or symbolic meanings other than simple facts or events represented by photo are very difficult to identify and to represent them as a index word(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of indexing and retrieval process for newspaper photos and provide possible solutions for them.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o derive indexing problems from indexers working for H Newspaper Corporation. And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were asked to users through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udy showed that additional data elements should be established particularly for those figure photos and subject-oriented photos as well. New data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to provide additional access points are 'facial expressions', 'motion', 'size of a figure', and 'jobs'. 2) Index term(word) should be kept in consistency. Providing different index term(s) to a subject-oriented photo by different indexers caused serious problems of exact match between index terms and search terms. 3) It is found that the present classification scheme for newspaper photos is inappropriate in regard to retrieval purpose. 4) Screen display should be redesigned to make the system 'user-friendly.' 5) The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level up network equipment and up grade H/W and S/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