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전 세포유전학적 검사의 임상적 분석 : 을지대학병원의 결과

        나우석 을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을지대학병원에서 시행된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과 비정상핵형의 유형 및 빈도를 알아보고 유용성과 안전성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3년부터 2008년 3월까지 을지대학병원에서 시행된 양수천자 959건, 제대천자 78건, 융모막 융모생검 25건 등 총 1062건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 검사시의 연령 및 임신 주수, 비정상 핵형의 유형 및 빈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62건의 산전 염색체 검사중 비정상 핵형은 양수천자에서 57예(5.94%), 제대천자시 10예(12.82%), 융모막 융모생검시 6예(24%)로 총 73건에서 보였다.(6.87%).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 중에서 고령 임신(35.16%)이 가장 많았고,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선별 검사(31.64%), 고령 임산부이면서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선별 검사(12.81%), 비정상적인 초음파 소견(12.24%) 등이 그 다음으로 흔한 적응증이었다. 균형적 재배열과 다형성 핵형을 제외한 비정상 핵형의 적응증에 따른 양성예측률은 고령임신시 1.88%,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검사를 보인 경우 3.57%, 고령 임신이면서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검사를 보인 경우 4.41%, 비정상 초음파 소견을 보인 경우가 10.77%로 비정상 초음파 소견시 염색체 이상의 양성예측률이 가장 높았다. 양수천자시 99.8%(957/959)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그 중 7건(0.73%)에서 가성 모자이즘이 있었고 5건(0.52%)에서 천자와 관련된 태아 사망이 있었다. 제대천자시 84.61%(66/78)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실패한 경우 대부분(11/12) 재시행없이 양수검사로 대체하였고 1건(1.53%)에서 천자와 관련된 태아 사망이 있었다. 융모막 융모생검술시에는 80%(20/25)의 성공률을 보였으나 실패한 경우 재시행없이 양수검사로 대체하였으며 2005년 이후에는 88.9%(16/18)의 성공률을 보였고 검사와 관련된 태아 사망은 없었다. 결론 : 산전 염색체의 검사의 적응증 중 고령 임신이 가장 흔한 적응증이었고 비정상 초음파 소견이 염색체 이상의 가장 높은 양성예측률을 나타냈다. 산전 염색체 검사의 여러 적응증 중 초음파 검사는 가장 민감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시행된 산전 염색체 검사는 양수천자술 뿐만 아니라 제대천자술과 융모막 융모생검술의 안전성 및 양성예측률이 높고 타 병원에서 시행된 연구들과 비교해서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본사와 자회사 관계에서 본 표준화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해외 진출한 한국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나우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마케팅에서 마케팅믹스(marketing mix)를 구성하고 있는 제품, 가격, 유통, 촉진을 표준화해야 할 것이지, 아니면 현지화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오랜 관심을 끌어 온 분야 중 하나이다. 규모의 경제, 해외 자회사간 원할한 조정과 통제 등과 같은 이점을 가진 표준화와 각 국의 상이한 소비자의 기호, 규제 등으로 대표되는 현지화라는 두 가지에서의 선택은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준화(현지화) 정도의 문제에 관해 지금까지 실제적인 측면에서 명쾌하게 이론적으로 설명을 하거나 실증적인 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증거를 보여주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표준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그 요인에 따라 성과 및 본사·자회사의 협력정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 바로 이 논문의 목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조사와 두 가지 이론적 배경인 국제화이론과 통합·적응 모형을 바탕으로 마케팅 표준화 정도에 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본사의 자회사에 대한 통제력과 본사의 해외시장에 대한 지식이라는 2 가지 독립변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의 영향에 따라 3가지의 종속변수인 현지화·표준화정도, 주관적·객관적인 성과에 대한 평가의 정도, 본사와 자회사간의 협력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중 해외자회사를 두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서베이(survey) 접근법을 사용하였고 최종으로 추출된 82개의 표본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가설에 대한 통계적인 분석을 위해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일요인분산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먼저 설문 문항을 본사의 해외자회사에 대한 통제력과 본사의 해외시장에 대한 지식이라는 두 가지 공통요인으로 각 변수들을 묶기 위해 요인 분석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본사의 통제의 정도와 본사의 해외시장에 대한 지식을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각각 Local Baronies(낮은 본사통제력과 낮은 시장지식), Civil War(높은 본사통제력과 낮은 시장지식), Confederation(낮은 본사통제력과 높은 시장지식), Federation(높은 본사통제력과 높은 시장지식)이라는4가지로 분류한 뒤, 각 군집된 표본들간의 특징을 가설에 의해 통계적인 유의성을 일요인분산분석(ANOVA)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세 가지 종속변수가 모두 유의하게 나왔다. 하지만 세부가설에서 부분적으로 기각된 가설도 있었다. 표준화정도에 관한 실증분석에서는 Civil war로 분류된 집단에서 가장 높은 표준화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Local Baronies(가설1-a)는 표준화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분석 결과 두 번째로 높게 나와 기각되었다. 이것은 초기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이 좀 더 표준화하려는 경향을 보여 주는 한국 기업의 특성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었다. 성과부문에 관한 실증분석결과는 예상순위와 정확하게 일치하여 Local Baronies, Civil war, Confederation, Federation 순으로 점점 성과가 좋아지는 검증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사의 해외시장지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본사·자회사의 협력정도에 관한 결과는 예상대로 Confederation이 가장 높은 본사·자회사간의 협력관계를 보여주었고 Civil war가 가장 낮은 협력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현지화·표준화의 선택 요인을 본사·자회사의 관계를 통하여 설정하였고, 해외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그 요소들을 통해 성과와 본사·자회사의 협력 관계에도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제조업 분야로 한정된 결과로 인해 전체 기업의 적용에 한계가 있고, 근래 들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비스업에 대한 조사가 앞으로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of standardizing or localizing the marketing mix elements (4Ps: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international marketing. The studies whether if the marketing mix elements (4Ps: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should be standardized or localized have been a consistent issue in international marketing. While standardization benefits over economies of scale, coordination and control among subsidiaries, localization can adapt to different customers' tastes and regulations. Therefore, it is critical to make a choice between standardization and localiz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concerning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nd localization,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tests and explicit explanations available. Thus,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nd localization, as well as the shifts in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coordination between headquarters and subsidiaries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ants. More specifically, based on past studies and two theoretical backgrounds of internationalization theory and I-R grid model, this research developed two independent variables: the headquarters' degree of control over subsidiaries and the foreign market knowledge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marketing standardization.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these two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three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localization,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coordination between headquarters and subsidiaries. For the sample, the study empirically tested hypothesi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by surveying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at own foreign subsidiaries and selecting 82 appropriate samples among them. 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on the set of samples to confirm hypothesis. First, before testing the full model,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whole set of items to bind each variance into two mutual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control over subsidiaries and the foreign market knowledge. Second, the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m to four groups: Local Baronies (low degree of control and low foreign market knowledge), Civil War (high degree of control and low foreign market knowledge), Confederation (low degree of control and high foreign market knowledge) and Federation (high degree of control and high foreign market knowledge). Last, statistical proof was conducted by ANOVA, which shows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ample parameters as of hypothesis. The result showed all three dependent variables were accepted; however in one, it was partially rejected. In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the group of Civil War has highest tendency towards the standardization. Although the group of Local Baronies (Hypothesis 1-a) was hypothesized that it would have the lowest degree of standardization, the result showed that it has second highest, and therefore Hypothesis 1-a was rejected. The result describes that the early-movers of Korean firms who expand overseas tend to favor the standardization as of their typical characteristic. The expected result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degree of performance was that the performance is higher in the order of Local Baronies, Civil War, Confederation and Federation. Indeed, the result was exactly the same as it was expected. The result of the degree of coordination, which can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knowledge of the headquarters in a long-term perspective, supported hypothesis. Confederation has the highest degree of coordination and Civil War showed the lowest.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by establishing the determinant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quarters and subsidiaries, and providing the value of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coordination to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at expand overseas. The main limitation of this research concerns the fact that the research is conducted on manufacturing industry only. Future research including studies in service industry would provid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and localization of the marketing mix.

      • Studieson Tactil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ggshell Membrane reinforcedPolymer Composites

        나우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폴리프로필렌의 촉감 특성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과 폐난각에서 얻은 난각막을 이축압출기를 통한 용융 혼합 방법으로 난각막/폴리프로필렌 바이오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복합재의 촉감 특성은 객관적인 방식으로 평가하기 위해 서로 상호작용이 있다고 판단되는 평면마찰계수와 평균표면거칠기의 고찰을 통해 실시되었다. 평면마찰계수의 감소와 평균표면거칠기의 증가를 통해, 표면거칠기와 별개로 표면 화학과 같은 다른 요인이 복합재의 마찰 거동과 마찰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였다. 이를 규명하고자 표면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의존하는 마찰 전기 특성 조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마찰 전기 특성 조사 결과는 평면마찰계수와 평균표면거칠기 뿐만 아니라 접촉각, 열적특성, 기계적 특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찰전기 특성 조사를 통해 미래의 다양한 핸드-헬드 제품의 촉감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Eggshell membrane (ESM) isolated from waste eggshell (WES) has been incorporated within the polypropylene (PP) matrix using an extruder based melt-mixing method to obtain the ESM/PP bio-composite, intending to exhibit better touch-feeling property in comparison to the only PP. The touch-feeling property of the composite has been attempted here to realize in an objective manner using in-plane coefficient of friction (COF) and average surface roughness (Ra) investigations which are thought to be well correlated with each other. But, the composite shows decreasing of COF-values while increasing of Ra. It seems that apart from the Ra, other factors (such as surface chemistry) may control the friction behavior as well as the touch-feeling (alias tactile) property of the composite. Here, we have approached the triboelectric investigation which also depends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y of the surface to realize the tactile property. The triboelectric results show well-correlation not only with the COF and Ra, but also with the water contact angle values,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s as well. In this work, it has been a prejudice that the triboelectric investigation can be used in the future to realize/manage the touch-feeling properties of different hand-held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