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김후자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결과분석은 통계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PSS WIN12.0통계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제주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결혼적응을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 혹은 외국인여성이(사별 혹은 이혼) 등으로 한번이상 결혼했으나 전혼이 해소되고 난 뒤 새로운 가정을 이룰 때 여성결혼이민자, 혹은 한국남성을 배우자로 맞이하는 가족이다. 아내 111명, 남편 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고 이중16쌍은 직접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 재혼가족의 한국생활적응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생활적응에 도움을 받은 곳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타, 자조모임, 문화센타, 자치센타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결정권으로 자녀교육, 재산관리, 생활비지출 모두 남편의 주요 결정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음식문화적응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음식을 만들면 남편들이 맛이 없다가 가장 높았고 남편과 시어머니 37%, 방문교육지도사 33%, TV 17%, 기타 순으로 한국요리를 배운다. 넷째, 공공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해보면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한국어교육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 및 자녀양육의 경우 방문교육지도사가 가장 많이 교육한다. 여섯째, 결혼동기 및 부부 적응 욕구를 살펴본 결과 한국 사람이 좋아서 한국인과 결혼한 이유가 가장 높았고 결혼전에 들은 이야기와 다름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 일곱 번째, 한국국적 취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취득한 경우가 낮았는데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이유가 자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다. 많은 경우 이중국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생활비를 살펴본 결과 시부모님의 도움여부가 전혀 없는 경우가 많아 자녀가 결혼하면 살림을 분가시키는 제주도가족의 분가제도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아홉 번째, 직업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직업에 대한 욕구는 높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을 갖는데 단순노무직이나 아르바이트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제주특별자치도에 다문화 재혼가족이 제주특별자치도 시민으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도록 단기간의 서비스가 아닌 지역사회와 지방자치기관들이 함께 연계하여 지속적인 서비스가 필요하다. 또한 각 센터간의 중복서비스가 아닌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발굴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각 단체의 전문성을 높임으로 서 돌봄의 방법으로 다가가기 보다는 우리가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교육이 선행 되어야 한다.

      • 농촌에서의 경로당 이용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후자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 산업화의 특징인 인구의 도시 집중화와 핵가족화 그리고 평균 수명의 연장과 노인 인구의 급증은 긴 노령기를 맞이하는 현대 노인들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과 사회로부터 역할 상실로 인하여 외롭게 보내야 하는 노인들의 여가 문제에 대해서는 사회적 관심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복지 시설 중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경로당에 관하여 살펴봄으로 향후 노인 복지 발전과 노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을 높이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면)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65세 이상인 노인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안동시 전체 경로당 수는 493개소이며, 그 중 안동시농업기술센터에서 농촌건강장수마을로 선정된 3개 마을 152명을 조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 도구를 완성하기 전 2011년 7월 7일부터 7월14까지 1주간 20명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해 문항 분석과 신뢰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 설문지를 구성하여 2011년 8월 5일부터 8월 30일까지 연구자가 안동시 면 지역의 경로당을 직접 방문하여 개별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for Windows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에서 운영한 인기 있는 프로그램, 경로당이 지역 노인에게 주는 혜택과 공동 소득 작업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경로당의 이용 실태, 경로당 시설의 문제점,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경로당의 기능, 경로당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집단 간의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과 t-test 및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부분적으로 응답하지 않은 자료는 제외하였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152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보면 성별은 남자 38.8%, 여자 61.2%였고, 연령은 70세 미만이 33.6%, 70세 이상이 66.4%로 70세 이상이 높았으며, 학력 수준은 무학이 53.9%, 국졸 이상이 46.1%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는 ‘나쁘다’가 36.8%이었고, ‘보통이다’가 40.8%, ‘건강하다’가 22.4% 이었으며 동거 형태는 부부 및 독거가 80.9%이었고, 가족 동거가 19.1%이었다. 월 용돈은 15만원 미만이 38.8%이었고, 15~20만원 미만이 29.6%, 20~35만원 미만이 31.6%이었다. 둘째, 경로당 이용 실태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이유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 월 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이 낮고, 건강하고, 소득이 15~20만원 미만인 여성이 ‘친구를 만날 수 있어서’ 라는 사교적인 이유에서 경로당 이용률이 높았으며, 남자의 경우 취미, 오락을 위해 경로당을 찾는 이유가 높았다. 경로당에 머무는 시간은 5시간미만이 대다수였고, 점심 식사 해결 방법은 대부분 집에서 식사 하거나 경로당에 놀다가도 집에 가서 식사를 해결하였다. 점심 식사 방법은 월 용돈이 15만원 미만이 집안에서 식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0~35만원 미만이었고, 다음으로 15~20만원 미만으로 집안과 집밖의 식사는 월 용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개인적인 취향이 많이 반영됨을 알 수도 있었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 만족도는 성별, 학력, 건강 상태에 따라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로당 이용 만족도는 학력이 낮고 건강 상태가 좋은 여자일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또한 건강 상태가 나쁘고 학력이 낮은 여자 경우 불만족도 높았다. 경로당 이용 후 노후 생활의 도움 정도의 차이를 보면 ‘이웃과의 관계가 원만해졌다’가 6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어서’가 23.0%, ‘가족관계 원만과 여가 활력’이 14.5%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건강이 좋을수록 이웃과의 관계도 원만해 졌다고 느꼈다. 셋째,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 문제점으로는 재정 지원 부족과 화장실 시설 불편, 경로당 공간 협소, 시설 노후, 여가 및 오락 프로그램 부족, 취사도구 부족 순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경로당의 문제점은 70세 이상의 노인이 70세 미만보다 심각하게 생각하여, 이는 70세 이상의 노인이 경로당 이용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경로당 여가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노래교실, 게이트볼, 건강, 교양강좌, 스포츠댄스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건강한 노인일수록 프로그램 운영에 만족도가 높았다. 그중 가장 있기 있는 프로그램은 건강교양강좌, 노래교실, 장기, 바둑, 게이트볼 순이었다. 다섯째, 경로당의 기능은 ‘사랑방 역할’, ‘건강 관리 장소로 기능’,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 기능’ ‘여가 프로그램 제공 장소’로서의 기능 순이었으며 경로당의 개선 사항을 보면 ‘관리 및 운영비지원’ 희망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건물 개․보수, 무료 중식 제공, 프로그램 운영 희망, 상담사 배치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경로당 명칭 변경에 대한 견해를 보면 기존 경로당 명칭 고수가 68.3%로 절대적으로 높아 변화를 싫어하고 기존 것을 The features of the contemporary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centralization of the population to cities, the increasing trend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ing life expectancy along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population, are yielding more difficulties for the elderly population who are expected to go through long period of their old ages, and especially, as for the problem of the leisure times of elderly population who are often discouraged by losing their roles from their family and society,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is desperately demanded. Accordingly, we will examine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at are mostly prevailed among senior community facilities in our country, and contents like the following is cov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draw more attentions from the society. Thus, this research has selected the 152 people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3 towns selected by Andong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as the Rural Health and Longevity Vill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usages-phenomenon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by the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Before completion of the investigation tools of this research, we had performed the pre-survey based on 20 people as the models for a week from July 7th to July 14th of 2011. Through the pre-survey, we had analyzed the questions and investigated credibility, and based on the result, we had modified the questionnaires and took them to visit and performed the individual interview investigations when they visited the senior citizen center located in local area of Andong-Si from August 5th to August 30th of 2011. We hav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PC for Windows 10.0 Program, and we have gener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to understand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opular programs managed from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benefits that the centers provide for local elderly people, and joint-income work, and additionally, we also have executed x2 inspection, t-test, and ANOVA in order to study the general features of the research subjects, usages of the senior citizen centers, the problems in the center facilities, the centers’ leisure programs, the functions of the center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the activation policies of the centers. We have partially eliminated some data that were not answered. First, as for the gend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features of 152 research subjects, 38.8% were men and 61.2% were women, and as for the age distribution, 33.6% were less than 70 whereas 66.4% were higher than 70, and as for the educational background, 53.9% had no schooling, whereas 46.1% at least finished elementary school studies. As for the health condition, 36.8% mentioned their health condition was bad, 40.8% mentioned it was moderate, and 22.4% mentioned that they were healthy, and as for the form of living, 80.9% were either with their spouse or single, whereas 19.1% lived with family. As for the monthly allowance, 38.8% had less than 150,000 Won, 29.6% had between 150,000 ~200,000 Won and 31.6% had less than 200,000 ~ 300,000 Won. Second, the reasons for using the senior citizen centers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reflected notable differences based on factors lik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allowance, and it showed that a woman who had low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y, and received 150,000 ~ 200,000 Won for her income, had the high rate of using the center because “they can meet their friends”, whereas as for the men, they used the center for sharing hobbies, and playing games. As for the length of staying time in the center, most of them stayed less than 5 hours, and they either had their lunch at home, or just went home for lunch while they were in the centers. As for the method for eating lunch, those with monthly allowance of less than 150,000 Won had the highest rate of eating lunch at home followed by those with 200,000 to 300,000 Won, and then those with 150,000 to 200,000 Won, and we could understand that eating outside or at home depended on the monthly allowance and also that personal tastes were reflected a lot as well. As for the retirement satisfaction, it showed notable difference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 As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using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trait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good health condition were highly satisfied whereas women with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bad health condition had high degree of unsatisfaction. As for the degree of how much the centers helped the life after retirement, 62.5% mentio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 got better’, and 23.0% mentioned that they could ‘obtain information’, and 14.5% replied that they could ‘release tension with their family and have entertainment’. Overall, as the health condition got better, they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Third, the problems of the centers based on general features ranged from lack of financial support followed by inconvenience in using restroom facilities, narrow space, old facilities, lack of entertainment and leisure program, and lack of cookwares in order, and those who were older than 70 years old believed this to be much more serious than those who were under 70 years old, and this reflects that there are more people who are more than 70, who take advantage of the centers. Fourth,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leisure program of the centers, the result ranged from singing class followed by gate-ball, lectures health (exercise), lectures on general studies, and sports dance in order, and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features, men were more satisfied than women, and those with good health condition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with poor health condition. Among them, the most popular program was

      •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목표의 연계성 분석

        후자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science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science literac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ISA,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in Korea who have adequate science literacy has been constantly decreasing since 2000. It is considered that such a low science literacy is due to the lack of relevance in concepts between grade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objectives of biology lessons in the 7^(th) curriculum taugh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study, 7 major parts in each grade were analyzed including cell,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the form and function of animals, genetics, diversity, evolution, ecology and environment. The relevance map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s completed that re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s : The classes are in the vertical axis and the main concepts are in the horizontal ax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bout cells is not fully covered in lower grades including elementary schools. While the concept of energy metabolism is repeatedly covered, there is no concept of energy covered in learning the concept of energy metabolism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ve main concepts about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while those in high schools don't have any. The concept related to the part of the form and function of animals is repeatedly involved in the curriculum throughou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the concepts such as genetics and evolution are involved in higher grades since these concepts are abstract ones. The part of genetics and evolution as well as diversity has no connection between grades in schools, so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is necessary to relate these concepts with each other. Fourth, the 4 parts of diversity, ecology and environment, evolution, and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are covered in limited grade levels. In case of diversity and ecology and environment, th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contains only basic contents ,while in the Biology Ⅱ is more difficult ones in detail. The evolution part is covered only in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Some contents about the part of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is mainly involv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but in high schools there is almost no coverage about that part.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analysis in lesson goal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primary material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which lesson goal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out all grade leve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the textbooks considering the relevance in order to make sure the same concepts are not covered repeatedly and that the main concepts are involved in textbooks. Based on the materials from this relevance analysis, it is crucial to develop the innovative and standard relevance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al field for scien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