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각된 수학교사의 지도행동이 학생의 수학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 학습정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화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s and students' mathematical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ematics teachers' positive teaching behaviors have an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interest through mathematics learning affection. Second, mathematics teachers' positive teaching behaviors have an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athematics learning affection.

      •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고독감의 정도에 관한 조사 : 노인대학 프로그램 참가자를 중심으로

        김화신 명지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여가활동 특성에 따른 고독감의 정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통하여 노인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노인을 위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북구에 살고 있는 60세 이상의 125의 남녀노인 중에서 E복지관의 노인대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모든 대상자에게 질문지와 UCLA 고독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AS/PC^+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교육수준, 용돈 정도, 배우자 동거 유무, 동거자 수)에 따른 고독감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여가활동 특성(여가활동 유형, 만족감 정도, 참가 이유, 여가시간 규칙성, 참여 빈도, 참여시간)에 따른 고독감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여가활동 유형과 참가 이유에 따른 고독감의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on the level of loneliness through the leisure activity types of the old, and to provide evidences of eld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amples of this study was 125 male and female elders' above 60 years old who lived in Kang-buk, Seou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old at E Welfare center. Pa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at was modified by UCLA LS(Loneliness Scale) from all subjec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ized by SAS/PC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erms of loneliness to the populous-social characteristics-gender, educational course, income, spouse, living member. 2.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erms of loneliness to the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type, satisfaction level, attending reason, leisure time regulation, attending frequency, attending time. 3.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loneliness to the leisure activity type and attending reason.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김화신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흥부와 놀부>를 중심으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김 화 신 지도교수 : 안 희 은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화를 텍스트로 활용해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서, 보다 근본적인 한국인의 사고와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초가 되는 전통과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법으로 전래동화를 수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한국어 수업에 있어서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함께 한국인의 사고, 철학, 가치관 형성에 근간이 되는 전통관 관습에 대한 이해가 병행될 수 있음을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연구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전래동화가 수업의 텍스트로써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전래동화는 보편적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간결한 문체로 쓰였고 또한 사건의 구조가 간결해서 외국인 학습자에게 언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더불어 오랜 기간 회자된 이야기이기에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도 적합하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흥부와 놀부>가 위에 부합한다고 보고 텍스트로 선택했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전래동화 수록 현황 분석을 통하여 <흥부와 놀부>를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 언어의 기능적인 향상뿐만 아니라 전래동화가 구전문학이므로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와 가치관을 외국인 학생들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흥부와 놀부>를 실제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수준에 적합하고 언어의 기능적 측면과 한국의 전통적 사고와 관습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작품을 재구성한 텍스트를 사용했다. 수업 대상은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학습의 목표를 위한 다양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언어의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함께 한국의 문화 교육이라는 측면에서도 전래동화의 유용성을 밝히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을 수업에 활용한 후 그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점은 있지만 전래동화를 활용해서 언어의 기능적 향상과 한국의 문화에 대해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자료로써 전래동화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전래동화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 시에 전래동화가 가지고 있는 한국인의 사고와 가치관의 형성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고유의 전통과 관습을 이해하는데 이를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래동화의 특성을 잘 살리지 못하고 단순히 언어교육 자료로만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어의 의사소통 측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기대한다면, 전래동화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보다 근본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문화교육의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eaching Foreign Students by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Heungbu and Nolbu, as a Text Kim Hwa-shin Dept. of Teaching Korean a s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sin University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at using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as a text is an effective way not only to improve a Korean language capacity of foriegn students but also to help them understa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are based on Korean’s thought and attitudes. These a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of each chapter. In the first chapter, this study tries to prove that using the fairy tales is an effective way both to improve Korean language fluency and to comprehe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has built Korean’s thought, philosophies and attitudes by reviewing previous other studies. The second chapter is focused on whether the fairy tales are suitable for a textbook in class. It has a common theme, which utilize a simple structure of sentences and plots making it suitable as a textbook for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Heungbu and Nolbu is chosen as the textbook in this study. In chapter 3, when Heungbu and Nolbu is utilized for teaching Korean, it helps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values and thought because the fairy tales have been oral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In chapter 4, this study uses a revised textbook for a lecture in order to suit the literate ability of learners, to improve their language fluency and to comprehend traditional Korean values and customs. This study targets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suggests a variety of ways to achieve academic goal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efficient teaching-learning approaches to make the language skills and the cultural education of foreign students better. Although it is disappointing that these methods are not directly used in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the fairy tales could be a tool to enhance students language fluency and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Even if the fairy tales could be a useful way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s and customs which make up Korean’s fundamental thought and attitude, it is presently utilized just as a linguistic reference material in class. If the intention is to make foreign students’ Korean fluency higher, the approach must include traditional Korean fairy tales as a material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화신 서울신학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를 가진 가족 구성원을 돌보는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탐구하고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태체계적 관점, 가족기능 이론, 장애인복지 패러다임 등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요인인 장애유형, 장애등급, 일상생활 수행능력 정도와 가족기능 요인인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 그리고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인 주간보호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의 이용유무, 이용기간, 서비스 만족도 등이 주 양육자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 주 양육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다각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 개선에 있어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공식적·비공식적 요인인 가족기능성과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발달장애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발달장애인 가족요인인 가족기능성이 높을수록 주 양육자의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다. 셋째,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이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특성, 가족기능,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 등은 서로 위계적인 형태로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령기에서 성인기(만 7세에서 45세)까지의 포괄적 개념의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주 양육자이다. 표집은 경기도 지역에서 주간보호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 제공기관의 행정구역을 동·서·남·북으로 구분하여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주간보호센터, 특수학교, 부모회, 종교시설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사전조사와 본조사의 2단계를 걸쳐 2014년 11월 17일부터 2015년 1월 25일까지 총 548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가운데 299개의 설문지를 회수(54.6%)하였으며, 이 중 276개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사용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조사된 모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과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 간의 관계적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과정을 거쳐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의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IADL)이 높을수록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발달장애인의 장애등급, 장애유형 등은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실천현장과 가정에서는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기술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생활에 필요한 대중교통 이용하기, 취미여가활동하기 등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기술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 프로그램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가족기능성 요인인 가족응집성과 가족적응성 모두가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발달장애인의 가족기능에 있어서 가족의 의사결정이 잘 이루어지고 역할관계가 보다 융통성이 있을수록 더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은 당사자 중심의 개입뿐만 아니라 가족을 중심으로 한 실천적·정책적 차원의 개입으로 가족기능향상을 지지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 가운데 주간보호서비스 만족도와 활동지원서비스 이용경험, 이용기간, 서비스 만족도는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주간보호서비스 이용경험, 이용기간은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원서비스의 양적 증진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 마련 또한 필요할 것이다. 넷째, 발달장애인의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지원서비스 요인을 위계적인 형태로 투입한 모형은 모두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조건을 충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본 연구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바탕을 둔 연구모형에서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면 우선 개인·가족·사회적 차원의 지원이 서로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요구된다. 향후 발달장애인의 유형 및 등급,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대한 연구에 있어 개인-가족-사회와 같은 위계적 형태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별로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상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figure out ways of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ese study goals,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various theories covering ecological systems theory, family function model, and paradigm shift for the welfar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Specifically, the study seeks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main caregivers, by empirically examining if disability type and grad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personal facto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as family function factors, and day care service and experience, use experienc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support services as social support service factors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main caregivers, given clinical implications of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services a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as well as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ich are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this en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raised: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ir main caregiver. Second, higher level of family functionality as a family factor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result in a higher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Third, social support services will have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Fourth,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function, and social support service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ill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in a hierarchical manner.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are main caregiv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school ages and adults (between 7 and 45 of age) in a comprehensive concept. Data was collected from welfare centers,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special schools, parents’ associations, and religious facilities by dividing administrative districts of daycare service and activity aid and support service providers in Gyeonggi province into four directions: east, west, south, and north.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in two stages -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from Nov. 17, 2014 throughout Jan. 25, 2015, and a total of 548 questionnaire forms were distributed, of which 299 were collected (54.6%). For the final analysis, 276 copies were used in the following analytic techniques: first,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Second,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all the characteristics surveyed.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examine relational patter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below: first, a higher lev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led to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whereas disability grades and types had no impact. Therefore,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to implement various program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not only basic daily living skills but also instrumental daily living skills needed to lead a life practically such as using public transportations and enjoying hobbies or leisure activities. Second, both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as family func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In other words, regarding the family function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en their family makes decisions favorably and their role relations are more flexible, the main caregiver's life quality is influenced more greatly. Accordingly, both official and non-official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family function not just through the interventions of the persons concerned themselves but also through practical and political interventions centering around the families. Third, among social support service factors, day care service satisfaction, use experience, period and service satisfaction of activity aid and support services affected positively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while daycare service use and period appeared to have no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main caregiv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actical and political measures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social support services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Fourth, in the model using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and social support services factor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 hierarchical manner, the factors were found to meet conditions in a significant level, which means that the factors are hierarchical each other.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life quality in the main caregiver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 a study model grounded on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to improve the main caregiver's life quality, study suggests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n organic and integrated way above all. Lastly, for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mploy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o life quality in the main caregiver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f follow-up research is intended to deal with the types or grade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or their basic daily living skills, it should conduct analysis hierarchically, f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