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e Ufervegetation eines Flieβgewassers in Abhangigkeit vom Ausbau mit unterschiedlichen Materialien -Ein Beltrag zum Renaturierungsproblem : 김혜주

        김혜주 Technische Univ. Berlin 1996 해외박사

        RANK : 247647

        논문의 목적은 브란데브르크의 남쪽에 있는 주로 농업용으로 이용하는 Niep litz 강변 식생과 강 개발에 사용된 재료 (생명력이 없는 나뭇단, 자갈, 생명 력이 있는 것과 생명력이 없는 재료와 복합한 방법들)에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전체의 강변 (53km)을 강 개발에 사용된 재료에 따라 5가 지로 구별하였다. 식생조사에 이용한 방법은 Transekt와 Frequenz이고 식생 조사는 물속, 물의 영향력이 강한 구역, 물의 영향력이 적은 구역을 따로 나 누어 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얻은 자료는 식물학적, 식물분류학적, 생태 학적인 측면에서 양적, 질적인 평가를 하였고 조사구역간을 서로 비교하였다. 이의 평가시에는 또한 강의 흐름이나, 수량 등도 참고하였다. 강 개발을 하지 않은 구역의 강변식물류는 강 개발을 한 구역들에 비해서 식생류가 적었으나 식생류가 동일군인 Alno-ulmion에 속한다. 생태적인 환경 분석의 결과는 강 개발을 하지 않은 구역은 토양의 양분이 적고 거의 인간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자갈을 이용해서 강 개발한 구역은 가장 식생류가 많았고 토양은 질소를 많 이 함유하고 대신 습기가 가장 적음을 나타냈다. 이곳에는 물의 접근이 많은 곳이나 물의 접근이 적은 곳이나 모두 질소를 좋아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류 (nitrophile Stauden)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생명력이 없는 나뭇단을 이 용한 강개발 구역에 물의 접근이 강한 곳은 전형적인 강변식물인 갈대류 (Roe hrich-와 Grosseggengesellschaften)가 번성했고 물의 접근이 적은 곳에는 Wirtschaftsgrunland, Quecken-Pionierrasen)이 자라고 있었다. 물의 접근이 적은 곳의 강 개발지역에는 대부분의 일년생 식물류와 인간의 영향력을 강하게 나타내는 많은 수의 표시식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런 현 상은 특히 자갈을 이용한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물가의 접근이 적 은 곳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생명력이 없는 나뭇단을 이용해서 강 개발 을 한 구역은 물의 접근이 흔한 곳에 재료의 수명이 짧은 관계로 자갈을 이용 한 경우보다 사면의 파괴를 흔히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test of two computational systems for supporting set-based concurrent engineering. They address two problems: 1) to formally represent and manipulate sets of shapes and 2) to automatically synthesize flexible fixure workspaces for a set of stampings. First, there are two approaches to designing products. One is to determine one design quickly and then make iterative changes to it. The other is to define a set of design altenatives in the beginning and to narrow the set as design proceeds. Forexample, Toyota informally employs the second approach by using many scaled clay models for exploring a design space, "design tolerances" for representing uncertainties,and "lessons-learned books" for representing manufacturable shapes. However, Toyota'sinformal approach relies on humans to imagine and interpret design spaces, and therefore it is inefficient and can cause mis understandings. Thus, this thesis presents a set-based design system for shapes that enables product development team membrs to formaIlyrepresent and manipulate seB of shapes using a computer. This system has been appIied to designing stampings, and evaluated to be capable of representing most manufacturing requimments in stamping design handbooks. Second, fixtures are used to position and hold stampings for assembly. These fixtures conventionally have been dedicated and therefore they must be replaced whenever there are model changes. In recent years, however, auto companiesincreasingly use flexible fixtures, which Me composed of robots as programnlable fixture elements so that they can be reprogrammed for dlfferent stampings rather than beingreplaced. when designing flexible fixtures, fixture designers must be concerned with notonly fixturing of one stamping but also fixture workspaces for a set of stampings.However, existing fixture design methods address fixturing of one stamping only. Thus this thesis presents a system to synthe size flexible fixture workspaces for a set ofstampings. Based on circular workspaces for flexible fixture robots, this system finds optimal robot workspaces and their centers on the fixture plate and provides a graphical display for visual checking. This system has been tested with lab data and is effectivebecause ofiB simplicity and short run time.

      • 온라인 사이트(OTA, 소셜커머스)를 통한 숙박상품 구매자의 구매결정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절 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온라인 사이트(OTA, 소셜커머스)에서 숙박상품 구매 시 소비자가 직접 경험하는 구매결정요인들이 숙박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조절 초점 중 향상 초점을 향상 초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향상 초점에 따라 구매결정요인과 구매의도 영향 관계에 어떠한 차이와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온라인을 통해 숙박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마케팅 방향성과 경영 전략을 수립함에 있어 본 연구는 고객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에 기여하고, 고객의 지속적인 숙박상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여 그에 따른 전략을 실행하여 매출 및 이익 창출에 도움을 주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한 설문 도구를 가지고 최근 1년 내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숙박상품을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유효표본 총 316부를 실증 분석에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자료의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을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22.0와 LIMDEP 8.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적 특성을 위한 빈도분석, 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연구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및 우도비율검정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구매결정요인은 ‘신뢰성’, ‘유희성’, ‘편리성’, ‘가격 저렴성’, ‘경제적 이익’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조절 초점은 ‘향상 초점’, ‘조절 초점’의 2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구매의도는 단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한 숙박상품의 결정요인과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에서 향상 초점(높은 집단/낮은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도비율검정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향상 초점은 두 집단 간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결정요인과 구매의도의 영향 관계에서 구매결정요인의 5가지 선택속성 중 ‘유희성’, ‘편리성’, ‘가격 저렴성’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제적 이익’은 향상 초점이 낮은 집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신뢰성’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숙박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구매자들의 구매결정요인뿐만 아니라 조절 초점까지 고려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김혜주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기 여성의 위기와 같은 우울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것의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우울장애를 진단받은 53세 중년여성이다. 사례는 2021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주 1~2회 90분간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을 위한 미술치료의 목표는 우울장애를 가진 참여자가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여 정서를 조절함과 동시에 자아를 강화하여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 사고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매 회기 녹음파일과 심층 면담, 이를 전사한 텍스트, 회기별 미술작품 이미지, 연구자의 임상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심층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회기 내에서 연구 참여자의 언어표현과 행동관찰을 분석하여 문서로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미술치료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회기별 내용 분석을 토대로 전사한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정독하여 참여자의 미술적, 언어적 표현에 대해 유의미한 의미를 범주화하여 의미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미술치료 경험과 의미의 범주는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한 마음으로 여행을 떠남>, <컴컴한 터널 속으로 기꺼이 들어감>, <터널을 뚫고 불빛을 발견>, <발걸음 마다 등불을 밝히며 걸음>, <변화의 뿌리를 내림>, <변화를 꿈꾸는 나를 어루만짐>, <다시 오는 봄에 한송이의 꽃을 피움>, <나비가 날아와 춤으로 인사함>의 8개의 상위주제와 19개의 하위주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이 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건강한 애도 과정에서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함으로써 감정의 균형을 회복하고 자신의 성장과 더불어 남은 삶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불러와 인지의 재구성이 일어났다. 또한 미술을 통한 감정의 내면을 시각적 구체화하여 사별의 중재요소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혼돈되고 갈등적인 감정들을 작품을 통해 직면할 수 있게 되면서 자녀들을 향한 모성성과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희망적으로 표현하여 심적 강화를 이뤄나갈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는 인생의 경험을 감각적인 매체와 상징적인 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과거 경험과 내부가 투사된 작품을 통해 창조적 기능을 촉진시키고 의식적으로 연결하는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자기 탐색과 통찰을 촉진시켜 자신의 내면 안의 치유적인 힘을 발휘하여 자신에 대한 존중감과 가치감을 확립하게 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어려움과 갈등상황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문제해결 방법을 취하며 자신 안에 스스로 다룰 수 있는 잠재성이 발견되어 문제해결에 현실적인 선택과 대응을 할 수 있었고, 자신만의 새로운 자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과거의 힘들었던 외상 경험을 긍정적 자원으로 삼아 적극적인 삶의 태도로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희망으로 마주하는 변화의 잠재력을 발휘하는 힘을 갖도록 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자녀사별을 경험한 중년여성의 우울에 대한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감정의 균형을 회복하고 사별의 중재요소를 이해하여 자녀들을 향한 모성성을 향상시켰으며, 정서적, 인지적 변화와 확장을 이루어 긍정적인 자기상을 형성하고, 우울이 감소되어 적극적인 삶의 태도로 미래의 희망을 고취하는 잠재력과 심리적 정서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미술치료를 활용한 다양한 경험의 연구사례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depth what middle-aged women experiencing depression such as the crisis of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child bereavement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is.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what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3-year-old middle-aged women diagnosed with depression disorder. In the case of the case, from November 2021 to April 2022, a total of 20 art treatment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April 2022. The goal of art therapy for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child bereavement is to control emotions by allowing participants with depression disord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and to convert negative thoughts into positive though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corded files in each session, text transcribed to them, images of artworks by session, and clinical journals of researchers. 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in-depth data, the language expression and behavioral observa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within the session were analyzed and transcribed into documents. Data analysis explore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art therapy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the meaning by categorizing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artistic and linguistic expressions by repeatedly reading the transcribed vocabulary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by ses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category of art therapy experience and meaning of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child bereavement <I went on a trip to find my true self>, <willingness to enter a dark tunnel>, <Found a light through the tunnel>, <walking with lights lit at every step>, <the roots of change>, <Touching me who dreams of change>, <Butterflies fly in and greet each other with dance>were classified into 8 top topics and 19 sub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n what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child bereavement experienced in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covered their emotional balance by exploring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healthy mourning and brought about changes in attitudes toward the rest of their lives, resulting in cognitive reconstruc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diating elements of bereavement by visualizing emotions through art, confused and conflicting emotions could be faced through works, and mental reinforcement was achieved by expressing motherhood for children and possibility for the future. Second, participants were able to form a positive self-image through their past experiences and experiences that promote creative functions and consciously connect them through works projected inside by expressing life experiences as sensuous media and symbolic works. This experience promoted self-exploration and insight, demonstrating the healing power within oneself, and establishing a sense of respect and value for oneself. Third, through the art therapy process, participants were able to take various perspectives and problem-solving methods on their difficulties and conflict situations and find the potential to deal with themselves, making realistic choices and responses to problem-solving, and forming their own new resources. In addition, using the difficult trauma experience of the past as a positive resource, it was made to have the power to exert the potential of change in facing the possibility of the future with hope with an active attitude of life. In summary, through the art therapy process for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child bereavement, it restored the balance of emotions, improved motherhood toward children by understanding the mediating factors of bereavement, formed a positive self-image, and reduced depression.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cases of various experiences using art therapy will be actively conducted.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발달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혜주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모바일 시장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 중독보다 두 배정도 중독성이 강하고 컴퓨터보다 접근성이 뛰어난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이 생활의 중요한 미디어가 된 현실 속에서 특히 청소년들의 과도한 이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연구자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이 같은 중독현상이 실질적으로 청소년의 사회성발달과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검증을 위하여 광주, 전남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 학생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중 스마트폰 소지자 267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여부와 함께 청소년기의 사회성발달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초등학생보다는 중고생이,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중독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은 SNS 기능을 통해 다른 사람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회성발달에 부정적 영향만 주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성발달 보다 학교적응 면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사용의 장점을 살리고 중독으로 인해 부작용을 최소하기위해서는 학교, 가정 그리고 이용자 등 3주체가 각자의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제언으로서 먼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심각성에 대해 정부당국과 학교 그리고 학부모들의 충분한 인식과 공유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와 적절한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하며, 학교에서는 정확한 실태조사와 함께 상담체계를 만들어서 학생들의 바람직한 스마트폰 이용을 위한 적극적 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가정 내에서는, 특히 부모들이 자녀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방법 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충분한 대화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스마트폰 과다이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학교와 가정에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합리적인 중재와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 학생들 스스로 유용한 사용방법과 습관의 생활화가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 첩경일 것이다. Recently, smart phones are being popularized quickly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mobile market. Smart phones are very addictive - with more than double the addictiveness of the Internet - and have a better accessibility than computers. In a reality where smart phones have become an important media in our life, there is an active discussion on the excessive usage of smart phones especially among adolescents. Considering such a realit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furthermore, intensively examined its practical influence on adolescents' sociality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For the empir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344 students attending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Province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Among them, the answers of 267 students who have smart phones were analyzed to examine smart phone addiction and its influence on sociality development and school adaptation during adolescence.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ly, smart phone addiction was more serious in girls than in boys, in older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elementary students, and as one used smart phone for a longer time. Secondly, it was confirmed that smart phones do not have negative influence only on sociality development as they have the merits of helping easy communication with others through SNS function. Thirdly, it was shown that smart phone addiction has more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than on sociality development. The three partakers of the school, home, and the user must play their due roles well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rength of using smart phones and minimize the side effects caused by addiction. Therefore, for the correct usage of smart phones, government authorities, schools, and parents will have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adolescents' smart phone addition and share it before anything else.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conduct systematic researches and develop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smart phone addiction. Schools need to conduct accurate researches on the actual condition and make the system of counseling for active education of the students on desirable usage of smart phones. At homes, parents have to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s correct usage of smart phones through enough conversation and monitoring to closely cooperate with the government and schools for the prevention of the side effects due to excessive usage of smart phones. In this way, if the government, schools, and homes can work well together for reasonable intervention and education on the correct usage of smart phones, it will be the shortcut to preventing smart phone addiction.

      •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연구

        김혜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ne through with elderlies in Dementia Center after getting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This study focuses on the vivid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had in Dementia Center’s art therapy field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s.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students who will be participating the field practice in the future and encourage them to understand and get prepared for the field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he “How is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tha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o through in Dementia Center and what’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provided in-depth interview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7 graduate students in master’s course who had experience of art therapy practice in Dementia Center. This study conducted 1:1 in-dept interview from August 2018 to October 2018 and collected the necessary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and this study derived research results with 7 essential topics and 18 sub-topic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Learn by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on actual field practice〉, 〈Try to express passion and getting controlled by the center environment〉, 〈Embarrassment and regret from having less life experience than elderly with dementia〉, 〈Dejected and desolate feeling from lack of understanding by elderly with dementia〉, 〈Consideration on art 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Finding therapeutic factor from art 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Learning responsibility and patience from art therapy with elderly with dementia who slowly changed〉 By integrating the research results, writings, and various phenomenological data collected by the researcher, this study came up with following results for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t Dementia Center. First,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participated in field practice only with theoretical knowledge without empirical understanding on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theory in actual field, the graduate students learned by trials and errors. Secondly,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deeply thought about what type of art therapy is practically needed for elderly with dementia involving functional reduction and considered about qualification of art therapist. In such processes, th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anded their concept of art therapy. Thir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explored their countertransference through field practice with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 exploratio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grew as an art therapy major and as a human being. The research results make contribution to art therapy as follows. This study clarified the meaning with vivid words from graduate students who had field practice at Dementia Center. Thus,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information for other art therapy majors and it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 for reducing the trials and error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experiences that graduate students approached and tried in various ways for elderly with dementia receiving the art therapy at Dementia Cente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heoretical research on art psychotherapy for elderly with dementia. Lastly, the suggestions follow-up research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is study did not consider about the diversity of graduate school, the research participants’ super vision experience and training intensity were similar. Secondly, since this study covered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at Dementia Center among the institutes for elderly with dementia,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up researches focusing on other institutes. Third, this study did not divide the roles of research participants. Thus, the follow-up researches should cover the field practice experiencing by fixing the role as main therapist and assistant therapist. 본 연구는 경증치매를 진단받고 치매안심센터에 다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들의 경험이 어떠했는지, 실습생들의 생생한 체험에 집중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체험이 어떠하며,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추후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준비하게 될 실습생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준비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 심층적인 면담을 제공한 연구 참여자는 국내 대학원에 개설된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으로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이 있는 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2개의 하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머리로 습득한 지식을 현장실습에서 몸으로 부딪히며 체화함〉, 〈센터의 환경에 좌지우지되는 내 열정을 최대한 발휘하려고 노력함〉, 〈치매노인보다 부족한 인생 경험에서 온 난감함과 후회스러움〉, 〈치매노인의 이해부족이 불러온 허탈함과 막막함〉, 〈치매노인만을 위한 미술치료를 고민하고 찾아감〉,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발견함〉, 〈느리지만 변화하는 치매노인과의 미술치료에서 책임감과 기다림을 배움〉 이와 같은 연구 결과와 글쓰기, 연구자가 수집한 다양한 현상학적 자료들을 통합하여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치매노인에 대한 경험적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이론적 지식만을 가지고 현장실습을 나가며 실습에 이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론적 지식을 체화한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기능이 퇴화된 치매노인들에게 정말 필요한 미술치료가 무엇인지와 미술치료사의 자질에 대해 고민하고, 미술치료의 개념이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셋째, 미술치료 석사전공생은 치매노인과의 실습경험을 통해 자신의 역전이를 탐색하며 미술치료 전공생으로서의 성장과 동시에 인간적인 성장도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나간 실습생들의 생생한 언어로 구체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실습생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실습생들이 치매안심센터에서 미술치료를 받는 치매노인들을 위해 미술치료를 시행하며 다양하게 접근하고 시도한 체험을 탐구하여 미술심리치료의 치매노인관련 이론적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학원의 다양성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슈퍼비전 경험 및 임상실습 훈련 강도가 유사한 것이 제한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치매노인 중심 기관 중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현장실습 체험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다른 기관 유형에 따른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의 참여자는 실습생 역할에 대한 구분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 참여자들의 역할이 주, 보조로 고정되어 있는 실습 경험을 다룬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통합예술교육 사례 분석 및 효과 연구 : 「2015년 생생(生生)문화재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김혜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통합예술교육 사례 분석 및 효과 연구 - 「2015년 생생(生生)문화재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 최근 우리나라는 과정중심 예술체험의 교육적 효과가 인식됨에 따라서 예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통합예술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문화재 가치교육 및 인식변화를 목적으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문화재청 공모사업인「2015년 생생(生生)문화재 사업」에 적용하여 총 245명의 참여자에게 2015년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는 혼합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자료의 처리는 첫째, 통합예술교육의 평가기준 및 특징에 따라 설계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설계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단계별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문화재 가치교육 및 인식변화를 위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참여자 100명을 의도적 표집하고 Likert식 5점 척도 설문을 실시하고 해당교육의 재참여 의향 등을 물었다. 이후 그 결과를 SPSS 16.0 프로그램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에 적용된 통합예술교육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이 자료를 처리 및 분석한 결과 연구에 적용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설계과정과 그 특징이 통합예술교육의 평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단계별 적용결과 “애국심과 애향심이 생겨났다.”등의 참여자 반응을 통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한 효과분석 결과,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는 응답의 평균이 4.88로 가장 높았다. 또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행사에 대한 안내와 해설이 적절했다.”는 응답의 평균이 4.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통합예술교육은 문화재 가치교육 및 인식변화를 위하여 설계 및 적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참여자들의 예술 체험 제공 및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개인적 효과와 지역애 고취 및 감성적 연대감 함양이라는 사회적 효과를 일으킨다. 예술을 활용한 통합적 교육이 주로 음악과 미술에서 이루어지는 사례 분석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추후 연극중심의 통합예술교육이 보다 활발해지기 바라며 나아가 단순히 예술 교과간의 통합이 아닌 여러 학문분야간의 통합적 시도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주요어: 통합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연극. 사례 분석. 효과 연구. A Case Study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Its Effectivenes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s Project of Saeng Saeng".- Kim, Hye Joo Dept. of Theatre and Cinematic Study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Recently,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have been taking place in Art Education. Along with many recent changes in art education that value play and process, the need for integrated arts education becomes a necessity. This study shows an example of an integrated arts education conducted by myself as a researcher and a guide who developed the program called 'Guemo mountain, Ask a way to Yaeun', which was one of events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s Project of Saeng Saeng('alive' in Korean) Cultural Assets". From July to November 31, 2015,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way of mixed method approach. With two hundred forty five participants, I, firstly, tried to narrow down and categorize for evaluation in each sections. Secondly, I surveyed participants for possibility of a practical launching for the program in the future. Thirdly, I selected a hundred participants on the purpose for interview to see if they would like to return this program by ranking of 1 to 5 points in Likert method. In this way, I was able to analyze SPSS 16.0 programs to evaluate for practical enforcement of the program on daily bases both on schools and local places. The result of the integrated arts education program was that local residents were inspired by the experience of using theatrical work to promot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Moreover, all these art eduction activities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program which was laid out for the weekend leisure culture. The most highest rate points of survey, which was 4.88 points of question, "My interest rate of cultural heritages has been increased", simply referring to the participa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ntents in the art education curriculums, which along with the questions of "This program is well made to explain our cultural heritages", which is 4.94 points. Hopefully, if the format of what I have done in Saeng Saeng Cultural Assets applies to other cultural education programs, it will be likely to be a new eco-friendly and experimental art education format in Korean's art education business. keyword: Integrated Arts Education. Culture & Arts Education. Theatre. Case Studies. Effectiveness.

      • 뉴모로픽 디바이스를 위한 2차원 전자층을 활용한 전도성브릿지메모리

        김혜주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공지능과 빅 데이터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병렬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다양한 슈퍼 컴퓨터가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슈퍼 컴퓨터는 연산이 기존 폰 노이만 구조에서 이루어져서 병목현상으로 인한 막대한 전력소모와 방대한시스템이 수반된다. 따라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폰 노이만 구조를 벗어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하드웨어 및 아키텍처를 통해 저전력 소형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뉴로모픽 소자는 아날로그적 전도도 변화와 전도도 변화의 대칭성 및 선형성, 32개 이상의 multi-level 특성, 10년 이상의 retention, 높은 내구성, 우수한 산포 등이 요구된다. 현재 PRAM, RRAM, CBRAM 등의 차세대 메모리를 통해 뉴로모픽 소자를 구현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RRAM과 CBRAM은 큰 산포와 endurance의 한계가 있고 PRAM은 비대칭 스위칭(점진적인 셋과 급격한 리셋)과 전도성이동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팀은 기존에 연구한 Cu/Ti/Al2O3/TiO2 CBRAM의 우수한 산포와 multi-level 특성을 뉴로모픽 소자로의 큰 가능성으로 보아 Cu/Ti/Al2O3/TiO2 CBRAM을 뉴로모픽 소자로서 연구하였다. 뉴로모픽 소자의 가장 기본적이면서 핵심 특징인 아날로그적 전도도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에도 가소성 특성을 관측하여 뉴로모픽 소자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았다. 게다가 유연한 소자로 제작하여 유연한 뉴로모픽 Recently, big power consumption of existing computing is emerging as a major issue. Neuromorphic device is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s owing to low power consumption. We studied neuromorphic characteristics of CBRAM. In previous study, Cu/Ti/Al2O3/TiO2 CBRAM showed high uniform resistive switching and multi-level characteristic. It seemed possible that this will be applied to the neuromorphic device. Through this research, it exhibits analog conductance change and plasticity. Therefore, Cu/Ti/Al2O3/TiO2 CBRAM can be appropriate in neuromorphic application. Moreover, Its fabrication scheme allows us flexible applications. We also confirmed possibility of Ag/Ti/Al2O3/TiO2 CBRAM as neuromorphic device. Ag/Ti/Al2O3/TiO2 CBRAM has high uniform switching characteristic, good endurance and multi-level characteristic. Furthermore, this showed forgetting property.

      • 배추 품종별 chlorophyll 및 carotenoid 함량 비교 분석

        김혜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examined from a Chiifu inbred line and 6 varieties purchased from different seed companies, which were grown i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Leaves harvested plants grown in the chemical fertilizer-supplied soil contained more chlorophyll and carotenoid than those grown in organic fertilizer-supplied soil. The contents of two pigments in fully matured plants (harvested 77 days after sow) were higher than in plants harvested on 45 days after sow. The rate of increase in the contents was more dramatic in the case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than in the chemical one. In a plant harvested on 77 days after sow, the outer leaves contained more pigments than leaves of the middle layer or inner layer.

      •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김혜주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제목: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의 우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충북도내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또는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165명과 남성노인 160명으로 총 325명이었다. 자료수집도구는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순형(GDSSF-K)등이 포함된 구조화된 설문지였으며, 훈련된 연구보조원 3명이 1:1 개별면접 방식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서술적 분석, t-test, ANOVA, pearson's r,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인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평균연령, 종교, ADL 및 IADL 수행능력에서는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에 비해 교육정도가 더 높았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도 더 좋았다. 그리고 진단을 받은 만성질환 개수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둘째,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우울 정도는 여성노인이 4.90(±3.92)점, 남성노인 4.88(±3.93)점으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및 남성노인의 특성 중 우울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개인체계특성에서 만성질환 개수, 주관적 건강상태, ADL 및 IADL 수행능력, 주관적 경제 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죽음태도, 그리고 스트레스가 두 집단 모두에게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여성노인에게만 유의미한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남성노인에게만 차이의 경향이 나타난 요인이었다. 가족체계 특성에서는 가족지지, 그리고 지역사회체계 특성에서는 이웃지지와 친구지지 또한 여성 및 남성노인 모두에서 우울의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 경제만족도, 자아존중감, 이웃지지 였으며, 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51.7%였다. 그리고 남성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삶의 만족도였으며, 이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5.0%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 나타난 우울 영향 요인의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노인우울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