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골 구조물의 자동 자기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보를 중심으로

        김현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의 구조물은 사용기간 동안 끊임없이 반복되는 하중변화와 구조부재의 노후화에 의해 점차적으로 그 기능 및 성능이 상실되며, 심지어는 인명과 재산권을 위협하는 대형 붕괴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 많은 건축물들이 지진, 태풍, 홍수 등 예상하지 못하였던 환경변화로 인하여 구조적인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잔존수명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붕괴될 위험을 가질수 있다 최근 들어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함으로 구조물의 취약부위에 발생하는 일련의 현상을 계측, 평가, 통합, 대응과정을 통합한 상황실 운영의 시설물 안전관리가 과학화 되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 추세의 대표적인 방법이 구조물에 이상 발생 전에 경고해주는 자동 자기 진단 시스템이다. 자동 자기 진단 센서는 손상 및 탈락 시 보정할 수 있어야 하고 센서의 경제적 설계를 해야 한다. 자동 자기 진단 되는 구조물은 사용성 한계상태와 강도 한계상태 중 먼저 도달하는 곳에서 제어 되어야 한다. 본 가상실험에서 변형률계와 변위계의 관계를 이용하여 두 센서간의 보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값은 정확했다. 가상실험결과 구조물은 사용성 한계보다 강도 한계상태에 먼저 도달했으며 1, 2, 3차 경고를 LED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고 3차 경고시 경고음이 발생하였다. 시간에 따른 각각 센서에서 계측된 변형률, 변위, 모멘트를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과거의 이력을 저장/분석할 수 있다.

      • 불용성 산화전극(DSA)을 이용한 질산성 질소(NO3-N) 전기환원 특성

        김현상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nitrogen emission regulations are strengthened, interest in removing nitric nitrogen is increasing. Since electrochemical treatment technology converts nitrate into nitrogen gas and emits it to the atmosphere, it has recently received more attention. but,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lectrode must be replaced due to the consumption of the electrode. To compensate for electrode consumption, Researh on using DSA, a non-soluble electrode, to remove nitrogen was performed and the effect of each operation factor for efficient nitrogen removal was investigated. First, brass showed the highest total nitrogen removal rat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nitrogen removal rate using various electrodes to select the optimal cathode. The effect of operating factors such as conductivity, current density, electrolyte composition, electrode specific surface area, etc. on electroreduction of nitrate was investigated,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current density and electrode specific surface area. During the electroreduction reaction, As nitrate first decreased, ammonia nitrogen increased and after the nitrate decreased to about 10 mg/L, the ammonia nitrogen began to decrease. However, it decreased only to about 20~30 mg/L and no more decreased, and the total nitrogen removal rate was about 70%. The addition of NaCl removed ammonia nitrogen effectively, which increased the total nitrogen removal rate by about 20%, but the excessive NaCl input rather hindered the reduction of nitric nitrogen, reducing the total nitrogen removal rate. As a result of continuous flow test for 50 hours using CSTR type reactor, when HRT is operated 1.5 times the HRT of batch test, the total nitrogen (T-N) removal result such as batch test can be obtained. Since there are various ions other than nitrate in the actual wastewater,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 of the target wastewater and study the demonstration facilities for the actual process application. 질소의 배출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질산성 질소(NO3-N)의 제거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기화학적 처리기술은 질산성 질소(NO3-N)를 질소가스로 전환시켜 대기중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최근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전극의 소모로 전극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전극 소모를 보완하기 위해 불용성 전극인 DSA를 이용하여 질소를 제거하였으며, 효율적인 질소 제거를 위한 운전 인자별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의 cathode를 선정하기 위해 다양한 전극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Brass가 총 질소(T-N)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도도, 전류밀도, 전해질 조성, 전극비표면적 등의 운전인자가 질산성 질소 전기환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운전인자는 전류밀도와 전극비표면적이었다. 전기환원 반응시 질산성 질소가 먼저 감소하면서 암모니아성 질소가 증가하고, 질산성 질소가 약 10 mg/L까지 감소한 후엔 암모니아성 질소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약 20~30 mg/L까지만 감소하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지 않았고, 총 질소 제거율은 약 70%였다. NaCl을 투입하면 암모니아성 질소가 제거되어 총 질소 제거율을 약 20% 더 높일 수 있었으나, 과도한 NaCl의 투입은 오히려 질산성 질소의 환원을 방해하여 총 질소 제거율을 감소시켰다. CSTR식으로 50시간 연속 처리 실험을 수행한 결과, HRT를 batch test의 HRT의 1.5배로 운전시 batch test와 같은 총 질소(T-N) 제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제 폐수에는 질산성 질소(NO3-N) 외 다양한 이온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 공정 적용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상폐수의 최적 운전조건 도출 및 실증 설비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곰피와 우뭇가사리 첨가수준이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과 미생물성장량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현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cklonia stolonifera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rates and methane emission.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ow in a cannula specimen at a 6:4 ratio with timothy and concentrated feed.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were mixed at a ratio of 2:1, and 75 ml of the mixture solution was dispensed into a 125 ml serum bottle, and 1 g of timothy was used as a substrate. The Ecklonia stolonifera were treated with 1, 3, 5% of the substrate. And fermentation time is 3, 12, 24, 48 and 72 h at 120 rpm in a Shaking incubator maintained at 39℃. The pH values measured wer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ments with control during whole incubation times. The microbial growth rates w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ments and control except 5% treatment in 48 h. The total gas production was did not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ments and control until 12 h, and 5% treatmen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control after 12 h.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 on 3h than in the control.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did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ce (p<0.05)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Hydrogen emission w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ments and control except 3, 5% treatment in 3 h. Total VFA concentrat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all treatment than in control on 48 h. Acetic acid concentrat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all treatment than in control on 48h. Propionic acid wa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05) between treatments and control. Butyric acid concentrate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all treatment than control. In conclusion, the Ecklonia stolonifera was shown to not effect of in vitro rumen ferment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lidium amansii on the in vitro rumen fermentation, microbial growth rates and methane emission.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ow in a cannula specimen at a 6:4 ratio with timothy and concentrated feed. McDougall's buffer and rumen fluid were mixed at a ratio of 2:1, and 75 ml of the mixture solution was dispensed into a 125 ml serum bottle, and 1 g of timothy was used as a substrate. The Gelidium amansii were treated with 1, 3, 5% of the substrate. And fermentation time is 3, 12, 24, 48 and 72 h at 120 rpm in a Shaking incubator maintained at 39℃. The pH values measured were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3, 5% treatment for 12 h than in control and all treatments after 12 h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in control. Microbial growth rat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5% treatment than in control on 12, 48, 72 h. Total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all treatments than in control on 12, 72 h.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3, 5% treatment at 3 h than in control. Carbon dioxide production was no significantly (p<0.05)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nd control. Hydrogen emissio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 treatment at 12 h and 1% treatments at 24 h than in control. Total VFA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s than in control except 24 h. Acetic acid concent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s than in control except 24 h. Propionic acid concent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5% treatment than in control from 24 h to 72 h. The Gelidium amansii was shown to not effect of in vitro rumen fermentation. But on the early fermentation time decrease methane emission.

      • 연속류도로 합류영향구간에서의 시공간적 교통특성 변화 연구

        김현상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속류도로 합류영향구간에서는 본선과 다른 교통특성을 가진 연결로교통류의 합류로 차로변경 및 가감속과 같은 차량간의 불규칙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교통류의 변화가 야기된다. 교통류의 변화란 속도, 밀도의 변화뿐만 아니라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모형식도 달라짐을 말한다. 이로 인하여 합류영향구간은 연속류도로에서 소통능력이 낮고, 사고위험이 높은 구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류영향구간에서 연속된 시․공간 자료에 근거하여, 본선과 연결로의 교통특성에 따른 합류영향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합류교통류 운영 및 관리방안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또는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합류영향에 의한 교통류 난류현상 분석결과, 운행상태에 따라 상류100m∼하류400m 범위 내에서 난류발생 구간 및 심각도가 변화하였으며, 상류구간, 합류구간, 하류구간 별로 자유속도(상수)와 혼잡밀도가 서로 다른 속도-밀도 모형을 나타내었다. 또한, 합류구간 시점부의 시계열 교통특성 자료를 이용하여 종점부의 속도, 밀도 변화를 단기예측 한 결과, 60초의 분석 단위로 속도변화를 예측하는 오차수정모형이 시계열 변수의 안정성 및 설명력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연속류도로 합류구간에서 합류의 영향으로 교통류가 변화하는 형태를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로서, 합류영향구간에서의 교통류 모형과 이론을 심화 발전시키는데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합류교통류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특성을 세밀하게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정밀한 교통관리기법을 도출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ctions having the influence of merging in an uninterrupted facility create irregular interaction between vehicles, such as lane chang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ince merging traffic from on-ramp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main lane. Here, the change of traffic flow means not only speed and density change but also the change of corresponding flow model equation. Thus, the merging influence section on the uninterrupted facility has low capacity and is accident-prone.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merging influence by main-lane and on-ramp traffic characteristics in time and space domain of the study site. Using the results, suggested ar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merging flow.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the turbulence zone and the level of turbulency vary within the section of 100m of upstream to 400m of downstream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The upstream, merging, and downstream section have different values of free flow speed and jam density, so that the speed-density models for each section differ. Using a given time series data about traffic characteristics at the entry point of the merging section, the change of speed and density at the end point was analyzed by short-term prediction model. The analysis reveals that error correction model, which predicts speed change at the end point based on the analyzing period of 60 seconds, is the most outstanding model in terms of stability and ability to explain the time series variables. In conclusion, this study positively and concretely analyzes the change of traffic characteristics due to the merging influence on an uninterrupted facility.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background knowledge to further develop a traffic flow model and theory that may be applied to the merging s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or methodology can be used to produce a more precise traffic management techniques based on the microscopic research related to the merging characteristics of traffic flow.

      • 인천광역시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김현상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mmunit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where take care of old people of requiring protection within community according to the long-term care, which has been enforced from July in 2008, came to solidify its position as the main body of supplying the community care service. At this point of time, the job satisfaction in practitioners for the community care center will be said to be a prerequisite for successfully performing a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ich factors ha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of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targeting practitioners who engage in the community care center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n job satisfaction in practitioners for the centers, namely, individual factor, working-institute factor, job-environment factor, and job satisfaction.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 and job satisfaction was examined. And,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correlation on gender and age, and intention of changing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I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genders, women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men. And, in case of low job satisfaction, the intention of changing occupation was indicated to be high. And, the higher age led to showing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lso, the married people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unmarrie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institute factor and job satisfaction was examined. Correlation was indicated depending on career, job position, staff meeting and educational frequency in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The higher career led to showing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job position. Also, the more social-welfare practitioners led to showing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indicated to be higher in a case of being the more staff meeting or educational frequency.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 and job satisfaction was examined. Correlation was indicated with annual salary, facility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changing occup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annual salary led to showing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 more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y-environment aspect led to showing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the higher intention of changing occupation led to showing the lower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based on the results that were obtained in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 there is necessity of offering an opportunity that facilitates interaction of practitioners. It will be said that there is necessity of communication mechanisms in each other in order to enhance intimacy, solidarity, and confidence in practitioners. Secondly, there is necessity of developing and educating the service manual aiming at perceiving a clear role and securing identity on services of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the community care center are facing many environmental changes. There will be necessity of increasing job satisfaction in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by offering supportive and considerate supervision such as offering the regularly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be adapted to this changing social-welfare environment. Thirdly, there is necessity of developing a research tool related to job satisfaction in line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ituation in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in our country. In order to clarify the major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and to offer the more accurate data to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in our country, there will b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precise and realistic job-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suitable for the real situation of practitioners at the community care center.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라 지역사회 내에 요보호 어르신들을 돌보는 재가노인복지 시설은 재가보호서비스의 공급주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 시점에서 재가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성공적인 제도수행을 위한 선결조건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 시설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인천광역시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종사자를 조사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시설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요인 즉, 개인요인, 근무기관요인, 직무환경요인들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첫째로, 개인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성별과 연령, 이직의사와 결혼여부에 대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간 직무만족의 차이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이 낮은 경우 이직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로 근무기관요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재가노인복지시설종사자의 경력, 직위, 직원회의 및 교육 횟수에 따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경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라 직무만족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사 종사자가 많은 시설일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원회의나 교육 횟수가 많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환경요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봉 액수와 시설 환경 및 이직의사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연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환경면에서 만족할수록 직무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사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기초로 하여 재가노인복지시설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기회를 제공해야만 한다. 종사자들 간의 친밀감, 연대감, 신뢰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기제들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업무에 대한 명확한 역할 지각 및 정체성 확보를 위한 업무 메뉴얼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하다.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시설은 많은 환경의 변화에 직면해 있는데, 이렇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복지환경에 적응하기위해 정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의 지지적 ·배려적 정보를 제공하여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무환경과 상황에 맞는 직무만족과 관련한 연구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들에게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명료화하고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실정에 맞는 정밀하고 현실적인 직무만족 측정도구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 높은 효율을 가지는 PDC 방식의 양자 키분배 프로토콜

        김현상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BB84 양자 키분배 프로토콜(Quantum Key Distribution - QKD)의 구현은 긴 통신 거리의 확보, 오류의 감소, 효율성의 증가, 실제적인 안전성 확보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산재해 있다. 실제적이고도 안전한 QKD의 제한을 돌파할 수 있는 방안중의 하나로 Parametric Down-Conversion(PDC) 전송방식의 QKD가 2000년 Brassard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통신과정의 오류를 제외하고라도 공유 bit의 25%만을 Key로 생성하는 저효율성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실제적 안전성 확보가 성립된 상태에서 효율성 높은 QKD의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문은 일반적인 BB84 QKD의 구현 방법, BB84 QKD 통신 효율성에 대한 분석, 현재 구현되는 QKD 방식의 안전성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QND 측정 방식을 이용한 PNS 공격의 내용을 살펴보고, PDC 전송방식의 프로토콜에서 25%의 Key 추출 효율을 62.5%로 향상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였다.

      • 포용적 리더십이 이중몰입과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상 동양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시철도 노동조합 구성원들이 지각한 포용적 리더십이 이중중몰인 조직몰입, 노조몰입과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골드라인, 네오트랜스, 공항철도, 소사-원시 운영, 9호선, 서울교통공사 등에서 일하는 도시철도 조합원 525명을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포용적 리더십은 조직몰입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발표 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맥상통한 것이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노조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 행동은 직원의 지각하는 역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노동조합 구성원들이 자신이 수행하는 역할을 더욱 충실하게 하도록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조직몰입은 직원의 역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노조몰입은 직원의 역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섯째, 포용적 리더십이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3단계 매개변수 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포용적 리더십)과 매개변수(조직몰입)의 유의확률(p)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고 독립변수 표준계수 값(β)을 비교한 결과 2단계 β값 0.340보다 3단계 β값 0.234이 작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으로 부분매개효과를 확인 하였다. 일곱째, 포용적 리더십이 역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조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3단계 매개변수 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포용적 리더십)과 매개변수(노조몰입)의 유의확률(p)이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독립변수 표준계수 값(β)을 비교한 결과 2단계 β값 0.340 보다 3단계 β값 0.308이 작게 나타나 95% 신뢰수준으로 부분매개효과를 확인 하였다. 여덟 번째, 차이분석의 One-Way Anova을 통해 연령대, 소속기관 각 변수들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변수들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 포용적 리더십은 20대-30대와 사원, 주임, 재직 5년 미만에서 높게 나왔고 역할행동은 20대-30대와 사원, 주임, 과장, 21-30년 재직에서 높게 나왔으며 조직몰입은 50대와 차장, 21-30년 재직에서 높게 나왔다. 또한 노조몰입은 50대와 차장, 21-30년 재직자들이 높게 나왔으며 20-30대와 대리, 11-20년 재직이 낮게 나왔다. Two-Way Anova을 통해 성별과 소속기관 간의 차이를 분석 하였다. 포용적 리더십 이원배치 분산분석은 성별에서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소속기관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과 소속기관의 상호 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페로니의 다중비교 결과(Bonferron’s multiple comparison)를 실시한 결과 9호선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남자는 공항철도가 낮게 9호선이 다른 운영기관보다 높게 나왔으며, 여자는 표본 수(27명)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조직몰입에 대한 성별은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소속기관도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과 소속기관의 상호 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다. 조직몰입에 대한 소속기관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본페로니의 다중비교 결과를 실시한 결과 네오트랜스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남자는 네오트랜스가 낮고 서울교통공사가 다른 운영기관보다 높게 나왔으며, 여자는 표본 수(27명)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노조몰입에 대한 성별은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소속기관은 유의하게 나타 났다. 성별과 소속기관의 상호 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다. 노조몰입에 대한 소속기관의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본페로니의 다중비교 결과를 실시한 결과 소사-원시 운영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남자는 공항철도가 낮고 김포골드라인이 다른 운영기관보다 높게 나왔으며, 여자는 표본 수(27명)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역할행동에 대한 성별은 주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으며, 소속기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과 소속기관의 상호 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 났다. 본페로니의 다중비교 결과를 실시한 결과 공항철도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남자는 김포골드라인이 낮고 9호선이 다른 운영기관보다 높게 나왔다. 여자는 표본 수(27명)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 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that verifi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perceived by members of the urban railway trade un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union commitment, and role behavior, which are double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525 members of the urban railway union working in Gimpo Goldline, Neotrans, Airport Railroad, Sosa-Wonsi Operation, Line 9, and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were surveyed.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to process the statistic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act that inclusive leadership revealed in this stud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in lin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publish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union commitm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role behavior of employees. This means that the boss's inclusive leadership makes union members more faithful to their role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ole behavior of employee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union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ole behavior of employees.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nalyzed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role behavior. Independent variables (inclusive leader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 of the parame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he same,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ndard coefficient value (β)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three-stage β value was 0.234 smaller than the two-stage β value 0.340, confirm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at a 95% confidence level. Seventh, the mediating effect of union commitment was analyzed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role behavior. Independent variables (inclusive leadership)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 of the parameter (union commitment) was the sam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tandard coefficient value (β)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three-stage β value of 0.308 was smaller than the two-stage 0.3 value of 0.340,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at a 95% confidence level. Eighth, through One-Way Anova of difference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variable of age group and affiliated institution was analyzed.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variables, inclusive leadership was high in those in their 20s and 30s, employees, directors, and less than 5 years in office, role behavior was high in those in their 20s and 30s, employees, directors, and 21 to 30 years in off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 In addition, union commitment was high among those in their 50s, deputy managers, and 21-30s, while those in their 20s and 30s, proxy, and 11-20s were low. Through Two-Way Anova,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affiliated institutions was analyzed. In the analysis of variance in the dual arrangement of inclusive leadership, the main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gender, and the affiliated institution was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affiliated institutions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Bonferron's multiple comparison, the satisfaction of Line 9 was high, and for men, Line 9 was lower than other operating institutions due to the low airport railway, and for women, the number of samples (27) was small, so it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ffiliated institution was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affiliated institutions was not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f the affiliated institu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multiple comparisons of Bonferoni showed that Neotrans was highly satisfied. Men had low neotrans,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had higher than other operating institutions, and women had fewer samples (27 people), so they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union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ffiliated institution was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affiliated institutions was not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f affiliated agencies on union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and the results of multiple comparisons of Bonferoni showed that the Sosa-raw operation was highly satisfactory. Men had low airport railways and higher Gimpo gold lines than other operating institutions, and women had fewer samples (27 people), so they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main effect of gender on role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nd the affiliated institution was not significan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affiliated institutions was not significant.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comparisons of Bonferoni, it was found that the airport railway had high satisfaction. For men, the Gimpo Gold Line was low and Line 9 was higher than other operating institutions. Women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because the number of samples (27) was small.

      • NMR-based Metabolomics Profiling for Biofluid of Dairy Cows and Exploration of Metabolite on Rumen Acidosis

        김현상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착유우는 유생산을 위해 증가되는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하기 위해 농후사료의 급여 비율을 증가시킨다. 농후사료는 당류와 전분과 같은 탄수화물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반추위로 유입되면 전분 분해 박테리아의 의해 빠르게 분해되어 발효산물인 휘발성 지방산과 같은 유기산이 다량으로 생성된다. 이에 따라 반추위 pH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섬유소 분해 박테리아의 감소가 일어난다. 반추위 pH저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반추위 산독증을 야기시킨다. 주요 임상 징후로는 사료섭취량 감소, 유량 감소, 체중 감소 등이 있으며, 체내에 발생될 수 있는 질병으로는 유기산에 의한 위벽각화증, 미생물 감염으로 인한 간농양, 제엽염, 설사 등이 있다. 심한 경우 폐사에 이르기 때문에 연구가 꼭 필요하다. 따라서 식이에 따른 체내 대사체 변화를 조사하고 대사회로의 규명을 통해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착유우의 산독증 관련 대사체 탐색을 위해1H-NMR을 이용하여 5가지 체액(반추위액, 혈액, 뇨, 우유, 분) 내 대사체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대사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1은 홀스타인 착유우에서 5 가지 체액(반추위액, 혈청, 우유, 뇨, 분) 내 대사체 프로파일링을 진행하였다. 반추위액에서는 유기산(acetate, propionate, butyrate 등)이, 혈청에서는 lactate, acetate 등이 높은 농도로 확인되어 pH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유에서는 lactose, guanidoacetate 및 gluticol 등이 높게 확인되어 품질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뇨에서는 hippurate, urea 및 trimethylamine N-oxide 등이 높게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에서는 반추위액과 유사하게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PCA 결과에서는 반추위액과 뇨, 혈청과 분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우유는 다른 체액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연구 2는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에 따른 홀스타인 착유우의 위액, 뇨 및 분 내 대사체 차이를 조사하였다. 시험축은 NC 그룹(n=4, Italian ryegrass 80%: concentrate 20 %) 과 CA 그룹(n=4, Italian ryegrass 20%: concentrate 80 %)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PCA 결과에서는 위액과 뇨는 그룹간 분리가 되었으며, 분은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NC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던 대사체들은 위액에서 acetate, succinate, methylamine 등 15개였으며, 뇨에서는 hippurate, vanillate, gallate 등의 14개였고, 분에서는 5-Methoxysalicylate과 4-Hydroxyphenyllactate였다. CA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던 대사체들은 위액에서는 histidine, 3-methylhistidine, glucose, xylose 등 49개였으며, 뇨에서는 urea, creatine, glycine 등 16개였고, 분에서는 2-Oxocaproate과 Histidine였다. 연구 3은 조사료와 농후사료 급여 비율을 달리한 홀스타인 착유우의 혈청과 우유 내 대사체 차이를 조사하였다. 시험축은 NC 그룹(n=4, Italian ryegrass 80%: concentrate 20 %) 과 CA 그룹(n=4, Italian ryegrass 20%: concentrate 80 %)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PCA 결과에서는 혈청은 두 그룹간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우유는 두 그룹간의 분리가 확인되었다. 혈청에서는 betaine, carnitine, citrate를 포함한 7개의 대사체가 NC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1) 높았으며, leucine, glucose, lactulose를 포함한 6개의 대사체가 유의적으로(p<0.1) 낮았다. 우유에서는 acetate, butyrate, creatine, carnitine을 포함한 13개의 대사체가 NC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1) 높았으며, 1,2-ethanediol, 2-oxoglutarate, glucose, methylsuccinate를 포함한 7개의 대사체가 유의적으로(p<0.1) 낮았다. 각 체액 내 그룹간 높은 농도 차이를 보인 대사체를 살펴 보면, 반추위액에서는 glucose, xylose, galactose, xylitol 등의 탄수화물 계열 대사체 차이가 컸다. 이러한 대사체는 농후사료의 높은 급여 비율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생각되며, 알려진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뇨에서는 creatine과 glycine이 차이를 보였다. Creatine은 근육세포 내에서 분해되어 배출되는 대사체로 체중 감소의 지표로 이용 가능하다. Glycine은 비필수아미노산으로 체내 단백질 대사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arginine과 반응하여 guanidoacetate를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creatine과 creatinine을 생성하기 때문에 두 대사체 간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사료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되는 gallate, vanillate, syringate와 같은 lignin 분해 관련 대사체가 뇨에서 확인되어 사료 급여와 관련한 후속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뇨와 우유에서 ethylene glycol와 같은 대장균 대사과정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대사체가 확인 되어 미생물 관련 연구에 이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 Downhill Simplex Method를 이용한 렌즈 왜곡 파라미터의 추정

        김현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각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은 왜곡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교정 패턴을 사용하여 왜곡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왜곡은 실공간의 직선이 영상 상에서는 곡선으로 나타나게 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은 영상 상의 곡선을 직선으로 매핑시키는 왜곡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이다. 렌즈 왜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 알고리즘은 크게 특징점 추출 단계와 왜곡 파라미터 추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는 Harris 모서리 검출법을 기반으로 정확도가 높은 모서리 점들을 찾아내고, 4개의 기저 모서리 안에 가상의 모서리를 추정한다. 왜곡 파라미터 추정 단계에서는 찾은 왜곡 모서리점들과 추정된 가상의 모서리를 이용해 오차함수를 정의한다. downhill simplex method로 제안한 오차함수를 최소화시키는 왜곡 파라미터들을 찾는다. 실험결과에서 제안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상 용이하고 비교적 정확한 파라미터를 추정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estimate the distortion parameters using downhill simplex method. The distortions cause to appear straight lines in the scene as curves in the image. The proposed algorihm is consisted of two steps, the feature detection step and the distortion parameters estimation step. In the feature detection step, the real corners are extracted by Harris corner detector. And the virtual corners are calculated using four base corners of the real corners. In the distortion parameters estimation step, the cost function is def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eal corners and virtual corners, And the downhill simplex method is used to minimize the cost function. The estimated distortion parameters have the global minimum of the cost function. As shown the result, we confirm that proposed algorithm has the good performance in the estimation of distortion para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