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질환자를 위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김향희 남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정신질환자를 위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효과 김향희 지도교수: 최봉실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정신건강의학과 병원의 폐쇄병동에 입원중인 대상자로 실험군은 2개 병원에서 23명, 대조군은 4개 병원에서 2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총 43명 이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주1회 8주간 90분씩 총 8회기 텃밭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원예치료프로그램 구성 내용은 원예치료프로그램소개, 퇴비 및 구획정리하기, 씨앗관찰 및 파종하기, 엽채류 및 열매작물심기, 작물성장과정 관찰하기, 새싹관찰 후 텃밭모습 표현하기, 작물 수확하여 요리하기, 엽란 편지쓰기와 소감나누기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로 대인관계는 Schiein 과 Gureney(1971)가 개발하고 문선모(1980)가 번안하였으며 전석균(1995)이 수정․보완한 대인관계도구를, 자기효능감은 김아영과 차정은(1995)이 개발하고 김아영(1997)이 수정․보완한 자기효능감 도구를, 스트레스는 Cohen(1983)이 개발하고 백영묘(2010)가 표준화한 스트레스자각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 26일부터 9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결과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동질성 검정은 빈도와 백분율,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비모수 검정방법 중 Mann-Whitney U test를 하였다. 가설검정은 Willcoxon signed-rank test를, 사후 비교는 Mann- 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대인관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z=-0.06, p=.951)가 없어 기각되었다. 2. 제 2가설인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z=-3.06, p=.002)가 있어 지지되었다. 3. 제 3가설인 “원예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스트레스자각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z=-2.92, p=.004)가 있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자각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대인관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군에서 프로그램 전․후 대인관계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적용이 폐쇄병동에 입원해 있는 정신질환자에게 자기효능감 상승과 스트레스자각 감소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나 지역사회에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대상자들의 증상안정과 사회복귀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간호사가 원예치료사 자격을 가지고 직접 구조화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으며 이는 정신질환자들의 재활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주요어 : 정신질환자, 원예치료프로그램,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자각

      • 또래상담훈련이 인간관계와 학교생활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향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on finding the influence of peer counseling training program on human relationships and activity related attitud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tudy issues are established as written below for the study. 1. Would there be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posttest in human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ve received peer counselling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who have not received one? 2. Would there be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posttest in attitude related to school ac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ve received peer counseling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who have not received one? This study selected 24 2nd grade students of female academi c high schools in ChungChungNamDo the experiment is conducted with an experimental group of 12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2 students. The procedure of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pretest concerning human relationship related to school activ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March 20th 2004. Peer counseling training was carried out 50minutes per counseling every week from March 20 to June 5th of 2004, in total, 8 times. The posttest was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erning human relationship and attitude related to school activity on June 12th 2004. SPSS/PC WIN 1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est and Paired Samples Test was used to prov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s results of conducting peer counseling training, satisfaction and elastic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reliability and communication hardly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human relationship pre-posttest. As a results of experiment,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hardly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related to school activ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trictions of this study are written below. First,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on all juveniles because the test was conducted for only female highschool students of academic highschool. Secondly, a statistical defect might occur since the students for analysis of the experiment was limited to only 12 per group. Thirdly,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since low-reliability inquiries were examined after eliminate restriction because the measuring equipment has low reliability. Despite these defects, peer counseling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as an importance educative solution in actual school fiel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program had effect on human relationship of students. This result can be seen as a complementing means for students to appreciate others who belong to their groups, active participation attitude, and enjoy a positive school life through peer counseling training. A thesis submitted of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Education in December, 2004

      • 상업정보 교육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향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society is globaliz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values information and knowledge more than labor. The rapid change is coming in industry growth. Our country, an international IT nation is at the top of this wave of change. The education has to be changed to adapt the current change, but our education is not. The problem of the business information education is very serious because of the decrease of candidates for admission th business information education, and increase of the unemployed. A competent person needs communication, know-how applicability and mathematical ability in modern society. The education environment needs substantial foundation and discriminative education to grow personal abilities in this change. Education that is enough to grow personal abilities and interests is needed in the usual course of study. Graduates should have the cloudy techniques and abilities required by the commercial circles in today.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will always realize the demand of commercial circles. The education is not improved now, instead fall astern more and more fall astern. Therefore, I'll grasp In 21th century information society, The company is continuing own change to exist. Some companies of Korea show the result to be seen by eyes in such change. They are keeping informing of the name in the world. But the education to be achieved in the school, can not keep pace with the speed of such company.

      • 중중모리와 굿거리장단의 말붙임새를 활용한 리듬창작 지도방안

        김향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hythm Creation, one of the main subjects in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students have an insufficient recognition of the concept on the Jangdan. And there is no sufficient study on the substantial rhythm creation which can be the basis of songs or instrumental music. Also the natural rhythm creation needs to consider the principles of Gasabutchim and rhythm formation. but we don't know the features of the Malbutchimsae presented in the Jangd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hythm structure and Malbutchimsae of Jungjungmori and Gutgori Jangdan shown in the Pansori, Jabga and folks songs in order to expand the ability of rhythm creation as well as to make the teaching strategic for creating rhythm using the Malbutchimsae through analyzing Jungjungmori and Gutgeori Jangdan contained in the music text book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7 pieces of Pansori, Jabga and folk songs for Junjungmori, 6 pieces of Gyungi folk songs for Gutgeori, 2 pieces of Jungjungmori, 5 pieces of Gutgeori Jangdan and applied to the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 examined carefully the types of Malbutchimsae dividing first eight jangdans of the music into the basic type with Malbutchimsae and the complex type with the melo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of rhythm, Jungjungmori have a point of conveying lyrics with the simple rhythm and generally one note attached to one letter and give a change by Utbutchim and dotted notes. In Gutgeori, there are either more than two notes attached to one letter or use of dotted notes and no use of Utbutchim. And there are lots of use of rhythm shape of complex melody and various complex shape. Also Jungjungmori mainly use the note undifferentiated comparatively and give a change by the form of different stresses, such as 3333 stress, 22233 stress, 33222 stress, 222222 stress, and so on. Gutgeori give a change in the melody by a differentiated chord and dotted notes and have a stress change in the 3333 stress and 22233 stress. In the case of rhythm structure, Jungjungmori use a simple form in the textbook whereas Pansori or folk songs use different forms of stress through the music of professional musician or make a musical change by Utbutchim or differentiation of lyrics. In Gutgeori, the result of folk songs makes little difference of that of textbook and the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3333 stress and make a change by differentiation. Also the use of dotted notes is less than that of Jungjungmori.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I made out the frame of creation by using of stress and made 8 lesson plans of step-by-step rhythm creation by using of Malbutchimsae used in more than 4 pieces of music. In the first half of the lesson plans, I made creative activities using Jungjungmori and made a lesson plan in stages emphasizing on the change of stress. In the last half of the lesson plans, I made creative activties using Gutgeori. I made a lesson plan reflecting on the trait of use of a differentiated chord and dotted notes. In the last lesson, I prepared a improvising lesson in which students can play two accustomed Jangdans freely and creatively.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study on the teaching strategic for creating rhythm should be continued, and the basis of generalizing Malbutchimsae and rhythm structure of Pansori and folk songs should be established. Also I expect that this teaching strategic using Malbutchimsae of Jangdan could be helpful to generate students' interest and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rhythm creation. 국악창작교육의 주제 중 리듬 창작은 장단에 대한 확실한 개념 인식이 부족하고 노래곡이나 기악곡의 바탕이 될 실질적인 리듬 창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자연스러운 리듬창작을 위해서는 가사 붙임의 원리와 리듬 형성의 원리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학생들은 장단에 나타난 말붙임새에 대한 특징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단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리듬창작능력 신장을 위하여 판소리, 잡가, 민요에 나타난 중중모리와 굿거리장단의 리듬구조와 말붙임새를 비교 분석하고, 아울러 교과서에 나오는 중중모리와 굿거리장단의 민요와 비교 분석하여 말붙임새를 활용한 리듬창작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중중모리는 판소리와 잡가, 민요를 중심으로 7곡, 굿거리는 경기민요에서 6곡, 음악교육과정의 중중모리 2곡과 굿거리장단 5곡으로 제한하였으며 초등학교 5·6학년을 적용 대상으로 하였다. 악곡의 첫대목 8장단을 말붙임새에 따른 기본형과 선율에 따른 복합형으로 나누어 말붙임새 유형을 살펴보았다. 리듬구조의 분석 결과 중중모리는 한 글자에 음이 한 개 붙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순한 리듬으로 가사전달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는 대체로 엇붙임과 부점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굿거리장단에서는 한 글자에 음이 2개 이상 붙거나 부점을 사용하고 엇붙임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복합 선율의 리듬꼴과 다양하게 구성된 복합형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중모리는 비교적 분화되지 않은 음을 주로 사용하되 말붙임새의 리듬형태에 따라 3333강세, 22233강세, 33222강세, 222222강세 등 여러 가지 강세의 형태로 변화를 주고 있다. 굿거리는 분화음과 부점으로 선율에 변화를 주고 3333강세, 22233강세로 변화를 주고 있다. 리듬구조의 경우, 중중모리는 교과서에서는 단순한 형태만 사용하고 있으나 판소리나 민요는 전문 음악가의 음악을 통해서 여러 가지 강세의 형태를 사용한다거나 엇붙임이나 가사의 분화를 통하여 음악적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굿거리는 교과서와 민요에서의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 강세는 3333강세에 집중되어 있고 분화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부점 사용의 비율이 중중모리에 비해서 적다. 이 분석을 토대로 강세를 이용하여 창작의 틀을 마련하고 4곡 이상 사용된 말붙임새를 활용하여 단계적 리듬창작 지도안을 8차시에 걸쳐 계획하였다. 1차시부터 4차시는 중중모리를 활용한 창작활동을 구안하였다. 중중모리는 강세변화에 특성이 있으므로 강세변화를 중심으로 단계별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5차시에서 8차시는 굿거리를 활용한 창작활동을 구안하였다. 굿거리 특성은 분화음과 부점 사용에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중중모리와 굿거리 마지막 차시에서는 그 동안 익숙해진 두 장단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연주하는 즉흥연주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판소리 및 민요의 말붙임새와 리듬구조에 대한 연구를 더욱 지속하여 앞으로 일반화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리듬창작 학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또한 장단의 말붙임새를 활용한 리듬창작 지도 방안이 학생의 국악에 대한 흥미와 리듬창작 학습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사고력 신장을 위한 놀이중심 알고리즘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김향희 濟州大學校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put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up until the present moment has had some positive side to it such as enabling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relating to applied program in our daily lives and in classes, though with some problem in fostering a member of society equipped with rational and structured way of thinking. Algorithm area stands out of various fields of computer education as being helpful in problem solving, growth of logical thinking capacity and solidifying foundational skills in programming, which are all proved to be correct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es made. Training on algorithm adequ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hat problem solving ability and rational / logical thinking skills on part of the students can be enhanced, stepping aside from computer literacy education centering around applied programs or teaching other classes using the computer. Nine subjects shall be suggested for the algorithm education suit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have been selected from the extracted content from the examples of the algorithm education taking place in foreign countries and books relevant to algorithm, and with the selected material, study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is program developed is designed such a way that students can easily use with lots of fun in the classroom as the program emphasizes on play activities so that students can enjoy it. So an analysis has been made to see if there was a positive influence on aforementioned elements by actually applying the program to real classes. For verification of this study, experiment group of one class of 30 and comparison group of another class of 30 were formed with 60 students from a fifth grade in J elementary school in Jeju city. Through a pretest conducted on them for logical thinking ability, confirmation was made that they were from the same group. To one experiment group of 30 students, 9 classes were given with algorithm study program developed, while to comparison group of 30 students, existing ICT class was given. To verify if the developed algorithm stud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inking skills after the experiment, SPSS 17.0 was used to conduct T verification and it was made within 5% of significance level. As result of the research, the developed algorithm study program centering on play compared with the existing ICT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3.18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5%, with which the developed program has been verified to be effective in growing logical thinking skills and especially so, in enhancing reasoning skills for parameter control logic, correlative logic and combined logic areas. Conclusion drawn from this research is that with algorithm study program that can be utilized in computer class would enable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of algorithm with ease and fun, and that the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by attracting student’s spontaneity that induced students to actively engage in class because of play-based study program. 지금까지의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응용프로그램과 관련한 정보통신기술을 습득하여 실생활 및 교과학습에 활용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갖고 있지만, 미래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합리적이고 구조적인 사고능력을 갖춘 사회인 양성이라는 면에 있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다양한 컴퓨터 교육내용 중 알고리즘 영역은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논리적 사고력 신장은 물론 프로그래밍의 기초 능력을 다져가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여러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앞으로는 응용프로그램이 중심이 되는 컴퓨터 소양교육, 컴퓨터를 활용해 다른 교과를 가르치는 컴퓨터 활용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논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알고리즘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알고리즘 교육사례와 알고리즘 관련 서적에서 추출한 내용 중 초등학생의 인지수준에 적합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9가지 주제로 선정하고, 쉽고 재미있게 교실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 중심 알고리즘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한 학습프로그램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논리적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는 지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주시 소재 J초등학교 5학년 2학급 6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사전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통하여 대상학생들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집단 1개 학급 30명에게는 개발한 알고리즘 학습프로그램으로 9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1개 학급 30명에게는 기존의 ICT활용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후 개발된 알고리즘 학습프로그램이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7.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한 놀이중심 알고리즘 학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기존 ICT활용 수업에 비해 t=-3.18로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전후비교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특히 변인통제논리, 상관논리, 조합논리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례 수가 적고 적용 시기의 한계를 갖고 있어 지속적인 적용과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컴퓨터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알고리즘에 대해 학습할 수 있었고, 구체적 활동 및 교실 놀이 중심의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내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 기후행동의 정치 : 급진적 에너지전환을 위한 정치 혁신

        김향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limate crisis is an actual reality. We need political response to this crisis urgently at the international level. In December 2015, the Paris Agreement was adopted. Under the Kyoto Protocol,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limate response has been slow in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due to a decline in national interests and exemption from obligations of developing countries. The Paris Agreement is the single biggest project for mankind's first 'climate response' and must lead to international alliances and cooperation. And the way to do this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operates business regulations and pressures, not legally binding. The Paris Agreement presented a stronger and more ambitious climate action target than expected. It is a path to lowering global temperatures to 1.5°C than industrialization levels. The limitation of 1.5°C is a tremendous challenge given to mankind. It is impossible to reduce carbon dioxide by the size and progressive speed of each country so far alone. In this regard, the paper presents an urgent proposal for a new approach to a tighter business model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bol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vestments. After the Paris Agreement, the globel world is pushing for a very important change. This paper focused on changes in the world that declared a climate crisis and entered the era of climate action. It is a "climate action" study in which large and small social tipping elements will lead to radical energy transition through political intervention. The study of social tipping elements to promote climate action is a creative attempt to provide new ideas. The study also proposes feasible actions through examples of ‘interactions between actors' in each factor-specific mechanism. All actors of climate change response encounter mutual interests and sometimes work as resistance and pressure. Nevertheless, the mechanism for intervention of social tipping elements implie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into a 'cooperation and alliance' relationship. The alliance presented in the paper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climate action horizons as a benchmarking model for actors who do not engage in action. The study presents several "climate alliance" cases to check how climate action can be reborn as a potential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is paper focuses on how fast the direction of climate action can move toward political innovation for energy transition. In addition, this article consistently put emphasis on the contention that the politics of climate action should be a series of ‘proposals’ and a just ‘choice’ in everyday life. It also presents a business action model that countries and individual actors can specifically take to succeed in a huge project of “de-carbonation, decentralization, and renewable energy.” Success in reducing carbon dioxide depends on policy choices to eliminate the cause of carbon emissions. This paper emphasizes social norms and politics of energy system transition to enhance energy efficiency and select mix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obstacles to climate crisis response are not money and technology, but the lack of will and drive, namely politics. That level of political perception that caused the climate crisis cannot generate energy innovation. Now we need a new political imagination. While this paper may be a proposition of ideas that seem impossible in reality, politics leads innovation in the process of debate. I hope this paper, which proposes innovative politics of climate action, also trigger another debate. 기후위기는 실재하는 현실이다. 우리는 국제사회 차원의 긴급한 정치적 대응이 필요하다. 2015년 12월, 파리협정이 채택됐다. 교토의정서 체제에서의 국제사회 기후대응은 국익의 감소, 개도국 의무면제 등의 이유로 협조와 참여는 저조했다. 파리협정 체제는 인류 최초의 ‘기후대응’이라는 가장 크고 단일한 프로젝트로 국제적 동맹과 협력을 이끌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은, 법적 구속력이 아닌 비즈니스 규제와 압력이 작동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파리협정은 예상보다 더 강하고 야심찬 기후행동 목표를 제시했다. 그것은 산업화 수준보다 지구 온도를 1.5°C로 낮추는 경로이다. 1.5°C의 제한은 인류에게 주어진 엄청난 도전이다. 지금까지의 각 국가별 이산화탄소 감축 규모와 점진적인 속도의 과정으로는 불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더 엄격한 탄소 배출 감소와 과감한 재생에너지 개발 투자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로 새롭게 접근하는 긴급한 제안을 담는다. 파리협정 이후 글로벌 세계는 매우 중요한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 논문은 기후위기를 선포하고 기후행동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세계의 변화에 주목했다. 작고 큰 사회급변요인들의 정치적 개입으로 급진적인 에너지전환을 가져올 ‘기후행동’ 연구이다. 기후행동 촉발을 위한 사회급변요인 연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창의적인 시도이다. 또한, 요인별 기제마다 ‘행위자 간 관계’의 상호작용의 예시를 통해 실현 가능한 행동을 제안한다. 기후변화 대응의 모든 행위자는 상호 간 이해관계에 부딪쳐 때로는 저항과 압력으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사회급변요소 개입 기제는 ‘협력과 동맹’ 관계로의 발전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논문에서 제시하는 동맹관계는, 행동에 나서지 않는 행위자들의 행동 유발 벤치마킹 모델로 기후행동 지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몇 가지 ‘기후동맹’ 사례를 제시해 기후행동 행위가 어떻게 새롭게 기후위기 극복의 잠재력으로 거듭날 수 있는지 점검한다. 이 논문은, 기후행동의 방향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에너지전환의 정치 혁신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중점을 두었다. 또한, 기후행동의 정치는 일상 속에서 연속된 ‘제안’과 정의로운 ‘선택’이어야 한다는 논지를 일관되게 강조한다. 국가와 개별 행위자들이 “탈탄소화, 분산화, 재생에너지화”의 거대한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성공시킬 수 있는지 비즈니스 행동 모델을 제시한다. 이산화탄소 감축 성공은, 탄소 배출의 원인을 제거하는 정책의 선택에 달려있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원 믹스 선택을 위한 사회적 규범과 에너지 시스템전환의 정치를 강조한다. 기후위기 대응의 장애물은 돈과 기술이 아니라 의지와 추진력의 결여, 즉 정치의 문제이다. 기후위기를 유발시킨 그 정도 수준의 정치적 인식으로는 에너지 혁신은 생성되지 않는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정치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이 현실로는 불가능할 것 같은 아이디어의 제안일 수 있지만, 정치는 논쟁의 과정에서 혁신을 이끈다. 기후행동의 혁신적 정치를 제안하는 이 논문 역시 논쟁 속에 존재하기를 바란다.

      • 대학브랜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 대학의 아이덴티티 구성요소가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향희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University Brand Marketing i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and image by managing university resources effectively as well as to obtain revenues as a profitable model. This study is to define Brand Identity and emphasize the introduction of the University Brand Marketing and importance of market-oriented approach.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a plan for marketing identities and strategic points by studying how the perceived factors of university identity influence the attitude to the University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Three factors are chosen from several factors of university identity; characteristic image of university, UI image and brand personality of university. And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students, alumni and general consumers. According to analysis, there is clearly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the characteristic image is good, the influence is strong in three groups. On the contrary, the influence of UI image and brand personality of university is comparatively weak or the influence is nothing. Future attitude toward the University Brand strongl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in three groups. Especially alumni have the most favorable feeling to the future University Brand and also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Students have also favorable attitude to the future University Brand, but the degree is low. If students have bad image to university, th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s negative. Therefore, differential brand strategy is necessary, which is oriented to customer class and target market. Brand strategy for students needs to set up various promotion by making positive image of university and stronger ties. For alumni,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items and promotion strategies by involving them. Simultaneously package brand item should be developed such as souvenir for general customers. Also, it is needed to emphasize university's merit and to make up for weak points by analyzing thoroughly characteristic image of university, UI image and university brand personality because they effect the attitude to the University Brand and purchase intention. Current image and personality of university as well as university symbol are the important assets to the successful strategy for the University Brand products. With this reason, charming and differential UI design system should be rearranged to enhance multiple use of University Brand products. Also more activ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positive university image and the university pers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