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TV 수화통역방송에 대한 농인의 인지도 조사연구

        김태욱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는 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미디어의 영향이 커지고 있다. 정보의 중요성과 TV와 같은 미디어를 통한 정보획득의 중요성은 직결된다. 그러나 방송에 대한 농인의 접근성은 매우 불리한 현실이다. 한국도 농인을 대상으로 수화통역방송이 실시하고 있지만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농인의 입장에서 조사와 평가는 부족했기에 본 연구가 수화통역방송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TV 수화통역방송을 이용하고 있는 농인의 정보 획득 현황, 농인의 TV방송에 관한 의식 조사, 농인의 수화통역방송에 관한 의식 조사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한국 수화통역방송의 변천과정과 현황, 외국의 사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변천과정은 변천 1기, 변천 2기, 변천 3기의 세 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현황은 TV수화통역의 의의를 고찰하고, 장애인 관련 법령과 국내 수화통역방송의 편성집계를 조사하였다. 외국의 사례로는 프랑스, 일본, 영국, 미국, 독일, 스페인, 덴마크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70명의 농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농인을 방문하여 설문을 통한 조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은 문헌연구, 조사연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는 문제를 유형화 하고 선별하기 위하여 설문지법을 활용한 pilot study를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에 적합한 통계분석을 위해 spss 12.0을 사용하여 기술적 및 추론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은 한글자막방송을 수화통역방송보다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는 현재의 한국 TV 수화통역방송에 문제점이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그 문제점은 수화통역방송이 현재의 방송형태로는 시청하는 농인의 이해력을 돕지 못하고, 방송의 수화통역사도 질적인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송을 수화를 통해 시청하는 것과 농인에 의한, 농인을 위해 제작되는 수화통역방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연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TV 수화통역방송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TV 방송의 수화통역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수준 높은 인적 자원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농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프로그램이나 방송 채널이 필요하다.

      • 직무자율성,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민원처리 업무 직원과 콜센터 민원 상담 직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태욱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공공부문에서 신공공관리론에 기반한 높은 고객지향성의 추구를 위해 공공부문의 근로자는 고객인 시민을 친절하게 응대해야 하며, 이것은 곧 근로자가 조직의 감정표현 규범에 일치하게 자신의 감정을 통제해야 하는 감정노동을 수행해야 됨을 의미한다. 최근에 수행되었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에서 감정노동이 근로자의 높은 직무 소진, 이직의도 등을 초래한다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이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도 민원서비스 접점에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근로자의 고충과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조직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연구대상인 민원서비스접점 직원을 고객과 면대면(face to face) 접촉하며 직접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민원처리 업무 직원과 전화상 음성언어(voice to voice)로 고객인 시민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콜센터 민원상담 직원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공공부문 민원서비스 접점에서의 근로자의 감정노동에 따른 감정부조화와 감정적 고갈과 비인격화를 구성차원으로 하는 직무소진의 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공공부문의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이 겪게 되는 감정부조화와 소진을 완화할 수 있는 조직적 차원의 논의와 시사점을 업무특성까지 고려하여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직무자율성이 근로자의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으로 서울시 자치구청 민원여권과의 민원창구 직원과 서울시 다산콜센터 상담원을 선정하여 두 비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두 비교집단의 측정변수를 비교하고, 연구가설을 비교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민원처리 업무직원의 집단에서 감정부조화와 비인격화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콜센터 민원상담 직원의 집단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직무자율성이 낮을수록 감정부조화가 클 것이다”의 가설1과 “감정부조화가 클수록 감정적 고갈과 비인격화는 클 것이다”의 가설2는 두 집단에서 모두 검증되었다. 하지만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감정부조화와 감정적 고갈의 관계는 완화될 것이다”의 가설 3-1은 두 집단에서 모두 기각,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감정부조화와 비인격화의 관계를 완화될 것이다”의 가설 3-2는 콜센터 민원상담 직원의 집단에서만 검증되었다. 공공부문의 민원서비스 접점 직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직무자율성의 부여를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콜센터 민원상담이 유연하게 직무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정수준의 직무자율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조직지원인식이 두 비교집단에서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아직은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기 때문에, 추후에 계속해서 감정노동의 구성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 차원에 대한 조절효과의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조직지원인식이 직무소진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지원인식이 낮게 나타난 민원처리 업무직원에게 직무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한 더 높은 조직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For pursuing high degree of Customer Orientation based on New Public Management in Public Sector, employees who work in Public Sector must deal with citizens politely, this means employees must carry out emotional labor which control one's emotion consonant with organizational rule of emotional expression. The researches performed recently about Emotional Labor revealed that emotional labor causes high degree of job burnout, frequent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as neg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have become social issue, the studies for general organizational plan for distress of employees who perform at Civil service encounter and for alleviating it. In this dissertation, through division of the research object into the employees who deliver services to citizens in public office by face to face and the employees who deliver services to citizens in call center by voice to voice, I comparatively verified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which is result of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which consis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nd between factors which affect previous relationship and previous relationship.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drawing implication and argument of organizational dimension which alleviating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which employees who perform emotional labor in public sector experience. Trough reviewing theoretical discussion and previous researches,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drawn for verifying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emotional dissonance,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on job burnout, the moderat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I selected the employee who work at civil service encounter at department of civil affair and passport in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employee who work in Dasan call center which belongs t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 as two comparable research objects, and by conducting T-test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 compared research variables of between two research object and comparatively verified research hypothes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degree of emotional dissonance and of depersonalization were revealed higher in the first group(employee who deliver service by face to face), and the degre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revealed higher in the second group(employee who deliver service by voice to voice). "Getting more higher degree of job autonomy, the degree of emotional dissonance employees experience would be more higher" of hypothesis 1 and "Getting more higher degree emotional dissonance, the degree of job burnout employees experience would be higher" of hypothesis 2 were verified in both two groups. But “Perceiving higher organizational suppor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would be alleviated" of hypothesis 3-1 was rejected in both groups, “Perceiving higher organizational suppor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depersonalization would be alleviated" of hypothesis 3-2 was verified only in the second group. For relieving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employees who work at civil service encounter experience, appropriate degree of allowance of job autonomy to them c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employee who work at call center need to be granted proper degree of job autonomy so that they can deal with job situation flexibly. In this research, although it was not confirm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esn't alleviating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verification of moderate effect of support of organizational dimension on this relationship configuration fa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should be implement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iminish job burnout directly, the employees in the first group who perceive organizational support lower than average level is needed to get higher degree of support of organizational dimension to relieve their job burnout. ※Keyword: emotional labor in public sector, job autonomy, emotional dissonance, job burnou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2 자유도 회전 운동계에 대한 H_(∞) 강건안정화 제어기의 설계

        김태욱 광운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사용한 회전 운동 모델은 2 자유도를 갖는 2입력 2 출력의 MIMO 시스템이다. 고유 불안정한 2자유도 회전 운동계를, 주 전동기(main motor)와 꼬리 전동기(tail motor)에 부착된 프로펠러(propeller)의 회전력으로 안정화시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 된다. 이러한 2차원 시소 모델은 모델 자체의 비선형성이 심하고 또 외란(바람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강건성 제어 이론의 효율성을 검증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안정한 2자유도 회전 운동계에 H_(∞) 제어 이론은,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강건성 제어 기법의 하나로서, 기존의 최적 제어, 강건성 제어의 기법을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다중 루프(multi-loop)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변수 시스템에의 적용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2자유도 회전 운동 모델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루프 정형(loop-shaping) 과정을 통하여 H_(∞) 강건 안정화 제어기를 설계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In this thesis, the system of concern is a helicopter-like laboratory model with two degree-of-freedom, with two inputs and two outpu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ablilze the 2 D-O-F rotating motion system via thrust forces of propellers attatched to the main tail motors. Because of the model nonlinearities and highly uncertain surroundings, the helicopter model is frequently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robust control theory. In this thesis, H_(∞) optimal control theory is applied to the 2 D-O-F rotating motion system. H_(∞) control theory, one of the robust control theories, which having been studied recently is superior to other robust control theories, and is suitable to deal with MIMO system because of the ability of multi-loop analysis. To stabilize the 2 D-O-F rotating motion system, H_(∞) robust controller is designed using the loop shaping procedure. Simulation results are given.

      • 진주 남강제방의 기초지반 특성분석

        김태욱 경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 보링지점에 행해진 지반조사(물리시험 및 역학시험 포함)를 기초로 하여 토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진주 남강 제방의 물리·역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내고자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립토는 통일분류법 상 SP와 SM이 세립토는 예민한 ML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2) 물리적 상호관계는 조립토의 경우 자연함수비와 공극비, 습윤단위중량, 비중과 세립토의 경우는 공극비, 습윤단위중량, 비중,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와 연관 지을 수 있었다. 3) 세립토의 역학적 성질에서 비배수 전단강도와 선행압밀하중은 깊이에 따라 증가하나, 압축지수 및 OCR 깊이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세립토의 물리 역학적 상호관계에서 압축지수는 자연함수비, 공극비,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와 선형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개인이동통신 시스템상에서 최적의 호처리에 관한 연구

        김태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셀룰라 이동통신 망에서 효율적인 호처리를 위한 채널할당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동가입자가 셀간을 이동하면서 통화를 계속할 경우 발생하는 핸드오프 호의 블록킹 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통화중에 통화가 차단되면 사용자 측면에서의 불편함이 더 크기 때문이다. 제안한 방법은 가드채널방법을 사용하였고, 블록킹되는 핸드오프 호에 한해서 재시도그룹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트래픽의 양이 적을 경우 효과적인 채널차용방법중 BCDL방법을 도입하여 핸드오프 호의 블록킹 율을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다른 채널할당방법인 FCA, GCA, BCA와 비교하여 통화채널절환 호의 블록킹 율과 비용함수 면에서 제안한 방법이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The performance of Cellular mobile networks can be enhanced cosiderably by using more efficient call handling mechanisms. So far, several channel assignmet schemes were proposed for reducing New call and Handoff call blocking rat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having a call abruptly terminated while in the middle of a conversation is more annoying than being blocked occasionally on a new call attempt. The goal of this paper is that decrease the probability of handoff blocking. In this paper used to the Guard channel assignment, Handoff retry group and Borrowing channel assignment with directional locking for reducing the handoff blocking rat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 is more efficient channel utilization and lower blocking probability and cost function than other conventional channel assignment schemes such as FCA, GCA, BCA.

      • 성 베네딕도회 오딜리아 연합회의 초창기 선교사상과 한국선교

        김태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Catholic Church started not because of influence from outside but by receiving the Gospel spontaneously. From the beginning till the present time the Korean Church went through many trials. In spite of severe persecution did the Korean Catholic Church achieve radiant growth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 are various important causes for this. Among them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he opening up of the country towards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o that various religious and missionary communities could enter the country and start to work for the Mission.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came to Korea in 1909 at a time when there was a clash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 Up to this day the Benedictines have established four abbeys (Baekdong Abbey, Tokwon Abbey, Yeongil Abbey and Waegwan Abbey). Two World Wars and the colonization of Korea by Japan were the background for the successful work which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achieved in Seoul and Tokwon. They were involved in education, health care, publishing, pastoral and missionary work. Besides evangelization they also made not a small contribution towards the modernization of Korea. This thesis intends to explore how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was so successful in Korea. By looking at the history we want to find out how the early missionary concept of the Congregation has been implemented. The scope of this thesis is defined by the missionary concept of the founder and the first archabbot of th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and the missionary work which was done between 1909 and the liberation of Korea in August 1945 by the Benedictine communities in Baekdong, Wonsan and Tokwon. The territory is limited to Seoul and the Province of Hamheung but when necessary the community in Yeongil is also included. At first the history of the foundation of the Benedictine Congregation of St. Ottilien and the missionary concept at the beginning is treated. The early missionary concept is dealt with by referring to the 'Seven fundamental ideas' of the founder of the Congregation, Father Andreas Amrhein, and to the missionary ideas of the first archabbot, Norbert Weber. Then the situation is dealt with at the time when the Korean Mission started. So the the community life and the missionary work of the German monks at Baekdong in Seoul is related. They tried consistently to carry out their work in accordance with the early missionary concept of the Congregation. So they made great efforts in practising the traditional liturgy and through educational projects. However, because at that time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and the relations with the priest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 Society who also lived and worked in Seoul became strained it is also observed whether this affected some activities. Then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Apostolic Vicariate of Wonsan and the activities of Tokwon Abbey are treated. It was not in line with the missionary concept of the Congregation but a particular diocese in the Province of Hamkyeong was taken over and taken care of. In 1920 the Apostolic Vicariate of Wonsan was established and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began to work in the Province of Hamkyeong, the region of Yeongil and the region of Ilan. It was not conform with the ideas of the founder to take over a particular diocese. However, the priests who were assigned to the parishes made every year their retreat at Tokwon Abbey and stayed there also during their monthly meetings. In this way they were also inspired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could exchange useful information. The abbey was also a place to educate the young missionaries who had newly arrived from Europe. The various activities at the abbey, especially the celebration of the liturgy and the practise of monastic life were a form of missionary involvement which corresponded to the ideas of the founder. In this way the monastery in Tokwon became the center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Taking over a particular missionary area was different from what the Benedictines had done in Seoul. Therefore the need arose to have nuns to help with the missionary work. So in 1925 the Missionary Benedictine Sisters of Tutzing arrived. Their missionary efforts were especially directed towards women through teaching the catechism and assisting the priests. They also set up drug stores to care for the health of the people. Tokwon Abbey did also set up in addition to the 'Morning Star Schools' for the general education of the people the Seminary of St. Willibrord for the formation of Korean priests. Among the students were not only Koreans but also German students of theology. So they could develop deep friendship before working together in the Mission. Tokwon Abbey was also involved in indirect missionary work through education, health care and publishing. In particular did they also translate various liturgical books and publish introductions to the sacraments. This helped to provide the people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acraments and to facilitate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liturgy. The Benedictines are an order which observes the situation of the area in which they live and accordingly respond in their lives to the needs of the local people.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at the time of the Japanese occupation did not hand on the faith to the people in a one-sided manner like a transplantation of the Church in Europe but tried to hand on Christian life with respect and understanding for the people. What was to be shown through this thesis is 'Mission with the monastery at the center'. Father Andreas and Abbot Weber had come to know the Benedictine ideal of Mission through the history of the Benedictine Order which brought about the evangelization of Europe. They dreamed of this ideal of missionary work by establishing a community which was centered around the liturgy. Through this thesis we could observe how this ideal was implemented in Korea. We believe that true Christian life and true religious life are effective in bringing about evangelization even though it may take time. While being inside the Church to see what is outside the Church, to read the signs of the time and to react to it properly is the kind of conduct which has to be found. Mission which is convincing for everybody can be achieved by a Church who is not content with words alone, overcomes formalism and acts sincerely.

      • 저온 Poly-Si TFT를 이용한 저면적 AMOLED 데이터 드라이버용 픽셀 레벨 DAC의 설계

        김태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shows that a part of a digital-to-analog conversion (DAC) function can be included in a pixel circuit to save the circuit area of an integrated data driver fabricated with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hin-film transistors (LTPS-TFTs). Because the pixel-level DAC can be constructed by two TFTs and one small capacitor, the pixel circuit does not become markedly complex. The design of an 8-bit DAC, which combines a 6-bit resistor-string-based DAC and a 2-bit pixel-level DAC for a 4-in. diagonal video graphic array (VGA) format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is shown in detail. In addition,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revealing that the 8-bit DAC scheme including a 2-bit pixel-level DAC with 1:3 demultiplexing can be applied to very high video formats, such as XGA, for a 3 to 4-in. diagonal AMOLED. Even for a 9 to 12-in. diagonal AMOLED, the proposed scheme can still be applied to the XGA format, even though no demultiplexing is allowed. The total height of the proposed 8-bit DAC is approximately 960 μm, which is almost one-half of that of the previous 6-bit resistor-string-based DAC. 저면적 데이터 드라이버 구현을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포함된 픽셀 회로를 저온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제안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는 6 비트 저항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2 비트 픽셀 레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조합으로 구성되었고, 4 인치 VHA AMOLED 화면을 구동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위해 제안된 픽셀 회로는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작은 캐패시터만을 추가하였기 때문에 복잡성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2 비트 픽셀 레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포함된 8 비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3~4인치 VGA, XGA AMOLED 화면을 1:3 demultiplexing 방식으로 구동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de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제안하는 구동방식을 9~12 인치 XGA AMOLED 화면까지도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안한 8 비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전체 높이는 960μm이며, 이는 기존 6 비트 저항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높이의 절반에 해당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