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GBS 치환율에 따른 Slag-CB의 공학적 특성 및 적용성 평가

        김태연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세계적으로 기후의 변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어 갈수기에는 용수 부족, 집중호우 시에는 반복되는 호우 피해를 입고 있다. 최근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하여 집중호우 및 태풍 등으로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홍수는 저수지의 안정성에 따라 저수지 상ㆍ하류 지역에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농업용 저수지와 같은 수리시설물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악지형의 특성상 원활한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흙댐(Earth dam) 형식의 저수지를 주로 건설하였으며, 현재 17,147개소의 저수지가 공용 중에 있으나, 이중 83.87%가 1970년 이전에 건설되어 저수지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몇몇 저수지 내에서는 Piping 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른 붕괴 발생으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저수지의 노후화로 인한 붕괴 사고의 예방을 위해 저수지 제체의 보수ㆍ보강을 실시하고 있으며, 저수지 보수ㆍ보강을 위해 여러 공법 중 대표적으로 Cement와 Bentonite를 활용한 차수벽 공법이 있다. Cement-Bentonite(이하 CB) 차수벽은 설계시 깊이와 폭을 계획하여 굴착과 동시에 Cement와 Bentonite 및 물로 이루어진 Slurry로 치환하여 일종의 지중연속벽체를 시공하는 공법으로 차수성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시공결과에 대한 검증이 용이하다. 또한, 시공이 매우 빠르고 간편하며, 굴착구역을 Cement-Bentonite Slurry로 즉시 치환함으로 차수벽체의 균질성을 확보하여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적용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저수지 제체의 보수ㆍ보강을 위한 방안으로 CB 차수벽의 조성물인 Cement와 Bentonite의 배합량, 양생방법 및 양생기간에 따른 Bleeding율, 응결시간, 압축강도 및 차수성을 평가하여 저수지 제체 보수ㆍ보강을 위한 기준에 적합한 CB 차수벽의 적정 배합량을 산정하였으며, 적정 배합량으로 제작된 CB 차수벽의 시멘트 활용량을 저감하고 동시에 강도, 차수성 등과 같은 벽체의 성능 향상을 위해 혼합되는 Cement의 일부를 국내에서 생산되는 GGBS로 치환하는 GGBS 치환율에 따른 Slag-CB 차수벽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함으로 Slag-CB 차수벽의 최적 배합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Slag-CB 차수벽의 현장 적용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 도출 및 현장에서의 적용성 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시멘트의 일부를 GGBS로 치환하여 혼합한 Slag-CB 차수벽은 CB 차수벽에 비해 더욱 우수한 강도와 차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저수지 제체의 보수ㆍ보강을 위한 Slag-CB 차수벽의 최적 배합량은 Bentonite는 60kg/㎥, Cement는 80kg/㎥, GGBS는 120kg/㎥을 혼합한 경우가 가장 적정하며, Slag-CB 차수벽의 현장적용성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 방위산업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홉스테드 문화차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태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efense industry export of Korea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ed since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was established in 2006; it has positive impacts on the domestic economy. Nevertheless, as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has gradually intensified in the global defense industry market, efforts to occupy the market for defense exports also have been constantly demanded.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s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cultural factors of the countries listed to export in order to establish a defense export marketing strategy effectively. In an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where export markets have been diversified around the world, the strategies of Korean exporting companies also need to be shifted from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through price competitiveness to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by enhancing export-import bank marketing capabilities. An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is essential to segment the target market which is the core of export marketing. In this study, the economic factors in the defense sector were analyzed empirically and cultural factors were added as a moderating variabl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fense exports. The research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examining the concept of the defense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fense exports, the defense industry was defined as the industry engaged in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ilitary-related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national defense, and defense exports were to export such defense products,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and strategic materials. Second,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s review of the procedures for the export of defense products reveale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for defense exports so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arketing activities and demands at the preparation stag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vious research, supplementation of the defense industry export system and policies has been developed by analyzing them through surveys and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that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exports. In this study, direct factors that affect defense exports were derived through actual data and analyzed indirectly. Lastl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ac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factors affecting defense exports on defense imports in major countries. To do this, the impact factors of the defense sector were identified, defense import amount was defined, and the hypothesis of research on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factors and causality of defense revenue was presented before the hypothesis test was proces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is reasonable to present direct (Independent variable : Defense Budget, 1P/GDP, Forces, Defense Budget Outlook, Total Population) and indirect factors (Moderating variable : Individualism, Power Distance, Uncertainty Avoidance, Masculinity, Long-term orientation, Indulgence) that affect defense revenues. The main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 and analysis procedures for factors affecting defense exports were established. Second,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indirect factors could also affect defense exports. Third, a research model was presented in which defense export factors and cultural factors could effectively analyze the causality of defense imports. Lastly, it provided a foundation for verifying hypotheses based on accurate evidence by breaking away from the qualitative survey method through empirical analysis using actual data. 우리나라의 방산수출은 2006년 방사청 개청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내 경제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점차 방산 세계시장에서 국가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방산수출의 시장을 점유하기 위한 노력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방산수출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수출 대상국의 문화적인 요소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수출시장이 전 세계로 다분화된 국제무역환경에서 우리나라의 수출기업 전략도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쟁우위전략에서 수출마케팅능력 제고를 통한 수출경쟁 우위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수출마케팅의 핵심인 목표시장의 세분화를 위해서는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산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기 위하여 방산분야의 경제적 요인을 실증분석하고 문화적 요인을 조절변수로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위산업의 개념과 방산수출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방위산업은 국가 방위를 위해 군사적으로 소요되는 물자의 생산 및 개발에 종사하는 산업이며, 방산수출은 이러한 방산물자, 국방과학기술 및 전략물자를 수출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었다. 둘째, 방위사업청의 방산수출 업무 수행 절차에 대한 검토 결과, 현재 방산수출을 위한 정보획득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준비단계에서부터 마케팅 활동 및 수요 파악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방위산업 수출제도 및 정책 보완을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수출증대에 기여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위사업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을 실제 데이터를 통해 도출하고,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분석하는 것이었다. 넷째,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방산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주요국 방산수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절차에 따라 먼저 국방 분야의 영향 요인을 식별하고, 방산수입액을 정의하였으며, 직․간접적인 영향요인과 방산수입액과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가설을 제시한 후 가설에 대한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방산수입액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독립변수 : 국방예산, 1인당 GDP, 병력, 국방 중기예산, 총인구) 및 간접적인 요인(조절변수 : 개인주의, 권력거리, 불확실성 회피, 남성성, 장기지향성, 방종)을 제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성과와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산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분석 절차를 정립하였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해 문화특성과 같은 간접적인 요인도 방산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셋째, 방산수출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방산수입액의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넷째, 정성적인 설문조사 방법을 탈피하고 2차 데이터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근거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 동해 서남부 대륙붕 탄산염 마운드의 발달사

        김태연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동해 서남부 대륙붕에는 가스누출로 인해 형성된 지형인 마운드(mound)와 함몰구조(depression)가 나타난다. 멀티빔 해저지형자료를 통해 확인된 마운드는 크게 10개, 함몰구조는 6개이다. 두 지형은 북서-남동 방향의 선형 배열을 보이며 함께 발달되어 있으며, 북서방향부터 마운드는 M1 ~ M10으로 폭마크는 P1 ~ P6로 지칭하여 지형 구조를 파악하였다. 마운드는 수심 152 ~ 128 m, 함몰구조는 144 ~ 166 m 사이에서 발달한다. 마운드는 최대 20 m 높이까지 발달하고, 일부 마운드는 36 ~ 41°로 매우 가파른 경사도를 보이며 함몰구조와 연결되어 있다. 마운드와 함몰구조를 지나는 탄성파 자료에서는 가스 누출의 특징인 음향 이상을 확인하였다. 마운드와 함몰구조 각각에서 피스톤 코어러를 활용하여 미고결 퇴적물 시료를 취득 및 분석하였다. 마운드는 주로 패각을 포함하는 사질퇴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에서는 검정색 다공질 암편과 산호의 파편(coral fragments), 죽은 산호의 군락(dead coral framework)이 함께 나타났다. 함몰구조에서 취득된 코어에서는 사질 퇴적물 내부에 수직방향의 발달을 보이는 니질 맥(mud dikes)나 니질 패치(mud patches)가 관찰되었다. 이 같은 특징들은 연구지역에서 과거 가스 누출이 발생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운드 상부에서 취득된 코어의 산호는 동정결과 냉수성 산호인 Lophelia pertusa로 확인되었다. 냉수산호의 연대는 홀로세 해침기(Holocene Transgression) 이후로 확인되어, 산호 성장이 현재와 크게 다르지 않은 해양조건 하에서 이루어졌다고 추정된다. 검정색 다공질 암편은 염산에 반응하여 탄산염이라고 판단하였다. 이 탄산염 암편의 박편에서 관찰된 황철석을 통해 가스의 영향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탄산염 암편과 냉수산호 각각에서 수행된 탄소 및 산소 동위원소 분석 결과는 서로 다른 탄소기원을 지시한다. 여러 분석 결과를 미루어보아 탄산염이 침전되었던 환경과 냉수산호의 생장 환경이 서로 달랐을 것으로 추정하여, 탄산염 암편이 그 자리에서 침전된 자생탄산염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탄산염 마운드의 발달사를 제시하였다. 마운드는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 LGM) 또는 그 이전의 해수면 하강 동안 가스 누출에 의해 형성되기 시작하여 해수면 상승과 함께 발달되었고, 홀로세 해침기(Holocene transgression) 이후 산호 성장에 적합한 조건이 되어 냉수산호가 생장하였다고 판단된다. 이후 태풍의 영향이나 퇴적률의 증가와 같은 환경변화에 견디지 못하고 산호의 성장이 종료되어 현재와 같은 구조가 되었다고 해석된다. Carbonate mounds and pockmarks are formed by gas seepage are appear o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of Korea. The number of carbonate mounds confirmed through multi-beam bathymetry data is roughly 10 and pockmarks are 6. Two topography show a linear arrangement in the NE-SW direction and are developed together. From the NE, the mounds are designates M1~M10 and the pockmarks as P1~P6 to grasp the topographic structure. The mound develops between 128 m and 152 m depth and reaches a maximum height of 20 m. Some mounds have a very steep slope at 37° and are connected to the pockmarks. The pockmarks is formed at a depth of 144~166 m and shows a near circular or elliptic shape. In seismic data, the acoustic anomaly are characteristic of gas was confirmed in the lower part of mounds. Piston core samples were acquired at each of the mounds and pockmarks. The mound is mainly composed of shelly sand, some of the core there are authigenic carbonates, coral fragments or dead coral frameworks. In the core obtained from the pockmarks, mud dikes and mud patches were observed to show vertical development in the sand deposits.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gas seepage have occurred in the past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another interesting feature is that a cold water coral was discovered tha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environment. As a result of coral taxonomy it was identified as Lophelia pertusa(L.pertusa). Result of age dating of the cold water coral were after the Holocene transgression, and it is estimated that it has grown under marine condition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present. The analysis of carbon and oxygen isotopes carried out in each of the authigenic carbonate and cold-water corals instructs different carbon origins, indicating were distinct from one thing the growth environment in the cold-water corals is the precipitation environment of the carbonate. Finally,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carbonate mound was suggested. The mound began to be formed by gas seepage during sea level fall on or before the Last Glacial Maximum (LGM) and developed with sea level rise. And became suitable conditions for coral growth after the Holocene transgression is judged that cold water coral has grown. Since then,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ral growth has ended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environmental changes or temporal stress such as the influence of a typhoon or an increase in the sedimentation rate, showing result in the present.

      • 위임 기능을 통한 OSI 망관리와 인터네트 관리를 연동하는 안전한 응용 게이트웨이

        김태연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방 분산 시스템의 규모와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망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많은 망 관리 구조가 제시되었고, 표준화 작업도 병행하여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표준을 사용하고 있는 망 시스템이나 망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각 영역내에서는 하나의 표준을 사용하고, 이러한 망들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OSF에 의해서 개발된 관리자 통합망 관리, 이중 MIB, 프로토콜 독립 MIB/대행자, 응용 게이트웨이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기능이 강력하고 효율적인 OSI 망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TCP/IP 인터네트를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응용 게이트웨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망 구조와 관리 서비스의 기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관리자나 응용 게이트웨이는 관리 제어를 요청한 후 결과가 도달될 때까지 대기하고, 모든 관리 행위를 직접 통제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리 행위를 미시 관리(micro management)라고 하며, 미시 관리로 인한 통신량의 폭주가 생긴다. 관리자의 미시 관리 처리로 인해 복잡한 초고속 망 관리와 같은 시간에 제한을 받는 응용 서비스를 위해서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면, 모든 시스템과 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관리 서비스는 시간적인 제한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이러한 망 관리 서비스나 기능을 관리하는 관리 응용은 실시간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시간적인 제한을 받는 망 관리에 있어서 통신 지연과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망 관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관리 서비스나 관리 기능이 안전하게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관리 객체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접근 제어 정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MIP의 강력하고 융통성이 있는 서비스 뿐만 아니라 관리 기능을 변환하고, 시간 제한을 받는 응급 상황에 따라 관리자는 관리 기능을 위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응용 게이트웨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Diffie-Hellman의 키 분배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관리 서비스와 기능을 안전하게 전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서로 다른 보안 정책을 사용하는 두 영역간에 관리 객체의 접근을 제어하는 역할(role)기반 접근제어 정책을 제시한다. As the scale and importance of open distributed system increases,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has faced difficulties to cope with them. To manage the network efficiently, quite a few 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are proposed and the standardizations are progressed in parallel. So, new paradigms are needed to integrate heterogeneous network management systems and to manage network efficiently. There has been much efforts to use a unique standard in each domain and to interconnect the networks. The representative models are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presented by OSF, dual MIB, protocol independent MIB/agent(PIMA), and application gateway. To integrate the powerful OSI network and the widely-used TCP/IP internet, application gateway has been used. But, because the network structure and the functions of management services are different from system to system, the manager or the application gateway has to wait for the arrival of the result after requiring the management control and monitor directly all the management behaviors. This management behavior is called the micro management, and it cause the network traffic to be increased extremely. Serious problems may be caused in managing the system and the network efficiently, if high quality services for the time-constrained applications, such as the management of high-speed networks, are not provided. Therefore, because the management services are sensitive to time, the management applications which use these services must be processed in real-time. In the time-constrained network management, the performance of network management is improved by resolving the communication delay problem. And the access control policy in which the management services and the management functions can be safely transfered and which can control the accesses to the managed objects by the manager is needed. In this thesis, we design and implement the application gateway which transforms the management functions as well as the powerful and flexible services of CMIP. And it supports the delegation of management functions to agent by the manager according to the time-constrained critical situations. We propose the algorithm which transforms the management services and functions based on Diffie-Hellman's key distribution approach safely. And we also suggest the role based access control policy which controls the accesses to the managed objects between the two domains using different security policies.

      • 학교문법의 부정문 제약 교육 방안 연구

        김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어의 부정문은 부정 부사인 '아니(안)'나 '못'을 사용하느냐 아니면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용언인 '아니다, 아니하다(않다)'나 '못하다' 혹은 '말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각각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이는 하나의 긍정문을 두 가지 유형의 부정문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인데, 때로는 문법적인 환경에 따라 부정문이 형성되지 못하는 제약이 발생한다. 부정문의 제약은 장형 부정문보다 단형 부정문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단형 부정문 형성 시, 문장의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구성방식과 유형에 따라 통사·의미론적으로 충돌하는 지점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언어생활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벗어나는 예가 속출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부정문의 범위를 부정 부사 '안'이 쓰인 단형 부정문(이하, '안' 단형 부정문)으로 한정하고, 실제 언어생활을 반영하고 있는 텍스트 또한 세 층위로 나누어, 텍스트 속에서 부정문 형성 제약이 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학교문법에서 다루어야 함을 밝히고, 그에 대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핵심어라고 할 수 있는 부정문과 텍스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부정문의 개념을 밝히고, 부정문의 유형과 그에 따른 제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본고에서 살펴볼 '안' 단형 부정문의 제약을 목록화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텍스트의 개념과 유형 및 성격을 알아보았다. 본고에서는 텍스트를 구어 텍스트 층위,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중간 층위, 문어 텍스트 층위의 세 층위로 나누었으며, 그 각각에 대해 세부 텍스트 항목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세 층위의 텍스트, 총 6개의 세부 텍스트에 나타난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어 텍스트 층위의 토론 텍스트와 일상 대화 텍스트, 구어 텍스트와 문어 텍스트의 중간 층위의 인터넷 채팅 텍스트와 드라마 대본 텍스트, 문어 텍스트 층위의 신문 기사 텍스트와 수필 텍스트, 6개의 세부 텍스트에서 모두 '안' 단형 부정문 형성 시 발생하는 제약이 깨어지고 있는 예를 찾을 수 있었다.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갈래별로 비교하고, '안' 단형 부정문 제약의 변화 원인을 탐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부정문 제약의 변화 양상을 교육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기존의 학교문법에서 부정문, 부정문 제약과 관련한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부정문 제약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면서, 학교문법에서의 부정문 제약 교육 방향을 재정립하고자 했다. 본고는 문법교육이 학습자에게 살아 움직이는 문법을 경험하게 하는 데 의의를 두어야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언중들의 실제 언어생활의 모습을 학교문법의 교육 내용으로 수용할 때 비로소 문법이 우리의 삶과 맞닿아 있는 탐구 대상의 존재로서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했다. The negative sentences in the Korean language could be classified into long-form negative sentence and short-form negative sentence depending upon use of negative adverb of 'ani (an)' and/or 'mot' and/or use of predicate of 'anida, anihada (anta)', 'mothada' and 'malda' that meant negation. One of affirmative sentence could produce two types of negative sentences, and it could not produce negative sentence depending upon grammar environment. Short-form negative sentence had limitation more than long-form negative sentence had. This was because predicate of short-form negative sentence often could often had collision from point of view of syntax and/or semantics depending upon configuration and/or types of predicate. However, the limitation was often free from current linguistic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with negative adverb of 'an' (hereinafter called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to find out a fact that texts reflecting linguistic life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to destroy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in texts. The study suggested that school grammar should discuss the limitation by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Chapter II examined theories of negative sentences and texts that was important in this study. The chapter described concept of negative sentence and investigated types and limitations of negative sentence. The chapter made a list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to give examples. The chapter examined concepts, types and nature of the texts. This study divided texts into three levels, that is to say, oral text level, intermediate level between oral text and literal text, and literal text to set text items of each one. Chapter III investigated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of texts of three levels, in other words, six texts. The texts were divided into six, that is to say, discussion text and ordinary dialogue text having oral text level, Internet chatting text at intermediate level between oral text and literal text, soap opera script text, newspaper article text having literal text level, and essay text, and all of six texts destroyed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s. The chapter investigated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by each type of predicate and examined causes of changes of limitation on 'an' short-form negative sentence. Chapter IV examined educational acceptance of change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At first, the chapter examined negative sentences of school grammar in the past, limitation of negative sentences and associated problems. And, the chapter describ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 to establish education ways of limitation on negative sentences of school grammar. In this study, grammar education was important to let learners experience grammar and to let citizens having same language accept educational contents of school grammar at their linguistic lives.

      •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연구

        김태연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수혜자의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하여, 한식교육 수혜자의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에 따른 해외 조리학교 한식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수혜자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한국 식문화 특징별 선호도의 순위는 문화성, 독창성, 미각성, 전통성, 건강성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식문화 특징별 선호도의 순위를 살펴본 것을 바탕으로 각 특징의 세부 항목에 대한 선호유형별 선호도를 분석하였고, 문화성의 경우 유행추구형이 전통추구형에 비해 한류 관련 식문화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성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그릇을 사용한 음식 항목에서 전통추구형의 선호도가 유행추구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독창성, 미각성, 건강성은 각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유행추구형과 전통추구형이 비슷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목적은 한국 음식과 조리를 체험해보고 싶어서, 맛과 건강을 아우르는 한식에 대한 관심, 조리 기술 및 지식을 익히고 싶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별로는 맛과 건강을 아우르는 한식에 대한 관심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실용적이며 활용 가능한 레시피와 적절한 교육과정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별로 보면, 유행추구형은 주제별로 구성된 음식 및 조리법에 대한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전통추구형은 정확한 레시피에 대한 만족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으며, 시청각 자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모두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의 강사에 대해서는 한국어 外 외국어 능력과 이론과 실습을 아우르는 교수법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식문화 선호유형별로 유행추구형은 상대적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반영한 교수법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학생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ISA(중요도-만족도 분석) matrix 분석 결과 타문화 이해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내용은 앞으로 해외 조리학교 한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한식교육을 받는 문화권별 교강사 및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 결과 및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s at overseas culinary schools according to preferences in Korean food culture. To this end, 2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f 20 beneficiaries of Korean cuisine education program at overseas culinary school.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types of preferences in Korean food culture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preference of tradition and preference of trend). The order of preferences on Korean food culture traits is as follows: cultural character, originality, taste, traditionality, and healthiness. Preferences on Korean food culture trai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wo Korean food culture preference types. As for cultural character,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end tend to have higher preferences on food culture related factors than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adition. When it comes to traditionality,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adition showed higher preference towards food served on traditional tableware than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end. For originality, taste, healthiness, both groups showed similar preferences. Regarding the purpose of taking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 to experience Korean food and cooking was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followed by personal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cuisine and to learn more cooking skills and knowledg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ersonal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cuisine according to the Korean food culture preference types. As for the educational methods of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 practical and useful recipe and appropriate education curriculum were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Korean food culture preference types,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end considered themed classes depending on different dishes and cooking techniques with more significance, while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adition showed comparatively less satisfaction towards precise recipe but considered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with comparatively mor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s for the instructors of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s,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teaching method embracing both theory and practice were the most significant. According to Korean food culture preference types, the group with preference of trend considered teaching method with modern approach with higher significance and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students with lower satisfaction. An examination of ISA(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matrix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has low satisfaction which indicates that it needs to be improved. The results and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a baseline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 for overseas culinary schools. Moreover, further research on Korean cuisine instructors and students of different cultural areas should be consistently conducted for a greater advancement in Korean cuisine educational programs.

      •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태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A중학교 2학년 여학생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매회 60분씩 총 10회기의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이 기간동안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자기성장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WIN(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또래관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피험자들이 통제집단의 피험자들보다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CSI를 활용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학교현장에서 활용됨으로써 자기효능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능력이 향상되어 원만한 또래관계를 유지하고 학교생활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긍정적이며 즐거운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무용공연의 소셜미디어 노출과 관람의도 관계분석

        김태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소셜미디어는 20세기 말을 전후해서 전개되고 있는 IT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폰의 등장으로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소통에 변화를 가져왔고, 최근 급부상한 소셜미디어는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으며, 2020년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 생활방식이 고착화되면서 잇따른 공연취소와 공연들이 온라인상에서 진행 되어 지고 있다. 이에 소셜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세 가지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무용공연 홍보를 위해 제작한 동영상을 노출해 소비자들의 관람의도를 도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소셜미디어 상에서 노출된 홍보 동영상을 접한 관객들이 경험한 무용의 이미지와 특성이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무용공연의 잠재 관객을 확보하는데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무용공연 홍보와 광고에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에 대한 학문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소셜미디어 특성이 정보신뢰와 정보참여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소셜미디어 특성의 하위변인 중에서 ‘동질감’은 관객들이 가지는 무용공연의 정보를 신뢰하고 참여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 다른 하위변인으로서 ‘유대관계’는 관객들이 가지는 무용공연 정보의 참여율 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 특성이 관객의 관람 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소셜미디어 특성의 하위변인 중에서 ‘유대관계’는 종속변수인 관객의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또 다른 하위변인으로서 ‘동질감’은 관객의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신뢰와 정보참여가 관객의 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공연정보에 대한 신뢰와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람의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미디어 특성과 관객의 관람 의도와의 관계에서 정보신뢰와 정보참여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인 소셜미디어 특성과 종속변수인 관객의 관람의도 간에 관객들이 가지는 무용공연에 대한 정보 신뢰와 정보 참여가 높을수록 공연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는 소셜미디어 상에서 노출된 무용공연 홍보 관련 정보를 신뢰하는 관객들은 소셜미디어의 정보 수신자로서 서로 간에 일종의 ‘동질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동질감은 무용공연 홍보 관련 정보의 신뢰도를 높여주었으며, 아울러 무용공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참여도까지 증대시켜 주는 긍정적 원인이 되었다. 다만,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의 높은 연결 밀도와 연대감을 상징하는 ‘유대관계’는 관객들이 가지는 무용 공연 정보의 참여율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유대관계 속에 내재하는 ‘정보 신뢰도’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즉, 소셜미디어 이용자 집단의 높은 연결 밀도와 연대감이 곧바로 해당 정보에 대한 무차별적이고 자동적인 정보 신뢰가 발생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배제하고, 관객 유치전략 수립 시에 정보의 신뢰도를 강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무용공연예술 기관의 소셜미디어 마케팅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