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FID를 활용한 물품관리업무 효율화 사례 및 정보보안에 관한연구

        김태련 한남대학교 경영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적용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RFID 시스템을 이용한 물품관리 사례의 보안관점의 연구에 대하여 연구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최근 재정규모의 확대에 따라 정부물품 보유규모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물품의 종류가 다양화되고 물품관리업무(물품취득, 재물조사, 불용처분 등) 복잡화됨에 따라 물품관리관의 업무부담이 증가되어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물품관리가 수작업 중심의 물품관리로 정확한 현황파악이 안되고 담당자의 잦은 인사이동으로 전문성이 떨어져 소홀이 여겨왔다. 이에 RFID기반 물품관리시스템이 도입하게 되었는데, RFID 기반 물품관리시스템의 경우 업무 효율적인 면에서 재물조사시 15일이상 걸리던 것이 1~2일에 걸리는 등 업무 생산성 면에서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 그동안은 실물과 장부가 따로 존재하여 현품의 확인 없이 결산을 할 수 있었지만 RFID 도입함으로써 현물중심의 물품관리를 실현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물품관리 분야에 적용된 RFID시스템의 사례를 통하여 보안관점에서의 문제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한다.

      •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김태련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은 인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로 오랜 세월 인간의 역사와 함께 꾸준리 발전되어 왔다. 아마도 공공미술이라는 개념은 인류의 탄생과 더불어 생겨난 개념이라 생각한다. 모두가 사용하는 동굴이라는 공간에 그림을 그림으로써 다 같이 사용하는 공간임을 표시하는 것에서 공공미술의 개념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미술사에서 20세기 이전의 미술은 특정층만을 위한 미술이라면 오늘날의 미술은 대중과 함께 공유하고 즐기는 개념으로서 공공미술이 등장했다. 본 논문은 문화예술의 중심인 공공미술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공공미술이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문화예술은 이제 예술적 가치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동시에 사회문화적 효과를 수반한다. 잘 조성된 공공미술은 문화산업과 문화시설 등을 통해 산업 경제적 효과인 투자 유인, 고용창출, 관광산업 증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입증된다. 그리고 이와함께 공공미술은 보다 본질적인 사회문화적 가치를 포함한다. 이는 문화공간으로 인한 지역 주민의 문화향수 제고 효과, 지역이미지 창출 및 개선효과, 그리고 사회교육 기능이 된다. 이러한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의들은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문화시설이 지역 활성화를 위한 핵심시설로 활용될 수 있음이 포함된다. 그리고 다양한 참여 주체의 참여와 협력하에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들이 진행이 되고, 그 결과 지역의 경제적 가치가 창출됨과 동시에 사회문화 발전의 효과가 나타난 해외 성공사례가 있다. 이는 미술문화 공간이 지역의 렌드마크적 역할을 하며 지역 경제 강화를 위한 핵심 공간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지역’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상이 더해저 지역 경제력과 정체성 강화를 위해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지역 활성화가 중요한 역할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내의 문화미술 공간 확충과 운영활성화를 위한 각종 제도적 뒷받침이 되고 다양화, 복합화, 전문화되면서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저와 그것들이 관광산업으로 연계되어 지역 활성화로 이여 지는 사례가 종종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정책으로 인하여 정체성 없이 마을마다 똑 같은 내용으로 인해 초기 투자에 비하여 효과가 미흡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공공미술이 예술마을 프로젝트에 한정이 되고 한번 설치되어 업그레이드 없는 프로젝트는 미술활성화에는 큰 도움은 되지 않고 사장되기 일수다. 해마다 많은 인원 신규 미술학도들이 배출이 되나 전시 공간 확보, 판로 지원, 일자리 창출 등 기초적인 뒷받침이 없이는 미술발전을 기대하지 어렵다. 또한, 미술인의 창작 공간 확보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공공미술 공간을 활용한 전시 공간 확보 및 공공차원에서의 판로 지원, 눈높이와 맞는 손쉬운 작품구입 등의 선결과제 해결이 미술활성화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 결과적으로 미술문화공간이 단순한 문화예술 향유공간의 의미를 넘어 사회발전을 이끄는 거점으로 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내부 제도 개선, 다양한 참여주체의 협력을 전제로 한 발전적인 방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공공미술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중,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입력이 한국 EFL 학습자의 수여동사 구문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작문 코퍼스와 영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련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인 EFL 학습자들은 수여동사 구문의 전치사 여격구문(prepositional dative construction, 이하 PD 구문)을 편향적으로 사용하고, 이중목적어 구문(double object construction, 이하 DO 구문)에 사용되는 동사 유형을 올바르게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더 나아가, 한국인 EFL 학습자들은 대명사 간접목적어의 사용에 대해서 원어민과 구분되는 사용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기반 관점에서, 원어민의 사용과 구분되는 한국인 EFL 학습자의 수여동사 구문 구사력이 현행 영어 교과서의 수여동사 구문 제시 방식과 관련성을 보이는지 진단함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수여동사 구문 습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요소인 출현 빈도, 동사 유형 빈도, 대명사의 사용에 대해 원어민 영어 화자의 논설문 작문과 한국인 EFL 학습자들의 논설문 작문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현행 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30권에서 사용된 수여동사 구문을 추출하여, 세 요소와 관련한 제시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인 EFL 학습자들의 작문은 수여동사 구문의 습득에 있어 중요한 세 요소에 대해 중,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제시 양상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EFL 학습자들은 낮은 능숙도에서 특정 동사들에 대한 의존도를 중심으로 DO 구문을 보다 많은 양으로 구사하였지만, 능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PD 구문을 뚜렷하게 선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의 중학교 1-3학년 영어 교과서들은 DO 구문에 대한 높은 수치를 중심으로 수여동사 구문을 제시하지만, 고등학교 공통과 선택 교과서들은 PD 구문을 보다 높은 수치로 제공하고 있다. 시간과 입력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EFL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PD 구문에 대한 편향적인 사용에 대해 교과서의 구문 출현빈도를 유의미한 변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두 번째, 원어민과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사용한 수여동사 구문의 유형 빈도는 양과 의미적 범주에 대해 확연히 구분되었다. 원어민 영어 화자들이 18개 동사유형을 사용한 반면, 높은 능숙도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동사유형은 6개로 나타났다. 모든 능숙도 단계의 EFL 학습자들의 DO 구문은 give와 정보전달의 동사(teach, ask, show)의 의미에 속하는 동사 유형으로 한정되었고, PD 구문은 이와 다르게 다양한 의미 범주의 동사유형으로 확장되었다. 현행 영어 교과서의 주요 동사 유형은 학습자들의 구문별 동사 유형과 상당부분 일치하여, 학습자들의 특정 동사에 대한 의존도와 구문별 동사 사용범주에 대한 이해와 높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 작문 오류를 살펴보았을 때, 영어 교과서들의 제공하는 DO 구문의 한정적인 동사 유형과 의미적 범주는 학습자들이 DO 구문을 사용해야 할 상황에서 한국어 수혜자 구문과 가깝고 높은 빈도로 접했던 PD 구문을 사용하게 하는 변인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영어 교과서들의 PD 구문 중심의 출현빈도와 동사 유형빈도는 학습자들이 원어민의 사용을 반영하는, 문맥과 의미에 적합한 수여동사 구문을 습득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지 않다고 고려할 수 있다. 넷째, 영어 교과서들의 DO, PD 구문의 대명사 간접목적어 비율은 8대 2의 비율로 DO 구문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통, 그리고 낮은 능숙도의 학습자들이 대명사를 이용하여 DO 구문 패턴을 수월하게 사용한 작문분석 결과와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영어 교과서들의 구문별 명사 간접목적어를 분석한 결과, 3대 7의 비율로 PD 구문 간접목적어가 훨씬 높은 빈도로 제시되고 있다. 학습자들은 PD 구문의 명사 간접목적어 패턴과 더 익숙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명사 간접목적어 위주의 빈도는 한국인 학습자들이 대명사의 도움을 받아 PD 구문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식을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EFL 환경에서 영어 교과서의 진정성 있는 입력이 학습자들의 구문 일반화와 사용 범주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의 문맥과 상관없는 부자연스러운 PD 구문의 선호를 바로잡고, 문맥에 맞는 형태와 기능의 수여동사 구문 사용을 익힐 수 있도록 현행 영어 교과서들이 개선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핵심어: 사용기반 관점, 수여동사 구문, 출현 빈도, 유형 빈도, 대명사 간접목적어, 영어 교과서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Korean EFL learners have greater difficulty with the English prepositional dative construction (PDC) than with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 (DOC), showing a reduced ability to use appropriate verbs for DOC than PDC. The learners’ persistent difficulty with DOC is also reflected in the way that they use pronouns for indirect objects in DOC, which significantly diverges from the pronoun usage patterns of native English speaker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Korean EFL learners’ difficulties with DOC versus PDC are associated with the distributions of these constructions in the English textbook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input provided to these learners,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usage-based approaches to language learning. Two corpus-based studies were conducted, a)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usage patterns of DOC and PDC between essays from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FL learners, and b) analyzing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constructions in the textbooks that the learners used, on the other. In the analysis of essays, three factors known to affect the use of dative constructions – token frequency, type frequency of verbs, and pronouns were inspected across the native speaker and learner groups.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PDC and DOC extracted from 30 textbooks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in Korea were analyzed in terms of token frequency, type frequency of verbs, and pronoun us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ers’use of dative constructions was closely aligned with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dative constructions presented in the English textbook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EFL learners with lower proficiency produced more DOC than PDC, using only a small number of verbs, which contrasted with higher-proficiency learners who produced more cases of PDC with a greater number of verbs. These results suggest an increasing propensity for PDC as the learner proficiency increased. Consistent with this resul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grade 1-3) contained more DOC than PDC, whereas the common and selectional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contained more PDC than DOC. Considering the lack of exposure and input in the EFL environments, the close alignment between the learners’production of PDC and DOC and their distributions in the textbooks may be interpreted as the evidence of effects of the English textbooks as a meaningful explanation of the Korean EFL learners’bias toward PDC.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dative verbs produced by native and Korean EFL learner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ir numbers and semantic class types. Natives speakers used more verbs (n = 18) than Korean EFL learners with high proficiency (n = 6). Generally, the types of verbs employed by the learners in DOC were limited to high-frequency verbs such as give and some reporting verbs like teach, ask, and show. In contrast, they used PDC with more diverse types of verbs with various semantic classes. The type of dative verbs appearing in the English textbooks showed similar patterns, suggesting thei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learners’use of dative verbs in the production of the constructions. Third, the error analysis of the learner essays showed that they employed a limited range of semantic classes of verbs for DOC,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put they received from the English textbooks. The limited input distribution of the textbooks may have prevented the learners from using DOC in favor of PDC in various contexts. Also, it implies that more balanced input distributions are necessary for Korean EFL learners’understanding and appropriate use of dative constructions. Last, the English textbooks contained more DOC than PDC with a ratio of 8:2 when the direct object was realized as a pronoun. Similarly, the Korean EFL learners with low and intermediate proficiency mostly used pronominal direct objects when they produced DOC. In the English textbooks, more PDC than DOC appeared with noun phrase indirect objects. The biased frequency of noun phrases as indirect objects of PDC in the textbooks may not be effective for learners to learn the comprehensive functions and structure of PDC. Overal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authentic, meaningful input in English textbooks can help EFL students learn the appropriate usage of the dative constructions. Furthermor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nglish textbooks with the aim of providing the dative constructions in the appropriate contexts. Keywords: Usage-based approaches, English dative constructions, Token frequency, Type frequency, Indirect Objects as Pronouns, Korean English textbooks

      • 한·미 FTA가 한라봉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영향 분석

        김태련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2년 한·미 FTA 발효 이후 오렌지에 대해 3월∼8월에는 계절관세가 설정되 어 매년 5%씩 6년에 걸쳐 균등 철폐되어 2018년도 올해 무관세로 적용되었고, 9 월∼2월에는 무관세 TRQ 물량이 늘어나고 있다. 국내 오렌지 수입이 집중되는 1월∼5월의 경우, 1월∼2월은 TRQ로 인한 물량증가가 예측되고, 3월∼5월은 관 세감축에 따른 물량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오렌지가 수입되어 집중적으로 판매되는 시기인 1월∼5월에 소 비가 경합될 것으로 예측되는 품목으로 이 시기의 성출하기인 한라봉을 주요 분 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오렌지 수입량 및 수입 단가 변화에 따른 한라봉 시장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오렌지의 TRQ 증량에 따른 한라봉 시장의 파급영향 분석을 위해 개별 품목에 대한 부분균형모형 및 동태 축차적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고, 각 개별방정식 은 상호 독립적이므로 개별방정식의 추정기법인 통상최소자승추정법과 다항분포 시차모형을 이용하여 한·미 FTA 사후영향 평가 및 한라봉 시장의 중장기 전망 을 실시하였다. 또한 한라봉 시장에 미치는 주요 정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개 별 시나리오별 수급전망 결과를 기본전망 결과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수급모형에서 도출된 예측치에 대해 예측력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예측치의 정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MAPE, RMSPE, Theil`s U coefficient 를 사용하였다. 특히 MAPE는 측정단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실측치에 대한 추정 오차의 상대적인 크기를 측정하는데 자주 사용되는데, 한라봉 모형에 대한 예측 력 검정 결과, 재배면적과 경락가격 추정식의 표본 내 예측력은 매우 양호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생산량, 소비량, 농가수취가격에 대해서도 양호한 예측력을 보여 모형을 구성하는 모든 추정식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표본 내 예측력을 보였다. 한·미 FTA 발효 이후 사후영향 평가 분석방법은 FTA 발효(2012년) 이후 관 세하락 및 TRQ 증량이 포함된 실측치와 FTA가 발효되기 이전의 상황과 동일 하게 가정한 시나리오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한·미 FTA가 한라 봉 부문에 미친 사후영향 평가 결과, 한라봉은 주출하기인 12월∼2월에는 오렌지 계절관세의 영향은 없으나 TRQ 물량의 영향으로 2012년∼2017년 실질 조수입 감소는 연평균 21.9억원, 6년 감소 누계는 131.5억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봉 중장기 시장 전망 결과, 재배면적은 2017년 1,611ha에서 2028년에는 17% 증가한 1,885ha로 전망되었으며, 생산량은 2017년 44,311톤에서 2028년에는 25% 증가한 55,425톤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비량 및 1인당 소비량도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소비량은 2017년 0.85kg에서 2028년 1.04kg으로 나타났다. 실질 농가수취가격은 2017년 2,860원/kg에서 2028년 2,321원/kg으로 하 락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2028년 미국산 오렌지 수입량은 2017년 17,759톤에서 16% 증가한 20,610톤으로 나타났으며, 실질 총 조수입(2028년 기준)은 2017년 1,267억원에서 1.5% 증가한 1,287억원으로 전망되었다. 한라봉 시장에 미치는 주요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은 3개의 상황을 가정하여, 첫 번째, 국내 오렌지 시장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1995년부터 90% 이상의 오렌지를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오렌지 수입량은 미국의 오렌지 작황상황 및 수출량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오렌 지 주 생산지인 플로리다주는 2005년부터 감귤 녹화병이 발생한 이래로 해마다 미국 전체 오렌지 생산량은 줄어들고 있으나,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물량은 해마 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오렌지 주산지인 미국의 작황 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으로 수입단가가 상승했음에도 수입액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점을 고려하면 가격이 낮아진 미국산 오렌지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미국산 오렌지 수입산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2017년산 만감류 생산량의 56%를 차지하는 한라봉은 조기출하, 폭설 및 한파로 부피과 발생이 많아지면서 저급품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데, 상품성이 떨어지는 한라봉이 시장에 유통되면서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잃어 가격하락의 폭이 매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고품질 한라봉 생산을 위해 비상 품 한라봉을 가공용으로 수매하여 저급품 한라봉의 시장유통 차단하고 가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현재 한라봉의 가공수매 비율은 생산량의 1% 수준이지만, 비상품 가공용 한라봉의 수매지원을 통해 시장 반입을 격리시키고 향후 한라봉 생산량의 5∼15% 정도가 가공용으로 수매되는 상황에 대한 정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로, 감귤의 미국 수출은 2003년 한국산 온주밀감(감귤)에서 궤양병이 발견되면서 중단되었으나, 이후 미국과 검역협상을 통해 미국인 2010년 11월 12 일부터 한국산 온주밀감(감귤)을 수입 재개하였다. 하지만 한라봉과 천혜향 등 만감류의 수입은 허용되지 않았는데, 이후 우리 정부가 2011년 한라봉과 천혜향 에 대해 수입 허용을 요구해 2015년 2월 2일 미국 수출검역 협상이 최종 타결되 어 미국으로의 수출이 가능해졌다. 한라봉의 미국수출은 2016년산 4톤을 미국 뉴 욕으로 시범 수출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부터 본격 추진하여 2017년산 20.7톤을 수출하였으며,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은 내년부터 한라봉 수출량을 50톤으로 대폭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어, 이에 따라 적극적인 수출 증대 정책으로 한라봉 수출량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경우에 대한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제주감협의 목표치인 50톤을 기준으로 50톤에서 점차 증대되어 향후 70톤∼100 톤까지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경우에 대한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미국산 오렌지 수입산 변화에 따른 영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산 오렌지 수입단가가 하락하는 상황을 반영한 시나리오의 경우, 수입단가 10% 하락의 경우 재배면적(2028년 기준)은 1,618ha, 15% 하락의 경우 1,400ha, 20% 하락의 경우 1,248ha로 기본전망 대비 각각 14%, 26%, 34% 감소하였다. 수 입단가의 하락으로 인해 오렌지 수입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재배면적이 감소 하였고, 생산량도 각각 47,584톤, 41,176톤, 36,688톤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실질 농가수취가격(2028년 기준)은 각각 2,339원/kg, 2,356원/kg, 2,368원/kg으 로 나타났는데, 오렌지 수입량의 증가로 초반에는 농가수취가격이 감소하였으나 생산량의 감소로 시장 공급량이 감소하여 농가수취가격이 기본전망 대비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렌지 수입량(2028년 기준)은 각각 24,788톤, 29,525톤, 33,942톤 으로 나타났으며, 실질 총 조수입(2028년 기준)은 기본전망 대비 각각 14%, 25%, 33% 감소한 1,113억원, 970억원, 869억원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가공량 확대에 따른 영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면적(2028 년 기준)의 경우 생산량의 5%가 수매되는 경우 1,950ha, 10% 수매되는 경우 2,036ha, 15% 수매되는 경우 2,132ha로 이에 따라 생산량은 각각 57,324톤, 59,875톤, 62,698톤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가공 수매량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시장 공급량은 감소하고 이에 따라 1인당 소비량 (2028년)은 각각 1.03kg, 1.02kg, 1.01kg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농 가수취가격은 2017년 2,860원/kg에서 2028년 각각 2,331원/kg, 2,343원/kg, 2,357 원/kg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산량은 증가하였지만 국내 시장 공 급량의 감소로 인하여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실질 총 조수입은 기본전 망(2028년 기준) 1,287억원에서 각각 4% 증가한 1,336억원, 9% 증가한 1,403억원, 15% 증가한 1,478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공량의 확대로 시장공급량이 감소 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조수입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세 번째로 수출량 확대에 따른 영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출량 확대 정 책 상황을 고려한 시나리오의 경우, 재배면적은 2028년 기준 70톤 확대의 경우 1,887.4ha, 100톤 확대의 경우 1,888.2ha로 나타났으며, 생산량은 각각 55,495톤, 55,518톤으로 기본전망 대비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량은 2028년 각각 54,885톤, 54,868톤으로 수출량이 증가하여 국내 생과소비량이 감소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실질 총 조수입은 2017년 1,267억원에서 2028년에는 70톤 확대의 경우 1,288.1억원, 100톤 확대의 경우 1,288.8억원으로 각각 0.13%, 0.18% 증가하 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수출량의 확대로 시장공급량이 다소 감소하여 가격 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조수입도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오렌지 수입을 대부분 미국에 의 존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미국의 오렌지 작황에 따른 물량변화와 수입단가 변화는 오렌지 수입시기에 출하되는 국내 한라봉 및 과수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의 오렌지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국내 오렌지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데, 미국의 작황 부진에 따른 생산량 감소 등으로 수입단가 가 상승했음에도 수입액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점을 고려하면 가격이 낮아진 미국산 오렌지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한 라봉시장의 규모가 축소될 수 있다. 한라봉 시장의 중장기 수급 변화 탐지을 위해 주요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질 총 조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한라봉 시장의 규모가 커지는 것 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향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늘어나 는 상황을 가정하여 수급변화를 미리 가늠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기반으로 전략 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한라봉의 출하시기를 중심으로 분석기간을 12월∼ 2월로 한정하고, 미국산 오렌지가 무관세로 적용되는 TRQ 물량에 대한 파급영 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한·미 FTA 사후영향 평가결과를 사전영향평가 결과와 비교할 경우 모형에서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에 따른 국내 수급상황 변화, 미 국의 오렌지 작황상황에 따른 생산량 및 수출량의 변화, 거시경제변수의 가정 (GDP 디플레이터,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상승률, 환율 등)은 사전영향평가 당시 의 거시경제변수 가정과 FTA 사후영향평가시의 실제 값은 상이할 수밖에 없다 는 점 등을 감안할 때 결과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중장기 전망 및 주요 정책 영향 분석결과도 한라봉의 작황상황, 국내외 경제상황, 미국산 오렌지뿐만 아니라 경쟁과일의 영향 고려 여부 등에 따라 결과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다면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태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다면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회복탄력성에 의해 완화된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다면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를 통해 우울을 감소시키는 간접적 영향이 유의한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소재의 대학생 298명이며,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통합적 한국판 우울척도(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SNS 중독경향성 척도(정소영, 김종남, 2014), 다면적 자기개념 검사(권석만, 1996), 회복탄력성 척도(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v3.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각 변인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변인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PROCESS Macro model 4와 8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각각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중독경향성이 물질적, 정신적, 사회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정신적, 사회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만이 우울에 유의하게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 간 관계에서 정신적, 사회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쳐 정신적, 사회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가 부분매개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다면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 그리고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두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는 SNS 중독경향성이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던 정신적, 사회적 자기개념에 대한 부정적 인지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우울이 발생되는 복잡한 경로의 이해와 구체적인 개입방법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rough the associated negative self cognition of multiphasic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depression in young adul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8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rires of the Intergrated Adptation of CES-D in Korea Scale(Chon, Choi & Ynag, 2001),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Jung & Kim, 2014), Multiphasic Self-Concept Scale(Kwon, 1996), Resilience Scale(Shin, Kim & Kim, 200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each effects were verifi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and 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NS addiction pron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young adults’ depression, and the negative self cognition of spiritual and social self-concept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through negative self cognition of spiritual and social self-concept i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e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depression of young adults. Overall, the noted implications for the decrease of the Depression of young ad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온라인 게임에서 게이머의 효능감이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 게임을 중심으로

        김태련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cale of online game market of world in 2006 was 5 billion dollars, sharing 61.9% of Asian area, which was the biggest proportion, 25.4% of American area, and 12.8% of European area. The scale will reach to 10.2 billion dollars by the time of 2009, which is 2 times more comparing with the data in 2005. The industrialization of online game was first succeeded in Korea, which was an industry of product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service. Therefore, in terms of online game, Korea is a pioneer that has strong competitive power on technology and service. Today’s Korean online game technology is more than two years ahead than other developing countries like Chin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 2006, the whole scale of game industry was 7 billion 748 million 900 thousand dollars, including 3.6 billion dollars online game income, 1 billion 864 million 700 thousand dollars was involved by internet bar. The exports of online game was around 600million, exporting to Japan, China, America, which will still be the major countries in future, expanding to Southeast Asia and Europe also. Referring to Chinese online game marke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port of Chinese online game market in 2006”, the income of Chinese online game market was 7 billion 680 million RMB, and annual rate of growth reached to 60%, keeping increasing at the same. Online gamers were 31 million 120 thousand, increasing 18.5% than the year before last year. Chinese own online games were hardly found in the market until 2003. However, by 2004, benefitting from the support policies of government, Chinese own online game market was developing, making Chinese game industry one of the most potential creative industries. Chinese online game market is confessedly considered as the most potential market. During these time, Korean online game enterprises was dominating the Chinese online game market and the overconfidence made them ignore the various selective intentions of Chinese gamers, leading to the difficulties of keeping domination. Under the background mentioned above, the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mers’ flow and communication into personal attribute factor and environmental attribute factor. The study deeply researched on the influence of flow and communication on customer loyalty through these factors, taking the Korean and Chinese gamers as research objects. At the gamer’s point of view, games which own the high customer loyalty are considered as the successful games.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which compose the customer loyalty, and stated the strategic directions for online game developers, services and exporters.

      • 레이더와 비전 센서 융합 기반 도로경계 인식 기술 개발

        김태련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s of road barrier including tunnel and guardrail are proposed to enhanc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for driver assistance systems. Although the road barrier is one of key features to determine a safe drivable area, it may be recognized incorrectly due to performance degradation of commercial sensors such as radar and monocular camera. Two frequent cases among many challenging problems are considered with the commercial sensors. The first case is that few tracks of radar are detected to road barrier due to material type of road barrier. The second one is inaccuracy of relative lateral position by radar, thus resulting in large variance of distance between a vehicle and road barrier. To overcome the problems, the detection and estimation algorithms of tracks corresponding to road barrier are proposed. Then, the tracking algorithm based on a probabilistic data association filter (PDAF) is used to reduce variation of lateral distance between vehicle and road barrier. Finally, the proposed algorithms are validated via field test data and their performance is compared with one of road barrier measured by lidar.

      •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발달과 직무연수 요구 분석

        김태련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encies of teacher development and requirements for job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ir service period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tendencies of teacher development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ing in accordance with their service periods ? Second, what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service periods ? - What are those teachers' requirements for job training contents ? - What are those teachers' requirements for the method of job training ? To get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290 teachers from randomly sampled 30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under the control of 5 education offices in Busan. Out of the recollected questionnaire copies, 259, except those as inappropriately responded, were finally analyzed. The measurement device consisted of two parts, or questionnaire forms asking teacher development and job training requirements, respectively. The former was th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Yang Jeong Hee's(2005) questionnaire about "teacher development over the life cycle of the teaching profession", while the latter was that of Jo Hee Young's(2004) questionnaire about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job training".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was 0.89 in Cronbach α. Data from the survey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Statistical Program(Version 14.0). In detai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obtain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eacher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ir service periods. In addition, F-test was made to identify and compare areas of such development as foresaid. Furthermore, Tukey HSD post-test was made to determine relations between sub-variables. Finally,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quirements for job training, especially in relation to its contents and method, in accordance with those teachers' service period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ir own in all areas of the teaching profession as they become longer in service period. One of the objectives of job training is to support and strengthen such changes and developments. In association, job 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organized depending on those teachers' service periods. Second, job training should motiv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by allowing them to choose by themselves what to learn and what to get from the training. This would contribute to making those teacher more specialized and meet their educational needs. Third, maximizing effects of job training requires not only contents, but also method of the training to be effective. This suggests that job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under a full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t requirements for the contents and method of job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ir different service peri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development tendencies and job training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service periods. Though same in service period, by the wa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velopmental level. Job training programs for those teachers can be efficient and effective when they properly reflect not only such difference itself, but also those teachers' different requirements analyz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Second, it is urgently needed to increase better training institutes and find lecturers who will serve at the establishments as experts in various fields. Currently,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job training during their school vacation. For this reason, existing training institutes lack in lecture rooms and lecturers during the time. This is the reason why the establishments cannot provide various kinds of training. Job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participatory by combining different practices that depend on those teachers' different service periods. In relation, supp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and expand the lecture rooms and other facilities of each training institute and recruit more qualified lecturers as experts in various field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necessity of job training in associ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continue to discipline themselves. This would contribute to making those teachers more specialized and establishing a mature culture of the teaching profess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발달 경향과 직무연수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발달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직무연수의 요구는 어떠한가? - 직무연수의 내용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 직무연수의 방법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5개 지역 교육청별로 4개교씩 총 20개 학교를 무선 표집하고 해당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하고 전체 259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측정도구는 두 가지 이다. 첫째, 교사발달에 관한 질문지는 양정희(2005)가 개발한 “교직 생애주기에 따른 교사발달”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직무연수 요구에 관한 질문지는 조희영(2004)의 “초등교사 직무연수제도 실태 및 개선방안 탐색”에 관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Version 14.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발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변인 간 차이 검증을 위해 F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하위 변인들 간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Tukey HSD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육경력에 따른 직무연수의 내용과 방법의 요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발달 경향은 교직발달, 전문발달, 조직발달의 모든 영역에 있어 경력과 더불어 발달해 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경력은 교사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교사 경력발달을 고려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경력이 증가함에 따라 직무연수 내용에 대한 요구가 달랐다. 즉 직무연수의 필요성, 직무연수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 그리고 도움을 많이 받은 직무연수, 교사발달 영역 중 희망하는 직무연수의 내용 등에 대한 요구는 교육경력이 높은 집단의 교사와 교육경력이 낮은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사 직무연수 시 교사가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자발적으로 연수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직무연수의 방법적인 면에서도 교육경력에 따라 다양한 요구를 하였다. 적절한 강사, 교육방법, 받고 싶은 연수기관, 연수의 적절한 횟수 등에 있어 경력집단 간에 요구하는 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연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경력별 직무연수 요구의 차이를 적극 반영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 교육경력에 따른 교사발달 경향을 알아본 결과 같은 교육경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교사 개개인의 발달단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요구 분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연수의 대부분이 방학 중에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각 연수원은 강의실과 강사의 부족으로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형식적인 연수가 되어 연수의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다. 교육경력에 따라 교사들이 요구하는 실기(실습)를 병행한 참여식 연수방법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또 이를 위해서는 강의실 및 연수원 시설 확충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성숙된 교직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 스스로 여러 분야의 직무연수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찬에 힘써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