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김초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이 어떠한지 분석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2-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2-2.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299명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설문지는 유희진(2014), 허민정(2019)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20년 7월 27일부터 9월 11일까지 우편, E-mail 또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방문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독립변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들을 대상으로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 25.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영역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평가, 편성·운영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편성·운영, 교수·학습, 평가영역에서 10년 이상의 경력를 가진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은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편성·운영영역에서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 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영역에서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 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평가영역에서 4년제 졸업과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공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학을 전공한 유아교사가 평가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육학 외를 전공한 유아교사가 편성·운영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편성·운영, 교수·학습영역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의 인식이 높았으며 평가영역에서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편성·운영, 교수·학습, 평가영역에서 만5세반 유아교사가 만3세반, 만4세반, 혼합연령반 유아교사보다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혼합연령반 유아교사의 누리과적 운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정책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낮았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어려움, 전문성에 대한 어려움, 근무환경에 대한 어려움, 연수에 대한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영역에서는 4-6년 경력을 가진 교사와 7-9년 경력을 가진 교사가 1-3년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전문성, 연수, 정책 영역에서 2,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4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전공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연수, 정책 영역에서 유아교육학 외를 전공한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전문성 영역에서 유아교육학을 전공한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연수, 정책 영역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영역에서 만4세 담당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가장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정책에 대한 영역에서는 혼합연령 담당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가장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지식과 인간과의 관계를 통한 작품연구 : 지식의 절대적 지위와 시기적 관계를 중심으로

        김초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은 오랜 역사 동안 인간이 이 세상에서 생존할 수 있는 지혜를 부여 하였으며 또 인류 역사가 여태까지 발전 할 수 있게끔 큰 기여를 하였다. 파르메니데스(Parmedides) 가 처음으로‘존재는 하나다’라는 주장을 제기한 이후로 인간은 자연과 인간 세상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에 의해 존재를 연구할 수 있는 도구인 기호와 논리 규칙이 발명된다. 이후 사람들은 기호와 논리규칙이 진리로 나아가는 도구라고 믿고 이것을 지식이고 과학이라 생각하였다. 그리고 신의 죽음 이후 과학과 지식으로 인간의 무한신뢰를 받으며 새로운 ‘신앙’의 대상이 된다. 지식은 이렇게 신의 절대적 권리의 자리를 대체하게 된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으로 현재 기호와 논리 규칙들은 과학자들을 만족시켜 주지 못하고 기호와 진리는 자신의 한계를 드러낸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은 진리는 이론과 경험 두 가지로 구성된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을 증명하려던 그 조차도 이것은 실현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고‘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본 논문에서는 이것을 크게 두 개 부분-지식을 구성하는 이론과 경험의 제한성과 오차 그리고 지식의 시대성을 논증하여 진리는 그 시대의 최선의 선택일 뿐이라는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그리고 지식의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지식이 자아해체로 나아가는 현재 인간의 세상에는 큰 변동이 생길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여 이에 어떠한 태도로 사람들은 이것을 극복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는 위에서의 주장과 이론을 바탕으로 이것을 상징적인 표현방식을 이용하여 이론을 형태화 하여 시각화 한다. 작품에 사용된 사물 자체들이 갖고 있는 특성과 관중이 작품에 참여 하였을 때 작품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이용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작품은 관객과의 소통으로 완성이 되며 관객도 작품의 일부분이 된다. 결국 대중으로 의해 본 연구자의 주장인 지식의 제한성은 증명이 되며 지식의 절대적 권리는 해체된다. 그리고 공예분야에 새로운 개념적 분야의 선도를 연구 한다. The knowledge gives the wisdom to humans which has helped them to survive in this world. Parmenides was the first person who said that there was only one world which is shared for human and creatures. From this point, people explored and learned about the nature using their own tools such as Aristotle used language, sign and logical rules... Since people believed and used that this languages, symbols and logical rules, they have defined the truth which was explained as science and knowledge. And by the dawn of human science, finding the truth is the subject of a new "faith". However it was clearly that the current rules of symbols in science did not fully explanation about the truth and revealed their limits. Ludwig Wittgenstein claimed that the truth consists of two parts: “theory” and “experience”. However, to prove the truth, it seem to be not enough even though further dividing it into small parts as "Whereof one cannot speak, thereof one must be silent." In this paper, we divide into two main sections: (1) the limitations of theory and experience knowledge; (2) discussion and explanation about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human.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explanation about knowledge, people should prepare their attitude from the changing of the world. From the previous work, I further explain by creating the design and have exhibition which also evaluate the visitors behavior. Finally, through the design and interaction with visitors, it i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human activities.

      • '소요(逍遙)'의 현대적 실현

        김초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we face to many problems in our life, and feel uneasiness and suffocating, we can find the peace in our mind and be encouraged to open the new life by taking a walk through a forest. This can be said as the healing of nature. When I felt the moment of being free in the nature, I imagined the peripatetic pleasure of Chuang-tzu. And I intended to realize the meaning in my work by taking the world of peripatetic pleasure from Chuang-tzu's philosophy of art as the symbol of Utopia. As a theoretical study, Chuang-tzu's doctrine, in the view of the spirit of art, represents the aesthetic boundary of the absolute beauty and the spiritual boundary of the absolute freedom. This Chuang-tzu's philosophy of art provides the spiritual and aesthetic basis to realize the internal desire toward the utopia which my work is seeking for. Also, as the method to reach his doctrine, Chuang-tzu suggested 'sitting and forgetting' and 'clearing mind', and in the view of the process of creation, these methods could be considered as the similar meaning to the efforts in the process reaching the ultimate goal of art and the aesthetic boundary. Therefore, together with the amusing moment derived by concentrating in art works, art work has both of the meaning as 'discipline' and as 'pleasure' for m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huang-tzu's spirit of art appeared in each of 'the theory of landscape painting', 'the theory of literary artist's style painting' and 'the theory of calligraphy'. And through appreciating the real works and considering the meaning carefully, the study investigated on the method to realize my work. As for the methodological side, I chose 'wood' as the material to express 'the peripatetic pleasure' which is considered as the utopia, and traced out the self-image reflecting the internal desire toward the utopia of 'free spirit'. I tried to give direction and rhythm on the screen by expressing the trait of a tree which represents 'freedom' with the features of branches freely spreading out and the leaves blown away. The image of the peripatetic is expressed by blue color and blank space. The wood material and the symbolic meaning of blank space associates with the oriental naturalism which pursues the union and the harmony with the nature, hence becomes the method of symbolic expression corresponding the utopia I intended to express. As for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glue and the amount of water, I expressed the change of color tone in depth with spreading and soaking. This intended to accomplish the changes of screen naturally by deepening the emotional depth and concentrating on the amusing changes of screen.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art in depth by understanding Chuang-tzu's spirit of art and taking it as the aesthetic foundation, and to lay a cornerstone of expressing and realizing the internal desires toward freedom on works by investigating the repetitive experiments and expressions about materials and expressions. Furthermore, by helping the modern society aware of the meaning of 'peripatetic' and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t, the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direction of art as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circumstance of isolation and conflict and of searching for th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and harmony. 우리는 현실에서 부딪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의해 내적 불안감이나 갑갑함을 느낄 때, 숲이나 산책로를 걸으면서 편안한 마음의 안정을 찾고 새로운 세계를 열어갈 힘을 얻는다. 이는 자연으로부터의 치유일 것이다. 본인은 이렇게 자연 안에서 자유로워지는 순간을 느끼며 장자의 소요유(逍遙遊)를 떠올리게 되었고, 장자의 예술철학에서 말하는 소요유의 세계를 이상향으로 상징화하여 작품 안에서 그 의미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로서, 장자의 도(道)는 예술 정신의 차원에서 볼 때, 절대미의 심미 경계이자 절대 자유의 정신 경계를 말한다. 이러한 장자의 예술철학은 본인의 작품이 추구하는 이상향에 대한 내적 욕구를 실현하는 정신적·미학적 토대가 된다. 또한 도(道)에 이르는 방법적 측면으로, 장자는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예술 창작의 과정에서 보면 예술의 궁극적 목적에 도달하고, 심미적 경계에 이르는 과정의 노력과 같은 의미로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에 몰입하며 느끼는 유희적인 순간과 더불어, 본인에게 작업은 수행(修行)과 유희(遊戱)의 양의적 의미를 갖는다. 장자의 예술정신이 산수화론(山水畵論), 문인화론(文人畵論), 서론(書論)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고찰하고 실제 작품의 감상을 통해 그 의미를 숙고한 후에 본인의 작업의 형상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방법론적 측면에서 본인은 이상적 세계인 ‘소요유’을 표현하기 위한 소재로 나무를 선택하고, 나무에 ‘자유정신’의 이상향을 향한 내적 욕구가 반영된 자아상을 투사하여 표현하였다. 자유로움을 지향하는 나무의 모습을 분방하게 뻗은 가지, 흩날리는 듯 하는 나뭇잎을 자유롭게 표현하여 화면에 방향성과 리듬감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작품에 소요의 이미지를 청색과 여백을 통해 표현하였는데, 이는 나무라는 소재와 청색과 여백이 갖는 상징적 의미가 자연에로의 합일(合一)과 조화를 추구하던 동양의 자연주의 사상과 연관되어,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향과 부합하는 의미로서 상징적 표현의 방법으로 작용한다. 재료 기법의 측면에서는 아교포수의 농도나 물의 양을 조절하여, 번짐과 스밈을 통해 깊이 있는 톤의 변화를 표현하였다. 이는 정서적 이미지의 깊이를 더하고 유희적인 화면의 변화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서 자연스러운 화면의 변화를 얻고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장자의 예술 정신을 이해하고 이를 작업의 미학적 토대로 삼아 앞으로 깊이 있는 작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재료와 표현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자유로움에 대한 내적 욕구를 작업으로 표현하고 실현하는데 그 초석이 되고자 한다.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 ‘소요’의 의미를 일깨우고 감상자에게 소요의 실현 기회를 제공하여 소외와 갈등의 현실을 극복하고 소통과 조화의 가능성을 찾는 의미로서 작업의 방향을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초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designed formative activity influences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research problem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children's spatial ability? 1-1.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eye-motor coordination ability? 1-2.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spatial reasoning ability? 1-3.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figure-ground perception ability? 1-4.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visual memory and recollection ability? 1-5. How does designed formative activity have effects on the position-in-space perception abil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0 four-year-old young children in two classes at P kindergarten located in GyeongGi-Do. One class was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was classified as a comparative group. Each group was composed of 20 members. This study used Hong(2001b)'s children's spatial ability test which partially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You(2004) to measure children's spatial ability. The designed formative activ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en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five weeks. The formative activity for the comparative group had been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five weeks. To assess the difference in points between the advance test and final test of the two groups,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spatial ability, i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as for the sub-factors of children's spatial abilities, it appear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factors such as eye-motor coordination. From this study, the result implies that the designed formative activity should be used to develop children's spatial ability in kindergarte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가.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눈-운동 협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적 추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형태-바탕지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라.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시각적 기억 및 회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마.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위치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P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개 학급 중 A반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실험집단으로, B반 유아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공간능력에 대한 사전검사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공간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Del Grande(1990)가 범주화한 공간능력의 구성 체계를 기초로 하여 홍혜경(2001b)이 제작한 유아의 공간능력 검사도구를 유경숙(2004)이 인쇄상태와 검사도구의 몇 가지 미비한 사항들을 부분 수정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5주간 이루어졌으며 실험기간 동안 생활주제에 따라 10회의 입체조형활동이 전개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모든 유아는 10회의 입체조형활동을 경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주제의 전개에 따라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을 하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사전설계 없이 입체조형활동을 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은 유아의 공간능력을 증진시키며, 특히 공간능력의 구성요인인 눈-운동 협응 능력 증진에 더 효과적인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전설계를 통한 입체조형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 성격특성, 업무역량 및 외적 이미지에 대한 자기평가가 채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중심으로

        김초혜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에서 이미 관광산업의 규모는 매우 팽창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노동에 비해 여가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 경제는 이미 1인당 국민소득 3만 불을 넘어섰다. 이는 선진국으로 점차 우리 사회가 진입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에 비해 훨씬 더 우리 사회에서 관광 산업에 대한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관광산업은 특히 그 산업의 규모가 팽창할수록 그 산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인접 산업의 규모와 수준을 제고하며 다른 산업들에 비해 더 높은 부가가 (Added value)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예컨대 숙박 산업이나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이 관광을 수요로 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경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필요로 하는 관광의 범위가 예전보다 훨씬 넓어진 바, 예전에는 여러 가지 이유 – 해외여행에 대한 법적 및 행정적인 규제, 여권(Passport)과 사증(Visa) 발급에 대한 갖가지 제한, 해외여행을 위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데에 드는 높은 비용 등으로 단거리 국내 여행에 대한 수요가 여행 수요의 대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항공기 여객 서비스 산업의 팽창 추세를 선제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는 바, 이제 소비자는 고도로 발달한 수요 수준 – 예전의 수요보다 다층적이고 복잡하며 개인적인 수요를 갖고 있는 소비자로 변모하였고 항공 여객 서비스 산업은 그 양적인 규모에서 절대적으로 팽창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질적인 수준에서도 여러 항공사들 간의 경쟁을 통해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항공사는 높은 시장 점유율(Market Share)을 가지며 그렇지 못한 항공사는 시장에서 도태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항공 시장의 경쟁이 지속될 것이 뚜렷한 상황에서 객실승무원들의 운송과 접객 역량 혹은 객실 내 서비스의 제공 역량을 강화할 것이 여러 항공사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이 바로 지금의 항공 서비스 시장을 요약하는 표현이라고도 할 것이다. 항공사들은 객실 승무원이 착용하는 유니폼을 재단장하여 항공 시장에서의 경쟁에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뛰어들 것을 시장 소비자들에게 천명하는 등, 객실승무원을 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징으로 간주하고 객실승무원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준을 끌어올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 진에어의 “청바지” 유니폼 도입과 이스타항공의 여성 승무원을 위한 정장 바지 유니폼 도입, 여러 항공사에서의 객실 내 유료 서비스에 대한 핸드폰 간편결제 서비스 지원 등이 그 일례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객실 승무원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항공 시장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간주하고, 특히 객실승무원의 객실 내 서비스 제공에 있어 그 하부 근간을 형성하는 요소라 할 수 있는 승무원의 성격 특성과 업무 역량 및 외적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특히 항공 시장에서 우수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선정하여 객실 서비스의 수준을 제고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예비 객실승무원으로서 미래 항공사에의 취업을 희망하는 지원자가 갖춘 성격 역량, 업무 역량 및 외적 이미지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여, 궁극적으로는 지원자가 본인의 역량을 효과적으로 강화하여 본인의 채용가능성을 높이는 한편으로 항공 시장에 양질의 인재로 새롭게 진입하여 더 훌륭한 객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실승무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 연구

        김초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oncept of the new retail market was raised by Alibaba's chairman Ma Yun in 2016, and refers to a way in which individuals or companies upgrade the production, sales,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using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Internet, maximize the efficiency of all forms of the online and offline consumer market.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in the Chinese jewelry consumption market and jewelry brands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the Chinese jewelry brand had a low purchase conversion rate even though it had many jewelry consumers. From the platform's point of view, China's jewelry brand was promoting a sales method that simply expanded the platform, not a convergence of the platform, did not help the brand's sales, and hurt the brand's image. From a product point of view, the Chinese jewelry brand was focused on mid-low prices and diversity, and could not satisfy Chinese consumers seeking emotional and cultural values. In addition, four major problems appeared in the business model of the jewelry brand. First, the value and personality of the brand are not clearly visible, second, cost-effectiveness is no longer competitive, and third, the past platform operation method hinders brand expansion and increase in stores, and fourth, it has a brand image of mid- to low-priced due to invalid online sales. The study of this paper was conducted in three part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jewelry brand's consumption market and the jewelry brand's business model in the new retail market were studied. Second, through Delphi expert counseling, the items necessary for presenting the business model were derived, and the most necessary and appropriate items were selected. Third, a jewelry brand business model in the Chinese new retail market consisting of elected items was presented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with other brands was compared. Through Delphi expert consultation, items that influence the presentation of jewelry brand business models in China's new retail market were derived and weights for each item were analyzed. Experts who participated in Delphi counseling consisted of jewelry designers and management managers with field experience, jewelry design researchers related to academic research, and a group of experts in management, and conducted three Delphi counseling sessions. The first Delphi counseling derived the main items of the business model, and the second Delphi counseling measured the expert's recognition of the items derived from the first Delphi counseling. In the 3rd Delphi survey consultation, the weights of the mediating items were analyzed, and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selected in the presentation of the jewelry brand business model in the current Chinese new retail market. Items elected through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problem recognition, solution, customer, channel, core value, cost, and profit, forming a business model, and comparing competitive advantages with other brands. There are two factors in problem recognition: the need for brand representative products, the improvement of brand image, and the operation of direct management platform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rand image to accurately deliver the brand value to consumers through representative products and to satisfy the consumption needs of the high-income class, the main customer base of Jewelry. The solution is a change in the core value of the brand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and a change in the channel. The main customer base of the jewelry brand is consumers of China's high-income class, and the population of high-income customers and the total amount of jewelry transactions continue to increase, but China's jewelry brand does not have a high consumer conversion rate. In order to solve problems and satisfy the main customer base, the first key values to be improved are pursuing virtual values and changing brand images through changes in design elements of brand products. In order to deliver brand images and values to customers in the new retail market, it is necessary to provide brand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the most suitable platform for each stage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each platform. At the stage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brand, it should be possible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online and offline experiences. Through online and offline partner channels, brand promotion and evaluation can be carried out by using platforms that already have quantities of consumer data or collaborating, and brand value can be delivered through offline experience stores. In the purchasing stage, it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nvenience and offline reliability, and the reliability of product authentication and purchase can be strengthened through an online and offline direct platform. The post-delivery stage is the convenience of online consumer movemen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offline immediate compensation, and after analyzing online consumer data using a partner or partner platform with big data, the area of offline stores, the quantity of stores, and products needed for floating stores. Investment costs are incurred in entering the new retail market by forming a social class of brands and diversifying platforms by improving brand image, and profits can be generated from the added value of products by forming a culture of Chinese jewelry brands through brand image formation and consumer class separation. The presented business model compared the competitive advan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platforms, and products using the positioning map.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the separation of consumer rating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establishing a fine jewelry brand image, and from a platform point of view, the platform can be selected and changed to suit the brand's environment, resulting in a profitable business model excluding cost. From a product point of view, the establishment of virtual value and brand culture can better satisfy the current consumption needs of Chinese jewelry customers. The jewelry business model in China's new retail market presented in this study still needs more research on many similar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with basic data on the presented business model. 중국에서 뉴 리테일 시장에 관한 개념은 2016년 알리바바의 회장 마윈에 의해 제기 되었으며 그 후 중국의 소비시장은 뉴 리테일의 시장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주얼리 브랜드의 경우, 아직 뉴 리테일의 초기 시장 진입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현재 중국의 주얼리 소비자의 구매욕구 또한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 현황연구와 전문가 상담을 통해 뉴 리테일 시장에 적합한 주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한 중국의 주얼리 소비시장과 주얼리 브랜드에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소비자의 관점에서 중국의 주얼리 브랜드는 많은 주얼리 소비자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구매 전환율을 갖고 있었다. 플랫폼의 운영측면에서 중국의 주얼리 브랜드는 오프라인 커머스(Offline Commerce), E-커머스, SNS-커머스, 라이브(Live) 커머스 등의 플랫폼을 융합한 것이 아닌 단순히 플랫폼을 확장하는 영업방식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것은 브랜드의 매출액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브랜드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제품의 브랜드가치 측면에서 중국의 주얼리 브랜드는 중저가와 다양성에 브랜드 가치가 집중되어 있어서 감성적이고 문화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중국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주얼리 브랜드의 비즈니스 모델에는 크게 네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브랜드의 가치와 브랜드 고유의 독창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경쟁력이 없는 가성비를 브랜드 가치로 내세우고 있다. 과거의 플랫폼 운영방식이 브랜드 확장과 매장의 증가를 저애하고 있으며, 타당하지 않은 온라인 판매 방식으로 인해 중저가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는 세 개 부분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의 소비시장과 주얼리 브랜드의 비즈니스 모델의 현황과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둘째, 델파이 전문가 상담을 통하여 비즈니스 모델 제시에 필요한 항목들을 도출하여 가장 필요하고 적합한 항목들을 선출해내었다. 셋째, 선출된 항목들로 구성된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타 브랜드와의 경쟁우위를 비교하였다. 델파이 전문가 상담을 통해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 제시에 영향을 주는 항목을 도출하여 각 항목별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델파이 설문에 참여한 상담자는 중국 현지의 주얼리 산업에 전문지식이 있는 전문가 집단으로 이루어졌다. 모두 3차례의 델파이 상담을 통해 현재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브랜드 비즈니스 모델 제시에 중요한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조사를 통해 선출된 항목들은 문제인식, 해결책, 고객, 채널, 핵심가치, 비용, 수익이 있으며 비즈니스 모델의 7가지 항목을 구성한다. 문제인식에는 두 가지 요소인 브랜드 대표 제품의 필요와 브랜드 이미지 개선 및 직영 플랫폼 운영이 있다. 대표제품을 통해 브랜드 가치를 정확하게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주얼리의 주요 고객층인 고소득계층의 소비욕구를 만족하기 위해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해결책에는 문제점에 상응한 브랜드 핵심가치의 변화와 채널의 변화가 있다. 주얼리 브랜드의 주요 고객층은 중국의 고소득 계층의 소비자이며 현재 고소득 고객층의 인구와 주얼리 거래 총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중국의 주얼리 브랜드는 높은 소비자 전환율을 갖고 있지 못하다. 문제점을 해결하고 주요 고객층을 만족하기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핵심가치는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 요소 변화를 통한 문화적이고 감성적인 가치 추구와 브랜드 이미지 변화에 있다. 뉴 리테일 시장에서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각 플랫폼의 장점을 살려 각 단계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을 통해 브랜드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채널 선정에서는 이해도, 평가, 구매, 전달, 판매의 단계에 적합한 온·오프라인의 직영 채널과 파트너 채널을 적용한다.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여 브랜드 고유의 특성 형성과 플랫폼의 다양화를 형성하여 뉴 리테일의 시장에 진입하는 데에서 투자비용이 발생하며 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소비자 계층 분리를 통한 중국 주얼리 브랜드만의 문화를 형성하여 제품의 부가가치에서 수익이 창출될 수 있다.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은 포지셔닝 맵을 이용하여 소비자, 플랫폼, 제품의 관점으로 경쟁우위를 점검해 보았다. 소비자의 관점에서 소비자 등급 분리는 파인 주얼리 브랜드의 이미지 수립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며, 플랫폼의 관점에서 브랜드가 처한 환경에 알맞게 플랫폼을 선택하고 변경하여 결과적으로 비용 부분이 제외된 수익 구조의 비즈니스 모델을 형성 할 수 있다. 제품의 관점에서 가상의 가치와 브랜드 문화 수립은 현재 중국의 주얼리 고객층의 소비욕구를 더욱 잘 만족 시켜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국 뉴 리테일 시장에서의 주얼리 비즈니스 모델은 아직 이와 유사한 많은 국내외 사례들을 대상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제시한 비즈니스 모델을 기초자료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뮤지컬 공연장 관객서비스영역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초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y the turn of 21th century, Performing arts have been led to become popular to the immense number of the public, thereby a turnover of the related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number of work forces. As it's mentioned above, Performing culture is enlarged its boundaries. Musical, in terms of its popularity, is the leading sector growing fast in forming of fostering enormous productions and consumption with a tremendous number of population attracted. Thu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 efforts have been focused on investigation of theatre.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tudies on Theaters, The ratio of musical theatre to theatre is relatively lower. At a specific level, There are not as many studies on service field as those on stage and auditorium. In past years, Researches on service field was assigned to marginal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performing arts. However, It's said that services are of importance as a make-or-break factor that could specifically make a profit and establish needs and satisfactions of consumers. Service be determinant for an image of theatre that this should make a great impact on consumption and trust of consumers. Service field for audiences is not to remain in a marginal area, but to become a quintessential area for audience. Service field was, on the one hand, nothing but playing a role of passage for seats in past times, while its context is differentiated into the roles of entrance and move, management, conveniences, culture etc,.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position of spaces in theatre in terms of the service field for audie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a raw material for service space of audience when musical theatre is planned. Firstly, in this study, Based on historical review, It's investigated how performing arts, specifically service field for audience,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The Role of service field has been changed to the time passed. Service field was not existed in greek Rome era, the social place of aristocrat in the middle ages and renaissance era. Therethrough the extension of service concept enlarged and its space is specified. In Today, on the other hand, Desires for culturalised living comes about with economical growth, it's expanded again on that account. So, Theatres, which measure up to the expectations of audiences today and located at the heart of the city with high demand, were adopted in the study to be investigated. Theatres adopted in present study are the Bluesquare, Charlotte, D-cube arts centre, which are all big enough to accomodate more than 1,200 people. Interviewed materials and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were analysed after visit the theatres more than two times. Furthermore, problems of theatres were inducted on the basis thereof that the results of analysis author conducted so as to propose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measurement of hall in Bluesquare to the number of seats for audiences is lower, while it has commercial facilities and 'Book Park' to lounge around, which are the by-products of recent remodeling. After all, This would be of the most modern service field in South korea. Charlotte is independent building.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n Charlotte should be passage runs into building, narrow hall, while MD sailing stand, Cafes at each stories are big advantages in a sense of population dispersion. D-cube arts centre has disadvantages in human traffic, while having a huge hall, lounges are independently arranged outside are advantages with its location to runs to commercial complexes. Thereby author, on the one hand, proposed a model in diagram to remedy the problems shown up preserving those good features on the other hand. So, Space constructions can be fall into 6 categories as follow: •Entrance & Passage Entrance has to be easily recognised. Entrance should be easily recognised. And The size of entrance should be designed up to the scale of theatre. Entrances should be more than two for a emergency measure. Bays, ticket office, core, yard, main passage, public transport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s as factors in thinking a location of entrance. •Ticket office When it comes to ticket office, arranged in front of main entrance recommended, The number of counter window is to b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seats. Further, it is required to have closed-design rather than opened for the security measure. Finally, There be a wide space for long queue in front of the ticket office. •Lounge Lounge in theatre consists of lounge and rest room. Lounge in hall is organised for the waiting purpose that effective space constructing has to be elaborately designed. Placing simple and small furnitures is the best as it retired from human traffic on the way therefor. Ratio of women to men is 70% that make-up of rest room for women is recommended twice as bigger as that of mens'. Queues for restrooms in theatre is too long to go in easily that there should be a place to wait therefor. Thus, Restroom for women and men should be distant from one another to guarantee the place to wait •Convenience Convenience facilities are consisted of check, parking booth, opera glass rental, VIP Room, photo zone, bulletin board for promotion etc. Locker should be highly secured design and installed nearby ticket office so as to be of high accessibility. rental for opera glass might as well be installed nearby the entrance of seats on 2nd, 3rd floor. For VIP room be it recommended to set around seats on 1st floor with lounge and restroom built in. Photo zone is densely populated area that place to wait need to be set aside. Further, Bulletin board designing for promotion should represents the thought thereof that every promotional materials have different in its type, size. •Commercial & cultural Commercial facilities should be easily recognised outside, have to be built with another entrance to be used even if performances isn't played. Furthermore, if cultural centre, music facility, art museum, hotel are built in theater, then Positive effects would be created in interactions among these actors. Recently musical theatres are playing different roles simultaneously, not only to satisfy the needs of audiences but also non-audiences. So, Author think that service field of domestic theatre should be reconstructed. Further, if factors mentioned above in the article would be considered, then theatre could accept demands of audiences, make a breakthrough of inconveniences. hope the study can be a reference paper to the service field for audiences, a basic material.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공연문화를 이용하는 대중들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종사자 및 매출액 또한 함께 상승하고 있다. 이렇듯 공연문화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많은 관객 수를 보유하고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뮤지컬은 국내에서 가장 많은 생산 및 소비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뮤지컬 공연문화가 확대됨에 따라 학계에서는 공연장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뮤지컬 공연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상태이며 무대 및 객석에 관한 연구를 다수 존재하나 서비스영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과거 공연장의 서비스영역은 소홀히 여겨져 왔다. 그러나 현대의 서비스영역은 관객들의 욕구 및 만족과 직결되며 수익 창출에도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부분이다. 서비스는 공연장의 이미지를 결정하며 누적된 이미지는 관객의 신뢰와 소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관객서비스영역은 더 이상 부가적인 시설이 아니며 증가하는 뮤지컬 관객을 위한 공간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과거 서비스영역은 단순히 객석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의 역할을 수행했다면 현재에는 출입 및 이동, 관리, 편의, 휴게, 문화, 상업 등 다양한 의미와 역할을 가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공연장의 관객서비스영역을 중심으로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는 뮤지컬 공연장 계획 시 관객서비스공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이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 고찰을 통해 그리스시대부터 현재까지 관객서비스영역의 발달과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리스 및 로마에는 서비스영역이 존재하지 않았고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귀족의 사교공간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서비스영역의 규모는 커지고 공간은 구체화되었다. 바로크 이후 공연장을 이용하는 주관객이 일반시민으로 변화하면서 다시 기능과 규모가 축소되었다. 그러나 현재에는 경제수준이 성장함에 따라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가 생겨나고 서비스부분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다시금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현대 관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서비스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심에 위치하고 수요가 높은 공연장을 선정하였다. 사례 공연장은 블루스퀘어, 샤롯데씨어터, 디큐브아트센터이며 이 공연장들은 1,200석 이상을 가진 대형 뮤지컬 극장으로 공연장을 다수 답사한 후 현황 및 인터뷰 분석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공연장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서비스영역의 공간구성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 블루스퀘어는 객석 수에 비해 홀의 면적이 매우 부족한 반면 최근 서비스영역의 대대적인 리모델링으로 제2의 휴게공간인 북파크와 다양한 상업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때문에 국내에서 가장 현대적인 서비스영역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샤롯데씨어터는 단독 건물로 외부에서 연결되는 동선과 협소한 홀 면적이 가장 큰 문제점이고 긍정적인 부분으로는 각 층의 카페 및 MD판매대가 있어 관객 분산을 유도하고 있다. 디큐브아트센터는 내부 동선 문제가 가장 큰 단점이며 메인 홀의 면적이 비교적 크고 외부 휴게공간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주변의 문화 및 상업시설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각 공연장의 우수한 점은 유지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모델을 다이어그램으로 제안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관객서비스영역의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출입 및 이동 출입구는 인지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공연장의 규모에 적합한 사이즈 조절이 필요하며 피난 시를 대비해 최소 2곳 이상의 출입구를 두 것이 바람직하다. 출입구를 위치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로는 주차장, 매표소, 코어, 마당, 주도로 및 대중교통 등이 있다. •매표소 매표소는 주출입구의 정면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객석 수를 고려해 창구의 수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오픈된 형태보다는 보안유지에 적합한 디자인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매표소의 전면에 대기 줄을 고려하여 대기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휴게 공연장의 휴게부분은 크게 휴게공간과 화장실로 나눌 수 있다. 공연장의 휴게 및 대기는 홀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홀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되도록 부피가 작고 심플한 가구를 두어야 하며 동선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그리고 뮤지컬 관객의 남녀 비율은 평균 3:7 이 므로 남자화장실보다 여자화장실을 2배정도 크게 계획하는 것이 좋다. 또한 대기공간을 위해 남자화장실과 여자화장실은 분리하여 배치한다. •편의 편의시설에는 물품보관소, 주차정산소, 오페라글라스대여소, VIP룸, 포토존, 홍보물 부착 공간 등이 있으며 앞으로 새로운 요소가 추가될 가능성이 있다. 물품보관소는 매표소와 가까이 배치하여 접근성과 인지성이 높도록 하고 보안유지에 적합한 디자인이 요구된다. 오페라글라스 대여소는 2,3층 객석 입구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VIP룸은 내부에 별도의 화장실과 휴게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해야 하며 객석1층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포토존은 관객이 붐비는 지점으로 대기공간과 사진을 찍기 위한 일정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공연마다 홍보물 부착의 크기와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홍보물 부착 공간을 계획하고, 인테리어 시 홍보물을 부착할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해야한다. 혹은 교체가 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상업 & 문화 상업시설은 외부에서도 쉽게 눈에 띄도록 배치해야 하고 비 공연 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출입구를 가져야 한다. 또한 공연장에 문화센터, 음악시설, 미술관, 도서관, 호텔 등이 함께 배치하게 되면 서로에게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의 뮤지컬 공연장의 관객서비스영역은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관객 이외의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때문에 국내의 뮤지컬 공연장 서비스영역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관객서비스영역 계획 시 앞서 언급한 요소들의 특성을 유의하여 디자인 한다면 보다 많은 이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향후 뮤지컬 공연장 관객서비스영역의 계획 지침 및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