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폭력 피해아동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김채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Child sexual abuse or child molestation is a form of child abuse in which an adult or older adolescent uses a child for sexual stimulation. Forms of child sexual abuse include asking or pressuring a child to engage in sexu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outcome), indecent exposure (of the genitals, female nipples, etc.) to a child with intent to gratify their own sexual desires, or to intimidate or groom the child, physical sexual contact with a child, or using a child to produce child pornography. The effects of child sexual abuse can include depressi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xiety,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ropensity to further victimization in adulthood, and physical injury to the child, among other problems. Sexual abuse by a family member is a form of incest, and can result in more serious and long-term psychological trauma, especially in the case of parental incest. The global prevalence of child sexual abuse has been estimated at 19.7% for females and 7.9% for males, according to a 2009 study published in Clinical Psychology Review that examined 65 studies from 22 countries. Under the law, child sexual abuse is an umbrella term describing criminal and civil offenses in which an adult engages in sexual activity with a minor or exploits a minor for the purpose of sexual gratification.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states that ‘children cannot consent to sexual activity with adults,’ and condemns any such action by an adult: ‘An adult who engages in sexual activity with a child is performing a criminal and immoral act which never can be considered normal or socially acceptable behavior.’ Child sexual abuse can result in both short-term and long-term harm, including psychopathology in later life. Indicators and effects include depression, anxiety, eating disorders, poor self-esteem, somatization, sleep disturbances, and dissociative and anxiety disorders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hile children may exhibit regressive behaviors such as a return to thumb-sucking or bed-wetting, the strongest indicator of sexual abuse is sexual acting out and inappropriate sexual knowledge and interest. Victims may withdraw from school and social activities and exhibit various learning and behavioral problems including cruelty to animals,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conduct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ODD). Teenage pregnancy and risky sexual behaviors may appear in adolescence. Child sexual abuse victims report almost four times as many incidences of self-inflicted harm. A study funded by the USA National Institute of Drug Abuse found that ‘Among more than 1,400 adult females, childhood sexual abus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likelihood of drug dependence, alcohol dependence, and psychiatric disorders. Intergenerational effects have been noted, with the children of victims of child sexual abuse exhibiting more conduct problems, peer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than their peers. A specific characteristic pattern of symptoms has not been identified and there are several hypotheses about the causality of these associations. Because child sexual abuse often occurs alongside other possibly confounding variables, such as poor family environment and physical abuse, some scholars argue it is important to control for those variables in studies which measure the effects of sexual abuse. In a 1998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Martin and Fleming state ‘The hypothesis advanced in this paper is that, in most cases, the fundamental damage inflicted by child sexual abuse is due to the child’s developing capacities for trust, intimacy, agency and sexuality, and that many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adult life associated with histories of child sexual abuse are second-order effects.’ Other studies have found an independent association of child sexual abuse with adverse psychological outcomes. Depending on the age and size of the child, and the degree of force used, child sexual abuse may cause internal lacerations and bleeding. In severe cases, damage to internal organs may occur, which, in some cases, may cause death. Child sexual abuse may cause infection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child, due to a lack of sufficient vaginal fluid, chances of infections are higher. Vaginitis has also been reported. Research has shown that traumatic stress, including stress caused by sexual abuse, causes notable changes in brain functioning and development. Var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severe child sexual abuse may have a deleterious effect on brain development. Some studies indicate that sexual or physical abuse in children can lead to the overexcitation of an undeveloped limbic system. Incest between a child or adolescent and a related adul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widespread form of child sexual abuse with a huge capacity for damage to a child. One researcher stated that more than 70% of abusers are immediate family members or someone very close to the family. Another researcher stated that about 30% of all perpetrators of sexual abuse are related to their victim, 60% of the perpetrators are family acquaintances, like a neighbor, babysitter or friend and 10% of the perpetrators in child sexual abuse cases are strangers. A child sexual abuse offense where the perpetrator is related to the child, either by blood or marriage, is a form of incest described as intrafamilial child sexual abuse. Prevalence of parental child sexual abuse is difficult to assess due to secrecy and privacy; some estimates state that 20 million Americans have been victimized by parental incest as children. Child sexual abuse includes a variety of sexual offenses, including: (i) sexual assault – a term defining offenses in which an adult touches a minor for the purpose of sexual gratification; for example, rape (including sodomy), and sexual penetration with an object. Most U

      • 영화음악 작곡가 한스 짐머의 음악 변천사 : 시기별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김채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Hans Zimmer's musical transition history was studied through analysis of the changes in musical features from his representative film music by dividing 5-periods from the 1980s to the presen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st Period(1982~1991). The 1980s was a period of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nd the technology of electronic music was also developed. Also, Hans Zimmer's film music was influenced by his career as a synthesizer player in a band group before he is working as a film composer in this period. Acoustic instruments appear in his music in this period, but it was a very small portion, and mainly composed of synthesizers. Other features of his music included a simple repetition of a two-measure percussion rhythm and a repetition of the main melody. These rhythms and repetitions have developed gradually and become the biggest feature of Hans Zimmer's film music. 2nd Period(1992~1999). Unlike the 1st period, the synthesizers were rarely used but mainly focused on classical music based on orchestral instruments in the 2nd period, and Hans Zimmer's classical musicality which had been receiving comments that it is very reliant on the synthesizer in the 1st period was newly proved. In the 2nd period, there was much emotional and beautiful classical music which could not be thought of as Hans Zimmer's music. Another feature of his music in this period is that the repeating of the rhythm of two-measures using single percussion of the 1st period was developed to Polyrhythm which plays different rhythms with two or more percussion instruments. The proportion of the rhythmic aspect was not so much but it is developed enough to be a major in the future. 3rd Period(2000~2009). In the third period, Hans Zimmer's music was starting to a great influence on action film music. It was a period that the music using both electronic music and orchestra was dominated, and it was a time that making well-harmonized music with the seans in the movie using the melody and harmony of complex rhythms without any special features. Polyrhythm's using various types of percussion instruments with different rhythms were mainly used, and orchestral instruments mainly used sequence and ostinato types to support complex rhythms. With these features, Hans Zimmer in the 3rd period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the music of action movies,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used by Hans Zimmer in many action movies are still being utilized. 4th Period(2010~2016). Unlike the 3rd period, it was almost no rhythmic features, and it was a period that minimal music is mainly used. In the infinite repeating of short motives, the flow of music was led by volume control only and leading to climax by adding instruments one or two after another gradually. Also, the proportion of acoustic instruments was not so much but the electronic sound was mainly used. Electronic sound helps to realize an unrealistic space by creating a sound that does not exist. Many films are containing minimalist musical elements, but most of them usually developing the short motives to another way in the latter part. From Hans Zimmer's music in the 4th period, we can see his musical experimental spirit compare to other periods of music. 5th Period(2017~). The 5th period of music includes the 3rd period's features of the genre, polyrhythm, and ostinato which are using electronic music and orchestra together and also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4th period's minimalism music. Howev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from the music of the previous periods is that music in the movie is played continuously so that a short silence brings the effect of tremendous tension. Also, the elements of sound design are used as music, the appearance of trying to escape tonality, the use of contemporary techniques a lot, and the use of music that does not reveal any emotions and has no ups and downs leads the whole movie. The 5th period is the most representative time showing his spirit of the challenge for the film music. In conclusion, Hans Zimmer has always opened a new path for film music, and his spirit of challenge to music that others do not do is outstanding. In the meantime, rather than a complex musical structure, the use of music that moderates and reveals the atmosphere in the movie with the emotions of the protagonist was used to help the audience focus more on the movie and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movie. We need to learn the aspect of Hans Zimmer, who bravely walks on a new path while does not show excessive greed for music, and having consistent artwork. Hans Zimmer's music, which has been active to this day, will continue to change and develop, so it is worth continuing the studies for his music. Looking forward to seeing what characteristics will be added to his music in the future and what new paths he will open.

      • 국가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부산항 기반 플필먼트센터 구축에 관한 연구

        김채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상거래 기반의 온라인 시장은 국경을 초월한 장벽이 무의미해지면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국내 온라인 직접•역직구액은 2014년 7000억 원에서 2019년 6조5000억 원으로 증가하였고 2014년부터 2019년 사이 연간 55%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국내외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교통•보관 등 물류비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아시아 전자 상거래의 수요에 대응해, 풀필먼트 서비스의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물류 센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IT기반 상거래 시장은 COVID-19와 함께 많은 변화를 겪었다. 사회적 거리와 이동제한 추세로 오프라인 거래가 온라인 거래로 전환되고 오프라인이었던 생필품이 확대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물류회사들도 화물처리와 화물처리의 전통적인 물류기능 변화에 위협을 받고 있다.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상업항 건설 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의 환경 변화와 전자상거래 시장의 규모 전망을 조사했다. 이 밖에도 전자 상거래항의 개념과 국내외의 항만 단지의 활용도, 국내의 특수 선박 기지(인천•평택•부산)에 대한 조사도 행해졌다. 이번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상업항 이용 수요와 전자상거래 기반의 이용 품목을 통해 실현센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우선 전자상거래 기반의 글로벌 시장이 거대한 온라인 시장으로 전환돼 국가 간 무역장벽을 해소하고 COVID-19의 영향과 함께 폭발적인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두 번째로, 전자 상거래를 위한 수출입 품목의 필요성이 다양화해, 소형•경량품을 중심으로 한 항공 운송에 대해, 대형•중형품•중량물의 해상 수송의 필요성이 부상했다. 세 번째로, Amazon, 알리바바 등 글로벌 온라인 기업은, 유통으로부터 물류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영토 파괴에 의한 풀필먼트센터 서비스를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넷째, 산호 뒤에 위치한 물류단지의 전통적인 기능뿐 아니라 변화하는 추세에 발맞춰 미래를 대비하는 내실 있는 센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조선시대 小盤의 디자인 연구

        김채영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와 디자인은 시대에 따라 변하며 각 시대의 생활 환경과 어울려 발전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은 주거 생활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으며 어느 장소에서나 통용될 수 있는 디자인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가구는 각 시대별 삶의 양식을 대변해주는 요소로써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을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오랫동안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사회 환경은 과거 생활양식과 멀어지게 되면서 점차 전통의 의미와 활용이 퇴색되어가고 전통가구 역시 우리의 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서는 현대적 생활 양식에 맞게 전통적 요소를 변형해야 할 것이며, 오늘날 망각하기 쉬운 전통과의 연결 고리로 가구를 활용한다면 그 나라를 보다 쉽게 연상시키는 국가 아이덴티티(national identity, 국가 정체성)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의 경험적 지혜를 디자인 기능적 요소로 형상화 한다면 세계 문화에 통용될 수 있는 한국적 문화 디자인 요소가 될 것이다. 전통 가구인 소반(小盤)은 실생활 도구로서 조형성과 기능성이 모두 고려된 기물이었다. 생활 필수품처럼 쓰였기 때문에 인위적 아름다움보단 생존을 위한 경험적 지혜가 담겨져 있었으며 다른 가구들과는 달리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고 설계된 실용적(實用的)도구였다. 이에 본 논문은 등한시되기 쉬운 전통 가구의 경험적 지혜를 소반에서 찾아 현대 디자인 요소로서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기원 및 어원으로 다양한 의미의 소반 개념을 확실히 하였고 유래를 통하여 시대별 용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과거 소반이 갖는 유형 분류의 한계점을 파악하여3장에서는 소반 디자인에 영향을 준 요소를 윤리/사상, 상징/의미, 심미/미학 부분으로 나누어 소반에 담긴 내적 의미부터 다시 확인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소반의 기능과 형상적 측면과의 상호 관계성을 밝힐 수 있었으며 이를 디자인 유형별로 세분화하였다. 세부 분석은 비교적 적용이 쉽고 직접적인 형, 색, 재질, 구조와 같은 형상적(形象的)요소와 생활방식, 사용자세 그리고 동선을 포함하는 행태적(行態的)요소를 함께 고찰함으로써 소반의 기능적, 형상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오늘날 변화된 주거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반의 현대적 해석 및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고 이를 근거로‘putting’,‘carrying’,‘keeping’의 세 가지 활용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것으로 현대 주거공간에서의 적용 사례를 찾음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요소들은 소반의 본 기능에 근간을 둔 요소들로 디자인 연구에 기능적 근간이 되어 새로운 주거공간에 활용함으로써 ‘기능을 바탕으로 한 형상적 요소의 활용’으로 오늘날 디자인 연구 방향을 찾고자 한다. 이에 본 고는 과거 생활 필수품이었던 소반이 전통 좌식가구라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식문화(食文化) 도구 이상의 가치를 갖도록 함으로써 앞으로 한국적 디자인을 표현하고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Sergei Rachmaninoff의 Cello Sonata in G minor, Op. 19 분석 및 연구

        김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의 유일한 소나타인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Cello and piano sonata in g minor, Op. 19)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이다. 이 연구는 서정적인 멜로디, 색채적인 화성들, 순환형식을 포함한 음악적 특징들 뿐만 아니라 소나타 전체를 통틀어 곡을 이끌어가는데 피아노의 중요한 역할도 다룬다. 라흐마니노프는 러시아 국민악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의 어법을 발전시켰는데 이렇게 그의 독자적인 양식은 그를 러시아 5인조들로부터 구별되게 만들었다. 라흐마니노프의 첼로소나타는 1901년 그의 협주곡 2번 작품 18의 큰 성공 후 작곡된 곡이다. 이 소나타는 이 두 악기 간의 음악적인 대화로 가득하기 때문에, 곡 전체를 통틀어 피아노와 첼로 파트 간의 이상적인 균형을 획득하는 게 중요하다.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에서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것처럼, 이 음악 또한 고도로 발전된 기술을 피아노 파트에 부여한다. 우리는 이 소나타에 미친 쇼팽의 영향을 몇 개 발견하는데, 세 곡의 피아노 소나타들과 첼로 소나타(opps. 4, 35, 58, 65)를 포함하는 쇼팽의 모든 소나타 들에서처럼, 이 소나타의 1악장과 4악장 모두 제 1주제 대신 제 2주제로 시작하는 재현부를 보인다. 이는 제시부의 비율에 비해 단축된 재현부를 초래한다.또 다른 쇼팽의 영향은, 쇼팽의 모든 소나타들에서처럼 이 곡에서도 일반적인 경우와는 달리, 뒤바뀐 순서로 2악장에 스케르초가 등장한다. 실질적인 역할이 첼로 파트와 동등하게 피아노 파트에 부여되어 있으므로, 첼로와 피아노는 전적으로 동등한 파트너로 취급한다. 소나타 전체를 통틀어 두 악기는 순환형식을 암시하는 주제적 소재들을 서로 연결된 방식으로 공유하는 상호관계를 보여준다. 피아노 파트는 종종 중요성에서 심지어 첼로를 능가하는 것처럼 보인다. 비록 첼로가 표현적인 가능성을 보이더라도 피아노 파트는 두 악기들 중 더 숙련되게 구성되었다. 기악적인 균형은 때때로 결여된 듯이 보이지만, 이 소나타의 긴장감과 극적인 면은 기악적 불균형의 문제점들을 상쇄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al study of Rachmaninoff’s 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G Minor, Op. 19 which is his only sonata for cello and piano. The study covers not only its musical features including lyrical melody, colorful harmonies and cyclic form but also the significant role of piano which leads throughout the whole sonata. Rachmaninoff developed his own musical language unaffected by the Russian nationalist school. Thus his independent style set him apart from the Mighty Five. Rachmaninoff's cello sonata was written after the great success of his second Piano Concerto Op. 18 in 1901. Throughout this sonata, it is important to achieve the ideal balance between the piano and cello parts since this sonata is filled with musical dialogue between the two instruments. As expected in Rachmaninoff’s music in general, this music also assigns the highly developed skills to the piano part. We find several Chopin’s influences on this sonata. As in all of Chopin’s sonatas including three piano sonata and sonata for cello and piano (opps. 4, 35, 58, 65), both the first and final movements of this sonata show the recapitulation which begins with the second theme instead of the first theme. This causes shortened recapitulation,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the exposition. Another Chopin’s influence is that the scherzo movement appears in reverse order as in all Chopin's sonatas. The cello and piano is treated as completely equal partners since the substantial role is assigned to the piano part equal to the cello part. Throughout the sonata, both instruments shows reciprocity, sharing thematic materials in an interconnected manner which suggests a cyclic design. The piano part often seems to be even more outstanding in importance than the cello part. Although the cello displays its expressive possibilities, the piano part is certainly the more skillfully constructed of the two. Instrumental balance sometimes seems to be lacking however, the intensity and drama of this sonata can offset the problems of instrumental balance.

      • 번역 후 수식화가 알츠하이머병의 병인기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채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Alzheimer’s disease (AD)의 특징으로는 Aβ의 축적과 tau의 과인산화 (hyperphosphorylation)가 있으며, 병인기전의 원인으로는 glucose metabolism과 axonal transport의 저해 등을 들 수 있다. Glucose metabolism의 저해는 결국 세포내의 O-GlcNAc을 낮추어 tau의 과인산화를 일으키고, Aβ는 GSK3β관련 신호전달을 통해 HDAC6의 활성을 높여 세포내의 acetylation을 낮추어 axonal transport를 저해한다. 단백질의 활성은 인산화, acetylation, O-GlcNAc등의 다양한 번역 후 수식화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PTM)에 의해 조절 되며, AD에서는 PTM의 조절이 망가져 있어서 단백질의 기능이 정상인에 비해 높거나 저해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에서 낮아져 있는 세포내의 O-GlcNAc과 acetylation을 증가시켜 준 후, O-GlcNAc관련해서는 Aβ의 생성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를 확인 하였으며, acetylation 관련해서는 미토콘드리아의 axonal transport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를 규명하였다. 방법: (1) O-GlcNAc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O-GlcNAcase 저해제인 NButGT를 이용하였으며, AD 병인기전에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AD 동물모델 인 5XFAD mice를 사용하여, 5XFAD mice에 NButGT를 복강내 주사하여 Aβ의 축적과 Aβ에 의한 증상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2) α-tubulin의 acetylation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HADC6의 저해제인 Tubastatin A (TBA)를 사용하였으며, primary hippocampal neuron에 Aβ와 TBA를 처리하여, 미토콘드리아의 axonal transport를 microfluidic chamber system에서 관찰하였다. 결과: (1) NButGT를 주사한 5XFAD mice는 주사하지 않은 5XFAD mice 와 비교하였을 때, Aβ의 축적과 생성이 감소하였으며, 신경 염증 (neuroinflammation)과 기억력 저하 (memory impairment)가 회복 되었다. 이것은 감마 시크리테아제의 구성 단백질 중에 하나인 NCT의 Ser 708에 O-GlcNAc 결합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NButGT에 의해 NCT의 O-GlcNAc이 증가함에 따라 감마시크리테아제의 활성이 낮아졌다. (2) 5XFAD mice의 뇌 조직에서 α-tubulin의 acetylation의 정도를 확인한 결과 낮아져 있었다. Aβ로 인해 미토콘드리아의 axonal transport는 anterograde와 retrograde 양방향에서 모두 저해되는데, 이때 TBA를 처리하게 되면 Aβ에 의해 감소된 미토콘드리아의 속도와 운동성 모두 회복 되었다. 또한 Aβ에 의해 짧아진 미토콘드리아의 길이도 TBA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AD에서 감소되어 있던 단백질의 PTM을 각각의 저해제를 이용하여 조절 한 결과 AD의 병인기전으로 알려진 Aβ의 축적, 기억력 저하, 신경 염증의 증가 등이 호전되었고, 미토콘드리아의 axonal transport의 저하도 회복 되었다. 따라서 단백질의 PTM을 조절하는 것이 AD 병인기전을 치료하는데 하나의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