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디오-비주얼 융합을 통한 음악의 시각화 연구 : 스크리아빈의 「프로메테우스」를 중심으로

        김진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디지털 시대 매체는 급속한 발달과 다양함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예술 작품의 사용되어지고 있다. 빠르고 방대하게 배포되는 매체는 예술의 형식 역시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공감각적 표현을 사용한 음악의 시각화 방식은 전통에서 벗어난 작품의 형태로 새로운 예술을 창조했다. 과거 색이나 기호 등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되었던 방식이 새롭게 등장한 매체에 융합적 방식을 사용하여 엄청난 영향력을 끼친 것이다. 색과 기호, 매체를 활용한 음악은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변화했으며, 우리에게 다양한 감각을 통한 수용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인터렉티브 개념이 더해지면서 관객과의 일방적인 결합이 아닌 상호작용의 관계를 요구하고 있다. 이것이 현 시대 디지털 매체가 이전 매체와 다른 이유이다. 매체가 재료가 되어 해체하거나 반영하고 창조하는 다소 급진적 창작방식, 또한 이질적인 감각 수용을 통한 공감각 예술표현의 미적 가치는 ‘감각’과 ‘수용방식’, ‘일상’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디오-비주얼 융합을 통한 음악의 시각화 연구로써, 스크리아빈의 「프로메테우스」에서 색광 오르간의 기능과 특징, 작품에서의 역할과 음악적 의미, 현대 기술의 발전과 음악 기술의 진보를 고려하여 색광 오르간을 현대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스크리아빈이 표현하고자 했던 음악과 빛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인터랙티브 기술과의 융합, 가상 혹은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 다중 매체와의 통합 등을 고려하여 색광 오르간의 음향적, 시각적 표현을 확장하고 현대 음악 창작과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음악의 시각화의 목적은 음악을 더욱 다채롭게 표현함으로써 대중들이 음악을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여, 음악의 구조, 멜로디, 하모니, 감정 등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또한, 작품에 더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음악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언어의 발달로 시각적 이미지와 사운드가 디지털화 되고 변환되기 쉬어짐에 따라 공감각 표현의 영역은 더욱 넓어지고 있다. The rapid development and diversity of media in the digital age are being used in different ways than before. The form of art is also rapidly changing in fast and vast media, and the visualization method of music using synesthetic expressions has created new art in the form of works that deviate from tradition. In the past, methods used in one way, such as colors and symbols, had a tremendous influence by using convergent methods on newly emerging media. Music using colors, symbols, and media has changed from listening music to seeing music, and requires us to accept it through various senses. As the concept of interactive is added to this, it requires a relationship of interaction, not a unilateral combination with the audience. This is why digital media in the present era are different from previous media. The aesthetic value of synesthetic art expression through heterogeneous sensory acceptance, as well as a somewhat radical creative method in which the medium becomes a material, needs to be examined in terms of "sense," "acceptance method," and "daily life." This study is a visualization study of music through audio-visual convergence, and in Scriabin's Prometheus, it studied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organ, its role and musical meaning in the work,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light that Scriabin wanted to expres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onvergence with interactive technology, the introduction of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integration with multiple media, we studied ways to expand the acoustic and visual expressions of colored light organs and apply them to modern music creation and research.  The purpose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was to express music in a more diverse way so that the public could see it from a new perspective, allowing them to visually grasp the structure, melody, harmony, and emotions of music.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of adding to the work was to study the direction to enhanc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music.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area of synesthesia representation is expanding as visual images and sounds become easier to digitize and convert.

      • 벤처企業의 海外市場 進出戰略에 關한 硏究 : 情報.通信.電子 技術分野를 中心으로

        김진하 전주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47

        A review of shows that past research has focused predominately on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issues in relatively well-established firms. These studies have either ignored venture firms or have failed to treat these firms separately. Only recently, researchers have broadened their search to include aspects of the foreign market investment of the ven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and explain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on the choice of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for venture firms. And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i) What ar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c archetypes which are pursued by venture firms in Korea? ii) Does factor involving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iii) Does factor involving transaction cost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iv) Does factor involving location specific advantage influenc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which they are pursuing? v) Are there differences in venture performance i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If so, what are the most favorable 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Through this research, a venture is defined as being a new technology-based firm which is less than 8 years old. The unit of analysis of this research is an individual firm.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to explore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of ventures. The other is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strategy and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To find the perceived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and determinant factors, 130 venture CEOs from th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industrie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venture's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through 17 questionnaire items on competitive method. Using factor analysis, the six determinant factors were categoriz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and factors such as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transaction cost, and location specific advantage, a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 form 92 ventures.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tors of ownership specific advantage have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of venture firms. Secondly, the factors of transaction cost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Thirdly, the factors of location specific advantage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Fourthly,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ies pursued by venture firms influence the venture performance. This study has produced evidence to demonstrate that the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profile of venture firm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relatively well-established firms. An expanded study would allow for stronger conclusions regarding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individual variables in the method. Additional research is also needed to examine other determinant variables connecting foreign market entry strategy.

      • 레트로바이러스 제한 인자인 APOBEC3 단백질이 돼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에 미치는 영향

        김진하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돼지를 이용한 이종 간 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은 인간의 장기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안되지만, 이식자에게 잠재적인 병원체가 전이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특히, 인간 세포주를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돼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PERV)는 돼지 게놈 내에 존재하여 근본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물원성감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 발견된 제한 인자를 치료법에 활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한 인자 중에 APOBEC3(apolipoprotein B mRNA-editing catalytic polypeptide 3)는 시티딘 탈아미노효소(cytidine deaminase)로써, 그 기작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레트로바이러스의 minus strand DNA를 표적으로 하여 다양한 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레트로바이러스에 대해 항바이러스 능력이 있다고 알려진 인간의 huA3G와 huA3F 그리고 돼지의 poA3F을 클로닝하여 PERV에 대한 저해능력을 보았다. Pseudotyped PERV와 replication-competent PERV에 대하여 모두 저해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huA3G가 약 1.5~9 배 더 높은 저해능력을 보였다. 다음은, 다른 발현 조건 하에서 APOBEC3의 양적인 차이와 저해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시적 발현 조건보다 지속적 발현 조건에서 huA3G와 poA3F의 세포내 발현 양과 바이러스에 삽입된 양이 많았으며, 바이러스의 감염률도 대폭 감소되었다. 이로써, 과발현된 지속적 발현 조건 하에서 저해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PERV의 복제를 저해하는 APOBEC3의 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G→A 돌연변이 빈도를 분석한 결과, 돌연변이를 관찰 할 수 없었다. 하지만, late viral DNA 합성양이 huA3G에 의해 13%, poA3F에 의해 7.5%까지 감소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종 간 장기이식에 문제가 되는 PERV를 저해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세포에서 huA3G를 과발현시키는 것이라고 판단되며, 이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또한, PERV를 저해하는데 APOBEC3가 deaminase-independent 기작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기작을 밝히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Xenotransplantation using pig cells or organs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shortage of human organs, but it has a risk of zoonosis of pathogens from the porcine organ to the xenograft recipients. Porcine endogenous retroviruses (PERVs) are one of the zoonotic microorganisms and some are able to infect human cells in vitro, suggesting that a xenozoonosis in vivo could occur. PERVs exist in the genome of all pigs and it was difficult to eliminate completely.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to reduce the risk of PERV infection using retroviral restriction factors expressed in mammals including human. APOBEC3 proteins are a group of cytidine deaminase that targets retroviral minus-strand DNA and has pote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diverse retroviruses, however, the mechanisms of A3G antiviral functions are in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identified huA3G, hu3F from human cells and poA3F from pig cells in order to evaluate the inhibition of PERV replication by these proteins. It showed that these proteins have antiviral activity against pseudotyped PERV and replication-competent PERV. In particularly, huA3G was approximately 1.5-9 fold more potent inhibitor. Next, it compared A3 protein expression levels and antiviral effect under transient expression or stable expression. when stably expressed, the A3 expression levels of cellular and incorporated into PERV virion were higher than transiently expressed A3. Also, the infectivity of PERV was more efficiently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verexpressed huA3G and poA3F were more effective inhibitor against PERV under stably expressed condition. To identify the mechanisms by which huA3G and poA3F inhibit PERV replication, it analysed the sequence of G-to-A mutation. Interestingly, it could not detect any G-to-A mutations in the PERV-gag sequenced fragment. However, it could show that the reductions in the accumulation of viral late RT products by huA3G and poA3F (13% and 7.5%,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tably overexpressed huA3G in pig cells or organs could be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prevent PERV in the xenotransplant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huA3G and poA3F are inhibit the replication of PERV by cytidine deaminase-independent mechanism.

      • 여자고등학생들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 실태 및 개선방안

        김진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ze participation situation and satisfaction of Saturday Sports Day and to analyze opinions recognized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guidance teachers regarding operational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aturday Sports Day that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on futur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activation methods search should be fulfill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survey that targeted at 247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t 6 high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and 6 teachers who guide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at six schools wa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at participation situation and satisfaction of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by utilizing IBM SPSS 19 program to analyze collected data, and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to know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chool year, grade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trength), and as for questions for grade scal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as a result of doing comparative analysis by conducting ANOVA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situation of Saturday Sports Day, th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was the few, compared to the number of the entire students who currently participate, especially participation ratio of third year students seemed very low, and this low participation ratio regarding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because of lack of time for preparation of an entrance examination could be know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ppeared to get along with friends (21.1%), to maintain and improve health (20.2%), to do exercise (15.4%), and to lose weight (15.4%). As a result of analyzing participation degree according to variables (school year, grade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trength), whil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grade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trength answered exercise intensity was not har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low grade in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strength answered exercise intensity was hard or moderate that it is analyzed that level of difficulty by level and guidance by level are required. Saturday Sports Day events participated by current students appeared to have group events such as dodge ball(38.4%), table tennis(21.2%), and basketball(13.1%). Participation place was mostly utilized at school gyms, and use of community sports facilities was very slight, and extending female students’sports activities besides school subject to lifelong sports activities grounded on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through various programs provided and utilization of facilities by linking schools to community (office of education, city hall, county office, and Gu Office) in the future. Seco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aturday Sports Day’s participa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from facilities and environment, and regarding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whole satisfaction, first year students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average 2.36 point, and the entir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appeared to have 2.27 point. Third, the reasons wh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annot participate in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were due to lack of interest and attention (35.6%), an entrance examination-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22.3%), and shortage of time because of private education (16.6%). As for a improvement method respect for vitalization of Saturday Sports Day, provision of various programs (83.8%) appeared to be the highest, and linkage importance with surrounding sports facilities was suggested. When we look at programs in ranking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first place was yoga, followed by dance sports. Considerations to increase participation of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were female school students’development of friendly activities programs (29.6%), weight control effect (27.5%), provision of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various exercise programs (17.0%). Therefor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female school students’friendly programs that reflect female school students’culture code is required in the future, and particip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expanded. Fourth, as a result of looking at teachers who guide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participation degree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aturday Sports Day appeared to be proactive (66.7%). It could be analyzed that this was possible becaus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like exercise participated in Saturday Sports Day. As for a question to ask the reason why teachers guide Saturday Sports Day, teachers answered that it was an instruction by a school principal (50%) that it could be known that it was not a voluntary choice. This could be explained as one of reasons why proactive class operation was not done. Appropriate leaders for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appeared to be high by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66.7%), which may be possible because they as young leaders can familiarly approach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it is understandable that it is a factor that can more easily approach counseling about a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or worries that can be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It could be known that teachers suffer much stress about heavy workload because reduction of task burden (50%) appeared to be the highest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eachers wish to invigorate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iendly programs to increase participation situation and satisfaction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should be done and that various programs rather than sports events that are done at the exist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done. Public relations about Saturday Sports Day activities should be done with active support and interest by schools and communities. 본 연구는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의 참여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여고생 및 지도교사가 인식하는 토요스포츠데이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분석하여 향후 여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을 통한 체육활동 활성화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요스포츠데이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 인천소재의 6개 고등학교의 여고생 247명과 6개의 학교에서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을 지도하는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도구가 점수척도인 도구의 신뢰성을 보기 위해 Cronbach's 를 실시하여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를 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학년, 체육성적, 체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점수척도 문항의 경우 두 집단 비교시 독립 T-test를 실시하였고, 점수척도 문항의 경우 ANOVA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여고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학교의 전체 학생 수에 비해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에 참가하는 학생 수는 극 소수였으며, 특히 3학년의 참여비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신뢰성을 입증하기 어려워 3학년은 연구대상에 제외시켰다. 토요스포츠데이 참여 동기는 친구들과 함께 하고 싶어서(21.1%),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20.2%), 운동을 좋아해서(15.4%)와 살을 빼고 싶어서(15.4%)순으로 나타났고 참여 강도는 배경변인인 체육성적, 체력에 따라 조사한 결과, 체육성적과 체력이 높은 여고생들은 운동 강도가 힘들지 않다고 답변한 반면, 체육성적과 체력이 낮다고 평가한 여고생들은 운동 강도에 대해 힘들거나 보통이라고 답변하여 수준별 난이도와 지도가 요구된다고 분석할 수 있다. 현재 참여하고 있는 토요스포츠데이 종목은 피구(38.4%), 탁구(21.2%), 농구(13.1%)순으로 나타났다. 참여 장소는 대부분 학교체육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역의 공공체육시설 이용은 매우 미미하였는데, 향후 학교와 지역사회(교육청, 시, 군, 구청)의 연계를 통한 시설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이 이루어져 여학생의 학교 교과 외 체육활동이 지역사회 시설을 기반으로 하는 평생 체육활동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고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 만족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운동효과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변인별로는 체육성적이나 체력이 약한 여고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체육성적이나 체력이 좋은 여고생들은 참여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에 여고생들이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는 흥미 및 관심 결여(35.6%), 입시위주의 교육풍토(22.3%), 사교육으로 인한 시간부족(16.6%) 순으로 나타났다. 토요스포츠데이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사항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83.8%)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변 체육시설과의 연계 필요성도 제시되었다. 여고생들이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순위별로 살펴보면, 요가, 댄스스포츠 순으로 나타났으며,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는 여학생 친화적인 활동 프로그램 개발(29.6%), 체중조절 효과(27.5%),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참여기회 제공(17.0%)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여학생의 문화코드를 반영하는 여학생 친화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요구되며 점차적으로 참여기회를 확대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을 지도하는 교사대상으로 참여실태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토요스포츠데이에 참여하고 있는 여고생들의 참여 정도는 적극적이라고(66.7%) 나타났다. 이는 기본적으로 운동을 좋아하는 여고생들이 토요스포츠데이에 참여했기 때문에 참여가 적극적으로 나온 것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토요스포츠데이를 지도하게 된 이유에 대한 질문에는 학교장의 지시(50%)라고 답하여 교사의 자발적 선택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적극적인 수업운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중 하나의 원인으로 설명될 수 있다.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에 적합한 지도자로서는 체육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66.7%)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여고생들에게 젊은 층의 지도자로서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대학입시에 대한 상담이나 청소년기에 겪을 수 있는 고민 상담을 보다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사들이 바라는 가장 중요한 것은 업무부담의 경감(50%)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교사들의 업무과중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에 참여하는 여고생들의 참여 실태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학생 친화적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기존에 학교체육수업에서 수업하는 체육종목이 아닌 쉽게 접해보지 못한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져야 하며 토요스포츠데이 활동에 대한 홍보 또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 e-러닝 콘텐츠의 유형이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진하 東新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e-러닝 콘텐츠의 유형이 교수실재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오늘날의 교육에서 e-러닝은 중요한 교육 수단중 하나가 되었으며, e-러닝 콘텐츠도 인터넷과 전자매체의 발달과 함께 꾸준히 성장해왔다. e-러닝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원하는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그 학습의 과정에서 e-러닝 콘텐츠는 학습자와 학습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e-러닝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콘텐츠이다. 따라서 e-러닝 콘텐츠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풍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고, 교수자의 부재로 인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교수실재감은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면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교수실재감은 학습효과를 높이는 인지적 실재감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교수실재감 자체만으로 학습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용 콘텐츠를 비롯한 많은 e-러닝 콘텐츠들은 경험에서의 현존감, 즉 실재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e-러닝 콘텐츠의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교수실재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콘텐츠는 보편적으로 실제 학습자에게 많이 쓰이는 콘텐츠의 유형을 고려하여 학습내용 제시형태와 설명방식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학습내용 제시형태는 그림중심유형과 텍스트중심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그림중심유형은 사진, 그림, 그래프 등의 시각적인 자료를 기초로 교안을 제작하였으며, 텍스중심유형은 문자정보에만 초첨을 두어 교안을 제작하였다. 다시 이렇게 제작된 교안을 두 가지 설명방식으로 구성하였는데 음성형과 음성+영상형으로 제작하였다. 음성형은 학습내용 제시형태 즉, 교안을 중심으로 교수자의 나레이션과 함께 구성하여 제작하였으며, 음성+영상형은 촬영된 교수자를 중심으로 학습내용 제시형태의 교안자료와 함께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중심유형이 텍스트중심유형보다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e-러닝 콘텐츠의 학습내용 제시형태에 따른 교수실재감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러닝 콘텐츠의 학습내용 제시형태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e-러닝 콘텐츠의 설명방식에 따른 교수실재감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음성형 설명방식이 음성+영상형 설명방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e-러닝 콘텐츠의 설명방식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e-러닝 콘텐츠의 학습내용 제시형태와 설명방식 간 교수실재감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e-러닝 콘텐츠의 학습내용 제시형태와 설명방식 간 학업성취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e-러닝 콘텐츠의 설계․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하지만 학습동기, 학습환경 등 내․외재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도시재정비사업의 주택공급량에 따른 주택가격변화에 관한연구

        김진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택지개발이나 신도시 건설과 같은 신규개발과 기존의 주거지를 재정비하는 재정비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서울시에 신규개발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이미 한계에 달했고, 따라서 도시재정비사업으로 인한 주택공급의 역할이 더욱더 강조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도시재정비사업으로 서울시에 공급되는 주택수를 추산하고, 그로 인해 서울시 공동주택가격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예측하도록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뉴타운사업, 주택재개발사업, 주택재건축사업의 기본계획을 활용하여 각 사업별 주택공급량을 추산하였다. 또한 주택가격을 예측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의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 아파트 공급량을 분기별로 파악하여 사용하였다. 도시재정비사업으로 인한 주택공급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현재 진행중인 도시재정비사업의 주택공급은 서울시의 주택공급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없이 각 사업별로 추진됨으로 인해 일정한 지역(생활권)에 공급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공급되는 시기도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면철거방식으로 시행되는 사업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에 대한 생활권 단위에서의 계획적인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공급되어 온 서울시의 주택공급량과 장래 주택수요와 뉴타운사업 등에 의한 주택공급량을 비교해 보면, 현재 개별 사업별로 진행 중인 뉴타운사업 등을 통한 주택공급이 과잉공급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ousing supply is categorized into a new development such as th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nd the newtown development and the urban redevelopment which is to reconstruct existing habitation site. Housing supply in Seoul though a new development already maxed out, thus housing supply by uiban redevelopment project will be more emphasifed, Therefore, in this study, 1 will calculate the numbers of houses which are supplied by the u.ban rehabilitation proiee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of Seoul city, and I will estimate how the price of an apareent house might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numbers. In this study, 1 calculated the numbe?s of supplied huuses in each businesses using basic plans about the newtown project, the housing ledevuopment p""ject, and housug rebuaHng p'"iect fo. Ule analysv. (hi addition, for housing price forecasting, 1 identified and used index of sale price, index of price for the lease of a heuse and the amounts of housing supply in apartment of Seoul city in each quarter of a year. How housing supply is influenced by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showed like this; housing supply by ongoing urban rehabilitation protect is proceeded by each businesses unitjdepartrnent without overall consideration about housing supply of Seoul city. thus housing supply tended to densify in certain area and the period ef housing supply tended to be gathered in certain period. Moreover, pioblems iesulted from overall removal should be systematically resolved in a unit of zone of life, finally, from comparing the amounts of housing supply which had been supplied in Seoul until now with future housing neeas and the amounts of housing supply by the newtown development project, 1 could find the possibility of housing oversupply by the newtown developments which are being proceeded by each business unit.

      • 점토지반의 단말뚝 수평방향 거동 특성

        김진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점성토 지반에서 단일말뚝의 수평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FB- Multipi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뚝길이와 직경, 점토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말뚝이 설치된 방향 및 경사각도 등을 변화시킨 매개변수 해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말뚝직경과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말뚝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극한수평저항력은 증가하다가 수렴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비배수전단강도에 관계없이 말뚝길이와 직경의 비(L/D)가 약 20 수준에서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질수록 극한수평저항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길이가 17.5m인 경우 직경이 커짐에 따라 극한수평저항력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질수록 극한수평저항력 증가폭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점토의 비배수전단강도가 작은 경우 말뚝길이 전체에 걸쳐 수평하중과 휨모멘트가 발생하지만,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지면 말뚝선단 하부에서 수평하중과 휨모멘트가 ‘0’으로 수렴되는 말뚝부분의 길이가 커지는 긴말뚝 거동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말뚝길이와 직경이 일정한 조건에서 비배수전단강도의 변화에 따른 해석 결과, 비배수전단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극한수평하중은 증가하면서 일정한 수준으로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짐에 따라 최대 수평하중과 모멘트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경사각도에 따른 해석 결과, 말뚝길이가 길어지고 비배수전단강도가 커짐에 따라 모든 경사각도에서 수평저항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수평저항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향말뚝(in batter pile)의 수평저항력이 외향말뚝(out batter pile)의 수평저항력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거의없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질토 지반에서의 모형실험 결과로부터 경사각도에 따른 지지력 변화에 대한 Awad & Petrasovits(1968)의 연구와 전혀 다른 특성을 나타냈다. Awad & Petrasovits(1968)의 연구 결과에서 외향말뚝의 경우 경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지지력이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점성토 지반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에서는 반대로 경사각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추후 현장실험 또는 모형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numerical analysis was executed using the commercial program to investigate the lateral behaviors of a single pile under the lateral load in clay. For this purpose, the parametric studies were done, varying the diameter and length of steel pile, undrained strength of clay, direction of pile installation and inclination angle etc.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 At the same pile diameter conditions, as the pile length was longer,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and converged to ultimate lateral resistance at about L/D=20 regardless of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clay. With pile length of 17.5 m, as the pile diameter was larger, the ultimat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linearly, and a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tronger, the increment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When L/D of pile was small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oft, the pile lateral load and moment developed over the pile length. But with large L/D and stiff undrained shear strength, the pile moment and lateral load were almost zero near the pile tip. The pile moment and lateral load prof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long or flexible pile developed by Broms(1964). Under constant pile length and diameter condition, as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as stronger,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and converged to ultimate lateral resistance. Also the moment and lateral load were increas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varying the inclination angle, as the pile length was longer and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inclination angle increased,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d. The lateral resistance of in batter pile was a little greater than that of out batter pile, but the difference was little. These results were obtained from only numerical analysis, and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se results by the field load tests or model tests.

      • 서비스종사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객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관련업종을 중심으로

        김진하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ing on service workers in beauty-industry businesses, to identify how much important nonverbal communication would be for customer satisfaction and which factor of nonverbal communication would account for the largest part. It wa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because way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service encoun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customer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various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generally. Among the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suggestive factor had the larges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ody language and appearances ranked next. Phonetic language had little impact because the interaction between other independent variables made it a minus number through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However, phonetic language proved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independently on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able variable. 2. In terms of the difference analysis by gender,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huge, it was analyzed that the female group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nonverbal communication than the male group in the same situation, which suggested that more delicate nonverbal communication should be used for female customers. As for the difference analysis by age, customers in their fifties showed highest satisfaction with nonverbal communication of beauty-industry service workers, while those in their twenties showed the lowest. The level of educ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evance. Finally, regarding the frequency of use, the group using it three or four times a month valued the influence of nonverbal service most seriously, while the group using it five times or more a month did not so much. Accordingly, given the fact that the spatial and environmental suggestive factor h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but requires high expenses as well as a lot of efforts to often replace it, the supervisors should manage it deliberately with interior designs and periodic changes for the main customer base. When it comes to the factors of body language and appearances, service workers need to receive refin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fit for the business and to make efforts themselves.

      • 이직행위와 직무만족도 분석 : 1-15차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한 분석

        김진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1998년)부터 15차(2012년)까지 한국 노동 패널 자료(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직 여부를 바탕으로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하며, 이직 전·후의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동시에 이직을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에 비하여 이직 1년 전에는 부정적이었으나, 이직 후의 직무만족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이직 과정에서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에 비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자발적· 비자발적 이직 여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발적 이직을 한 이직 자들의 직무만족은 1년 전부터 이직 직전까지 매우 부(-)적으로 변화하며, 이직 행위 여부와 동일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자발적 이직 직후에 직무만족이 증가하며, 다시 1년 후 직무만족이 부(-)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비자발적 이직 여부는 이직 1년 전부터 1년 후까지 자발적 이직과는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이직 1년 전이 이직 직전보다 더 부(-)적으로 직무만족이 변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이직 직후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1년 후에는 더욱 정(+)적으로 변화한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발적 이직 직전에 직무만족이 감소하였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이직자의 이직 직전의 직무만족도는 이직하지 않은 개인과는 차이가 없는 연구 결과로 가설을 지지한다. 이직 직후에 자발적 이직자들의 직무만족은 증가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비자발적 이직간의 관계에서, 이직하지 않은 개인들보다 낮을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지 않았다. 그리고, 자발적 이직자들의 직무만족은 1년 후 부(-)적으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자발적 이직 직후의 직무만족은 정(+)적으로 변화하며 1년 후에는 더욱 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위의 결론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직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은 유의미한 결과가 있다는 점에서, 기업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이탈방지를 위한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논문은 직무만족이라는 조직 구성원의 중요한 태도변수인 직무만족과 이직을 설명하는 실증적 결과를 확장하고, 기존에 부족하였던 장기간의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국내의 연구에 실증적 공헌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직 여부의 이직 1년 전 부터 1년 후 까지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변화를 검증한다. 이직의 주체에 따라 분류한 자발적 이직과 비자발적 이직이 직무만족에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주는지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추가적 공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