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람의 B림프구에서 CD9 발현조절과 기능 연구

        김진이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CD9 is involved in cell motility, osteoclastogenesis, metastasis, neurite outgrowth, myotube formation, and sperm-egg fusion. CD9 also promotes juxtacrine signaling involved in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We found that CD9 expression dramatically increases when naive B cells differentiate to plasma cells. To understand the biological function of CD9 in human germinal center (GC) B cells, we used two Burkitt`s lymphoma cells, CD9-positive L3055 and CD9-negative Ramos, as well as GC B cells. First, the expression of surface molecules was compared among these cells. Except for CD9 and IgM expression, L3055 and Ramos displayed very similar pattern of surface molecule expression. Next, we examined the effect of CD9 stimulation on activation-induced cell death (AICD) of these cells. Anti-CD9 did not modulate AICD of L3055, suggesting that CD9 has no role in this process. Since Ramos cells adhered to the well known stromal cells, HK, we tested the possibility of CD9 involvement in Ramos adhesion to stromal cells by transfecting CD9-negative Ramos cells with CD9. However, CD9-positive and ?negative Ramos cells did not differ in the binding ability to HK cells, indicating that CD9 does not participate in this process. But when we examined migration of Ramos to HK cells, CD9-positive Ramos migrated faster than CD9-negative Ramos. Therefore, we expect that CD9 regulates motility of germinal center B cells and participates in FDC-dependent growth of germinal center B cells.

      • 유아의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CUPEM) 프로그램의 효과

        김진이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CUPEM). CUPEM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and Solution-Focused Therapy.The subjects were 51 mothers of 4 and 5 year children and randomly assigned either to the intervention group(n=26) or the comparison group(n=25). Mother participants in CUPEM had 10 2 hours sessions while mothers in the comparison condition received the intervention after the study was completed. Both groups received pre-and post-test evaluation and a follow-up 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aired t-test.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other participants showed reduction in parenting stress, but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ositive maternal behaviors in mother-child inter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mother participants demonstrated an improvement in mother''s self-confidence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rearing. Third, this effect lasted for at least one month after the termination of thi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역할을 지원하기 위해 유아의 어머니를 위한 상담활용 부모교육(CUPEM: Counseling-Utilized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 학문적인 접근으로 발달에 적합한 실제, 사티어의 성장 모델, 그리고 해결중심 치료이론을 통합하여 개발된 CUPEM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양육 스트레스, 부모의 유능감,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행동, 그리고 어머니의 인식 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세 곳의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 51명으로 교육집단에 26명과 비교집단에 25명을 배정하였다. 교육집단에게 CUPEM 프로그램을 주 1회 2시간씩 3단계로 구분하여 총 10회를 실시하였다.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 도구는 Abidin(1990)의 양육 스트레스 지표/단축형(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과 Johnson과 Mash(1989)의 부모의 유능감(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척도였고,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어머니의 행동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상호 작용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어머니행동 관찰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교육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및 추후검사 점수를 가지고 t-test를 하였다. 그리고 교육집단에게 통계적인 분석방법으로는 간과되기 쉬운 부모교육 효과에 대한 참여자들의 해석학적인 평가를 위해 본 연구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평가지와 해결중심 치료이론의 척도 질문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평가지의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어머니들의 응답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폐쇄형 질문은 응답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빈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CUPEM 프로그램의 효과가 일정기간 유지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집단 사전ㆍ사후ㆍ추후검사 점수만을 가지고 paired t-test를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UPEM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모의 유능감을 향상시켰으며, 과제 수행이나 자유놀이 상황에서 자녀와의 상호작용 시 어머니의 반응성, 그리고 자유놀이 상황에서 정서적 지지/애정성과 지도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교육집단 어머니는 프로그램의 효과로 인한 변화가 1개월 후까지 대부분의 영역에서 지속되었다. 해석학적 평가에서 교육집단 어머니들은 부모교육으로 인해 자녀 양육에 있어서 자신감이 생기고 여유가 생겼으며 부모역할을 더 잘하게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UPEM 프로그램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부족주의(Tribalism) 관점에서 본 자발적 네트워크의 연대 과정 : 연극계 페이스북그룹‘대학로X포럼’사례 분석

        김진이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부족주의(Tribalism) 관점에서 본 자발적 네트워크의 연대 과정 : 연극계 페이스북그룹 ‘대학로X포럼’ 사례 분석 본 연구는 전통적 공동체와는 달리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수평적이며 자발적인 그리고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는 집단과 그 연대의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집단의 연대적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며 어떤 경로를 거쳐 집단의 형태를 만들게 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연극계 페이스북그룹 ‘대학로X포럼’을 사례 분석하였다. 이 사례 분석은 기존의 제도나 조직의 대안으로 새롭게 등장한 집단의 변화와 새로운 연대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대학로X포럼’은 수평적 네트워크, 자발적 연대를 표방하면서 연극계 현안에 대한 문제 제기와 담론을 공유하는 집단이다. 기존의 연극계 조직이나 제도를 거부하면서 자발적이고 일시적인 모임에서 출발하였는데, 유동적인 결집과 분산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관찰된다. 이 사례 분석을 통하여 한 집단의 생성과 결속, 갈등과 분산의 과정,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한 연대의 파생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경험 자료로 수집하였고, 효용론적 판단에 기초한 선행연구들이 간과하였던 체험의 다차원성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미셸 마페졸리(Michel Maffesoli)의 ‘신부족주의(neo-tribalism)’를 토대로 집단의 유기적 관점 아래 이 사례에 접근한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구성원들의 결집 동기(動機)가 개인의 이해관계나 저항이라는 목적의식보다 근접성과 정감적인 것, 그리고 ‘함께 하기’ 그 자체에 대한 지향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의례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을 통한 매개적 상호작용 의례와 포럼·시위·퍼포먼스 등의 적극적 의례가 상호보완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의례는 ‘대학로X포럼’ 구성원들의 집합의식을 고양시키고, 이렇게 고양된 집합의식은 구성원들이 공통의 가치를 추구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결집 이후 집단 안에서 갈등과 분산 과정을 거치더라도 이것이 곧바로 공동체의 실패나 상실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연대의 재연결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후발 그룹들에 대한 연결망 분석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대학로X포럼’ 사례 분석은 신부족이 사회적·역사적 맥락과 만나 운동의 직접적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보여준다. 일회적이고 유동적인 ‘대학로X포럼’의 결집과 연대는 의례를 통해 구성원들 각자가 자신의 미학적 윤리를 가짐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실천하고 주권을 창출할 수 있는 순간을 만들었다. 이렇게 형성된 미학적 윤리와 실천의 경험은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이슈에 참여할 수 있는 동력을 형성하게 된 배경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로 일상적 차원에서의 관계 맺기가 운동이나 저항의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인과론이나 효용론적 판단 아래 배제해왔던 연대의 변화 양상에 주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공동체 논의나 사회운동론에서는 설명할 수 없었던 갈등과 분산 이후 연대의 재연결·재구성 과정에 주목할 때, ‘신부족주의’를 앞으로의 이론적 전망으로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개인들이 집단주의로 함몰되지 않으면서, 연결과 분산을 반복하며 그 자체로 살아있는 연대성을 실천하고 있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있다. Solidarity Process of Voluntary Net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ribalism : Case Analysis on ‘Daehak-ro X Forum’, a Facebook Group for Theater Scene This study analyzes groups pursuing horizontal, voluntary, and loose solidarity unlike traditional communities, and their recent trend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solidarity of these groups is formed and how they are shaped into groups, the study analyzes Facebook group for the theater scene, ‘Daehak-ro X Forum.’ This case study shows changes of new emerging groups and aspects of new solidarity in more detail as alternatives to exist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e ‘Daehak-ro X Forum’ is a group that shares questions and discourses about issues facing the theater scene while seeking horizontal network and voluntary solidarity. It started from a voluntary and temporary gathering while refusing the existing theater structure or system characterized by flexible gathering and dispersion. Through this case study, it is discovered the formation and solidarity of a group, the process of conflict and dispersion, and the derivation of solidarity through network. This study gathered data on in-depth interviews with members of ‘Daehak-ro X Forum’ and tried to pay attention to the multi-dimensionality of experience that previous research based on pragmatic views had overlooked. Based on the ‘neo-tribalism’ of Michel Maffesoli, this approach has been taken from a group's organic point of view. Through this approach, it i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members' mobilization are consisted of the proximity, the sensitivity, and the “being-together” rather than the individual's interest or resis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ituals performed by members of the ‘Daehak-ro X Forum,’ it is found that active rituals such as forums, demonstrations, and performances and meditating interaction rituals through Facebook were regarded as complementary and intertwin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itual enhances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the ‘Daehak-ro X Forum,’ and this elevated collective consciousness is the foundation on which members pursue common value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network of following groups shows that even conflict and decentralization within the group after the gathering, it does not end with the failure or loss of the community. It leads to another solidarity. Especially, the case study of ‘Daehak-ro X Forum’ empirically shows how new tribe meet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becomes the direct subject of the movement. The gathering and solidarity of the one-time, flexible ‘Daehak-ro X Forum’ has created a moment for each member to demonstrate their own values ​​and create sovereignty by having their own aesthetic ethics. The aesthetic ethics and practical experiences were the driving force behind participation in emerging issues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in everyday life is the basis of movement or resista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aid attention to the aspect of change of solidarity that had been ruled out under rational causationism or practical judgement.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reconnecting and reconstruction of solidarity after conflict and decentralization that can not be explained in existing community, we can assume ‘neo-tribalism’ as the futur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finds that various individuals in contemporary society have practiced solidarity by repeating connection and dispersion without falling into collectivism.

      • 근본불교 업설과 연기설의 관계

        김진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불교는 업설을 주장한다. 업설은 불교만의 고유한 이론이 아니다. 브라만교와 자이나교의 업설에는 행위의 주체인 아트만(我, Atman)과 지바(영혼, jīva)가 있다. 반베다의 입장에 선 자유사상가들은 업보를 부정하며 도덕 부정론을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붓다는 어떠한 형이상학적인 자아관념도 인정하지 않는 무아(無我, anattā)의 업설을 이야기한다. 붓다는 자아와 이 세계는 존재의 문제가 아니라 인식의 문제라는 입장에서 십이입처(十二入處)를 설한다. 십이입처는 육외입처(外入處, 색성향미촉법)와 육내입처(內入處, 안이비설신의)로 되어 있다. 식은 외입처와 내입처의 조건이 이루어질 때 함께 나타나며, 이러한 세 가지 조건이 이루어질 때에만, 인식은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우리가 문제 삼아야 하는 것은 행위의 주체가 아니라 어떤 인연을 조건으로 하여 우리가 인식하는 세계와 자아가 발생하는지의 여부이다. 붓다는 외도들의 유아론에 대해 그러한 항상하는 자아는 없다고 설한다. 우리가 보고, 듣고, 생각하는 일련의 행위들은 행위의 주체적 자아가 따로 존재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존재는 조건에 의해 성립되며 무상이라고 표현되는 계속되는 변화속에서 특정한 혹은 고정적인 실체는 아무것도 없다. 이러한 연기설의 입장에서 보면 행위의 주체적 자아는 없으며, 업을 짓는 작자는 없지만 업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나’ 즉 업보는 있다. 따라서 무아와 업설은 서로 위배되지 않는 이론이며 업설과 연기설은 하나의 사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 또래 대상화경험, 신체감시가 남성의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진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 또래 대상화경험, 신체감시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 경북 소재의 남자대학생 336명이었으며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 또래 대상화경험, 신체감시, 신체불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의 정도가 클수록 신체불만족이 높아졌다. 둘째, 또래 대상화경험의 정도가 클수록 신체불만족이 높아졌다. 셋째,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는 신체감시를 통해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신체감시는 또래 대상화경험과 신체불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미디어를 통한 사회문화적 기준의 내면화가 신체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신체감시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과 또래 대상화경험이 신체불만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의 신체불만족에 대한 이해 및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through media, peer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body surveillance affect body dis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6 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through Media Scale, the Peer Objectification Experience Scale, the Body Surveillance Scale, and the Body Dissatisfaction Scale.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f the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using AMO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level of the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through media increased, the amount of body dissatisfaction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peer objectification experience increased, the amount of body dissatisfaction increased; Third,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through media affected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body surveillance; Fourth, body surveillanc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objectification experience and body dissatisfa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ody surveill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of sociocultural standards through media and body dissatisfaction and that peer objectification experience directly had an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of male body dissatisfaction.

      • 영상교육프로그램을 통한 공감 배양 방안

        김진이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mote the element of empathy and enhance pro-social behavior through image education program. Various temptations such as speed, aesthetic attraction, and efficiency exist in the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one of negative aspects in the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weakening of individual ethics or the increase of socially immoral behavior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of people, living in the environment of new media by developing image media program.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examines the effect of imag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image education program by using fil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empath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o whom image education program is applied, enhanced? Second, is the empath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enhanced due to the significant correlation of 'fantasy'of empathy and 'empathic concern'? Third, can pro-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o whom image education program is applied, increase? This research use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by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Research objects were 134 lower-grade students (second-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mage educa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o 34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empathy level and pro-social behavior leve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age education program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based on ASSURE model. As dependent variables, improvement of empathy and the increase of pro-social behavior were verified. The theories that are the basis of image education program are image Theory, empathy Theory, and media effect theory. Especially, Social cognitive theory that is the basis of the theory of complex elements, integration model, and media effect theory played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learning activity.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om image education program is applied, are as follows: First, among empathy composition elements, the level of 'fantasy',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concern' increased. However, the increase of 'personal distress'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pplying image education program, the new emergence of correlation between 'fantasy' and 'empathic concern'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veals that image educ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empathic concern of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image education program,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pro-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cannot be verified.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image education program brings about the cultivation effect of empathy elements, fantasy, perspective taking, and 'empathic concern', and has an effect on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lower-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by demonstrating the correlation of image education program with the empathic concern. But it was not showed that Image Education Program about the cultivation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Revisions of the future can be suggested for the execution and application of image education program as follows: First, image education program needs to provide separate learning activity for increasing the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Second, lists of film and the development of data, which can be conducive to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children, should be urgently provided. Third, to measure the education effect of Image education program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qualitative method of research. Fourth,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is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Image education program.

      • 직업무용수의 완벽주의성향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김진이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examine gender and career differences in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rofessional dancers, but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ir perfection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ipants were 201 male and female dancers working at four professional dance companies in Korea. One-way M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fection pursuit and negative response to imperfection among professional dancers. Second, male dancers showed a higher scores than female dancers in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but no gender differences in self-acceptance, purpose in life/personal growth, and environmental mastery. Thir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in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urpose in life/personal growth, and environmental mastery. Fourth, there was no career differences in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urpose in life/personal growth, and environmental mastery. Fifth, perfection pursuit was a positive predictor of self-acceptance, but negatively influenced to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purpose in life/personal growth, and environmental mastery. Negative response to imperfection had positively effect on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fessional dancers' perfectionism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levels of perfectionism and well-being do not differ across gender and career. key words: professional dancers, perfectionism, psychological well-being, occupation, care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국내 직업무용수들의 성별과 직업무용단 경력에 따라 이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심리적 안녕감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심리적 안념감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국내 직업무용단 중에서 4개 무용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녀 무용수 201명을 대상으로 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일원 다변량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직업무용수들의 완벽추구와 불완벽에 대한 부정적 반응 수준은 이들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 둘째, 직업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 중에서 긍정적인 대인관계 수준은 남자무용수들이 여자무용수들에 비해 더 높지만, 자아수용, 삶의 목적/개인적 성장 및 환경통제 수준에서는 남녀 무용수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셋째, 직업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의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개인적 성장 및 환경통제 수준은 남녀 무용수 집단 간에 차이가 없다. 넷째, 직업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의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개인적 성장 및 환경통제 수준은 이들의 무용단 경력 집단 간에 차이가 없다. 다섯째, 직업무용수들의 완벽추구 성향은 심리적 안녕감 요인 중 자아수용에 정적으로, 긍정적 대인관계와 삶의 목적/개인적 성장 및 환경통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불완벽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은 이들의 긍정적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직업무용수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이며, 이러한 완벽주의 성향과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직업무용수들의 성별과 무용단 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1년〜2019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진이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01년∼2019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영·유아 안전 관련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회적 관심에 따라 요구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안전 인식, 안전교육, 안전연구의 방향성 및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안전 관련 주제의 학위논문, 학술지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영·유아 안전을 다룬 논문을 중심으로 첫째, 영·유아 안전 관련 시기의 동향, 둘째, 영·유아 안전 관련 주제의 동향과 셋째,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방법(연구대상, 연구 유형, 자료수집 방법) 등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동향 분석을 통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안전교육 영역과 더불어 앞으로 영·유아 교육 분야에서 연구되어야 할 안전 주제, 방법 등 연구 방향성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 시기의 동향은 어떠한가? 2.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의 동향은 어떠한가? 3.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 방법(연구대상, 연구 유형, 자료수집 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첫째, 영·유아 안전 관련 시기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 53편의 동향을 살펴보면 시기의 구분으로 2001년부터 2019년까지 논문을 분석하여 2001년부터 2005년까지 8편으로 안전 관련에 대해 저조한 연구로 이루어졌다. 2006년부터 연구한 논문이 2015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10년 동안에 33편으로 상승하였으며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10편의 연구로 다시 저조한 상태에서 영·유아 안전 관련의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 연구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15.2% 연구되었으며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 77.5% 증가세를 보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반면 2016년부터 2019년 4년은 저조한 22.7%의 연구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논문을 살펴보면, 유아 안전 관련 논문이 26편(49.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교사 안전 관련 논문이 8편(15.1%)으로 연구되었고,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은 7편(13.2%)으로 연구되었으며, 영·유아와 교사의 대상 논문은 4편, 영아는 적게 연구되어 2편(3.8%)으로 연구가 저조한 편이다. 부모 3편(5.7%), 원장 0편, 연구물 문헌 3편 순으로 연구 논문은 총 53편(100%)으로 연구되어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안전 관련 주제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 안전 관련 주제 분석 범주였던 9개 주제 ‘안전 관련 실태 및 방향, 프로그램 효과 및 교육과정 개발, 안전 인식, 안전교육 인식, 시설·설비에 대한 안전, 안전능력 및 행위, 안전사고 및 대책, 안전 평가, 안전 교육내용 유형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유형을 조사한 연구가 24편(45.3%)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안전교육 인식 7편(13.2%), 안전 관련 실태 및 방향, 프로그램 효과 및 교육과정 개발, 안전 인식 각각 4편 (7.5%)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 범주에 따른 세부 내용별 결과를 살펴보면 안전 교육유형을 조사한 논문은 총 24편으로 이 중 가정안전(4편), 교통안전 (4편), 응급처치 안전(4편)을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그 뒤로 소방 및 화재안 전(3편), 실내외 및 놀이안전(3편), 식품 안전(3편), 미디어 안전(2편), 신변안전(0편), 자연재해안전 (1편), 질병 안전(0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영아와 유아, 영·유아로 대상을 구분하고 이에 따른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경우 안전교육 인식, 프로그램 효과 및 교육과정 개발, 안전 교육유형, 안전 인식 순으로 관련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이에 비해 영아 대상으로는 안전교육 인식, 안전능력 및 행위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영아 안전에 대한 관심은 유아 안전에 비해 적게 나타났으며, 최근까지 기초연구인 안전 교육 및 인식을 연구하고 실태를 파악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연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영·유아 안전 관련 연구방법(연구대상, 연구 유형, 자료수집 방법) 동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9년까지 이루어진 안전 관련 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 연구 유형, 자료수집 방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면, 단일 연구대상의 전반적 동향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26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교사 8편, 부모 3편, 영아 2편, 원장·교사 0편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의 연구 유형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유형은 조사연구였으며, 그다음으로 실험연구, 문헌 연구, 질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사용한 자료수집 방법은 질문지 법이었으며, 그다음으로 실험법, 양적· 질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구별하여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의 경우 질문지 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 어 양적 연구 전체의 64.1%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실 험법 (5편), 검사법(3편), 관찰법(2편)이 확인되었다. 질적 연구의 경우 3편으로 나타났으며, 이외 문헌연구 1편으로 전반적으로 질적 연구 및 문헌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 안전 관련 논문들의 연구 유형이 대부분 조사연구 관련한 실제 맥락에 대해 관찰 및 분석해 보려는 연구가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동화 읽기를 통한 다문화 시대 인성교육 방안 연구

        김진이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연구목적 - 다문화 동화 읽기를 활용한 초등학생들의 글로벌 시대(다문화 시대) 인성교육 방안 연구 2. 본문 내용 1) 3장 - 다문화 동화의 인성교육 요소별 분석 자아 중심 인성교육 : 자기 존중, 자기 정체성 타자 중심 인성교육 : 공감, 타인 존중 공동체 중심 인성교육 : 소통, 협력 2) 4장 - 다문화 동화 읽기를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설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