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정책이 민간의료보험 시장에 미친 영향

        김진석 부산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63

        한국의 국민건강보험은 저부담·저급여 정책의 결과 고액 진료비에 대한 보장성이 취약하여 대다수 국민이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보험급여 항목 확대, 본인부담금 경감 등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왔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시행 전(2009년)과 후(2011년)에 암보험, 일반질병보험, 상해보험 등 민간보험 신규 가입율과 민간보험 신규 가입자의 보험료 수준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이 민간의료보험 시장에 미친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한국의료패널 2008년~2014년 연간데이터(Version 1.3)를 사용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보험의 경우 신규가입자 보험료 수준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신규 가입율은 보장성 강화정책 시행 후인 2011년에 유의하게 증가했다. 이 결과는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민간의료보험 가입 유인이 줄어들 것이라는 일반적인 이론적 예상과는 다른 결과이다. 암보험의 특성인 정액 현금급여와 상병수당적 성격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둘째, 실손보험인 질병보험의 경우 신규 가입율과 신규가입자 보험료 수준 모두 보장성 강화정책 시행 후인 2011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정책이 실손의료보험의 가입 유인을 약화시켜 실손의료보험 가입 및 보험료의 감소를 가져오는 소기의 정책 효과를 발휘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상해보험의 경우 신규가입자 보험료 수준과 신규 가입율 모두 보장성 강화정책 시행과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는 민간의료보험 영역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2009년과 2010년 사이에 시행된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정책은 실손의료보험인 일반질병보험의 보험료 수준 및 가입에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장성 강화 정책이 민간의료보험 시장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국민건강보험의 급여 범위 확대 및 본인부담의 경감을 내용으로 하는 보장성 강화정책의 시행은 실손급여를 내용으로 하는 민간질병보험 시장 규모는 축소될 것으로 추정된다. 핵심 단어 :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민간의료보험, 로짓분석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as a result of a low burden and low benefit policy, is still vulnerable to high medical costs, and many insureds are taking out Private Health Insurance(PHI).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to strive to enhance the Benefit Coverage Expansion Policy of the NHI(NHI Policy), such as expanding insurance benefit items and alleviating the burden of co-pay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ate of the newly subscripted and the level of the new subscriber's premium between before(year 2009) and after(year 2011) the NHI Policy change, therefore,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benefit expansion policy of NHI on the PHI market. For the analysis, the annual data of the Korean medical panel 2008-2014(Version 1.3), which the Korean Health and Social Research Institute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jointly maintain,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cancer insur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emium level of new subscribers, but the new subscription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1 after enforcing NHI Polic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theoretical expectation that PHI subscription attraction is reduced after the NHI Policy. It is interpreted as a result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ancer insurance, such as fixed amount of cash benefit and sick allowance. Secondly, in the case of general health insurance which compensate for actual co-payment of NHI, the premium level of new subscribers and the new subscription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1 after enforcing the NHI Policy.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NHI Policy exercised the desired policy effect which brings down PHI's subscription induction, and therefore, brings down the subscription rate and decreases premium of newly insureds of general health insurance among PHI. Thirdly, in the case of accident insurance, the premium level of new subscribers and the new subscription rat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2011 after enforcing the NHI Policy. Accident insurance is judged to be in the area of PHI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NHI policy. As a conclusion, the NHI policy implemented between 2009 and 2010 has revealed that i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mium level of new subscribers and the new subscription rate of PHI.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olicy has a relatively strong impact on PHI markets. Therefore, it implies for sure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NHI policy will reduce the size of the PHI market. Key Words : National Health Insurance(NHI), Benefit Coverage Expansion Policy, Private Health Insurance(PHI), logit analysis

      • 리듬기타 연주기법과 리듬패턴 연구 : - 폴 잭슨 주니어 중심으로 -

        김진석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대중음악에서 리듬기타의 다양한 연주법을 구사하지 못한다면 여러 음악을 표현하는 것에 한계가 많아진다. 폴 잭슨 주니어의 리듬기타 분석을 통해 이를 연구한다. 폴 잭슨 주니어의 개인 앨범 중 리듬기타 연주가 집중적으로 나타난 연주곡 12곡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리듬연주에 사용된 연주기법은 여섯가지이다. 연주기법에 따라 리듬패턴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분석하여 네가지 형식을 구분하였다. 분석된 여섯 개의 연주기법과 네 개의 리듬 패턴의 형식을 적용곡과 자작곡에 각각 적용한다. 분석한 연주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코드 진행에 따라 선율을 변형하거나 곡의 리듬에 맞춰 리듬패턴을 변형해 적용했다. 잭슨의 리듬 연주에 연주기법과 리듬패턴 적용 결과는 코드의 음을 모두 쓰지 않아도 한 음으로 리듬을 강조하거나, 복잡한 코드 보이싱(Voicing)이 아니더라도 코드의 색채감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코드 톤이나 코드스케일을 사용하여 선율적 구조물을 만들면 코드리듬 연주가 아니더라도 코드와 코드스케일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연주기법과 리듬패턴을 폴 잭슨 주니어의 연주를 통해 리듬연주의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실제 리듬연주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expressing different music of contemporary popular music if different erforming techniques of rhythmic guitar are not applied. Accordingly, a research will be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n the rhythmic guitar of Paul Jackson Jr. Amongst the personal albums of Jack Jackson Junior, 12 pieces of songs that focused on rhythmic guitar performanc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it was identified that 6 performing techniques were used for the rhythmic performance. The use of rhythmic patterns followed by the performing techniques was analyzed to classify it into four types. Each of the 6 performing techniques and 4 rhythmic pattern types are applied to the applied song and the self-composed song. The analyzed erformance can be used as it is, but if it cannot be used that way, the melody was changed based on the chord rogression or the rhythmic patterns were changed in line with the rhythm of the song and appli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erforming technique and rhythmic patterns to Jackson's rhythmic performance, it was identified that the rhythm can be emphasized without using all the chord notes and the chord colors can be expressed simply ven without the complicated chord voicing. The findings derived the result that when a melodic structure is reated by using chord tone or chord sca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rd and chord scale can be expressed even if it is not a chord rhythmic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analysis method of rhythmic performance structure through the performing techniques and rhythmic patterns in Paul Jackson Jr.'s performance and suggests the ways to apply it onto actual rhythmic performances.

      • 직접분사방식 노즐오리피스로부터 발생하는 분무의 발달특성 연구

        김진석 순천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Spray characteristics of a direct-injection type injector employed in a liquid-propellant thruster are addressed with an evolutionary feature of droplets. Instantaneous images for the macroscopic view of spray are measured by flow visualization technique using laser sheet with varying injection pressures. The investigation of spray images shows that the injector under consideration meets an angular injection requirement at all of the specified injection pressures. Spray shedding is also featured with a schematization of the frozen images. Atomization characteristics along the spray downstream are discussed by scrutinizing droplet velocity and diameter. It is inferred that the higher injection pressure generates the smaller droplets undergoing the greater deceleration along the spray stream. In addition, disintegration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ray are investigated by using Dual-mode Phase Doppler Anemometry (DPDA). Spray characteristic parameters such as droplet mean velocities, Sauter Mean Diameter (SMD), turbulent intensity, number density, and volume flux are measured at various locations along the geometric axis of the nozzle orifice and on its cross-sectional plane. With a view to observing dynamic features of spray droplets, those quantitative data are plotted in radial profile of spray and also mapped onto the velocity to diameter and instantaneous-angle to time domains. Evolutionary behavior of the droplets is featured with the reconstruction of the velocity vectors, number density, and volume flux into three-dimensional space. Furthermore, verification of DPDA-velocity data is performed by comparing with the spray injection-velocity estimated from volume flow rat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end of spray characteristic parameters is almost symmetric across the spray stream, while their absolute values are asymmetric against the center-axis of nozzle orifice.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the spray widely spreads in radial direction resulting in the expansion of its high SMD and volume flux.

      • 6F계 폴리이미드의 제조에 관한 연구

        김진석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경박단소형 제품의 욕구가 커지면서 전자부품(electronics devices)을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우수한 물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투명도, 전기적 성질 및 가공성을 개선시킨 폴리이미드 개발에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폴리이미드가 층간 절연체로 사용될 경우 높은 신호전송 속도, 배선 밀도 및 혼선 방지를 위해 낮은 유전상수는 필수적이다. 이와 함께 전기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전자제품 내부에 있는 금속제 부품의 부식방지를 위해 낮은 수분흡수율을 가진 폴리이미드가 요구된다. 최근의 연구에서 폴리이미드내에 플루오르기를 도입시에 유전상수 값이 낮아지고 용해성과 투명성이 향상되며, 또한 주쇄내에 에테르기를 도입시에 낮은 Tg의 폴리이미드를 얻을 수 있어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알려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4-nitrophthalic anhydride를 출발물질로하여 모노머내에 플루오르와 에테르기가 도입된 2,2'-bis[4-(3,4-dicarboxy-phenoxy)phenyl]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BPDA)를 합성하고, 이를 여러종류의 디아민과 중합하여 polyamic acid (PAA)를 제조하고, 이를 열이미드화하여 제조된 여러종류의 폴리이미드 (PI)의 열적, 광학적, 전기적, 기계적성질 등을 조사하였다. Polyimides have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and used widely over the past three decades because of their high performance properties such as good therm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Electronics industry has been rapidly progressed, therefore new demands are being placed on the materials comprising electronics devices. Improvements in polyimide properties have been sought by incorporating trifluoromethyl or perfluoroalkyl groups. The incorporation of fluorine-containing groups into the polyimide molecular structure is expected to modify important properties of the polyimide such as the dielectric constant, optical transparency, solubility, thermal stability, and moisture uptake. In this study, fluorinated dianhydride of 2,2'-bis[4-(3,4-dicarboxyphenoxy)phenyl]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BPDA) was synthesized in order to incorporate fluorine into the polyimide. Preparations of polyimides based on pyromellitic dianhydride (PMDA), 2,2'-bis(3,4-dicarboxy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GFDA) and GFBPDA with various diamines were described. And Preprepared polyimdes .were examined for their thermal, optical,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corporation of -CF_(3) group instead of -CH_(3) group in PI uppered more or less Tg without a little loss of thermal stability. Tgs of PI produced with GFDA and GFBPDA were higher than 260℃ and 210℃ respectively, and decomposition temperatures were over 540℃. Although most of polyimides had poor solubility, GFDA and GFBPDA polyimide were soluble in organic solvents. Especially GFBPDA-BAPP, GFBPDA-BDAF, GFBPDA-BDAF and 6FDA-4BDAP exhibited good solubility in many solvents because the bulky 6F group reduced intermolecular interaction between chains and the flexible ether linkage increased the chain mobility in solvents. The water absorption of florine-free PMDA-ODA was 1.4% and 6FDA-4BDAP which has the highest florine content (30.7%) in the repeating unit showed 0.2% of water absorption. the water absorption of PI decreased with increasing fluorine contents becase the incorporation of fluorine into the main chain increased the hydrophobisity of PI. Most of polyimides showed an good optical transparency. Especially fluorine-containg PIs exhibited an exellent optical transparency because the trifluoromethy group not only eliminates electronic interactions that may color, but also tends to break up extended conjugation along the chain which can result in color. The dielectric constant was foun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fluorine contents of PI in the following order; PMDA> 6FBPDA> 6FDA. The tensile strength of polyimide gave less correlation with molecular structure of PI. But tensile strength, about 900-1100 kg_(f)/㎠, of PIs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I and were enough to be used for interlayer dielectrics. Polyimides containing fluorine and flexible ether in the main chain had god elongation

      • 대학생의 객관적 자기와 주관적 자기에 대한 표상 분석

        김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대학생의 객관적 자기와 주관적 자기에 대한 표상을 규명하는데 있다. 또한 학업성취별 학년별 자기개념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학생 244명이었고, 박영신(2013)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계수는 Cronbach α=.69∼.90으로 양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객관적으로 볼 때의 자기로서, 능력 있는 사람, 착한 사람, 긍정적인 사람, 평범한 사람, 부족한 사람, 성실한 사람을 대표적으로 지적하였다. 가정에 있을 때의 자기에 대해서는 부족한 사람, 성실한 사람, 조용한 사람, 가정적인 사람, 중요한 사람의 순서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에 있을 때의 자기에 대해서는 성실한 사람이 가장 높은 반응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긍정적인 사람, 평범한 사람, 조용한 사람, 적극적인 사람이었다. 둘째, 대학생들이 주관적으로 볼 때의 자기는 성실한 사람, 착한 사람, 부족한 사람, 긍정적인 사람, 평범한 사람, 능력있는 사람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장 자랑스러운 자기의 모습으로서 성실함, 원만한 인간관계, 유능함이었다. 반면에 가장 수치스러운 자기의 모습으로는 외모, 불성실함, 없음, 소심함이 대표적이었다. 셋째, 학업성취 집단별로 객관적 자기와 주관적 자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학점을 높게 받는 학생일수록 객관적 자기개념과 주관적 자기개념이 긍정적이었다. 넷째, 객관적 자기와 주관적 자기 모두 사회적 지원,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 객관적 학업성적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부모 친구 교사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충분히 받고,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학업성적이 좋은 대학생일수록, 자기개념이 긍정적이었다.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인천광역시 소재) 대학생의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자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대학생의 연령은 18세∼최대 28세 사이에 분포했으며, 전공은 공과대학/IT공대, 자연과학대학, 경영대학/경상대학, 문과대학, 사회과학대학, 사범대학이었고, 과 특성상 남학생(185명)이 여학생(59명)보다 많았다.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대학생의 자기개념에 대한 자유반응 형의 질문과 양적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응답자의 배경정보에 관한 문항을 비롯해,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과 자기 자신에 대한 타인(부모, 친구, 선생님 등)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적 문항과 긍정적/부정적 자기개념, 사회적 지원으로서는 부모의 지원, 친구의 지원 및 교수의 지원 그리고 자기효능감, 생활만족도에 대한 양적 질문이 5점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다. 긍정적/부정적 자기개념의 하위변인으로 ‘주관적 자기’와 ‘객관적 자기’로 구성되어 있고, 부모 지원의 하위변인은 ‘정서적 지원’, ‘정보적 지원’, ‘경제적 지원’으로 구성되었다. 친구의 지원과 교사의 지원은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이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 ‘관계효능감’, ‘어려움 극복 효능감’으로 구성되었고, 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으로는 ‘가정생활만족도’와 ‘학교생활만족도’가 포함되었다. 2014년 3월부터 3주간에 걸쳐 학부조교, 대학원 조교, 대학교 후배를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2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고, 실제 회수되어 사용된 질문지는 224명(남학생 185명, 여학생 59명)이었다. 자료는 문항별로 코딩하고 입력된 자료를 토대로 배경정보와 빈도를 분석하였고, 연구 분석을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객관적 자기개념과 주관적 자기개념에 대한 차이를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객관적 주관적 자기개념과 성취 및 사회적 지원관련 변인의 상관을 분석했으며, 객관적 주관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가정에 있을 때 자신을 ‘부족한 사람(24.6%)’으로 인식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성실한 사람(17.2%)’, ‘조용한 사람(13.4%)’, ‘가정적인 사람(13.4%)’으로 응답하였고, 자신을 ‘중요한 사람(10.3%)’, ‘긍정적인 사람(8.6%)’, ‘가족구성원(5.6%)’, ‘평범한 사람(3.9%)’ ‘모름(3.0%)’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객관적 성적별로 보았을 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이 ‘A'라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성실한 사람'이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부족한 사람'이 18.2%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객관적 성적을 ‘B’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29.3%가 자신을 ‘부족한 사람’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학년별로 보았을 때 1학년의 경우 28.2%, 2학년은 20.7%로 자신을 ‘부족한 사람’이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3학년과 4학년의 경우 ‘가정적인 사람'이 각 26.9%와 22.9%로 가장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얼마 안 되고 학교에 적응하기 위해 가정에서의 시간보다 많은 시간을 쏟는 1, 2학년들은 대체적으로 가정에 있을 때의 자신을 ‘부족한 사람'이라고 인식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3, 4학년의 경우에는 1, 2학년들과 비교했을 때 학교보다 가정에 충실한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들은 학교에 있을 때의 자신을 ‘성실한 사람(26.4%)’으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긍정적인 사람(17.3%)’, ‘평범한 사람(16.0%)’, ‘조용한 사람(10.4%)’과 ‘적극적인 사람(10.4%)’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학생들의 대다수가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정에 있을 때의 자기와 달리 학교에 있을 때의 자신을 대부분 성실하고 긍정적인 사람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객관적으로 자신을 ‘능력 있는 사람(15.5%)’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다음으로는 ‘착한 사람(15.1%)’, ‘긍정적인 사람(12.9%)’, ‘평범한 사람(12.5%)’, ‘부족한 사람(12.1%)’, ‘성실한 사람(11.2%)’ 순이었다. 학교에 있을 때의 자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객관적 성적별로 보았을 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이 ‘A’라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능력 있는 사람(20.5%)’과 ‘착한 사람(20.5%)’이라고 자신을 보고 있으며, 객관적 성적을 ‘B’라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긍정적인 사람(14.3%)’과 ‘평범한 사람(14.3%)’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객관적 성적이 ‘B’이상 되는 대학생들은 객관적으로 볼 때의 자신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가장 자랑스러운 점으로 ‘성실함(31.9%)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원만한 인간관계(22.4%)’라는 응답이 많았고, ‘유능함(14.7%)’, ‘긍정적인 태도(9.9%)’, ‘자신감(6.9%)’, ‘외모(6.9%)’ 순이었다. 객관적 성적별로 보았을 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을 ‘A’라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성실함(53.5%)’ 과반수가 응답하였고, 다음으로는 ‘유능함(14.0%)’이었다. 자신의 객관적 성적을 ‘B’라고 응답한 대학생들은 ‘성실함(28.4%)’, ‘원만한 인간관계(24.3%)’를 가장 자랑스럽다고 응답하였다. 또, 학년별로 보면 1학년의 경우에는 ‘성실함(33.3%)’, ‘원만한 인간관계(20.8%)’, ‘유능함(16.0%)’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은 성실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유능하다고 느낄 때 자신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성실하고, 관계나 학업, 자기조절능력에서 유능할 때 자신에게 자랑스러움을 느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대학생들은 ‘외모(20.9%)'를 자기 자신의 가장 수치스러운 점이라고 하였다. 다음으로는 ‘불성실함(20.0%)’, ‘없음(17.0%)’, ‘소심함(14.8%)’, ‘능력부족(9.6%)’, ‘자신감 부족(9.1%)’ 순이었다. 객관적 성적별로 보았을 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을 ‘A’나 ‘B’라고 생각하는 대학생들은 ‘외모(A: 16.7%, B: 20.4%)’와 ‘불성실함(A: 14.3%, B: 23.1%)’을 비슷한 정도로 수치스럽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 성적이 ‘C’라고 생각하는 대학생은 ‘외모(26.8%)’가 ‘불성실함(14.6%)’보다 더 수치스러움을 느끼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년별로 보았을 때, 1학년의 경우 ‘외모(19.3%)’와 ‘불성실함(19.3%)’이 같았고, 2학년과 3학년의 경우 ‘외모(2학년: 31.0%, 3학년: 25.0%)’가 ‘불성실함(2학년: 10.3%, 3학년: 20.8%)’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4학년의 경우 ‘불성실함(29.7%)’을 ‘외모(16.2%)’보다 더 수치스럽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년이 되면서 외모보다는 학업, 인턴, 취업 등 자신의 스펙을 쌓아가는 데 중요함을 생각하게 되면서 불성실함을 가장 수치스럽게 느낀다고 볼 수 있다. 전체적인 수치상으로 ‘외모’가 ‘불성실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응답자의 대부분이 1학년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외모’와 ‘불성실함’ 모두 가장 수치스러움을 느낀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자기 자신을 성실한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18.1%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착한 사람(14.8%)’과 ‘부족한 사람(14.8%)’으로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긍정적인 사람(13.9%)’, ‘평범한 사람(11.4%)’, ‘능력 있는 사람(11.0%)’ 순이었다. 객관적인 성적별로 살펴보았을 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을 ‘A’나 ‘B’라고 생각하는 대학생들은 주관적으로 자신을 보았을 때 ‘성실한 사람(A: 25.0%, B: 18.5%)’이 가장 많았지만, 자신의 객관적 성적을 ‘C’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은 자신을 ‘부족한 사람(21.4%)’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는 객관적 성적이 자신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년별로 보았을 때, 대부분의 1학년은 ‘착한 사람(17.8%)’과 ‘성실한 사람(17.1%)’이라고 응답하였고, 자신을 ‘부족한 사람(15.8%)’이라는 인식도 있었다. 2학년은 ‘긍정적인 사람’, ‘능력 있는 사람’, ‘인간관계가 좋은 사람’이 각 17.2%로 높게 나타났다. 3학년은 ‘성실한 사람’과 ‘부족한 사람’이 각 19.2%로 가장 높았다. 4학년의 경우 ‘성실한 사람(25.0%)’과 ‘긍정적인 사람(22.2%)’이라고 응답하였고, 13.9%가 자신을 ‘부족한 사람’ 또는 ‘평범한 사람’이라고 인식하였다. 학년별로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자기에 대해 보았을 때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높았으나,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일곱째, 객관적 자기개념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결과를 보면, 학업성취별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A학점: 3.90, B학점: 3.70, C학점: 3.4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73, p<.01). 즉, 학점을 높게 받는 학생일수록 객관적 자기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객관적 자기를 학년별로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결과, 1학년∼4학년까지 네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0.73). 여덟째, 주관적 자기개념에 대한 일원변량분석 결과를 보면, 학업성취별로 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A학점: 3.89, B학점: 3.67, C학점: 3.4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7.81, p<.01). 즉, 학점을 높게 받는 학생일수록 주관적 자기개념이 잘 정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관적 자기도 객관적 자기와 마찬가지로 학년별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1.18,). 아홉째, 주관적 자기와 객관적 자기 모두 객관적 학업성적과 부모의 지원, 친구의 지원, 교사의 지원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p<.001, p<.01). 부모의 지원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 경제적 지원 모두가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다. 친구의 지원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지원과 정보적 지원 역시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다. 교사의 지원에서는 주관적 자기와 정서적 지원은 정적상관(p<.01)이 다른 정적 상관(p<.001)보다 낮게 나타냈다. 즉, 사제관계에서는 정서적 지원이 부모나 친구관계보다 낮음을 보여준다. 열 번째, 객관적 주관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 및 생활만족도는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냈다(p<.001). 주관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학습효능감(r=0.52), 관계효능감(r=0.46), 어려움 극복효능감(r=0.41) 모두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고, 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가정생활만족도(r=0.30)와 학교생활만족도(r=0.35)도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다. 객관적 자기개념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학습효능감(r=0.46), 관계효능감(r=0.58), 어려움 극복효능감(r=0.36) 모두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고, 생활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가정생활만족도(r=0.39)와 학교생활만족도(r=0.43)도 정적상관(p<.001)을 나타냈다. 주관적 자기와 자기효능감의 정적상관 중 가장 높은 것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고, 객관적 자기와 가장 높은 자기효능감의 정적상관은 관계효능감이었다. 이를 통해 객관적 자기를 바라볼 때 자기조절학습효능감보다 관계효능감(교우관계나 사제관계 등)이 자기개념을 형성하는데 높은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만족도와 관련해서는 대학생들의 객관적 주관적 자기개념을 형성하는 데 높은 상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정부기관의 홍보대사에 대한 국민들의 인지 수준과 관련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 분석

        김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Few Korean celebrities have been embroiled in controversy on their role of PA. Public had been casting skeptical responses on celebrity PA of governmental branches as many of them failed to accomplish their role. 2.4 persons a day are appointed as PA on average. As few celebrities monopolize the PA -ship for eight to ten organizations, it is often difficult to distinct which institution they promote for.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not excluded from the league. With good intentions, however, its effect has yet been proven by scientific studies. Existing studies discovered that celebrity campaigns are more effective than employing non-celebrity PA. Celebrities that won their fame from notoriety would earn contrary result. Analysis on the effect of employing different types of celebrities is needed. Lee(2014) asserts that existing studies have failed to garner substantive and precise investig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PA.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 campaign, focused on PA,of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discovered a strong necessity for a proper analysis on its effect. Ergo,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recent promotions of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its subordinate organizations, and analyzes the public recognition level on their PA and promotion campaigns. Also, this study illuminates consumer behavior to PA campaigns in relation consumer characteristics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and consumer – PA Relation facto Media exposure rate, duration, proximity of the relatio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necessity for active promotion and social attention for PA campaigns, and to stress the need for oriented PA campaign designing for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최근, 연예인 홍보대사가 논란에 휩싸였다. 수많은 연예인들이 정부 각 부처나 단체의 홍보대사로 나서면서 그 단체의 활동, 이미지에 부합하는 역할을 해내느냐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으며, 하루 평균 2.4명이 홍보대사로 위촉이 되고 한 사람이 홍보대사를 8개, 10개씩 맡고 있어서 대중들은 누가 어떤 홍보대사인지 파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국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 실현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보건복지부도 홍보대사를 내세워 광고 및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그 효과를 다룬 연구는 없다. 유명인과 일반인의 설득 효과를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은 유명인을 기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유명인이라 하더라도 그를 싫어하는 수용자들의 수가 많은 경우나 홍보대사 활동 중 부정적 사건에 연루될 경우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현선(2014)에 따르면, “이러한 홍보대사 활동이 과연 비영리 조직의 활동과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해내는가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홍보대사가 넘쳐나고 있다는 등의 부정적인 언론 기사가 게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홍보대사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 이다. 국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 실현을 위한 업무를 담당하는 보건복지부에서도 중앙부처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사용해 홍보대사를 내세워 광고 및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그 효과를 다룬 연구는 없다. 국민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건강복지라는 부분을 다루는 정부기관에서는 과연 어떠한 홍보대사를 활용한 홍보정책을 진행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홍보대사의 위촉비 및 해당 광고 제작물과 홍보에 쓰이는 세금을 내는 국민들의 입장에서 보건복지부 홍보대사의 효과성에 대해 면밀히 분석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최근 진행되었던 보건복지부 및 산하 기관의 홍보대사를 중심으로, 기관에서 알리고자 하는 정책과 정보와 함께 해당 홍보대사를 일반 국민들이 과연 얼마나 인지하고 있으며, 또한 수용자의 특성(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과 수용자와 홍보대사의 관계 관련 요인(미디어 노출 양이나 기간, 관계의 근접성)에 따른 홍보대사를 활용한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태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홍보대사를 활용한 캠페인의 사회적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을 알리고, 수용자의 특성에 따른 예측변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보건복지부 홍보대사 캠페인 기획이 필요함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