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적 농식품 네트워크 연구 : 충남 홍성군 장곡면을 사례로

        김진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남도 홍성군 장곡면에서 새롭게 실천되고 있는 홍성유기농영농조합법인과 협동조합젊은협업농장이 대안적 농식품 네트워크의 사례에 해당하는지를 품질, 지역화, 생산협동조합 측면에서 고찰 한다. 첫째, 품질의 측면에서 가족농 중심의 농업 형태를 극복한 협업적 방식의 생산, 유통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장곡면의 생산-소비의 지역화 과정이 유통을 단순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가 짧아지는 새로운 생산-소비 네트워크의 방식임을 밝히는 것이다. 셋째, 두 연구 대상이 생산협동조합으로서 조합원의 신뢰를 바탕으로 민주적 의사결정과 협업적 방식으로 운영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FN연구의 분석영역을 연구대상에 맞게 수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지역을 직접 참여관찰 하는 것이었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과 젊은협업농장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생산 장소, 생산방법, 유통체계, 교환 장소, 생산자-소비자 상호작용, 생산참여과정 등 분석영역 대부분이 품질, 지역화, 생산협동조합 측면에서 장곡면 지역에 착근되었다. 첫째, 품질 면에서 고품질을 생산하기 위해 가족농 형태를 극복하고 지역의 다양한 젊은이들과 협업적 방식으로 친환경농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생산 장소, 생산 방법의 선택은 가족농의 한계로 농업공동체가 붕괴되어 가고 있는 시대에 장곡면에서 시도하고 있는 새로운 실천이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공동체를 추구하고 있다. 둘째, 장곡면의 지역화 과정에서 친환경농업 관련 직매장을 만들고 지역 소재 식당에 친환경으로 생산된 농산물을 공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유통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를 줄이는 유통 체계이다. 이로 인해 장곡면에는 생산-소비 네트워크의 한 행위 주체가 생산자이면서 소비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 새로운 농식품 네트워크가 만들어 지고 있다. 셋째, 관행적-대안적 농식품 네트워크가 혼합되어 있다. 생산방법에서 생산자들이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을 병행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은 부가가치가 높지만 영농의 과정이 힘들기 때문이다. 유통에 있어서도 두레생협연합회로 물류가 통합되면서 직거래 방식에서 관행적 방식과 비슷해지고 있다. 교환방식도 화폐교환이 아닌 다양한 방식이 고민되어야 한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과 젊은협업농장은 대안적 농식품 네트워크의 사례에 해당한다. 하지만 생산방법과 유통체계에서 관행적-대안적 농식품 네트워크의 혼합이라는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 내에서 경제적 자립을 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경제적으로 자립을 할 수 없다면 아무리 좋은 이념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가능한 농업공동체를 유지 할 수 없다. 친환경농업에 대한 이념적, 경제적 가치 추구가 함께 공존 하면서 지역 사회 내에서 자립을 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홍성유기농영농조합과 협동조합젊은협업농장은 장곡면에서 지속가능한 농업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있는 진행형의 생산주체들이다. 면단위 지역에서 친환경농산물을 협업적 방식으로 생산하고 소비하는 생산주체로 자본주의 농업사회에서 생산-소비의 연대와 자립을 시도하는 새로운 실천이다.

      • Lutein의 항산화 기능에 관한 반응속도론적 연구

        김진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carotenoid류 중의 하나인 lutein의 항산화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반응속도론적 연구이다. Acetic acid 용매에서 lutein과 m-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의 반응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관찰함으로써 lutein과 m-CPBA 반응의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lutein과 m-CPBA의 몰수의 비 1:20, 1:30, 1:40에 대하여 반응 온도를 40 ℃, 50 ℃, 60 ℃로 변화시키면서 반응 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사일차반응에서 반응 온도가 10 ℃ 증가할 때 반응속도상수는 1.83~2.41배로 증가하였으며, 반응의 활성화 엔트로피는 -28.523~-26.322 e. u., 활성화 엔탈피는 12.279~12.865 kcal/mol, 그리고 활성화 깁스에너지는 21.128~21.895 kcal/mol 사이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는 12.941~13.487 kcal/mol 사이의 값을 가지고 있었다.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작은 값을 가지므로 lutein이 활성산소와 쉽게 반응을 할 수 있는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reactivity of lutein by chemical kinetics study. The reaction of lutein with m-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 in acetic acid has been performed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At the mole ratio of lutein to m-CPBA, 1:20, 1:30, 1:40, the reaction rates were measured by changing the reaction temperature 40 ℃, 50 ℃, 60 ℃, respectively. According to experimental data, pseudo first order reaction rates was increased 1.83~2.41 times when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10 ℃. The activation entropies was -28.523~-26.322 e. u., the activation enthalpy was 12.279~12.865 kcal/mol, and activation gibbs free energy was 21.128~21.895 kcal/mol.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reactions was 12.941~13.487 kcal/mol. It was found that the lutein had the antioxidative reactivity function as the activation energy was very low value.

      •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 Fiber-based Carbon Fibers and Natural Fiber/Polymer Composite Fibers : A Feasibility Study

        김진명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uses of biomass-based products from natural resources are much attracted attention in industries and academia. This is due to their advantages like sustainability, cost-effectiveness,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etc. If carbon fibers can be prepared from biomass-based natural fibers, it would be useful although the fibers can discontinuous and short in length due to the limited length of natural fibers. However, it has been clarified that such cellulose-based carbon fibers must experience severe thermal shrinkage and weight loss upon heat-treatment like stabilization and carbonization, as normally found in rayon-based carbon fibers. The research objective here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preparing cellulose-based carbon fibers. In first study, optimal conditions of the carbonization process of natural fiber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the final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heating rate and stabilization condition. In second study, heat treatment process was performed at 700℃ with a heating rate of 1℃/min for kenaf, jute and bambo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biomass-based natural fibers as precursor of cellulose-based carbon fibers. Natural fibers used were chemically pre-treated with NaOH, NH4Cl and acetone prior to heat treatment. The natural fibers carbonized at 700℃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SEM, ATR-FTIR, Raman, elemental analysis and weight loss/shrinkage measurements. During carbonization of kenaf, jute and bamboo after appropriate alkali treatment, their fiber morpholog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has been changed showing thermally fused and dense structure between the internal cells. As a result, no cells were found in the cross-section of each natural fiber. This is a positive finding to increase the yield of carbonized fibers and to have more developed fiber structure. This study implies the possibility of natural fibers as candidate precursor of cellulose-based carbon fiber. In third study, vacuum infiltration technique was used to infiltrate the cells in the cross-section of bamboo fiber with phenolic and furan resins. Carbonization processes were performed at respectively 700℃, 900℃ and 1200℃ with a heating rate of 1℃ /min. The carbonized bamboo/polymer composite fibers were characterized by means of SEM, ATR-FTIR, Raman, elemental analysis and weight loss/shrinkage measurements. Due to the effect of thermosetting resin infiltration to biomass-based bamboo fibers, the dimensional shrinkage and weight loss of bamboo fibers were reduced after carbonization, compared to the results with and without resin infiltration. From elemental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arbon contents of the bamboo fibers with thermosetting resin infiltrated were greater than that without the resin. SEM morphology result revealed that the cross-section of inner cells of bamboo fibers was infiltrated to some extent with thermosetting resin. After carbonization, the infiltrated cells showed some open pores due to decomposition of the infiltrated resin. It may contribute to changing some micro-structures and thermal behaviors as well as the carbon yield. From Raman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ID/IG ratio of natural fibers with the resin was lower than that without the resin.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increased the value of ID/IG ratio. The thermal stability of bamboo fiber with thermosetting resin infiltrated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the resin, resulting in the increased carbon yield.

      • 초등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만족도 비교

        김진명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생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에 따른 만족도 비교 A Comparison of Participa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n After school Physical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체육교육전공 김 진 명 지도교수 오 응 수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남․여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현황과 만족도차이를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부산광역시 소재 5개의 학교에서 5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년, 성적으로 선정 하였으며, 독립변인을 참여유무와 참여 형태, 종속변인을 참여 만족도로 분류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한 학교당 100부씩 3반을 돌며 본 연구자가 학교 선생님의 양해를 얻어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 작성법을 설명하고 자기평가 기입 법에 의해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설문을 다한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직접 회수 했으며, 전체 설문지 500부중 불성실하게 대답한 26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74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통계처리는 Window용 SPSS/PC 20.0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빈도 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일원변량분석으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참여현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참여현황을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참여현황은 5학년 학생이 4학년, 6학년 학생보다 높게 나탔으며, 상적에 따른 참여현황은 성적이 중인 학생이 가장 높은 참여 현황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의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년, 성적이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 집단 간의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셋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유무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빈도가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체육활동 만족도 하위요인 시설환경(p<0.05)요인을 제외한 수업구성, 프로그램, 자기발전, 부모님 요인에서 통계적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빈도가 체육활동 만족도 하위요인인 시설환경요인에서 주 2회의 빈도를 보인 학생이 주1회, 주3회의 빈도를 보인 학생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강도에 대한 체육활동 만족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참여강도가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에 차이는 통계적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남․여학생들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현황과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하는 현황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형태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참여 유무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각 요인에서 각기 다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 인구통계학적특성과 참여유무의 통계적 집단 간의 차이는 없지만,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함으로써 시설환경, 수업구성, 프로그램, 자기발전, 부모님요인에 충분히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주요어 : 방과 후 체육활동 , 초등학생, 만족도

      • 중국의 FTA정책과 한·중FTA에 관한 연구

        김진명 관동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2008년 안에 한국과의 FTA 협상에 실질적인 진전이 있길 기대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한ㆍ중FTA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는 등 한ㆍ중FTA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한중간의 무역 및 투자관계는 FTA가 아니더라도 갈수록 심화되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한국의 민감한 품목에 대해 예외인정과 같은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입장까지 밝히면서 한ㆍ중FTA의 적극 추진을 희망하는 것은 동아시아주도권 확보 등 정치적 동기와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이런 주도권 경쟁 심리를 감안할 때 한ㆍEU FTA, 한ㆍ일FTA 등의 추진을 한국의 협상력 제고에 기여하는 레버리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레위기 19장의 정경적 전개에 관한 주석적 연구

        김진명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표로 삼았던 부분 가운데 하나는 성경본문에 대한 학문적 해석과 더불어 설교자들이 성경연구와 설교 준비에 적용할 수 있고 목회현장에 좀 더 도움을 줄 수 있는 성경주석 방법을 제안하고 그 구체적인 주석 작업의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새롭게 제안한 방법론은 '정경적 전개에 관한 주석적 연구'이며, 이 방법을 레위기 19장 연구에 적용하여, 레위기의 문맥 가운데서 레위기 19장을 주석하고, 구약과 신약의 관련 본문들의 전체 흐름 속에서 본문을 비교 분석한 후에 성경 전체의 맥락 속에서 레위기 19장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레위기 19장에서 말하는 '거룩함'의 의미가 사람이 소유할 수 있는 속성의 개념이 아니라 사랑의 계명과 율법의 실천을 통하여 경험될 수 있는 역동적인 것이며, 레위기 19장의 중요성을 정경상에서 확인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아라온호의 빙해역 현장 데이터 분석 및 빙하중 산정 전산 프로그램 개발

        김진명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빙해지역을 운항하는 쇄빙선박은 극지역이라는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극복해야할 많은 기술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쇄빙선박에 작용하는 빙하중은 파랑하중에 비해 월등히 크기 때문에 쇄빙선박 설계 시 빙하중의 크기를 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쇄빙선박에 작용하는 빙하중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하여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2012년 남극 및 2015년 북극탐사 시 선체 외판에 설치된 스트레인게이지로부터 계측된 변형률을 사용하여 선체 외판의 등가응력을 계산한 후 영향계수법을 통해 빙압력으로 환산하여 국부 빙하중을 계산하였다. 전체 빙하중 계산은 아라온호 중심에 설치된 관성측정시스템으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는데 선박을 하나의 질점으로 가정하고 계측된 선박의 3축 가속도와 각속도를 사용하여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힘을 전체 빙하중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계산된 결과를 과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빙하중 산정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 빙하중 계산은 2012년 남극탐사 시 계측된 관성측정시스템 데이터의 심한 노이즈로 인하여 2015년 북극탐사 시 계측된 데이터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계산된 등가응력과 빙압력 그리고 국부 및 전체 빙하중을 선체의 속도와의 관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쇄빙선박에 작용하는 빙하중 산정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계산결과를 그래프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MATLAB을 이용한 빙하중 산정 전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Ice loads estima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design of an icebreaking vessel. The most common method for predicting hull ice loads is to measure strains of ship's hull and to calculate ice pressures by using strain gauges installed on the inner hull plating of the ship. In this study the equivalent stresses in the hull plating of the IBRV ARAON and the local ice pressures/loads were estimated through the analysis of strain data measured during ARAON's Antarctic voyage (2012) and Arctic voyage (2015). The influence coefficient matrix for calculating ice pressures/loads is discussed. The concept of“events”was adopted for describing peak ice pressures and speed of ship. The threshold values of 15MPa for equivalent stresses and 1MN for peak ice loads were chosen to analyze significant local ice loads on the hull plating. Meanwhile the global ice loads were estimated by using the measured data from the 6-DOF inertial measurement system installed 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RAON. The calculated results (Global Ice Loads) were compared to those of local ice loads from strain gauge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global ice loads were 3-4 times higher than the local ice loads for the case of 2015 ARAON's Arctic voyage. Finally, a numerical code for calculating local/global ice loads from the measured data (Strain Gauges and Motion Sensors) was developed by using MATLAB language. The developed GUI program can handle a large amount of data efficiently.

      • 중학교 교과과정의 전통 미술 교육 현황에 대한 연구와 개선 방안

        김진명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사회는 서양 문물에 대해 맹목적인 받아들임으로 인해 전통 문화에 대한 정체성의 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도가 낮으며, 중요성에 대한 이해도 낮으므로, 도외시되는 전통 미술에 대한 진흥과, 흥미 있는 수업 방향이 필요하다. 수묵화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극복하고 전통 기법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자는 중학교의 학생 중심의 흥미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전통 미술 기법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학생들의 흥미로운 전통 기법의 미술 활동을 통해 개개인의 창조적인 사고와 정서 함양의 역할을 하며, 창의적이며 전 인격적인 인간 형성을 기르게 한다. 흥미가 지니는 교육적 효과가 크므로, 학생들의 흥미를 현대적인 방법으로 전통 회화의 기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표현 지도 방안이 필요 하다. 본 연구는 전통기법의 학생들에게 수묵화 표현 기법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흥미와 전통 미술 교육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안을 적용시킴으로서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중학교 교과 과정 중 전통 미술 교육의 현황에 대해 연구, 분석하여 기피 되었던 한국 전통 미술 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전통 미술의 한 영역인 수묵화 중 전통기법을 이용하여, 미술 수업에 더욱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수업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중학교에서 전통 기법 중 수묵화의 표현 교육은 학생들에게 전인격적인 인격 형성에 기여하며, 우리의 문화 계승을 위한 창조적인 능력을 키워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전통 기법의 수묵화에 대한 이해와 흥미에 대해 분석 연구하며, 전통 미술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의견에 대해 알아보며,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구 지역 중심으로 D중학교, S중학교 학생들 중심으로 수업 조사 실시하였으며, 30개 학교의 미술 선생님의 의견을 참고하여 연구 조사 하였다. 그래서 수묵화를 가지고 표현을 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전통기법과 전통 문화에 대한 흥미를 향상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전통기법 중 다양한 수묵화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중학교 전통 기법 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이해도를 알아본다. 그리고 다양한 전통기법의 흥미 있는 수업방향에 대해서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 전통기법이 어떤 방향과 내용으로 교육되고 있는지 교과서를 분석해 본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 흥미 있는 다양한 전통기법의 수업 방향을 제시 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전통미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게 하며, 이를 계승, 발전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