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의 유무 및 템포가 야외에서의 자유보행시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김지혁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의 및 템포가 자유보행시 보행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성별,연령,동반자 유무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본 연구자는 총 2,082명 중 가장 잘 나온 데이터 1,244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걷기 패턴 측정은 일정 구간을 설정한 후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였고, 보행자들이 촬영하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구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촬영을 진행하였다. 신체적인 특성은 영상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측정하였다. 빠르기별로 음악을 다르게 하여 한 달에 걸쳐 촬영한 후 영상을 분석하였다. 신체적 특성 중 연령은 30세 이전, 31-59세, 60세 이상으로 성별은 남?여로 구분하여 기록하였고, 동반자 유무에 대한 기록도 함께 이루어졌다. 모든 변인은 평균과 표준편차(Mean±SD)로 표현하였다. 각 항목별 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 와 Two-way ANOVA 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라 자유보행자의 보폭과 보행속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보폭은 빠른 음악 구간에서 가장 넓었고, 사후검증 결과 느린음악과 빠른 음악 구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보행속도는 느린음악 구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연령별, 성별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남자의 경우 middle 그룹은 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보행속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05), young 그룹과 old 그룹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자의 경우 young 그룹과 middle 그룹은 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라 보행속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old 그룹의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악의 유무와 템포에 따른 보폭의 변화에서는 남자의 경우 middle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young 그룹과 old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계적으로 비록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old 그룹에서는 빠른 음악 구간에서 보폭이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자의 경우 young 그룹과 middle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old그룹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성별의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보폭의 변화는 남자의 경우 빠른 음악 구간과 느린 음악 구간, 그리고 음악이 없는 구간 사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여자의 경우 모든 음악 구간 사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보행속도의 변화는 남녀 모두 모든 음악 구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동반자 여부의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동반자가 있을 때 음악의 유무 및 템포에 따른 보폭은 느린 음악 구간과 빠른 음악 구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p<.05), 동반자가 없는 경우는 모든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p<.05). 보행속도에서는 동반자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모든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다섯째,음악의 유무 및 템포와 성별,연령,동반자 여부에 따른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음악의 유무 및 템포와 성별에 따른 보폭과 보행속도의 변화에서는 음악의 빠르기,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음악의 빠르기는 전체 자유보행자의 보행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보다 여자보행자들이 음악의 빠르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자가 있을 때보다 없을 때가 음악의 빠르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별, 동반자 여부 별로 비교해 본 결과 각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음악의 빠르기에 대해 전체 보행자들은 비슷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룹별 차이가 없는 이유는 음악에 반응하는 민감도의 차이인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what impact presence of music and tempo weigh in walk-pattern when walking freely and what difference there is depending on sex, age and companions. 1,244 persons with best drawn data among total of 2,082 persons have been analyzed. For measuring walk-pattern in this research, certain section was set to file using camcorder, and the filming was progressed from afar for walkers not to recognize that they were being filmed. Physical characters were measured by naked eye through video. The video was analyzed after filming over a month by making music different upon each speed. Ages under their 30 years old, 31-59 years old, and over 60 years old, sexes of male and female were recorded being divided for physical characters, and presence of companions were also recorded along. All of the variation factors were expressed with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Mean ±SD).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verify meaningful difference upon each item. Statistic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with p< .05.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is like following. First, in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according to presence of music and tempo, both pace and walk-speed of free walker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p<.05). Pace was most widest in section with music of fast tempo, after post verification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ctions with music of fast tempo(p<.05). Walk-speed was shown to be the fastest in section with music of slow tempo. Secondly, for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upon ages, sexes according to presence of music and tempo, in mens' case neither of young and old groups showed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ontrast with middle group which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walk-speed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to(p<.05). In women's case both young and middle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walk-speed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p<.05), and old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change of pace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 in mens' case the middle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p<.05), and young and old groups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although they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old group they showed tendency of pace's getting widened in section with music of fast tempo. In women's case both young and middle groups were shown with meaningful difference, but old group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Thirdly, in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on sexes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 in mens' case sections with music of fast tempo and slow tempo, and section without music were shown with meaningful difference(p<.05). In women's case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all sections with music(p<.05). In change of walk-speed both men and wome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sections with music(p<.05). Fourth, in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along with companions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 pace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 when they have companion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sections with music of slow and fast tempo(p<.05), and without companions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all sections(p<.05). Fifth, in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depending on presence of music and tempo also upon sex, age and companions, fastness of music and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change of pace and walk-speed. Generalizing results like these, fastness of music was shown to have impact on walk-pattern of whole free walkers. Upon sexes men walkers were shown to respond to the fastness of music more sensitively than women walkers, and less influenced by the fastness of music when they have companions than without companions. Meaningful difference among each group was not shown upon comparison with sexes, ages and companion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whole walkers show similar patter to the fastness of music, and the reason there's no special difference among groups is because of sensitiveness responding to music.

      • 웹기반 방송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 방송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혁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송사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지상파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서비스한다. 최근 방송사는 인터넷, 케이블 TV, DMB 등으로 대표되는 뉴미디어의 등장이라는 사회적 환경 변화와 방송통신 융합이라는 정책적 환경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방송사들은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과 신 방송정보시스템 구축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방송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기반 방송정보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을, K 방송사의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 업무기능 분할도, 업무기능 관계도, 업무활동 분할도, 업무활동 관계도, 업무흐름 설계도 등을 작성한다. 그리고 웹기반 방송정보시스템의 설계를 위해 시스템의 구성도, 주요 프로그램, 개체관계성도, 사용자 화면 등을 작성한다. 새로 개발된 웹기반 방송정보시스템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업무처리를 통해 생산성을 크게 높였다.

      • TRNSYS 시뮬레이션을 통한 하이브리드 제습냉방을 포함하는 CCHP 특성 파악

        김지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mands for generating heat and electricity by cogeneration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s pollution involving global warming. With respect to efforts, a lot of research institutes working on energy such as KEPCO are trying to develop models of micro CHP based on a gas engine and supply the models. But the hardships well known are that demands of waste heat generated by CHP are much lower in summer than winter. So many of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ial companies are making an effort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heat-driven cooling systems to lessen the heat discarded in summer. Moreover, heat-driven cooling systems have an advantage that is consuming less electricity. In taking account for the relation to CHP, desiccant cooling is reputed as the most appropriate heat-driven cooling method because desiccant cooling requires heat source with temperatures of 60-70℃. The appropriate capacity of facilities must be evaluated for supply of micro CHP. With respect to this, simulation is required in order to estimate the performance. So, work for securing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model by building the model and comparing simulation results to the actual is mandatory.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validated, temperatures of hot water made by CHP waste heat can be predicted as well. And if the model can be connected to the desiccant cooling system, not only electricity generation and heat recovery will be predicted, but also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and desiccant cooling will be analyzed. This thesis is showing validation of TRNSYS simulation with respect to CHP and hybrid desiccant cooling and predictions under other conditions by simulation. The actual trial was conducted under 87% load of the gas engine corresponding to 100 kWe and temperature profiles of CHP in the actual trial was used to validate and determin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model. As a result, temperature profiles estimated by simulation and that of the actual trial were saying difference of each temperature was less than or equal to 4.5℃ and relative error of each temperature point was less than 5%.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validated with the criterion, relative errors less than 5%, electric power, heat recovery rate, electric efficiency, heat recovery efficiency, and total efficiency of CHP from 50% to 100% load by substituting static models of each load. In addition, temperature variations in heat storage tanks were identified with the load of the gas engine with 100 kWe. Although time to start increasing temperatures and end of increase of temperatures at each sensor were shown different because of a principle of TNRSYS’s temperature calculations, The 10 hours-averaged temperature difference was maximumly 1.1℃ and the relative errer was 1.9%. Moreover, hybrid desiccant cooling simulation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trial with the target temperature of 27℃ after making the simulation model of hybrid desiccant cooling. Comparison about variations of indoor temperature, humidity ratio, and system COP was conducted. As a result, overall temperature differences and relative errors of indoor temperatures between the actual trial and simulation were shown less than 0.2℃ and 0.4%, respectively. In the simulation, the rotational speed and power of the compressor in the heat pump however was set as a constant unlike the actual compressor which is an inverter type. Furthermore, supply air is controlled based on whether the indoor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arget temperature. Due to these reasons, the miximum humidity ratio difference was 0.9 g/kg and the maximum relative error of humidity ratio was about 8.4%. But it was able to see that COP for 4 hours and indoor temperatures and humidity ratio were similar with the actual trial at the end.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of hybrid desiccant cooling, variation of indoor temperatures, humidity ratio, and COP were predicted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26℃, 25℃, and 24℃, respectively. In three conditioned spaces, it was concluded that supply air flow rates must be variable according to how much the target temperature is. Also, although higher compressor power and regeneration heat are required as the target temperature decreases, cooling capacity is enhanced more dominantly and this results in increase of COP.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환경 문제를 방지하고자 열병합 발전을 통한 열·전기 동시 생산과 전기 의존도를 낮춘 냉방 방식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규모 집단에서는 에너지 자급자족을 위한 노력으로 가스엔진에 기반한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위해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다양한 에너지 기관들의 연구과제가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 하절기 열병합 폐열의 활용도가 동절기에 비해 낮다는 점과 친환경 냉방이라는 개념을 만족하기 위해 다양한 열구동 냉방기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열구동 냉방기 중, 60-70℃의 열병합 폐열원의 온도와 연계가 용이한 제습냉방이 에너지 자급자족용 열병합 발전에 가장 적합한 친환경 냉방 방식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소형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보급을 위해서는 적정용량의 산정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추정 및 예측이 필수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모델의 수립 및 비교를 통한 신뢰성 확보는 반드시 수반되어야할 검증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검증된 열병합 발전 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을 바탕으로 열병합 폐열로 생성한 온수의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더불어 제습냉방 시뮬레이션 모델과 연계한다면 가스엔진의 운전을 통해 전기 생산, 폐열 회수, 그리고 이를 통한 축열과 제습냉방 운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15 kWe급 가스엔진의 운전을 통한 열병합 발전 TRNSYS 시뮬레이션 모델과 그에 연계한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델 검증을 통한 타운전 조건에서의 운전 및 시스템 성능을 예측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100 kWe로 설정된 87% 부하에서의 시운전 결과와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나타난 열병합 발전 시스템 내의 각 지점에서의 온도를 비교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의 신뢰성을 결정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시운전 간의 각 지점 온도의 차이는 4.5℃ 이하, 상대오차는 5% 미만이 되는 모델을 수립하였고, 부하별 정적모델을 적용하여 50%부터 100% 부하까지의 열병합 발전에서의 전기 생산율, 폐열 회수율, 전기 효율, 페열회수 효율, 종합 효율을 예측하였다. 마찬가지로 가스엔진의 100 kWe 부하 운전시 축열조에서의 온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때 10시간의 운전 동안 TRNSYS에서의 축열조 계산 방식에 의해 각 온도 센서별 온도 상승 시작 시각과 최종 온도 도달 시각이 상이하게 나타났지만 10시간에 대한 센서 지점별 평균 온도의 차이는 최대 1.1℃, 섭씨온도 기준 상대오차는 1.9%인 수준을 확보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희망온도 27℃ 설정 시의 시운전과의 냉방 공간 온도, 절대습도, 시스템 성능계수 비교를 수행하였다. 비교 결과, 냉방 공간의 온도의 차이는 전반적으로 0.2℃ 미만으로, 섭씨 온도 기준 상대오차는 전반적으로 0.4% 미만으로 나타났다. 온도를 기준으로 급기의 제어가 발생하는 방식임과 더불어 실제 시스템과 달리 시뮬레이션 모델에서는 압축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압축기의 동력을 상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절대습도의 차이는 최대 0.9 g/kg, 상대오차는 8.4%까지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지만 4시간의 운전 동안의 성능계수와 종료시의 실내 온도와 절대습도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26℃, 25℃, 24℃ 희망온도 운전 시의 실내 공간의 온습도 변화와 성능계수를 예측하였다. 또한, 희망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더 높은 압축기 동력과 재생열이 요구되지만 냉방 능력의 증가가 더 지배적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성능계수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추출 프로세스와 기법

        김지혁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프로젝트 실패의 가장 큰 이유는 요구사항 추출의 부정확과 요구사항변경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이해당사자의 요구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명확한 추출 프로세스의 정의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활동의 정의가 필요하다. 또한 산출물의 연관 관계를 명확히 하여 변경관리와 자동화를 위한 기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 개발 방법론에서는 요구사항 추출이 아닌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요구사항 추출에 대해 세부 활동과 태스크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요구사항 추출에 대한 기존 연구 또한 세부 태스크와 명시적인 절차의 정의가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요구사항 추출을 위한 세부 활동과 태스크를 정의하고, 태스크의 수행에 필요한 입/출력 산출물을 정의한다. 이를 위해 요구공학 관련 활동과 요구사항 추출 연구를 기반으로 요구사항 추출 프로세스의 활동과 태스크를 도출한다. 도출한 활동의 역할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위 태스크 및 산출물을 정의한다. 또한 요구사항 추출의 결과가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산출물 사이의 연관 관계를 통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요구사항 추출 연구의 활동들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한 요구사항 추출 단계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One of the main reasons of project failure is the uncertainty of requirement elicitation and change. There is a need to define for a certain elicitation process and its activities performed to elicit stakeholders' requirements. However, current development methodologies focus on requirements analysis rather than requirements elicitation, so they do not consider enough activities and tasks of requirements elicitation well. Also, current studies on requirements elicitation define particular tasks and procedures insufficiently. In this doctoral dissertation, activities and tasks for the requirements elicitation are defined. In addition, I/O for the tasks performed is defined. Based on related activities and elicitation studies of requirements, activities and tasks requirements elicitation process are derived. Subtasks and products to fulfill rules and purposes of the activities defined. That results of requirements elicitation are used in the requirements analysis level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artifacts is identified. The feasibility of activities of requirements elicitation i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current elicitation studies.

      • 투각 기법을 응용한 향로제작 연구

        김지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old times, people are strive for a bountiful and beautiful life and to make good crafts. So Efforts by well made crafts is always rich, life and culture has been the basis. These are based on the complexities of practicality and beautiful at the same time, next, that the nation, while satisfying the inside is moving as fusion. This research we temples or writing in the daily life censer theme censer of production methods, bratticing technique while using the censer was produced. Censer molding need multiple ways to the corruption of the background and use the many places and people, unlike those based on the form that made. And my ancestors of religious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has also now censer is a simple as well as the use of everyday life are also closely related. The ceramic censer has life emotions and religious, ideological tradition is connected as the medium is an important symbolic value of too. This censer can classify for used purpose on ceremony of Buddhism,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lso the form have variabl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In my country,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he censer used in earnest, by Koryo Dynasty, Essential for incense at tool aristocracy and delicate and gorgeous burner scent as its peak, according to flourish of Buddhist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Confucianism is up to the private sector as raised as a censer is widely used, ranging from General. This period, censer is decorative more practical side molding focusing of simple and conservative producing can know that. But, after Joseon Dynasty period, form or pattern of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and features a round Buddhist edible is lost to diversify the modern life does not rise. Therefore, in this context researcher, observe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and is maintaining the traditional beauty of ceramic burner so modern contemporary feel their emotional context to each technique using a censer, should you wish to produce. 옛날부터 사람들은 풍요롭고 아름다운 삶을 살기위해 좋은 공예품을 만들고자 노력해왔다. 그렇게 노력하여 잘 만들어진 공예품은 언제나 풍요로운 삶과 문화의 바탕이 되어 왔다. 이러한 바탕의 저변에는 실용성과 아름다음을 동시에 만족시키면서 그 민족 내면의 의미로 융합되어 나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가 사찰이나 일상생활에서 쓰는 향로를 주제로 향로의 제작방법을 연구 하면서 투각 기법을 이용한 향로를 제작 하였다. 향로 성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필요로 하여 시대적 배경과 쓰이는 장소 및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그 형태가 달리 만들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종교나 제례 의식절차의 분향기구로 사용되어온 도자 향로는 단순한 기의 사용뿐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자 향로는 우리 고유의 생활 감정과 종교적, 사상적 전통을 이어주는 매개물로서의 중요한 상징적 가치도 있다. 이러한 향로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불교의식용, 제례용, 완향용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각 시대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의 전래이후 향로가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고려시대 이르러 불교문화가 번창함에 따라 분향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로써 귀족적이고 섬세하면서 화려한 향로가 그 절정을 이루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민간에게 까지 보급됨에 따라 제기로서의 향로가 일반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향로는 장식성보다 실용적인 면에 조형의 주안점을 두어 단순하고 소박하게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 이후 형태나 문양 등의 조형요소와 기능이 제례나 불교의식용으로 고착화되어 다변화하는 현대생활에 부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맥락에서 도자 향로의 용도 및 특징을 관찰하고 전통적 미를 유지하면서, 현대적 감각을 살려 현대인들의 감성에 맞는 투각기법을 이용한 향로를 제작하고자 한다.

      • 태권도 경기의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김지혁 한국체육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태권도 경기규칙의 변화와 더불어 경기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태권도 경기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통하여 현재의 태권도 경기가 많은 경기규칙 개정을 통해 발전해 왔고, IOC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제반사항들에 대해 태권도 경기의 변화가 함목적적으로 변화, 시행되고 있다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결과에 따라 현행의 태권도 경기규칙에 대한 수정·보완의 부분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후설의 현상학적 철학에 전통을 두고 발전된 현상학적 체험연구는 현행의 태권도 경기규칙 변화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으며, 태권도의 본질 탐색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태권도 경기 변화에 대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논의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태권도 경기규칙은 스포츠로써 태권도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대부분 태권도 경기의 외부적 요구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태권도 경기의 본질적 특성과 태권도 경기를 직접 관여하는 지도자, 태권도 경기를 직접 행하는 선수들의 의견을 배제한 채, 태권도 경기규칙의 개정에 대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공간과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지 않은 채, 시대적 흐름과 요구의 성향에 따라 무분별하게 개정 및 적용함에 따라 태권도의 본질적 의미를 잃어버릴 수 있는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둘째, 최근 태권도 경기의 경기규칙 개정에 대한 내용이 각 태권도 관련기관마다 다르게 적용하고 있어 태권도 경기규칙의 일관성이 결여되고 있다. 과거에 비해 경기규칙 개정 및 적용에 있어 상호 상당부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기규칙 내용이나 결과에 있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문제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최근 차등점수제의 확대와 전자보호구 도입과 관련하여 각 태권도 관련기관마다 커다란 경기규칙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스포츠 현장의 과학화, 특히 스포츠 장비의 발전은 보다 박진감 넘치고 명확한 스포츠 경기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태권도 경기 역시 최근 들어 전자보호구를 도입하면서 태권도 경기의 과학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완벽하지 못한 전자보호구를 사용함에 따라 부정확한 판정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그러한 문제점들은 필히 해결되어야 할 사항이며, 전자보호구 도입으로 인한 심판의 기능과 역할의 의존도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전자보호구의 도입으로 판정시비가 원천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 또한 의문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최첨단 미디어 시대에 전자보호구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현재 태권도 경기가 지닌 문제의 핵심을 해결할 수는 없다. 즉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 경기로 거듭날 수 없다면 판정시비는 다소 사라졌다 해도 태권도 경기의 본질 자체가 퇴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태권도가 우리나라 고유의 맨손무술임에도 불구하고 스포츠로써 발전됨에 따라 과학화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경기규칙 개정을 통한 전자보호구의 도입은 스포츠의 과학화라는 명제 아래 결정하기보다는 더욱 신중을 기하고 본질적인 문제에서부터 개선을 하고자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태권도 경기장은 본래 우리나라 전통의 색인 오방정색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기규칙의 개정과 함께 어느 순간 심판복이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태권도 경기에 전자보호구가 도입됨에 따라 손발의 부착하는 센서와 전자보호구의 센서의 마찰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태권도복의 바지 밑단 부분을 자르거나 밴드를 사용하여 묶어버리는 등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즉 심판복에 내포되어 있는 색채의 의미나 태권도복이 내포하고 있는 전통성 등이 고려되지 않고 몇몇의 의견 등에 의해 기형적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심판복의 색과 도복의 변화는 태권도 경기 자체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태권도가 우리나라 고유의 ‘무도스포츠’임을 인정하고, 이를 고수하기 위해서는 태권도가 스포츠로서 발전되기 이전, 즉 무도로서 태권도의 모습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래야만 우리는 태권도를 타 스포츠와는 다른 ‘무도스포츠’로 칭할 수 있을 것이고, 태권도가 우리나라 고유의 무술·무예·무도로부터 발전된 스포츠임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무도가 지향하는 목적은 결과중심적 사고가 아닌 과정중심적 사고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스포츠가 지향하는 목적은 과정보다는 결과에 보다 많은 중점을 두고 있다. 즉 무도의 특성은 무술 및 무예로써 자기수양 및 무인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추구한다면, 스포츠는 여러 가지 특성 중 경쟁성이라는 부분이 현대사회에 있어 가장 중요시되고 있기 때문에 승리를 위한 집념 등으로 인해 승리지상주의를 지향한다. 따라서 무도가 추구하는 인간됨의 도리와 스포츠가 지향하는 승리의 특성을 공유하는 용어로써 ‘무도스포츠’라고 칭하고 있는 태권도 경기와 대조해 본다면 이는 용어상 모순의 원리를 잠재하고 있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태권도는 무도태권도와 경기태권도로 나눌 수 없다. 그것은 어느 태권도 구성원리의 상황에서 보더라도 태권도 자체에는 무도적인 측면과 경기적인 측면이 함께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태권도의 어느 부분일지라고 스포츠화 될 수 있으며, 그러한 스포츠의 속성 안에서도 반드시 태권도의 무도적 성향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도태권도와 경기태권도라는 용어의 사용은 매우 부적절한 것이며, 단지 모든 것의 총칭을 ‘태권도‘라고 하고, 태권도 안에서 경기화 되고 또는 스포츠화된 것을 모두 ’태권도 경기‘라고 칭하면 되는 것이다. 일곱째, 최근 태권도 경기장에서 나타나는 비윤리적인 행위들은 다른 스포츠에서도 보지 못했던 상황을 연출하곤 하였다. 태권도를 ‘무도스포츠’라 한다면 다른 스포츠와 비교하여 단편적인 부분에서라도 무도적 차이를 나타내야 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부정적인 면만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태권도 경기는 이제 새로운 경기규칙을 혁신적으로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태권도는 분명 우리나라 고유의 무도이자 스포츠임에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즉 태권도는 무도적 특성과 스포츠적 특성이 함께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무도스포츠’란 용어 자체를 결과중심적인 사고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모순의 여지가 남아있지만 과정중심적인 사고로 바라보았을 때에는 분명 태권도 경기 내에서도 무도적인 측면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특징을 더욱 부각시키고 무도적 측면과 스포츠적 측면의 균형적인 발전하기 위해서 전통성과 무도성을 고려한 태권도 경기규칙이 새롭게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여덟째, ‘무도스포츠’로서 같은 투기종목인 유도 경기의 장점을 고려하는 점도 바람직할 것이다. 즉 유도선수와 같이 무도인이자 운동선수로써 승패의 결과에 승복할 줄 아는 무도스포츠맨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무도에서 지향하는 이상적 인간의 육성과 동시에 스포츠에서 강조하고 있는 스포츠맨십을 모두 함께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동양중심적인 사고에서 나타나는 무도적인 측면과 서양중심적인 사고에서 나타나는 스포츠맨십에 대한 양면의 내용은 ‘무도스포츠’ 현장을 통해 하나의 같은 개념으로 실현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기규칙의 개정과 적용은 태권도의 무도적 본질을 상실하지 않은 채 태권도의 스포츠적 측면을 보다 발전시킴으로써 태권도 경기가 ‘무도스포츠’로서 거듭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아홉째, 현재 유형별로 실시되고 있는 태권도 경기의 통합화 시도는 쉽지 않을 것이다. 또한 경기의 운영에 있어서도, 성공에 있어서도, 특히 올림픽 종목으로서 태권도 겨루기 경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통합화 과정은 현실불가능한 제안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적 방향으로의 시도는 태권도의 균형적인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실적으로 스포츠 측면으로만 편중되어 있는 현재의 태권도 경기는 물론, 경기만을 행하는 반쪽짜리 태권도 선수가 아닌 태권도 구성원리의 모든 기술들을 아우를 수 있는 진정한, 그리고 총체적인 태권도인에로의 육성이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Through phenomenological experience study method, this study has shown that Taekwondo competition has developed through revision of rules, and changes in Taekwondo competition is carried out on problems raised by the IOC(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are many problems concerning existing rules that need revision and supplement, and phenomenological experience study developed from phenomenology of philosophy became the theoretical basis on changes in Taekwondo competitions of today. Therefore, the researcher has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a result of a study focused on phenomenological discussion on changes in Taekwondo competition: 1. Rules for Taekwondo competition today are under change due to external demand of Taekwondo competition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of Taekwondo as a sport. That is, essential feature of Taekwondo competition and instructors and athletes in direct relation with Taekwondo competition are excluded, in other words, and with opportunity to make a statement about revision of competition rules not offered, an indiscreet change according to flow and tendency of the times is carried out. 2. Since most recent revision on Taekwondo competition rules are applied variously in each Taekwondo related institutions, Taekwondo competition rules lack unity. These differences are of course not a phenomenon of the present time only. However, compared to application and revision of competition rules of the past, there are many differences, and these problems affecting the content of competition rules or the results directly cause very serious situations. Especially, related to expansion of graduated point system and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s there are great differences between each Taekwondo related institutions. 3. Development of science in sport scenes, especially development of sport equipments plays the role of offering precise and realistic competitions. Taekwondo competition also went along with development of science in Taekwondo competitions with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 recently. However, problems such as incorrect results due to scientifically incomplete electronic trunk protections must be solved,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judge with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 must be clearly setup. 4. Whether or not dispute over judgements would be resolved with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 is another problem. In spite of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s in this 21st century of high technology, the core of problems Taekwondo competition cannot be resolved. That is, although dispute over judgement somewhat resolves, if there is no fun or reality, the very essence of Taekwondo competition could be faded. That is, in reality where Taekwondo is developed from bear-hands martial arts to a sport with development of science,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 must be decided with caution, and seek a method to improve essential problem of Taekwondo competition. 5. Taekwondo arena originally connotes the meaning of Korea's traditional five colors. However, with the revision of competition rules, uniform for judges changed from yellow to blue all of sudden. Moreover, as mentioned above, with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trunk protec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friction of electronic sensor on hands and feet of the athlete, the tradition on meaning of colors is not considered enough, and is being deteriorated by turning up or tying the uniform pants at the bottom. Such change of color in judges' and athletes' uniforms of course do not have any affect on Taekwondo competition itself. However, in order to acknowledge and hold fast to Taekwondo as Korea's peculiar martial art and sport, we must not forget the aspects of Taekwondo as a martial art, before it became a sport. Only so, we will be able to call Taekwondo a martial art and a sport different from other ones, and emphasize on Taekwondo as a developed sport from Korea's traditional martial art. 6. Martial arts pursue process-oriented thoughts rather than result-oriented. However, sport lay stress more on the result than the progress. That is, while characteristic of martial art is that it pursues obligations as well as self-moral training of the trainee, but because the most emphasized characteristic of sport in modern society is competition, win-at-all-cost concepts are pursued caused by attachment to victory. Therefore, when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 of victory pursued by sports and obligation as a human being pursued by martial arts with Taekwondo competition, now what we call martial art and sport today, there is a conceptual paradox of terms. However, Taekwondo cannot be divided into competition-Taekwondo and martial art-Taekwondo because in every situation, competitive aspect and martial art aspect of Taekwondo coexist. That is, any part of Taekwondo could become a sport, and in such property of sport, martial art tendency of Taekwondo inevitably exists. Therefore, use of terms 'competition-Taekwondo' and 'martial art-Taekwondo' is very inappropriate, and we should just call all of it 'Taekwondo', and call ones which become a competition or sport 'Taekwondo competition'. 7. Immoral behaviors present in recent Taekwondo competitions have presented scenes never seen in any other sports. Although it should have a difference on martial art aspect compared to other sports, negative aspects are being emphasized instead. Therefore, Taekwondo competition requires innovative application of new competition rules. There is no doubt that Taekwondo is Korea's peculiar martial art and sport. That is, Taekwondo has both martial art features and sport features. Therefore, the term martial art-sport still has a room for paradox from the result-oriented viewpoint, but martial art aspect within Taekwondo competition certainly exist from progress-oriented viewpoint. Such features must be emphasized more, and for a balanced development of Taekwondo in both martial art and sport aspects, new competition rules with consideration on tradition and martial art must be created. 8. It is advisable for Taekwondo as a martial art-sport to consider the merits of Judo competition, another martial art and Olympic event. That is, Taekwondo athletes, like Judo athletes must become martial art-sportsman capable of accepting the result of competition as both martial art trainee and athlete. This enables cultivation of ideal human as well as sportsmanship pursued by sports.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realization of martial art aspect of the East and sportsmanship of the West as one. Therefore, such revision and application of competition rules could become a pivotal role for Taekwondo competition to be reborn as 'martial art-sport' by developing sport aspect of Taekwdon, leaving the martial art essence of Taekwondo. 9. An attempt for unity of Taekwondo competition would not be easy, and in competition administration, and in success, because Taekwondo sparring exists as an Olympic event especially, such unity progress could be a proposition not fit to reality. However, such developmental attempt could have a great impact on balanced development of Taekwondo. Away from today's Taekwondo competition especially, which makes too much of sports aspect, cultivation of a true and wholistic Taekwondo trainee, who could unite all skills of composition theory of Taekwondo would be possible.

      • 태권도 품새대회의 발전방향 연구

        김지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태권도의 총체적 발전과 태권도장 활성화라는 목표 아래 실시되고 있는 태권도 품새경기에서 심판판정 및 평가에 대한 방법에서부터 경기규칙에 이르기까지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품새경기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태권도의 총체적 발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태권도 품새경기와 관련된 문제점에 따른 발전방향을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품새경기 심판은 5심제 또는 7심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까지의 심판수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심판교육을 통해 품새심판수를 늘리는 방안은 현실적으로 매우 절실한 상황이며, 품새경기의 발전과 더불어 명확한 평가결과를 위해서 품새심판의 보강이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품새심판의 교육과 함께 자질있는 심판 양성을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2. 겨루기경기와 마찬가지로 품새경기의 경우, 승리지상주의에 치우쳐 겨루기경기의 고질적인 병폐인 오판과 승부조작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품새경기의 객관적 평가 방법 도입은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는 자연과학적 방법으로써 운동역학적 방법의 도입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3. 품새 채점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한 방법으로는 품새경기 전날에 리허설 시간을 정하여 참가선수가 리허설에 필히 참가할 수 있도록 경기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심판들의 채점 용이성에서도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며, 해당 대회의 채점규준을 마련하여 그 규정에 따라 채점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4. 태권도 관련기관에서는 신뢰성 있는 판정을 위한 품새심판의 정기적인 교육 및 보수교육을 자주 실시하여야 한다. 따라서 품새심판의 자질을 개발하고 개선함으로써 투철한 사명감과 객관성 있는 판정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5. 품새경기의 평가는 인간이 행하는 것이며, 과학적 방법의 동원이 없는 상황에서는 인간 개체의 관점에서의 미감에서 나타나는 판단기준에 의거하기 때문에 철학의 하위학문인 미학에서의 미적 범주 기준을 마련하여 평가하는 방법도 훌륭한 방법일 수 있을 것이다. 현행의 채점방식은 주먹구구식의 채점, 즉 채점심판의 직관에 의한 포괄적인 채점에 의존하고 있을 뿐이다. 즉 세세요목적 항목으로 나누어 채점되어야 할 것이며, 예술성의 한 방법인 표현성은 미학에서 언급되고 있는 미적 범주론에 입각한 세부 항목으로 수정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미적인 내용으로써 표현은 외현의 모습을 담은 재현이 아니라 내적 의미, 즉 철학적 의미를 담은 내재적 표현의 방식에 보다 주안점을 둔다면, 깊이 있는 품새, 철학적 의미가 담긴 품새의 수행이 될 것이며, 이는 곧 무도성이 함유된 품새를 위한 지름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6. 현재 품새경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품새 동작은 단조롭기 때문에 난이도에 큰 차이가 없어 문제가 되고 있으며, 품새경기가 활성화되기 시작하면서 선수들의 품새수준이 점점 평준화되어 정확한 평가를 하기가 더욱 어려운 상황으로 이어졌다. 똑같은 품새, 똑같은 동작은 관중과 시청자에게는 경기의 지루함을 더해주고 있으며, 규정된 동작은 선수들에게 품새의 기술 향상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난이도가 차별화된 새로운 동작들로 구성된 경기품새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현재 품새경기에서 문제되고 있는 평가기준, 판정의 객관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7. 대상별 경기용 품새의 개발이 필요하다. 소년기에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품새수행의 운동량은 대상에 따라 강도 차이를 두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품새대회의 부별 구분을 정하여 평가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유소년층으로 한정되어 있는 태권도 인구를 여러 연령층으로 광범위하게 확대시킬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창작품새경기의 경우에는 가점제도를 도입하여 새로운 태권도 동작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체조경기에서처럼 난이도에 따른 가점을 주는 배점방식은 필수적 방안이다. 즉 체조와 같이 난이도에 차등을 두고 기본을 중시하는 범주 안에서 화려하고 멋진 기술개발을 유도해야한다는 것이다. 8. 초창기의 품새경기는 컷오프방식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는데 이것은 선수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반면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심판이 바뀔 경우 평가기준이 달라 점수의 오차가 발생되는 객관성 문제가 노출되었다. 따라서 선수의 명확한 우열을 가리기 위해서 토너먼트방식으로 변경하여 경기가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토너먼트방식 또한 심판이 두 명의 선수를 동시에 평가하기 때문에 평가기준에 혼돈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기방식에 대한 장·단점의 혼용을 위하여 컷오프 토너먼트방식을 활용해야 한다. 예선전은 컷오프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고 참가인원에 따라 32강이나 16강부터 토너먼트방식을 도입하여 경기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기방식은 품새경기의 시간지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보다 명확한 평가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9. 태권도는 전세계인들에게 무도이자 스포츠로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태권도경기를 겨루기로만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품새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품새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정확한 품새동작의 정립이 우선되어야 하며, 명확한 판정기준과 평가방안을 마련하여 보급함으로써 세계화에 힘써야 할 것이다. 특히 세계선수권대회를 실시하여 각 국에 품새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위해 품새를 지도할 수 있는 사범 및 선수를 파견하여 품새경기의 세계화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10. 품새경기의 신설 및 활성화는 인해 머지않아 태권도장 수련층의 양상을 바꾸어줄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지만 겨루기대회에서 발생되었던 병폐와 마찬가지로 각 도장 및 각급 학교에 이르기까지 수련생들의 기능에만 치중한 나머지 그들의 소양이나 인간교육에 있어서는 소홀한 면을 보이고 있다. 즉 승리지상주의에 매달려 태권도 수련을 통한 인격완성의 무도수련이라기 보다는 단지 기능인으로서 전락시켜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태권도는 인간을 대상으로 몸의 수련을 통해 전인격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기능인을 양성한다는 목표이외에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될 중요한 덕목이 태권도를 통한 인간의 교육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태권도장에서의 무도성 교육은 태권도경연대회가 지속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11. 품새수행의 기능적인 면만을 지도하는 것이 아닌, 무도인으로서의 소양을 교육시킬 수 있는 태권도지도자로서의 재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태권도장에서의 지도자에 대한 재교육을 위하여 태권도 관련기관에서는 필요한 모든 조력을 총동원 해야만 할 것이다. 단지 마케팅 전략으로만 생각되어온 관원 늘리기 식의 태권도장 운영은 태권도를 병들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태권도장에서 무도성교육을 위한 태권도지도자의 혁신적 사고의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즉 경기만을 생각하는 지도자가 아닌, 태권도교육이 인간교육임을 인식할 수 있는 지도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변화되고 교육되어야 할 것이다. 12. 현재 많은 경기 종목들은 매스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경기규칙에 대한 개정을 위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품새경기에서는 선수의 복장을 백색의 도복과 검은색 띠 착용에 의한 통일된 복장으로 인하여 선수의 청·홍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시청자들로 하여금 혼돈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도복 색의 변화, 띠의 구분, 경기장 변화 등 많은 제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태권도 도복과 띠에 내재된 색체의미를 고려해 볼 때 섣불리 변경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도복과 띠의 색채변화를 통해 선수를 구분하기 보다는 품새경기 전용경기장 등을 구상하여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선수를 구분할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in Taekwondo in general and to revitalize Taelwon-dojang. And find out the problems from referee's decision and appraisal to regulation and draft possible solution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Furtherm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get positive impression in Taekwondo in general. Therefore, inquiring development direction in any related problems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s finalizing conclusions are following. 1.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usually have either 5 referees or 7 referees and currently numbers of referee's in Taekwondo Poomsae are insufficiency. So, from having workshop as referee's training camp is very needed to get more referees. To develop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and to get precise result, invigoration of referees are very need and also, from having referee's training camp, cultivating many referees will have a great impact o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2.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like Taekwondo Sparring, there could be solidity abuses towards misjudgement and manipulating matched. Therefore, having an objective view will be necessity and for the scheme bringing Bio-Mechanics method could be useful. 3. Another way for objective evaluation for rating is having a rehearsal time and participants must have to come to rehearsal as a regulation. It should be magnificent plan which will help evaluate rating for referees and there could be an advantage for some of tournaments if they arrange evaluate rating system 4. To have a credible decision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any Taekwondo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hold occasional referee course so it will upgrade the quality of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and referees themselves. 5. If there is no scientific method to evaluate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then using aesthetics standard category could be grand idea because human being will be judging so people would use their esthetic sense. Itemizing evaluating form must be needed contributing with an aesthetic category. If putting more focus in the essential point should have philosophic meaning for all the movements and it would feel more mature. It is going to be a shortcut to success because it will be more classy than ever just because it should feel like philosophy of movement. 6. Currently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all the action and movement are very simple and flat and there are not much of differences in difficulties. Moreover, it is even harder to evaluate participants move because the movement itself is very equalized. Also because of same Poomsae and movement makes spectators and televiewers time passes heavily than ever and even participants are hard to improve because they are doing same routine over and over. Therefore, Poomsae discrimination is needed and the problems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should be solved by having different difficulty levels in Poomsae. 7. Making different Poomsae for each age group. And then the intensity must be different from each age group so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should grope for each age group. From this result, it would be an another motive that will bring different each age group either than just children. Especially from in Competition for Taekwondo's Creative Poomsae would help Taekwondo organizers to catch new move and evaluating should be like gymnastics where they give more points to whoever the degree of difficulty was high. Like gymnastics, from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should induct splendid and gorgeous movements. 8. Whe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was in its pioneer days, it was cutoff process for evaluating participants. It is good method to evaluate each participants but it was taking too much of time. Therefore, to be more precise, tournament form came up but lack of numbers in referees and appraisal standard are very confusing because referee have to watch two participants at same time. So, applying combination of cutoff and tournament's strength and weakness would be another option and for sure it will come up with giving out more satisfying evaluation. 9. Taekwondo is chivalry and sports in all around the world and also it is our typical cultural heritage. However, most of other countries think that Taekwondo is only for Sparring and they have no clue what Poomsae is all about. Thus, to globalize Poomsae, the first priority is that movement and motions have to be define as possible and prepare clarified a criterion and evaluating program to globalize. Particularly, operate World Championship and many international events and do a lot of publicity throughout the world. Also, accredit directors and athletes who can be able to teach Poomsae to globalize Taekwondo Poomsae. 10. Because of newly created and revitalization of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will be motive in modifying Taekwon-Dojang's trainee's age group. But, like Taekwondo Sparring, there could be solidity abuses towards misjudgement and manipulating matched because many think that winning is everything so most of Taekwon-Dojang and school focus on trainee's skill ability. Whoever is involved with Taekwondo must remember that not only Taekwondo training helps physically, but also it helps mentally forming one's personality. Moreover, this is another education to become a human being. Chivalry education consider very special and important for any Taekwondo competitions. 11. Taekwondo Masters supposed to teach not only skills but also cultivated as a Master who can educate chivalry to students. Therefore, those Masters must take education and guidance on chivalry because many of Masters forgot that Taekwondo is helpful in training one's body and spirit. Thus, if there are Masters who are only thinking about how to make more money having Taekwon-Dojang must innovate diversion of their thoughts to chivalry education. Masters must change their teaching style and must understand and emphasize that Taekwondo is equal to humanity. 12. Many of other sports change their regulation due to mass media. But in Competition for Taekwondo Poomsae, athletes who are participating must wear white uniform with black belt so it confused on identifying which side is red and blue to televiewers. Many proposed solution such as changing colors in uniform and belt and changes in stadium itself came up but it is kind of impossible because of immanence of uniform and belt. There should be many ideas such as building Taekwondo Poomsae Stadium as one idea and more suggestion is needed.

      • 우리나라 國有財産 管理方案에 관한 硏究 : 遊休 行政財産 管理를 中心으로

        김지혁 高麗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요약 Ⅰ. 연구개요 우리의 국유재산 관리는 해방이후 적산농지 불하, 6.25 전쟁이후의 대대적인 토지 개량화와 소유권 정리를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주로 매각을 통해서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소극적 정책 위주였으나 현재는 국가적·사회적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확대·활용 위주의 적극적 관리정책으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유휴·저활용 국유지 축소와 활용 문제는 국가재정 건전성 확보와 소극적 유지보존 중심의 국유재산관리를 적극적 개발과 활용으로 변화시키는 국유재산 관리 정책 전환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러나 적극적 활용을 위한 정책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거 소극적 처분의 답습, 유휴 행정재산 실태조사의 한계, 관련 법제도의 정비부족 등으로 중앙관서의 유휴 행정재산이 확대되고 있어 유휴 행정재산 관리비효율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유휴 행정재산의 관리 문제점을 분석하고 유휴 행정재산의 개념을 명확히하며 이에 기초한 새로운 국유재산 분류체계를 통해 일시적 유휴행정재산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문제점 착안과 대안제시 전 과정에서 그동안 지적되어 왔던 국유재산관련 법제도 및 정책집행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논리전개 과정의 검증을 위해 해외사례조사와 국내 국유재산 관련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도 실시하였다. 문제점 분석과 검증을 토대로 일시적 유휴 행정재산의 도입 필요성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관리주체와 이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법제도의 개선사항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 국유재산관련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다양한 행정이론중에 국유재산과 결합가능한 내용을 추출하여 국유재산기관내부와 기관간의 조직관리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제시 중심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국유재산에 대한 문제의식, 문제점 분석, 결론도출을 위한 논리전개과정, 검증방법 등 형식적측면과 주장논거에 따른 내용적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선행연구중 실제 정책에 반영된 사례를 통해 현실성있는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존 연구의 연구영역제한 등 한계점을 지적하여 법률의 개선안 등을 포함한 포괄적이고 정책의 현실성을 고려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외 본 연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국유재산관련 용어를 국유재산법령을 토대로 관련 판례와 총괄청의 유권해석 등을 가미하여 분석하였다. Ⅲ. 국유재산관리와 현황분석 국유재산의 기능, 보유현황, 국유재산법의 변천과정, 국유재산에 대한 관리정책 및 관리조직 등에 대해서 관련문헌과 법령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으며 국유재산중 행정재산과 일반재산 각각의 운용현황과 문제점을 실무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휴 행정재산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국유재산 전반의 개발․활용사례를 최근 시행된 정책을 중심으로 소개하였으며, 유휴 행정재산의 발생 주요원인인 무단점유에 대한 실태 분석도 실시하였다. 특히, 현황자료를 통한 실태분석의 객관성을 위해 현재 담당자에게서 자료를 확보하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검증을 거쳐 분석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Ⅳ. 유휴 행정재산을 중심으로한 국유재산관리의 문제점 유휴 행정재산의 과다한 발생이유로 현행 국유재산분류체계의 문제점(행정재산관리 체계 약화, 모호한 유휴 행정재산의 정의 규정 등), 중앙관서의 유휴 행정재산의 관리 부재 및 전문성 결여, 유휴 청사관리 문제점, 법제도의 미비, 국유재산정보 관리체계 및 유휴 행정재산 실태조사 미흡 등을 제시하여 본 연구자의 문제의식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즉, 유휴 행정재산의 기존 관리상 문제점이 국유재산분류체계, 관련기관의 전문성 결여, 유휴 행정재산의 대다수인 청사관리미흡 등으로 발생하였고, 이후 실태파악을 위한 행정재산 실태조사조차 한계(조사과정 전문성 결여, 인력․예산 부족, 결과 신뢰성저하, 자료관리 미흡)를 노출하는 등 관련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검증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Ⅴ. 국유재산 관리체계에 관한 해외사례 분석 해외사례조사는 유휴 행정재산의 활용방안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재 우리의 제도와 접목할수 있는 각국의 사안들에 대한 분석을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국유재산 관리체계, 관련법령 등 각 나라의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국유재산관리정책방향 등의 일반총론을 살펴보고 국가마다의 특색있는 제도를 미시적 관점에서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선정국가로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캐나다이며 나라별로 선정이유와 유휴 행정재산에 대한 관리기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해외사례 인용에서 자주 발생하는 과거 데이터 사용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고자 최근의 공무국외출장자료와 실제 각국 담당자들과의 인터뷰 내용 등 을 활용함으로써 최근의 현황을 반영하여 객관적인 자료로서의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Ⅵ. 유휴 행정재산 활용에 관한 실증조사 설문문항은 국유재산에 대한 인식도 조사, 현재 국유재산의 제도의 개선점과 시급한 과제․문제해결방안 조사 등의 업무전반에 대한 견해 조사, 유휴 행정재산 발생 주요 원인과 축소방안․국유지에 대한 적극적 활용방안 등의 유휴 행정재산의 개선방 안에 관한 조사, 국유재산법 개정과 국유재산관리의 대원칙에 관한 조사, 전문관(장기근무지정) 제도 등과 같은 업무형태에 관한 조사, 기타 건의 사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하는 설문조사가 아닌 전문 업무지식을 가진 유경험자 대상의 조사(설문조사 대상기관 총괄청, 조달청,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로 제한)임을 착안하여 세부적이고 깊이있는 설문구성으로 시사점을 도츨하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의 내용구성에 관한 사전 검증과 기초 자료수집, 설문조사의 원할한 협조를 위한 협의 및 설문조사후 결과분석에 대한 자문을 위한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설문마다 답변비율과 함의점에 대해서 상세설명을 포함하였지만 도출된 통계자료가 많지 않은점을 감안하여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설문결과에 의미를 부여하되 일반적 의견으로 단정짖지 않았다. 그 외 조사의 한계점 및 설문조사의 의의와 그 활용방안에 대한 의견제시도 포함하였다. Ⅶ. 유휴 행정재산의 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방안 및 법제도 개선 일시적 유휴 행정재산의 도입 방안(도입 필요성, 유휴 행정재산 정의 명확화 등), 일시적 유휴 행정재산의 관리 원칙 및 관리방안, 일시적 유휴 행정재산의 관리주체 및 위탁관리 방안 등을 세부항목별로 분석하여 문제점 분석에 따른 대안제시 과정으로서의 논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제도적 개선외에 국유재산 분류체계 변경, 국유재산 사무의 총괄과 관리정비방향, 일시적 유휴 행정재산의 용도폐지 및 개발 확대 방향, 일반회계에 비해 관리가 소홀한 기금․특별회계 유휴 행정재산의 활용제고를 위한 법롤정비방향 등 설문조사시에 개선필요성이 확인된 사안을 중심으로 개선전후 효과에 대한 상호비교분석을 포함하여 법령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Ⅷ. 결론 연구의 배경과 연구결과물에 대한 분석과정 및 이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각종 자료와 사례분석 등에 대해서 주요관점별로 의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물의 기대효과와 시사점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