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선박용 강재의 도장면 제거를 위한 Q-스위칭 파이버 레이저 클리닝에 관한 기초 연구

        김지언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재 조선해양 산업 현장에서 도장 전처리 작업은 그라인딩 및 쇼트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동력 공구에 의한 작업자의 위험성 및 분진 비산에 의한 환경오염과 작업자의 건강문제가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전처리 방법으로는 협소구역의 접근이 난해하고 모서리 등의 개소와 복잡한 형상에 대한 작업이 어려우며 모재의 손상을 유발하고 표면의 균일한 클리닝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레이저 열원을 이용한 표면 클리닝 기술은 공정 중 환경오염 물질의 배출이 거의 없는 친환경 기술이다. 레이저의 우수한 제어 특성으로 인하여 표면의 오염층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국부적인 표면 클리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모재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비 접촉식 공정으로 다양한 표면 형상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문화재 복원사업은 물론이며 금형, 전기·전자 및 반도체 산업에서 레이저 클리닝 기술은 이미 실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또한 최근에는 대면적의 표면 전처리 공정에 레이저 클리닝을 도입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조선해양 산업, 항공 우주 산업 및 자동차 산업 등에 실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조선해양 산업에서 레이저를 이용한 클리닝 기술 수준은 초기 단계이며 기존의 클리닝 기술을 대체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따라서 국내 기술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향후 작업효율과 작업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조선해양 산업 도장 전처리의 패러다임을 변화하기 위해 레이저 클리닝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 출력 100W의 Q-스위칭 파이버 레이저를 이용하여 강재 표면의 도장면 및 산화층을 제거하기 위해 레이저 클리닝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실험으로써 실제 조선해양 산업에 적용되는 에폭시 및 숍프라이머 도장면과 국부적인 발청 수준인 얇은 산화층에 대해 스캔횟수, 펄스 중첩률, 패스 중첩률 및 에너지 밀도에 따른 레이저 클리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변수에서 얻어진 클리닝부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레이저 클리닝 효율을 계산하여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모재의 손상 및 열영향부 없는 우수한 클리닝 부를 얻을 수 있었다.

      • 무지개 색의 특성과 이미지를 적용한 패션 디자인 : 3D 시뮬레이션 표현 기법을 활용하여

        김지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자연이 주는 아름다운 조화미의 결정체이며 다양한 색을 포함하고 있는 무지개를 연구하여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지개 색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무지개 색의 이미지와 무지개 색이 적용된 복식에서 인식되는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통한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 색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무지개 색으로 전달되는 이미지를 분류하고 인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3D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해서 패션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헌 고찰에서는 무지개 색의 개념과 물리적 생성 원리, 심미성, 상징성에 대해 규명하였으며 패션에 나타난 무지개 이미지를 서양 복식과 민속 복식에서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무지개 색의 이미지 분류와 무지개 색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복식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32개의 색채 이미지 형용사와 16개의 인식 문항을 6개 시각 자극물과 함께 설문지로 구성하여 총 281부를 조사하였으며, 다차원 척도 분석(MDS), 지각도, 요인 분석,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무지개 색의 이미지는 크게 ‘신선한’, ‘신비한’, ‘다채로운’, ‘활기찬’, ‘빛나는’, ‘동화적인’의 6가지 이미지로 분류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무지개 색의 복식으로 인식되는 이미지는 ‘다채로운’, ‘동화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2. 무지개 색의 복식으로 인식하는 요인은 크게 ‘형태의 뚜렷함 요인’, ‘전체 인식 요인’, ‘표면의 모호함 요인’, ‘입체 인식 요인’, ‘평면적 분리 인식 요인’의 5가지로 구분되었다. 회귀 분석 결과, 무지개 색의 복식으로 인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형태의 뚜렷함 요인’, ‘표면의 모호함 요인’으로 나타났다. 3. 이를 종합하여 4가지 주된 이미지에 대해서 무지개 색으로 인식할 수 있는 복식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활기찬 이미지는 닫힌 형태에 명료하며 옷의 전체보다 색채가 인식되며 부피감면에서는 평면적으로 느껴지고 세부 형태는 평면적으로 분리되어 보인다. 다채로운/동화적인 이미지는 닫힌 형태에 명료하며 옷의 전체가 인식되고, 부피감면에서는 평면적으로 느껴지며 세부 형태는 평면적으로 통합되어 보인다. 신선한 이미지는 닫힌 형태와 열린 형태의 중간 형태로 불명료와 명료의 중간이고 색채가 부각되고, 부피감면에서는 평면적으로 인식되며 평면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신비한/빛나는 이미지는 열린 형태로 불명료하고 색채보다 옷의 전체가 인식되고, 입체적으로 느껴지며 평면적으로 통합되어 보인다. 4.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상 공간(virtual space)에서 3D Studio Max를 사용하여 패션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이를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Director 8.5와 Flash 5.0)를 사용하여 패션 갤러리로 제작하였다. “Temporary Bridge”를 주된 컨셉으로 선정하여 3가지 테마에 따라 디자인을 전개하였고, 주제에 따른 소재와 색채를 변화시켜 디자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 색의 문헌 고찰 및 특성과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무지개 색의 미적 감각을 반영한 색채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그 결과를 적용하여 3D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해서 패션 디자인을 전개함으로써 디자이너에게 색채와 디자인의 요소를 통한 의상의 전달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가상 공간에서의 의상 표현의 영역을 넓혔다. 더불어 ‘사이버 무지개 패션 갤러리’를 통해 일반인들도 손쉽게 패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패션 감각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issue of fashion design changes shape to color and texture among fashion design elements. Especially, in the 21st century, it will show the innovative fashion style according to science and technology, In color aspects, we try to reappear the color of nature with the help of advanced technology. The rainbow is the perfection of harmonious beauty in nature, and rainbow colors include various ranges of color beyond the seven spectral colors. It therefore becomes significant to study the rainbow and rainbow colors, for they give us an idea of design and a principal insight into color sen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make theoretical bases about rainbow colors. 2. To develop a method for understanding rainbow color images and the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rainbow color fashion. 3. To adapt these results in fashion design.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 bibliographical inquiry into rainbow colors, the survey for classification of rainbow color images and an analysis of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rainbow color fashion, and virtual fashion design adapted from these results. First, a bibliographical inquiry includes the meanings of rainbow colors, physical formation principles of the rainbow, and its aesthetical attributes and symbolism. Rainbow fashion images in western costumes and folk costumes were also researched. Second, this survey classifies rainbow color images and analyzes the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rainbow color fash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showing 6 visual images with 32 color image adjectives and 16 perception questions each other. A total of 281 copies were used for the survey. These results were analyzed via Factor Analysis, MDS(multi dimensional scale), Perception Map, and Regression. 1. This survey shows that 6 main factors of rainbow color images are 'vigorous', 'colorful', 'fairy', 'fresh', 'mysterious', 'brilliant'. 2. This survey shows that 5 main factors of perception characteristics are 'closed form', 'whole', 'indeterminate', 'rounded', 'planar separation'. 3.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rainbow color fashion are 'closed form' and 'indeterminate' characteristics by Regression results. Thir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proposed the Rainbow Fashion design in virtual space using 3D Studio Max 4.0. And it has created a Cyber Rainbow Fashion Gallery with multimedia tools, Director 8.5 & Flash 5.0. The main design concept is "Temporary Bridge", a rainbow bridge which connects nature, man and technology, and als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스포츠케이션을 통한 신체 레저활동 참여동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ALMS를 중심으로

        김지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19로 인해 개인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실내 활동에 제약이 생기면서 야외 액티비티 중심의 관광 활동이 선호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행의 우선순위를 스포츠와 레저를 즐기는 것에 초점을 맞춘 ‘스포츠케이션(Sportscation)’은 스포츠(Sports)와 베케이션(Vacation, 휴가)의 합성어로, 코로나 19 이후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과 특별한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최근 트렌드에 맞춰 새롭게 등장한 여가 형태이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워라밸(Work-life Balance)로 인한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건강과 삶의 질을 높이는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이며 신체 레저활동 참여 동기 측정에 특화된 PALMS(Physical Activity and Leisure Motivation Scale)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여행(관광)지를 방문하였을 때 신체 레저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체 레저활동 참여동기(PALMS)가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ALMS의 8가지 하위요인 중 외모개선, 신체건강발달, 즐거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신체 레저활동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이 스포츠 활동 자체를 즐기고 외적인 요소와 건강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PALMS와 정신건강, 정신건강과 삶의 질은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행(관광)지에서의 신체 활동 참여가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갖는데 도움이 되며, 개인의 삶을 가치 있게 생각하는 정신적 건강상태는 삶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조절변수인 몰입은 PALMS와 정신건강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를 하였다. 이는 PALMS의 동기 요인 종류에 따라 몰입의 조절효과 작용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은 PALMS를 통하여 새로운 신체 레저활동 참여동기를 측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여행(관광)지에서의 일회성 신체 활동 참여일지라도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더불어 코로나 19 이후 스포츠 활동 및 신체 레저활동에 참여하는 여행이 확산하는 추세를 확인하였고, 스포츠케이션이라는 새로운 휴가 트렌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 관광지만의 특색 있는 액티비티와 체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fuelled interest in individu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is new and surging demand sparked new tourism activities, which were focusing on outdoor experiences, as they were preferable over indoor offerings, which were subject to restrictions. Thus, Sportsaction arose as a new trend, combining sports and vacation, with the sole focus on enjoying physical activity and leisure. This follows previous lifestyle changes through Work-life Balance and the general interest in well-being, both of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ALMS (Physical Activity and Leisure Motivation Scale), which is a more comprehensive and specialized method in measuring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when visiting travel(or tourism) destinations. Firstly,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eight sub-factors of PALMS, appearance, physical condition, and enjoyment were significant. Through this, it can be observed that tourist who participate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enjoy sports activities themselves, take care of their appearance, and consider health care important.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ALM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is means, that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in travel(or tourism) destinations, helps to have positive mental health, and that mental health status that values individual life shows high satisfaction with life. Thirdly, the moderating variable flow partially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PALMS and mental health. This mean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flow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otivation factor of PALM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s how a new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was measured through PALMS, which has hardly been dealt with in domestic studies far.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even one-time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whilst on vaca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In addition, after COVID-19, the trend of travel styles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and physical leisure activities was confirmed, and research on a new vacation trend called Sportscatio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unique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local tourism only.

      • ‘하나님의 손’과 ‘성전’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 본 에스겔 성전환상의 시작표지

        김지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호와의 손’과 ‘성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에스겔의 성전환상 본문들이 왜 ‘여호와의 손이 임하였다’로 시작하고 있는지에 관한 고찰이다. 에스겔서는 포로가 되어 멀리 바벨론으로 끌려간 유다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메시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 메시지는 모두 묵시와 환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에스겔이 보고들은 묵시와 환상으로 에스겔의 각 단락들은 구성되어 있다. 에스겔서의 구조는 두 단락 혹은 세 단락으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인데 두 단락의 경우 1-24장까지 이스라엘과 유다의 심판과 어둠에 관한 메시지이며 25-48장까지는 열방의 심판과 이스라엘의 회복과 소망의 메시지로 구성되어 있다. D. Block, Eichrodt, Allen, Harrison, Delitzsch, Keil 등이 크게 두 단락 구분을 따른다. 세 단락으로 나누는 경우는 첫 단락인 1-24장은 예루살렘과 유다의 심판과 어둠에 대한 메시지, 두 번째 단락인 25-32장 이방 나라에 대한 예언, 세 번째 단락인 33-48장 구원과 회복에 대한 심판으로 구성된다. W. V. Gemeren, McKeating, Hill, Walton 등이 크게 세 단락 구분을 따른다. 네 단락 이상의 경우는 에스겔 소명의 장을 따로 구분하여 1-3장, 4-24장, 25-32장, 33-48장으로 구분하며 Alexander는 네 단락 구분을 따른다. 다섯 단락의 경우 1-3장, 4-24장, 25-32장, 33-39장, 40-48장으로 나누어 33-48장을 이스라엘의 회복과 성전 메시지로 단락을 나누어 구성한다. Horace D. Hummel은 다섯 단락 구분을 따른다. David A. Dorsey의 경우는 에스겔서를 철저한 7중 구조로 되어 있음에 초점을 맞추어 에스겔서를 크게 7개의 단락으로 나누고 7개의 각 단락을 다시 7개의 단락으로 나누어 총 49개의 단락으로 구성하기도 하였다. 두 단락으로 나누는 경우 25-48장까지의 주제를 일관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며 네 단락 이상의 경우는 크게 세 단락으로 나누는 구조에서 세분화하여 나누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W. V. Gemeren의 견해를 따라 에스겔서의 구조를 세 단락으로 나누고자 한다. 에스겔서의 구조를 세 단락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유다에 대한 여호와의 심판 , 1:1~24:27 A. 에스겔의 소명, 1:1-3:21 B. 에스겔의 대리적인 고난 , 3:22-5:4 C. 심판 신탁들, 5:5-7:27 D. 성전 환상 , 8:1-11:25 E. 포로, 12:1-20 F. 참 예언과 거짓 예언, 12:21-13:23 G. 심판 신탁들, 14:1-23 H. 광범위한 은유들, 15:1-17:24 I. 개인의 책임, 18:1-32 J. 애가, 19:1-14 K. 심판, 신탁들, 20:1-23:49 L. 가마 비유, 24:1-14 M. 에스겔의 아내의 죽음 24:15-27 2. 열방에 대한 신탁들, 25:1-32:32 A. 암몬, 25:1-7 B. 모압, 25:8-11 C. 에돔, 25:12-24 D. 블레셋, 25:15-17 E. 두로, 26:1-28:19 F. 시돈, 28:20-26 G. 애굽, 29:1-32:32 3. 구원과 회복과 변형 신탁들, 33:1-48:35 A. 파수꾼으로서 에스겔의 소명 :33:1-33 B. 회복과 파멸 신탁들. 34:1-39:29 (마른 뼈 환상 37:1-28) C. 영광스럽고 거룩한 성전 환상, 40:1-43:12 D. 접근에 대한 규정들, 44:1-46:24 E. 변형에 대한 환상, 47:1-48:35 그런데 에스겔서의 각 단락의 시작 부분을 살펴보면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각 단락의 시작은 명확한 표지를 가지게 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여호와의 손이 내게 임하여(וַתְּהִ֥י עָלַ֛י שָׁ֖ם יַד־יְהוָ֑ה) 2)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וַיְהִ֥י דְבַר־יְהוָ֖ה) 3) 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다(כֹּ֥ה אָמַ֖ר אֲדֹנָ֣י יְהוִ֑ה) 에스겔 19:1-14, 44:1-46:24, 47:1-48:35 세 단락을 제외하고 모든 단락은 이 세 가지 표지중 하나가 시작 표지로 쓰여 지는데 그 중 다섯 곳(1:3, 3:22, 8:1, 37:1, 40:1)에서 ‘여호와의 손’이 시작의 표지로 등장한다. 그리고 3:22를 제외하면 나머지 네 곳은 성전환상이 시작되는 단락이다. 그렇다면 왜 성전환상이 시작되는 곳에서는 모두 ‘여호와의 손(יַד־יְהוָה)’이 시작의 표지로 등장하고 있는가? Allen은 이를 환상의 개인적인 수령과 관련이 있으며 비상한 신적행위를 일으킨다고 주장하였으며, Iain M. Duguid은 이를 시각적인 환상이 두드러지게 제시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견해를 밝히며 시각적 환상을 중심으로 에스겔서를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Allen의 주장의 경우는 ‘여호와의 손(יַד־יְהוָה)’ 뿐만이 아니라 ‘여호와의 말씀 (דְבַר־יְהוָ֖ה)’이나 ‘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다’ 등의 시작표지도 환상의 개인적인 수령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신적행위를 설명할 때가 있으므로 ‘여호와의 손’이 다른 시작 표지들과 큰 차이점을 가진다고 보기 힘든 측면이 있다. Duguid의 주장의 경우 ‘여호와의 손’을 시각적 환상의 표지로 보았지만 다른 곳에서도 시각적 환상의 이미지가 보여 지는 단락들이 있으므로 설득력을 가지기 힘들다. 다만 Duguid의 주장 중 ‘여호와의 손’이 등장하는 단락들을 연결해서 해석하여야 한다는 견해에는 동의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겔 성전환상 본문을 중심으로 ‘여호와의 손(יַד־יְהוָה)’과 성전 환상과의 관계를 설명하며 왜 성전환상의 시작표지로 ‘여호와의 손(יַד־יְהוָה)’이 사용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 생태계 교란 위험이 있는 외래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법적 방안 연구

        김지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외래생물종의 국내 유입에 관한 법 제도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간 활동 및 물류 이동의 증가 등으로 인해 외래생물종 유입과 그로 인한 생태계교란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희귀 반려생물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파충류, 양서류, 절지류, 관상어류 등이 무분별하게 수입되는 상황에서 희귀 반려생물의 무단 방류 등으로 인한 생태계교란과 생물다양성 감소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외래생물종 수입 관리는 아직까지 블랙리스트 방식으로 위해성이 증명되지 않은 외래생물종에 대한 규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 번 파괴된 생태계의 복원에는 막대한 비용과 기술이 필요하고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건강한 자연생태계의 유지를 위한 사전 예방책 마련이 절실하다. 국내 환경법에서 외래종 규제에 적용되는 관련법 중 가장 핵심적인 법률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으로 약칭한다),「검역법」,「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물다양성법」으로 약칭한다)이 있다. 국내 법제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법 적용의 대상과 범위가 모호하다. 둘째, 위해성평가에 있어서 위해우려종에 대해서 사전예방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기에는 아직까지 미봉책의 수준에 지나지 않아 개선해야 할 규정들이 존재한다. 셋째, 복원 및 복구를 위한 명확한 조치 규정이 없다. 넷째, 비용부담에 있어서 방제 비용의 전부나 일부를 국가가 부담하게 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 외래생물종 관련 국제 협약 및 외국 법제를 살펴보면, CITES의 목적은 국제적으로 야생동·식물의 거래가 동·식물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일본의 외래생물법은 통합적 외래생물종 관리체계를 갖추고, 규제 대상의 구분을 통해 외래생물종의 유입, 정착, 확산을 규제하고 있으며, 원인 제공자에 대한 비용부담 원칙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미국의 Lacey Act는 레이시 법팀을 중심으로 여러 정부 기관들의 방사형 협조 관계, 사전 유입의 방지를 위한 외래종의 목록, 검역시스템의 운영, 엄격한 처벌 등에서 시사점이 있다. 호주의 EPBC Act에서는 외래생물종의 사전 위험 방지를 위해 위협종 카테고리의 목록화, 수입을 위한 ‘허가목록(Clean list)’의 규정 등에서 시사점이 있다. 이상으로 외래생물종에 관한 국내외 법제를 살펴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법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 제도 관련 규정을 명확하게 정립하고, 외래생물종 관리의 주체를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생태계 위해성평가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사전배려원칙에 따른 검역과 생태계 위해성평가 등을 반영한 관리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무조건적으로 수입의 금지를 하는 것은 세계 무역 시장과의 충돌 등 현실적이고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로의 급격한 규제 전환이 어렵다면 일본처럼 그레이 리스트 방식을 도입하거나, PIT tag를 통해 위해우려종을 국내 도입한 후에 체계적으로 사후 관리를 하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다. 셋째, 처벌과 구제 및 보상에 관한 규정을 명확히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 환경법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to Korea. Due to the increase in human activities and logistical movement, the risk of the introduc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and the resulting ecosystem disturbance is continuously increasing. In particular, as rare creatures begin to gain popularity, reptiles, amphibians, arthropods, and ornamental fish are being imported indiscriminately, and there is an increasing threat to ecosystem disturbance and biodiversity loss due to the unauthorized release of imported rare creatures. However, Korea's import management of foreign species is still a blacklist method, and there are no regulations on foreign species that have not been proven to be harmful. Since the restoration of a once destroyed ecosystem requires enormous costs and technology and is often impossible to recover, it is imperative to come up with proactive measures to maintain a healthy natural ecosystem. Looking at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foreign laws related to invasive alien species, the purpose of CITES is to prevent international trade in wild animals and plants from threatening the survival of animals and plants. Invasive alien species Act in Japan has implications in that it has an integrated alien species management system, regulates the inflow, settlement, and spread of alien species through regulatory classification, and applies the principle of cost-bearing to causatives. The Lacey Act of the United States has implications in the radial cooperative relationship of various government agencies with the Lacey Law Team as the center, the preparation of a list of invasive alien species to prevent pre-introduction, the operation of the quarantine system, and strict punishment. In Australia's EPBC Act, there are implications for listing threatened species categories and the application of the "Clean List" for imports to prevent the advance risk of invasive alien species.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legal systems related to invasive alien species, the measures to improve the Korean legal system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regulations related to the legal system and to clarify the subject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Second, the ecosystem risk assess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management measures that reflect quarantine according to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nd ecosystem risk assessment. Of course, an unconditional ban on imports can cause realistic and economic problems, such as a collision with the world trade market. Therefore, if it is difficult to rapidly switch to a white list, consider introducing a gray list method like in Japan, or introducing a invasive alien species of concern through PIT tag and systematically following management. Thirdly, regulations on punishment, relief and compensation should be cla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domestic environmental law.

      • 초등학교 교사의 행복감과 그 관련요인 : 생활경험, 성격, 인구통계학적변인

        김지언 창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질인 성격, 생활하면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경험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라 그들이 느끼는 행복감의 수준이 달라질 것이라 예상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밝히려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초등교사 319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성격을 알아보기 위하여 IPIP,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형 행복척도를 사용하였고, 생활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예비설문조사를 거쳐 총 38개 문항의 생활경험 측정도구를 제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t검증, 요인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경험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긍정적 경험은 행복감과 행복감의 구성요소인 삶의 만족, 긍정정서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경험은 행복감과 삶의 만족, 긍정정서와 부적 상관을 가지며 부정정서와는 정적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성격과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경증은 행복감과 부적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외 나머지 성격특성인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행복감과 정적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경험과 성격 변인 중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신경증, 친화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경험과 친화성은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신경증과 부정적 생활경험은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 경험이 많고, 부정적 경험이 적으며 신경증 성향이 낮고 친화성 성향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직경력)에 따른 행복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행복감의 차이가 별로 없었다. 그리고 연령과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더 큰 것으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직경력의 변화도 같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런 비슷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추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행복감은 기혼집단이 미혼집단에 비해 더 높게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교사들이 자신들의 성격을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이해하고 행복감에 대한 부정적인 여러 요인들을 예견할 수 있게 하고 개인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토대로 긍정적인 자세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행복감을 증진시켜 다방면으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유네스코 프로그램을 활용한 문화 다양성 역량 함양 연구

        김지언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세계는 점차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국경을 초월한 소통의 장이 되었다. 한 나라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더 이상 그 나라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세계 각국의 많은 사람들에게 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른 나라의 사람과도 효과적이고 적절한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문화 다양성 역량을 함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단순히 다른 나라의 문화를 소개하고 배우는 것에 그치는 수업 형태로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문화 다양성 역량을 증진 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문화 다양성 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을 모두 함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화 다양성 역량 증진 원리와 발달 단계에 따라 유네스코의 문화 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화 다양성 역량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9명(남자 17명, 여자 12명)이며, 사전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다른 문화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거나 소통해 본 경험이 적고 ‘문화 다양성’의 개념을 생소하게 여기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2001년 『세계 문화 다양성 선언』을 통해 지구촌 차원에서 존재하는 문화적 갈등을 해소하고 교류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는 유네스코의 문화 다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되, 현재의 이슈나 다양한 컨텐츠를 반영하여 재구성 한 후 총 8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실행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문화 다양성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정량 분석과 정성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유네스코 문화 다양성 교육을 재구성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힉년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에 효과성을 가진다. 동일한 검사지를 활용하여 문화 다양성 역량에 관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 결과 대응표본 t값이 –11.642 이고 유의 확률이 0.000으로 p<0.001에서 매우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문화 다양성 역량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은 5학년 학습자들의 문화 다양성 역량에 점진적이고 긍정적 변화를 미친다. 매 차시의 수업은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 원리와 발달 단계에 따라 구성되었으며, 매 차시 학생들의 반응과 학습지 분석을 통하여 차시를 거듭할수록 필수적 태도 함양의 단계에서 지식과 이해 및 기능을 함양하고 내면적, 외현적 성과를 드러내기 위한 역량이 증진됨에 따라 문화 다양성 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이 골고루 발달하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유네스코의 문화 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화 다양성 역량을 증진시켰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 보다 지속적이고 유기적인 문화 다양성 역량 증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oday's world gradually has become a place of communication that overcome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and transcends borders. It is very important to cultivat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respect various cultures of the world in accordance with this current trend and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ith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promoting the students' practical cultural diversity ability in the form of a lesson that only introduces and learns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Therefore, in order to help students develop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this study uses UNESCO'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nd developmental stage, and to improve th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29 students (17 males and 12 females) in elementary school in Namyangju city, Gyeonggi-do.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most of the students were not directly exposed to or communicated to other cultures, and most of the students felt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was unfamili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UNESC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which aim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by eliminating cultural conflicts that exist in the global dimension through the Declaration of World Cultural Diversity in 2001, And then the lessons were made in total of 8 class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 to analyze the changes in student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reconstructing the UNESC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 on cultural diversity competitiveness showed that the respondent sample t-value was -11.642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000 , so the results are very meaningful at p<0.001. Second,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n this study has a gradual and positive change in th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of fifth grade learners. The lessons are stru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development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nd development stage. Through the analysis of students' reactions and study si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ere developed evenly. As the above result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rough using UNESCO'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th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of 5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was improved.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o develop more sustainable and organic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에 관한 연구 분석 : 2010-2020년 문헌을 중심으로

        김지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overall trends through domestic reading and writing research analysis for multicultural children during school age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ading and writing research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refore, this thesis finally analyzed the 45 domestic academic papers on multicultural children during school age which were published for the past 10 years from 2010 to 2020. Also, to analyze the literature, these papers were was searched and collected with the keyword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Age', 'Reading', 'Wr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honeme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School Age' in the domestic electronic database.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age population continues to decline. However,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chool-age popul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Multicultural children are growing up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are less exposed to language because of different cultural and economic backgrounds and communication problems, which increase the possibility of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omparing to non-cultural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ifficulty in language development als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reading and writing as they become school-age. Such a poor academic performance eventually leads to problems of school adaption and individual life. Based on this importance, this study analyzed the reading and writing research for multicultural children of school age by classifying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issuance year, school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dependent variables and research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analysis paper was the most studied in 2012. Second, the lowe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was the most studied. Third, the research method had the most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subject of research had the most developmental ability and characteristic research. Fourth, in the analysis of dependencies, the reading area, the language understanding area, the semantic area, the reading comprehension area, and the writing error area were the most common. Fifth, in the characteristic study, the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of most school-age multicultural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non-multicultural children. Sixth, the intervention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e arbitration program in all studies, but most of them used informal inspection tools. Seventh, the professor-learning method study dealt with practical research that could be applied at school sites, but the curriculum was one-off and did not have enough curriculum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look not only at academic aspect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school age, but also at the whole of communication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국내의 읽기, 쓰기 연구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국내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위한 읽기 및 쓰기 연구의 실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2020년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학술 논문 45편을 최종 선정해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하여 국내 전자 데이터베이스의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 ‘읽기', ‘쓰기', ‘한국어교육', ‘음운인식', ‘학령기 발달'의 키워드를 넣어 논문을 검색, 수집하였다. 전체 학생 수와 학령인구는 계속 감소하나 다문화 학령기 인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배경, 의사소통 문제 등으로 언어가 결핍된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으며, 비다문화 아동과 비교하여 언어발달 지체 가능성이 크다.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보인 다문화가정 아동은 학령기가 되면서 읽기, 쓰기의 학습 문제에도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학업 부진은 결국 학교 적응 문제, 개인의 삶과 생활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진행된 읽기, 쓰기 연구를 일반적 특징(발행연도, 대상자 학교 급, 연구방법, 연구주제), 종속변인, 연구특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분석논문은 2012년도에 실시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대상자 학교 급은 초등학교 저학년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연구주제는 발달능력 및 특성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종속변인 분석에서 읽기영역, 언어이해영역, 의미영역, 읽기이해영역, 쓰기오류영역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특성연구에서 대부분의 학령기 다문화 아동의 읽기, 쓰기 수행력이 비다문화 아동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여섯째, 중재연구에서 모든 연구에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나타냈으나, 대부분 비공식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일곱째, 교수-학습방법 연구에서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재적 연구를 다루었으나, 교육과정이 일회적이고 다문화 아동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학업적인 측면만 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전반에 걸쳐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유아음악교육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 변인의 구조적 관계

        김지언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유아교사 교육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의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그리고 유아음악교육 실제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유아음악교육 실제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유아음악교육 실제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음악흥미와 유아음악교육 실제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278명이며, 측정도구는 음악흥미(Linnenbrink-Garcia et al., 2010), 음악적 자아개념(Vispoel, 1993b),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박주연, 2014),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Shannon, 1999), 및 유아음악교육 실제(박주연, 2014)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에서는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연령과 경력, 담당 학급에 따라 유아음악교육 실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흥미는 음악적 자아개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과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음악교육 실제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은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육 실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음악교육 실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음악흥미와 유아음악교육 실제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