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클러버(Clubber)의 패션 스타일 연구

        김지량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클러버(Clubber)들이 말하는 진정한 클럽문화는 패션과 영화, 예술과 음악 공연이 결합된 문화의 용광로 같은 곳이다. 최근 각광 받는 아티스트와 패션 피플이 클럽을 중심으로 모여드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의복, 외모, 음악, 행동을 통해 표명되는 클러버의 패션은 집단의 응집과 유효함을 제공하는 유력한 방법이다. 클럽에서 일차적으로 시각적 인지대상이 되는 것이 바로 패션이며, 클러버의 스타일은 그들의 문화적 속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 주기 때문에 문화와 연관된 패션연구의 다양화 시도의 의미 있는 대상이 될 수 있다.

      • 체질량지수 증가에 따른 골밀도와 체구성성분과의 상관관계 비교

        김지량 부산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골 조직의 미세한 구조를 변화시켜 골이 허약하게 되어 2차적으로 골절이 발생하거나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병이다. 이런 골다공증은 체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 중 체구성 성분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시아인에 맞는 체질량지수에 따라 정상, 과체중, 비만군으로 나누고 이에 따른 체구성성분과 체질량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간기능 및 신기능 혈액 검사 소견이 체구성 성분이나 골다공증과 관련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2004년 10월에서 2008년 3월까지 부산대학교 내분비 대사 내과를 방문한 136명의 여자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계 보건 기구의 아시아인에 대한 분류법에 따라 정상체중 (BMI<23, n=66), 과체중 (23&#8806;BMI<25, n=36), 비만 (25&#8806;BMI, n=34)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총 요추 골밀도 (정상체중; 0.94±0.17 vs. 과체중; 0.99±0.16 vs. 비만; 1.07±0.23 g/cm2; p=0.003)와 총 대퇴부 골밀도 (0.80±0.11 vs. 0.87±0.13 vs. 0.96±0.16 g/cm2; p<0.001)가 증가했다. 각 군에 따른 골다공증의 빈도는 57.6%, 36.1%, 26.5% 였다(p=0.006). 체구성 성분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체질량 지수가 증가하는 것과 체지방량 (fat body mass)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 할 수 없었고, 제지방량 (lean body mass)은 정상체중에서는 총 요추 골밀도 (r=0.087, p=0.487) 및 총 대퇴부 골밀도 (r=0.228, p=0.065)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과체중군에서는 총 요추 골밀도 (r=0.404, p=0.014) 및 총 대퇴부 골밀도 (r=0.473, p=0.004)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비만군에서도 총 요추 골밀도 (r=0.551, p=0.001) 및 총 대퇴부 골밀도 (r=0.415, p=0.015)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기능과 신기능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체구성 성분과 골밀도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체지방량은 세군 모두에서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없었고 제지방량은 과체중, 비만군에서만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정상 체중의 사람에서는 제지방량이 높다고 하여 골다공증이나 골절의 위험이 낮다고 말할 수 없다. 또한 간기능과 신기능 혈액 검사와 체구성성분이나 골밀도와는 연관 관계가 없었으며 이에 대한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ound; Osteoporosis is defined as a reduction in the strength of bone leading to an increased risk of fracture. Loss of bone tissue is associated with deterioration in skeletal microarchitecture. Osteoporosis is correlated with body weight and specially with body compos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ody composition with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that of serum liver and kidney function test with body composition or bone mineral densit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6 female who visited to the Endocrinology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classified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as normal, overweight, obesity by WHO classification. Results;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with body mass index. Total lumbar spine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with body mass index (normal; 0.94±0.17 vs. overweight; 0.99±0.16 vs. obesity; 1.07±0.23 g/cm2; p=0.003). Total femur mineral density was increased with body mass index (0.80±0.11 vs. 0.87±0.13 vs. 0.96±0.16 g/cm2; p<0.001).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ity group compared with normal BMI group (normal; 57.6% vs overweight; 36.1% vs obesity; 26.5%). The prevalence of osteopenia has no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and the prevalence of normal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BMI group compared with obesity group (9.1% vs 22.2% vs 35.3%)(p=0.00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otal lumbar spine and femur mineral density with fat body mass bu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at of lean body mass in overweight group (r=0.404, p=0.015; r=0.473, p=0.004) and obesity group (r=0.551, p=0.001; r=0.415, p=0.015), but no correlation between that of lean body mass in normal BMI group (r=0.087, p=0.487; r=0.228, p=0.065). Also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rum liver and kidney function test with bone mineral density and with body composition. Conclusion; The fat body mass has no relationship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all three groups and the lean body mass was correlated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overweight and obesity group but was not correlated in normal BMI group. The routine liver and kidney function test has no relationship in all three groups.

      •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tourism in EU : case study of European heritage days

        김지량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Tourism in EU : Case Study of European Heritage Days Cultural heritage is central to European integration and cooperation. It is an obvious feature of the European identity which should be protected for advantage and stability of European citizens who should be made more aware of the need to maintain their cultural heritage, as well those involved in cultural tourism. Cultural tourism, first and foremost is not only considered as a mean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across all over the European countries but also the most effective tool for inter-cultural dialogue. In other words, it plays a key role in encouraging inter-cultural dialogue in Europe, in addition to being a go-between in European cultures. The case study of European Heritage Days (EHDs) will be discussed as a case of Cultural Tourism in Europe using the source of European cultural Heritage. It is expected to ge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the cultural herit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uropean cultural tourism and what does EU expects from cultural tourism.

      •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Just-About-Right Scale과 Hedonic Scale의 적합성 비교

        김지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Just-About-Right scale and hedonic scale are the most used and trusted among the scales of sensory evaluation. However, even when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sample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two scales do not always produce the same results. There have been preceding research on which scale can predict consumers’ preference better between the two scale and discussion around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re is not much research regarding comparing these two scales for Korean consumers. It is possible to consider sociocultural factors of Koreans or Asians as the reason for resulting differences when using the hedonic and just-about-right scales.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optimal sweetness prediction using JAR scale and hedonic scale, (2) to evaluate how Korean consumers’ health concern, consumption patterns, and social desirability affect the usage of JAR scale, and (3) to determine which scale is better suited for Koreans consumers. A total of 100 Korean consum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valuate lemonade samples differing sugar concentration in controlled sensory booth testing area.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evaluation sessions and in the first experiment 5 lemonade containing 6.0%, 8.0%, 10.0%, 12.0%, 14.0% sugar concentration were provided to the subject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s using 7-point hedonic scale and 7-point JAR scale regarding accept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attributes, respectively. Additionally, demographics (age, gender), dietary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history of disease, healthy eating practices, health concern, and social desirability were asked. At the second evaluation session, consumers did two sets of preference tests of lemonades differing sugar concentrations. For the first pair, sugar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individually using their own data from the first session, which were picked out as ‘Just right’ and 'Like extremely’ (or the highest liking) in JAR scale and hedonic scale, respectively. For the second pair, the overall data were used to predict optimum sweetness level using regression analysis, which were 11.5% based on JAR data and 13% based on hedonic scale. Consumers preferred lemonade with optimum sweetness level predicted using the hedonic scale than the optimum sweetness predicted from the JAR results. As previously reported, we suspected health concerns may influence the difference in optimal sweetness prediction from hedonic and JAR scales. However, health concern, consumption patterns and social desirability did not influence the results. There might be health bias regardless of their degree of health concern. Thus, we may conclude that hedonic scale predicted better than JAR scale for optimal sweetness in Korean consumers.

      • In-situ fabrication of NiSi/NiOx structure for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 interlayer

        김지량 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Korea U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태양전지는 상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하부 실리콘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두 태양전지의 인터레이어에 대해서 이해해야 한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태양전지 FF 손실의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터레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직렬저항이다. 그러므로 두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TCO라고 불리는 투명 전극 물질들은 높은 투과도와 전기전도도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TCO를 탠덤 태양전지에서 두 태양전지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TCO 물질 증착 시 사용되는 스퍼터 공정은 하부 실리콘 태양전지에 플라즈마로 인한 데미지를 주며 이 데미지를 회복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은 계면에 실리콘 옥사이드를 성장 시켜 전기적 연결에 영향을 준다. TCO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레이어 구조 중 하나는 메탈 옥사이드 물질과 고 도핑 된 실리콘을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미터 위에 바로 메탈 옥사이드 물질을 접합시키는 경우 실리콘 페시베이션 특성이 저하해 개방 전압의 손실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HJT 구조 혹은 TOPCon 구조 위에 메탈 옥사이드를 접합시키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니켈 옥사이드를 TOPCon 구조 위에 증착시키는 인터레이어 구조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실험 결과 니켈 옥사이드와 n+ poly-Si의 접합은 전기적으로 좋은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결과는 밴드 다이어그램 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밴드 다이어그램 상으로 니켈 옥사이드/n+ poly-Si의 전자 정공은 밴드 투 밴드 터널링을 통하여 이동한다. 때문에 쇼키 다이오드 또는 터널 다이오드가 가지는 I-V 특성을 보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니켈 옥사이드와 n+ poly-Si 접합이 가지는 I-V 특성은 오믹한 특성을 보였으며 컨택 저항은 약 30 mΩ·cm2 정도의 낮은 값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특성의 주요 원인은 증착 공정과 열처리 공정에서 발생한 니켈 확산과 그로 인한 니켈 실리사이드 형성으로 예상된다. 확산한 니켈이 실리콘과 반응하여 실리사이드를 형성하여 전자 정공의 이동을 도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니켈 확산으로 인해 니켈 옥사이드는 내부에 니켈 베이컨시가 많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니켈 옥사이드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의 인터레이어 구조로써 니켈 옥사이드/n+ poly-Si 구조의 가능성에 관해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perovskite top cell and silicon bottom cell in tandem solar cell, understanding the contact of interlayer in perovskite/silicon solar cell is important. In particular, one of the major FF losses of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s is series resistance due to the interlayer structure with low contact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bette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sub-cells. In many studies,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materials have been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ottom and top sub-cells in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s because of their high transmittance and conductivity. However, tandem solar cells having TCO as an interlayer require a sputtering process for TCO deposition, which can induce plasma damage on silicon. One of the structures that do not use TCO as an interlayer is a metal oxide/silicon interlayer structure. However, this type of interlayer structure leads to Voc loss because the silicon surface cannot be passivated. Voc loss can be prevented by depositing metal oxide on the HJT structure or TOPCon structu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interlayer structure in which NiOx is deposited on the TOPCon structure. Experimental results show good contact quality of the NiOx/n+ poly-Si structure.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a band diagram. In the band diagram of NiOx/n+ poly-Si, carriers are transported via band-to-band tunneling. Therefore, the Schottcky or tunnel diode behavior are expected rather than ohmic behavior. Nevertheless, the NiOx/n+ poly-Si contact showed ohmic contact and the contact resistance was measured at a relatively low value of ~ 30 mΩ·cm2. It is expected that the major cause of this characteristic is nickel diffusion, which occurs during the NiOx deposition and annealing process. The diffused nickel reacts with silicon to form nickel silicide, which assists carrier transport between NiOx / n+ poly-Si and contributes to low contact resistance. Also, due to Ni diffusion, the NiOx thin film becomes Ni deficient, which increases the number of Ni vacancies and improves the electrical proper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tential is expected as an interlayer structure of a perovskite/silicon tandem solar cell with a NiOx/n+ polysilicon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