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gulation of TDAG51 in TLR4-mediated inflammatory pathway

        김주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염증반응(Inflammatory response)이란 생체조직의 손상에 따른 항원의 침입에 대한 국소적인 방어 보호 반응이다. 그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면 조직의 손상에 따라 박테리아와 같은 항원이 침입하게 되면 박테리아로부터 화학물질이 방출된다. 그에 따라 혈관내의 대식세포와 같은 식균성 세포(Phagocyte)가 박테리아를 쫓아 혈관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그 후 식균 작용(Phagocytosis)에 의해 박테리아가 제거되고 조직이 치유되게 된다. 이처럼 염증반응은 생체 내 방어를 위한 반응이지만 다양한 만성 질병의 발병 및 진행과 연관이 되어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선행 연구의 결과로 인해 염증반응에 장기간 노출될 때, 주변 환경 및 생체 내 변화와 같이 영향을 끼쳐서 다양한 난치병의 발병, 진행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에 염증반응의 발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면 다양한 난치병의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추정할 수 있다. 우선 염증반응은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가 활성화되면서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다. 톨유사수용체의 톨(Toll)이란 본래 초파리의 내재성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으며 쥐나 사람의 유전자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를 연구한 결과 톨유사수용체에 대해 알려지게 되었다. 톨유사수용체는 13종류가 존재하며 톨유사수용체 마다 다양한 리간드(Ligand)를 받아들여 면역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 각 톨유사수용체에 의한 신호경로는 차이를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활성화시켜 염증반응를 유도한다고 알려졌다. 다양한 톨유사수용체에 의한 염증반응 중에서 톨유사수용체4(TLR4)에 의한 염증반응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TLR4 염증반응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외막 표면에 존재하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에 의해 발생하며 리포폴리사카라이드가 톨유사수용체4 표면에 결합을 하면 하위 신호경로를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발현되며 그로 인해 염증반응이 발생한다. 한편 TDAG51(T cell death associated 51)은 T 세포 혼성세포주에서 처음 그 존재가 알려져 있으며 T 세포 내에서 세포 자연사가 활성화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TDAG51은 다양한 세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환경과 연관이 되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Leishmania donovani라는 원생동물을 감염시킨 후 대식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TDAG51이 13배 가까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TDAG51과 톨유사수용체4와의 연관성은 거의 밝혀진 바가 없어서 TDAG51이 톨유사수용체4에 의한 염증반응에 어떤 방식으로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톨유사수용체4 신호경로에 의해 TDAG51이 유도된다는 사실과 TDAG51이 발현되는 경로가 TNF receptor associated factor-6(TRAF6)의 하위신호경로를 경유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으며, 이렇게 발현된 TDAG51이 톨유사수용체4신호경로 내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심화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비록 TDAG51의 프로모터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반응하는 위치를 찾는 데에는 실패했지만 TDAG51이 톨유사수용체4에 의한 신호경로 내에서 염증반응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은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 생명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김주혁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앞으로 다가오는 시대에는 지금까지 보지도 못하고 듣지도 못하였던 새로운 일들이 계속 일어날 것이다. 특별히 생명의료윤리 분야에서는 더 많은 사건들이 일어날 것이다. 언젠가는 에이즈도 정복이 되고, 암도 머잖아 퇴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은 과학자들의 주장을 따라 낙관할 수만은 없다. 새로운 질병이 인류를 더 큰 고통으로 몰아넣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며, 과학자들의 예측을 벗어난 새로운 사건들과 계기들이 다가올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더욱 염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앞으로의 시대에는 인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거나 조작된 것들이 인류사회를 위협하게 되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기독교 윤리학의 관점에서 본다면, 죄인들의 낙관적인 기대와 희망은 언제나 인간의 본성을 파괴하고 하나님의 거룩한 뜻을 거역하는 일이 되기도 하였던 점을 기억할 수밖에 없다. 특히 의료 과학 기술자들이 실험실에서 하나님을 잊고 "하나님처럼 되리라" 했던 뱀의 유혹에 빠질 경우 이러한 재앙은 손쉽게 일어날 수도 있다. 새 시대에는 놀라운 과학기술에 매료되는 세기만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지켜나갈 수 있는 윤리적 능력 또한 보편적으로 가르쳐지고 지켜지는 세기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윤리는 이전의 윤리들이 지나치게 인간 중심적인 성향을 가졌던 결과를 비판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인간이 최고라 여기는 시각에서는 인간의 오만과 인간만의 복지를 추구하다가 자멸에 이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결코 자연을 벗어나서는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의 일부로서 자연과의 친화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 안에서의 발전과 변형을 모색하는 것이 옳다. 이런 관점에서 생병중심적 세계관에 근거한 생명 주권주의(Biocracy)의 지평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열어나가야 할 윤리적 과제이다. 이러한 인식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우리 인류는 온 세계를 지으시고 인간에게 맡겨주신 하나님의 뜻에 반할 뿐 아니라 생명파괴의 역사를 가속화시키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연의 생명들과 화해하는 생명공학, 생명을 살리고 치료하는 생명 공학은 우리가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명 주권적인 윤리 사상을 결여한 지나친 인간 중심주의적 가치에 경도된 과학은 높은 이상과 비젼보다는 경제적 이득을 추구하는 경쟁 속에서 인간성을 말살해 낼 소지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 위험한 세기에 우리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인간을 지키고 생명을 지키는 파수군의 사명을 받아들여야 한다. 오직 하나님의 선물로서 생명이 이해되는 곳에서만 인간은 인간다울 수 있다. 인위적인 생명 복제는 인간의 근본적 특성을 파괴할 뿐 아니라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도 파괴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거룩한 뜻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을 마주하고 있는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빛과 소금의 역할, 곧 어둠의 세력을 밀어내고 부패된 역사를 치유하는 영적이며 동시에 윤리적 성찰을 해야 한다. 특별히 인간복제에 관하여는 앞에서 계반복해서 언급했듯 또다시 인간이 하나님 앞에서(coramdeo)의 존재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만 한다. 하나님은 생명을 지으신 창조주이시고 생명의 원천이시고 주권자이시며(시 36:9)이시다. 이러한 사실 앞에서 인간에게 허락하신 유전공학의 힘을 인간의 능력을 표출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해서는 결코 안되며 무엇보다도 생명의 근원과 주권에 관한 인식을 바르게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에 대한 생명복제는 많은 연구와 실험을 통해서 그 안정성을 인정받는다 할지라도 유보되어야만 하는 문제이다. 왜냐하면 생명복제는 생명 그 자체에 대한 존엄성과 가치를 재료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그 생명 그 자체는 하나님만이 관여하실 수 있는 절대적 영역이라는 사실을 우리 모두는 기억해야 할 것이다.

      • 지속적 스쿼시 및 헬스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

        김주혁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teady squash and health training on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selected total 300 subjects, 50 man and woman of each in squash participants, 50 man and woman of each in health training participants, and 50 man and woman of each without working out, respectively.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of Korean version was used as research method, analyzed them by SPSS ver. 10.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 1) The gender difference was shown that man is higher than woman in the subfactor of physical self-description, as like sports capability, body fat/slenderness, appearance, health , physical activity, self-esteem, flexibility, endurance, general physical factors. 2) There is a difference based on the type of sports participant in the factor of sports capability, appearance, health, physical activity, flexibility, endurance, general physical factors of physical self-description, the participant of squash and health training is higher than non-participant. The physical activity of squash participant is higher than health training participant's. In the factor of physical activity, the three factors of body fat/slenderness, self-esteem, and muscle strength are shown a difference in the type of sports based on gender.

      • 교사들의 교육 레크리에이션 연수경험과 인식 및 활용 실태

        김주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레크리에이션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인지 정도와 활용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들의 바람직한 레크리에이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원도 내 소재해 있는 초중등학교100개 학교 261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1차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장병호(2003)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본으로 전문가의 의견을 검토하여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 후 요인분석 및 지역 학교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 부호화, 범주화, 주제화의 과정으로 부여하였으며, 그 결과 초중등교사들의 교육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인식, 교육 레크리에이션의 활용 상황, 효율적인 교육 레크리에이션 활용방안을 핵심 범주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레크리에이션 직무연수를 경험한 교사들은 레크리에이션 연수가 곡 필요하며 교육레크리에이션을 모든 교육활동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육레크리에이션을 통해 즐거운 학교 분위기 조성과 학습 지루함 해소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육레크리에이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절반 이상이 교육현장에서 연수받은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환경적인 여건이 맞지 않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중 박수 및 손동작 놀이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필요할 때마다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크리에이션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수 방법이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절반 이상의 교사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노래율동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가장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과활동 중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레크리에이션 종목으로 손동작 게임 및 퀴즈를 선호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육레크리에이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습활동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교사의 연수활동 참여기회와 다양한 교육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view recreation activities and how they apply those activities to their teaching and so better understand how to such activities can be used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hosen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261 qualified replies were chosen from a total of 350 respon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work of Jang (2003) with modifications based on particular interests of the researcher and advi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cher's views towards recreation activities and how they apply them in their teaching based on gender, age, working place, school, year of experience.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e recreation often. In particular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over 40 years of age are more likely to use recreation activities in their classes. Teachers seem to deem recreation necessary in school activities and find them to have a great affect on students' studying ability and students' overall feeling of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school life. Secon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e a great deal of 'Hand-motion Play and Quize'. Female teachers use mire activities while high school teachers tend to use mire 'Quiz or Humour' activities. Teachers use recreation activities at their own discretion. Thir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ually choose 'Hand-motion Game' and 'Quiz' activities. The study conclude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interested on recreation activities, recognize their value and try to apply those activities to their teaching.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o suggest that teachers need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and recreation training so as to better provide various recreation program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 문학 수업의 발문 전략 연구 : 배경 지식 활성화를 중심으로

        김주혁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고 학습자 개인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지향하는 현 교육 실정에 따라, 교수 방법의 효용성을 재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의 목회방향 연구 :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머징 교회 연구를 중심으로

        김주혁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구교회와 한국교회는 위기에 처해있다. 교회는 양적, 질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사회의 신뢰를 잃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어떻게 주님의 지상명령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까? 본 연구의 커다란 두 가지 주제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에 대해 기독교가 대응하는 모습을 다루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 두 가지 주제를 포스트모더니즘과 이머징 교회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와 앞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어떻게 목회방향을 설정해야 하는가에 대해 제안 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프리모더니즘, 모더니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한다. 각 패러다임의 영향 안에서 기독교는 그 위치가 변해왔다. 그리고 기독교는 현재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패러다임에 대해 여러 가지 반응을 해 왔다. 기독교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위기이지만 기회로 삼아 복음을 전파해야 한다. Ⅲ장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기독교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대응해 왔는가를 연구한다. 기독교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전통교회, 실용주의 교회 그리고 이머징 교회라는 진영으로 변화하였다. 이머징 교회는 전통적 복음과 교회론의 수용여부에 따라서 이머전트 그룹, 선교적 교회, 보수적 이머징 교회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교회가 처한 위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반응하여 지역과 문화에 접근하고자 하는 이머징 교회는 여러 가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개혁주의 교회는 그들의 장점을 받아들이고 단점을 보완하여 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파해야 한다. Ⅳ장에서는 앞의 연구를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목회방향에 대해 연구자가 제안을 한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목회방향을 설정하는 원리는 신학화의 싸움을 준비하라, 기독교 전통을 고수하라, 전통에 기초한 다양성을 추구하라, 연합으로 공존하는 지역교회를 만들라 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위의 제안한 원리들을 통해 성경적 기독교 전통의 토대 위에서 지역교회에 알맞은 교회의 신학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과 앞으로의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흔들리지 않는 교회의 기초가 되기를 소망한다.

      • 장기간의 중·고강도 트레이닝이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주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장기간 중·고강도 트레이닝이 최대운동 전·후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60%HRmax 트레이닝군 6명(평균 24.3세), 80%HRmax 트레이닝군 6명(평균 21.4세)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트레이닝 방법은 각각의 강도에서 주 3회 1시간씩 운동, 12주간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면역세포반응는 트레이닝 전·후의 안정시와 최대운동부하직후, 그리고 회복기 30분에서 각각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백혈구 아형의 변화에 있어서는 60%HRmax, 80%HRmax 운동군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호중구의 변화에 있어서는 트레이닝 전에 비해서 있어서 60%HRmax, 80%HRmax 운동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림프구의 변화에 있어서는 60%HRmax 운동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0%HRmax 운동군에서는 운동 전·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핵세포의 변화에 있어서는 60%HRmax 운동군에 있어서는 트레이닝전, 후 회복기에 있어서 유의하게(p<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0%BRmax 운동군에 있어서 트레이닝 전·후에 있어서 유의한(p<0.01) 감소를 보였으며, 호산구에 있어서는 두 그룹이 트레이닝 전·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살해세포(NK cell)에 있어서는 최대운동 전·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0% HRmax 운동군에 있어서는 트레이닝 전·후에 안정시 및 회복기 30분에 있어서 유의한(p<0.01)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80%HRmax 운동군은 최대운동 전·후 및 트레이닝 전·후에 안정시 및 회복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T-림프구 아형인 T-cell의 변화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트레이닝 전·후 최대운동직후 및 회복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보조 T-림프구 및 억제 T-림프구에서는 트레이닝 전·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에서 나타난 장기간 중·고강도 트레이닝에 있어서 운동강도가 높을수록 또는 운동전·후에 비해 트레이닝 전·후에 면역변인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격한 운동에 의해 인체의 생리적 불균형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이 면역기능의 항상성 유지 및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With a view to revealing the effects of long-term training with middle of high intensity upon immune reaction, 12 subjects (6 with 60% HRmax and 6 with 80% HRmax) were chosen. The tests of immune cell reaction before and after training as well as during maximum exercise (at rest, after exercise, during recovery in 30 minutes) showed thee following conclusions; 1. As for WBC subsets, Group 1 (60% HRmax)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Group 2 (80% HRmax). The same result was seen in the change of neutrophils and lymphocytes. 2. Group 1 held some significance in the variation of monocytes. As to eosinophil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training, but just Group 1 revealed it before and after maximum exercise. It was the same with NK cells. 3. Regarding T-cells, both groups maintained some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training and maximum exercis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iced in help T-lymphocyt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located in suppressive T-lymphocytes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sum, the higher work intensity was, the greater the change of immune variants was before and after training. Reducing stress and physiological imbalance by way of extreme exercise, it was known, can positively maintain immune function.

      •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위한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 연구

        김주혁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교회는 세계 선교 역사상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양적 성장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최근 한국교회는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청년층의 이탈 현상이 일반사회에서의 인구감소 속도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왜 한국교회의 어린이, 청소년, 그리고 청년층은 감소하였을까? 연구자는 주요한 원인으로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꼽고자 한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세 가지 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믿음의 계승은 무엇이고, 한국교회 안에서 믿음 계승의 현실은 어떠한가?”이다. 둘째, “믿음의 계승을 이루기 위해 교회와 가정은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가?”이다. 셋째,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교회사역의 전환과 실제는 어떤 것인가?”이다. Ⅱ장에서는 첫 번째 연구주제인 믿음의 계승이 무엇인지, 한국교회 안에서 믿음 계승의 현실이 어떠한지를 연구한다. 믿음의 계승은 이전 세대의 믿음을 다음 세대가 물려받아 이어가는 것이다. 성경은 하나님의 백성에게 믿음을 다음 세대에 계승하라고 요청한다. 한국교회가 믿음의 계승을 이루기 위해 사용했던 대표적인 양육의 틀은 어린이 주일학교이며, 어린이 주일학교가 주로 사용했던 방법은 연령별 교육구조이다. 어린이 주일학교와 연령별 교육구조는 한국교회 성장을 이끈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믿음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여러 가지 한계를 보여주었다. 현대사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4차산업혁명” 그리고 “전염병”은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이루기에 어려운 환경을 만든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신앙교육의 대안으로서 가정이 떠오르게 되었다. Ⅲ장에서는 두 번째 연구주제인 믿음의 계승을 이루기 위해 교회와 가정이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를 연구한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믿음의 계승을 위해 친히 세우신 기관으로 교회와 가정을 말한다. 교회와 가정이 믿음의 계승을 이루기 위한 공통원리로 신앙교육의 장, 공동체, 부모, 그리고 자녀에 관한 이해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공통원리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교회는 교육 목회로 가정을 지원하고, 가정은 작은 교회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며 서로 연계해야 한다. 교회와 가정의 연계 신앙교육은 믿음의 계승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한다. 한국교회에서 실행해 온 대표적인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 전략으로는 오렌지 사고, D6, 가정교회, 유바디 교육목회, 그리고 하나의 메시지가 있다. 전략마다 모양은 다르지만, 공통점은 부모를 자녀 신앙교육의 주체로 세우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세 번째 연구주제인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의 전환과 실제를 연구한다. 한국교회에는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위해서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을 하는 교회들이 있다. 연구자는 그중에 다운공동체교회와 해운대제일교회를 사례 비교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운공동체교회는 가정교회 체제를 중심으로 세대 통합이라는 비전을 추구하는 교회이다. 해운대제일교회는 오렌지 사고, D6, 유바디 교육목회를 두루 연구하여 교회의 상황에 따른 맞춤 전략을 세워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을 하는 교회이다. 두 교회는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위한다는 목적과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을 실천하는 원리는 같다. 하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전략은 다르다. 이에 두 교회의 현황, 비전, 전환과정 그리고 실제 사역의 모습을 비교 분석한다면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위해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사역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목회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실천적 목회 원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두 교회의 공통점, 차이점, 그리고 향후 과제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세대 간 믿음의 계승을 위해서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을 시도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부모를 세워 자녀를 가르치게 해야 하며, 개교회에 맞는 맞춤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교회와 가정이 연계한 신앙교육을 하는 교회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비교연구도 필요하다. 더불어, 다양한 가정 형태에 알맞은 신앙교육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The Korean church has experienced quantitative growth that is hard to find in the history of world missions. However, in recent years, in the Korean church, the number of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leaving is faster than the rate of population decline in the general society. Why did the number of children, adolescents, and youth people in the Korean church decrease? The researcher points out that the main cause is the failure of the succession of faith between generations. To study this, three topic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succession of faith, and what is the reality of the succession of faith in the Korean church?”Second, “How should the church and the family connect to achieve the succession of faith?”Third, “What is the transformation and reality of church ministry in which the church and family are connected?” In Chapter II, the first research topic, what succession of faith is, and the reality of succession of faith in the Korean church is studied. Succession of faith means that the next generation inherits the faith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 Bible commands God's people to pass on the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The representative nurturing framework used by the Korean church to achieve the succession of faith is the Children's Sunday School. The method mainly used by children's Sunday School is the educational structure by age. Children's Sunday School and the educational structure by age have positive aspects that have led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but they have several limit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uccession of faith. “Postmodernism”,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andemic”,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re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ucceed in faith between generations. However, with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the family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faith education. In Chapter III, the second research topic, studies how the church and family should be connected for the succession of faith. The Bible refers to the church and family as the institutions that God Himself established for the succession of faith. As a common principle for the church and family to achieve the succession of faith, the field of faith education, community, parents,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 can be cited. For this common principle to work effectively, the church should support the family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family should solidify the identity of the small church and connect it with each other.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family enables effective succession of faith. The representative church and family-connected faith education strategies implemented by the Korean church include Think Orange, D6, House Church, U-Body Education Ministry, and One Message. Each strategy is different in shape, but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o establish parents as the main agents of their children's faith education. In Chapter IV, the third research topic, the conversion and practice of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family, is studied. In the Korean church, there are churches that provide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the family in order to pass on the faith between generations. Among them, the researcher selected Down Community Church and Haeundae Jeil Church as the subjects of comparative case study. Down Community Church pursues a vision of generational integration centered on the house church system. Haeundae Jeil Church conducts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family by researching the Think Orange, D6, and U-Body Education Ministry throughout, establishing a strategy tailored to the church's situation. The two churches have the same purpose for the transmission of faith between generations and the principle of practicing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family. But the strategy is different. Therefore, if we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vision, conversion process, and actual ministry of the two churches, we can suggest practical pastoral principles that are helpful for pastors who want to switch to a ministry that connects church and family for the succession of faith between generations. will be.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the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future tasks of the two churches.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asserts that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ry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family for the succession of faith between generations. To do this, parents must be raised to teach their children, and strategies tailored to the local church must be developed. Various comparative studies are also needed for churches that provide faith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hurch and fami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ligious education method suitable for various family types.

      • 경찰관 기동대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김주혁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찰관 기동대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경제발전을 이루었다.경제발전을 이루는 동안 정 부의 저 출산 정책으로 출산율 감소와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로 인하여 향후 노동 력 부족 문제가 예상 되어,노동력 부족 문제에 따른 인적자원의 효율성을 위하여 병역제도의 재검토를 통한 복무기간의 단축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있었다.이러 한 정부의 방침에 따라 경찰청은 전·의경을 감축하게 되었고 2008년부터 전․의 경을 대체하여 경찰관으로 구성된 경찰관기동대가 창설되기 시작하였다. 경찰관 기동대는 기존의 전・의경부대가 주로 수행하던 집회・시위관리,경호경 비,혼잡경비,재난관리 등 경비경찰의 업무를 보다 전문적이고 책임감 있게 수행 할 수 있게 되었다.경찰관 기동대는 경비경찰의 업무 중 집회・시위관리를 주로 수행하며 집회・시위현장에서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위협하는 사람들에 엄정한 법집행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군사정권시절 부당한 공권력에 맞서 투쟁으로 민주화를 달성하여 집회・시위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불법행위가 용인되었고 지금까지도 집회・시위 현장에서 불법행위가 지속되었다.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사회는 더 이상의 불법행 위를 용인하지 않으며 불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 전・의경부대는 불법행위의 엄정한 대응에 한계가 있었지만 경찰관기동대 는 직업 경찰관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정한 법집행이 가능하다.또한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집회・시위도 다양한 방법도 다양해지고 있어 신속 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과거 전·의경부대와 달리 경찰관 기동대는 직업 경찰관 으로 구성되어 보다 전문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경찰관 기동대가 창설되면서 집회·시위 관리 및 경비경찰의 업무를 보다 효율적 으로 수행하고 민생치안업무 등 국민들에게 보다 낳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경찰관 기동대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법률적·제도적인 한계와 비효율적인 운영으로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경찰관 기동대의 주 임무인 집회·시위 관리 및 경찰관 기동대의 운영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다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경찰관 기동대를 운영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ng Control of riot police Ju–Hyeok Kim DepartmentofPoliceAdministration GraduateSchoolofPublicUniversity SoonchunhyangUniversity Asan,Korea (SupervisedbyProfessorHyun-BinJo) Korea has achieved economic advancement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realization ofeconomic advancement,itwas anticipated thatthe laborforceofthefuturewouldbeinadequateowingtoareductioninthebirth ratecausedby thegovernment-ledlow birth ratepolicy andspeedy aging of the population.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in accordancewiththeinadequatelaborforce,therehavebeenactivediscussions overa reduction ofthe military service period through a re-review ofthe militaryservicesystem.Inaccordancewithsuchagovernmentdirective,since 2008theNationalPoliceAgencyhasreduceditsauxiliarypoliceandbeganto establishariotpoliceforcecomposedofpolicemeninplaceofauxiliarypolice. Theriotpolicehavebeen abletoundertakethedutiesofdefensepolicemore professionally with increased responsibility such as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body guarding and defense, confusion defense, and disaster management,allofwhichhadbeenperformedmainlybytheexistingauxiliary police.The riot police conduct mainly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among thedutiesofdefensepolice,and they areabletocarry outstrictand fairexecutionofthelaw forthosewhothreatenpublicsafetyandpublicorder atthesiteofanyassembly/demonstration. Koreaobtained democratization through strugglesagainstunfairgovernmental authority during themilitary regime;thussomeextentofillegalaction atthe site ofan assembly/demonstration has been approved,and illegalaction has continued to date at the site of any assembly/demonstration; however, currentlyKoreansociety nolongerapprovesanyillegalactionsandrequiresa strictandfairreactiontosuchillegalaction. Therewasalimitation in thepastforauxiliary policein responding strictly andfairlytoanyillegalactionwhereasitispossibleforriotpolicetoexecute strictand fairlawssincethey arecomposed ofprofessionalpolicemen.Also, sincetoday’ssociety isquickly changing and assemblies/demonstrationshave becomevariedintermsofmethods,apromptresponseisrequired.Unlikethe auxiliary police of the past,the riot police are composed of professional policemen;thus ithas become possible to respond more professionally and quickly. Sincethefounding oftheriotpolice,ithasbecomepossibletoperform more efficiently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and theduties ofthe defense policeandtoofferbetterpublicsecurityservice,suchaspublicsecuritywork, tothepeople. Meanwhile,during theoperationoftheriotpolice,manyproblemshavearisen owing to legaland institutionallimitations and inefficient operations.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roblems in assembly/demonstration management, whichisthemaindutyofthecurrentriotpolice,aswellasintotheoperation oftheriotpolice,andtoproposedetailedimprovementsolutionsforthemore efficientandsystematicoperationoftheriotpol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