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공급사슬 파트너십이 구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공급사슬 파트너십이 구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원자력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프로젝트경영 학과 김종하 指 導 敎 授 유한주 그동안 원자력 사업은 공공기관으로 구매의 투명성을 강조하여 공급사와 독립적(independent)이고, 적대적(adversarial) 관계개념 또는 중소기업에 대한 협력과제 지원 등 선심성·일회성 정책을 유지 하였으나,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로 원전 수출 확대에 대비하고 변화되는 환경에서 진정한 상생은 경쟁력 있는 구매와 탄탄한 공급자망(網) 관리가 경쟁력 확보에 필수적이라는 전략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CM의 파트너십에 초점을 두고 SCM을 위한 공급사슬 파트너십의 관계모형을 사용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장기적인 거래를 통해 형성된 파트너십이 SCM 파트너십 강화요인인 몰입, 정보공유 및 신뢰를 통하여 강화되어 구매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역량은 SCM 파트너십 강화요인인 몰입을 통하여 구매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자력 제조업체와의 Win-Win을 추구할 수 있는 파트너십 형성 및 강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고품질의 기자재 적기조달과 공급자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공급망 관리의 적용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An Effects of SCM Partnership on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 Focused on the manufacturer in nuclear industry - KIM, JONG-HA Department of PM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partnership and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in nuclear industry. We wondered what factors make effects to SCM partnership, and so we made research model is based on an integrated model including a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formation factors and partnership strengthening factors in SCM partnership; and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a result of that relationship. 21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research the degree of impact of SCM Partnership on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In doing so, we conduct an extensive survey of domestic nuclear manufacture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M partnership and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For data analysis, SPSS for Window 18.0 was used. The study show that formation factors(core competence, long-term transaction) of SCM partnership affect partnership strengthening factors(trust, commitment, information sharing) and they impact firm's purchasing performance. Reviewing in result of research model and identification of each hypotheses, total 14 form 21 hypotheses set by this research were selected, 7 hypotheses were dropped, and 2 meaningful paths were added. Keyword;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partnership, purchasing performance, nuclear industry
김종하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최근 많은 학자들이 신체활동과 정신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참여가 정신건강,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D도시 실내 골프 연습장을 이용하는 골프 참여자 n=129 비참여자 n=167명을 대상으로 간의 정신진단 검사지(SCL-90-R), 생활만족 검사지(LIS-W)를 이용하여 정신건강과 생활만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골프운동은 1)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생활만족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지만 전체적인 점수를 볼 때 만족도는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선행 연구에 일치하여, 중등도 운동강도의 골프 운동은 긍정적 정신건강을 고양하고, 생활만족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a lot of researcher have been interested in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golf o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Subjects(participation=129, non-participation=167) respond to the SCL-90-R, the LIS-W used to assess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 that 1) Subjects participating golf positively effect on mental health compared to subjects non-participating golf. 2) Subjects participating golf enhance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subjects non-participating golf. This finding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y, participating moderate intensity golf enhance positive mental health, life satisfaction.
성장 중인 흰쥐 악관절의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calize the distribution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in the developing rat condylar region and to elucidate the associated function of bFGF in the condyle development. The condyl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of Sprague-Dawley rats (27g of weight) were used. The tissues were examined with electron microscope and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eveloping condylar region are divided 5 zones apparently: pfoliferative, maturation, hypertrophic, calcifying, and ossification zones. 2. The cells in the proliferative zone are condensed and have under-developed cell organells in the cytoplasm. This zone shows a strong immunoreactivity of bFGF. 3. The cells in the maturation zone are typical chondroblasts showing well-developed cell organelles and roud nucleus. The cartilaginous matrix does not show the immunoreactivity of bFGF, while the chondroblasts show the immunoreactivity. 4. The cells in the hypertrophic zone show hypertrophic change having the degenerated cell organelles and small nucleus. There are no immunoreactivity of bFGF in this zone except the nucleus and endoplasnuc region showing mild immunoreactivity. 5. The cells in the calcifying zone show hypertrophic change and cell organelles are disappeared. The cells are surrounded by the calcified cartilaginous matrix. There are no immunoreacbvity of bFGF in this zone except the endoplasmic region showing mild immunoreactivity. 6. In the zone of bone formation, chondroblasts are disappeared. Newly differentiated osteoblasts secreting osteoid around the calcified cartilaginous matrix. The bone marrow shows the immunoreactivity of bFGF, while the bone matrix does not show the immunoreactivity of bFGF
지하구조물의 상부 슬래브에 적재되는 시공하중에 관한 연구
김종하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As the building has become superhigh-rise, equipment has gradually become large-scale to lift the construction equipment up to the higher floors. In reality, the occurrence of the crack due to the lowered internal force has a bad impact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due to this heavy equipment on the structure.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heavy hydraulic crane brought to lift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fter the removal of the tower crane and the hoist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used on the current construction fiel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untermeasure was obtained: The load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hydraulic crane and the like is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which is remov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works. Accordingly, the design of the member would not need to differ because of this load. Therefore, this temporary concentrated load should be treated through the construction plan.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according to different load condi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ispersion effect of the load was large in case the jack support wa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umber and location of economical jack support install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pertinent reg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s pushed by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the hydraulic crane.
미디어기업의 국제다각화 행위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자원요인에 관한 연구 : 162개 글로벌 미디어 기업을 중심으로
김종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Global media companies are leveraging both market leadership and economic scale premium, embedded in their media products, to expand coverage from oversea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the realm of capital investment and strategic alliances. In the premise of the global media market, growing competition between global and domestic media companies is becoming prevail, thus will necessitate in-depth, and structured understanding on individual global media company and its respective contents in further details. Such understandings will serve domestic media companies’ to be better prepared for global business expansion. This study addresses global diversification and its business results of 162 global media companies based on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resources (deployed for global diversifications) and degree of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Firstly,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related resources, owned by global media companies, to assess level of global diversifications, and to conduct analysis to select core resources which have high relevancy toward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based on Resource-based theory. Also, correlation analysis on domestic revenue, ROA, and operating income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degree of global diversifications, and their respective performances, represented by level of geographic expansion, an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Based on aforementioned analyses, the study validate integrated correlations among global media companies’ resources,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and respective performanc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ore resource variables, with high accountability to global diversifications? Also, do language, culture, and the size of media market affect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mpanies’ resources and the degree of global diversifications? [Research Questions 2] How do global media companies could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groups, and what ar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mpanies’ resources and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 [Research Questions 3] What are strategic drivers affecting business results for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 [Research Questions 4] How do resource variables positively correlate with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 strategy, which affects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of diversification, by channel, and by magnitude of impact? To review on the key findings of the above study subjects, financial resources, represented as, shareholders’equity ratio, organization resources, namely, the duration of overseas business operations, and the total years of corporate operation, and the amount of investment on product representing product resource variables are identified as core drivers affecting global diversifications. This could be translated as the companies with higher shareholders’ equity ratio could take investment with higher risk profile, with longer term commitment on investment risks, than those of domestic ones. Also, the study proves that the duration of operation, experience based understanding of overseas business, coupled with higher level of investment on media products are positively correlate with the degree of global diversifications. On the subject of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based on the corporate resource perspectives, selected number of the US media companies demonstrated aggressive global diversifications with possessing lion’s share, other majority of the US based media companies represent lackluster engagement in global diversifications. On the other hand, European media companies are, in general, more active in global diversifications, predominantly within European bloc, reflecting closer cultural proximity among countries within the bloc. Second study subj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media companies, based on corporate resources affecting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diversification strategy, resulted in four groups ; 1) ‘Domestic-centric group’, with meager overseas diversification records, operating in TV, cable, and radio businesses, 2) ‘Global diversification seeker’ group with relatively lower proportion of overseas revenue, and approximately up to 10 years of overseas operations, 3) ‘Global growth companies’with over 10 years of overseas experience, with sizable overseas revenue, yet not comparable with those of domestic ones 4) ‘Integrated global media group’, with profound overseas experience, and established global presence in respective markets, equipped with larger proportion of product investment with extensive global diversifications. Out of four representative groups, Integrated global media group, could be further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 by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resources, and behavioral aspects of global diversifications, namely, 4-1) ‘Integrated global media group with Direct global diversification' which have corporate owned characters, contents, and systems which garner higher proportion of domestic business, and strong head office centric global diversification. 4-2) ‘Integrated global media group with ramified global diversification', which have wider span of global diversifications, across various business means, namely, through direct investment, M&A, capital investment. Learned from this sub-classified segmentation analysis, financial stability, represented as shareholders’equity ratio, organizational stability and know-how, proactive investment in products are all contributed to proactive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an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integrated competencies on finance, organization, and products are validated as prerequisites. On the third study subject, namely, on the subject of corporate performance affected by global diversification strategy,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global diversification versus revenue, and span of global diversification versus revenue and ROA are all analyz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all not be translated int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global diversific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stead, the results should be translated the other way round, namely, in order to garner successful global diversification, a company shall be well equipped with multiple resource readiness, namely, a solid equity base, ample overseas business experience, organizational experience, and know-how, and investment on products. Lastly, relationship paths, and dynamics were analyzed to assess cause and effect between resource variables and the implementation and results of global diversification to derive meaningful drivers affecting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 strategy. Especially, years of overseas operation, and product investment are positively affecting global diversifications, and the path for global diversification begins from geographic expansion to business diversification to reap positive performance contribution to companies. The degree of product investment has higher accountability to the implementation of global diversifications, and more explicit accountability has been identified between business diversifications, achieved upon completion of the geographic diversification, to revenue growth, than geographic diversification itself. More global media companies are vying to seize market leadership in domestic market, resulted in aggravating competition. In order to compete more effectively against global competitors in domestic market, one should be equipped with thorough understanding, and analyses on the global competitors’ competitive edges. Especially, a structured and in-depth understanding, and ongoing study on global competitors’ core competencies, and how they deploy strategy to make the most of core resources to garner anticipated results will add incremental value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domestic media companies vying for global competition. I hope this study could offer meaningful contributions to domestic media companies which are either in preparation of global competition, or in the midst of competition with global companies through their of development of global diversification strategy, and policy.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은 현재 향유하고 있는 시장지배력 및 미디어 상품이 지닌 규모의 경제특성을 바탕으로, 상품단위의 해외진출에서 자본투자와 전략적 제휴와 같은 기업단위의 해외진출로 국제다각화의 영역을 확장해 나아가고 있다. 미디어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세계 미디어 시장에서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 자국(Local)기업 간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에서 행위하는 미디어기업들과 콘텐츠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는 국내 미디어 사업자들의 해외진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세계 162개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자원과 국제다각화수행 및 성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먼저, 자원준거이론에 근거하여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이 보유한 기업자원을 검토하여, 미디어 기업들의 국제다각화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주요 자원변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다각화 수행과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국제다각화를 지리적 확장 범위와 수행정도로 정의하여 미디어 기업의 매출과 ROA, 영업이익률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위의 분석들을 토대로 글로벌 미디어기업의 자원과 국제다각화 수행 및 성과의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자원 중 국제 다각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언어, 문화 및 미디어시장규모 변인으로 인한 글로벌 미디어 기업자원과 국제다각화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미디어 기업들의 자원과 국제다각화수행 관계 속에서 미디어 기업들은 어떻게 유형화 되며, 분류된 집단에 따른 특성과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의 국제다각화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미디어 기업의 자원변인들이 국제다각화의 수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경로와 효과는 어떠한가? 위의 연구과제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국제 다각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재무자원으로서 미디어 기업의 자기자본비율, 조직자원으로서 해외사업연한 및 기업연한, 상품자원변인인 상품투자로 분석되었다. 이는 해외시장 진출이 국내사업에 비해 더 많은 위험요인을 내포하고 있음으로,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기업이 해외사업에 대한 의사결정 및 장기적 투자를 수행할 수 있음에 기인한다. 또한 조직의 연한과 해외사업에 대한 경험을 통해 노하우를 축적하고, 미디어 상품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는 기업이 국제다각화 수행을 활발히 영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업자원에 따른 미디어 기업의 국제다각화 수행에 있어, 미국의 미디어 기업들은 소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해외시장을 독점적으로 점유하는데 비해 다수의 미국 기업들은 국제다각화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럽권역의 미디어 기업들은 국제다각화에 적극적이며 동일 유럽권역으로 주로 진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유럽국가간 문화의 근접성으로 인한 국제다각화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과제로서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의 국제다각화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업자원에 따라 미디어 기업들을 분류한 결과, 1) TV, 케이블 및 라디오 분야의 사업을 중심으로 해외진출이 거의 없이 국내시장을 위주로 운영되는 ‘내수시장 주력기업 그룹’, 2) 해외사업연한이 10년 정도이고 국제다각화를 수행하고 있으나, 국내사업규모 대비 해외매출이 낮은 ‘해외사업 모색기업 그룹’, 3) 10년 이상의 해외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사업모색기업 대비 많은 상품투자를 하지만, 아직 복합 글로벌 미디어기업 그룹에는 진입하지 못한 ‘글로벌 성장기업’, 4) 오랜 역사와 해외경험 및 높은 상품 투자를 바탕으로 국제다각화를 진행하고 있는 ‘복합 글로벌 미디어기업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복합 글로벌 미디어기업 그룹’은 개별 기업의 기업자원 특성 및 국제다각화 행태에 따라, 4-1) 캐릭터 및 자사보유 콘텐츠, 시스템을 통해 국내 사업의 비중이 높으며, 본사의 강력한 주도 하에 국제다각화를 수행하는 ‘직접 해외진출 복합 미디어기업 그룹’과 4-2) 직접진출, M&A, 자본 합자 등 다양한 형태로 자사가 운영하는 사업분야 전반에 걸친 국제다각화를 수행하는, ‘다각적 해외진출 복합 미디어기업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통해 자본의 안정성, 조직의 안정성과 노하우, 상품에 대한 적극적 투자는 미디어 기업의 국제다각화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국제다각화 수행을 위해서는 재무, 조직, 상품 전 분야에 대한 기업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연구과제인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의 국제다각화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국제다각화 범위는 매출액 및 ROA와, 국제다각화 정도는 매출액과 정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분석결과는 국제다각화를 많이 하면 기업성과가 좋아진다는 선형 논리가 아니라, 앞서 검토된 <연구과제 1>과 <연구과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다각화의 성과는 탄탄한 자기자본, 해외사업에 대한 경험, 기업 조직의 경험과 노하우, 상품에 대한 투자 등이 동시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성과임이 복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국제다각화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기업들의 자원변인들이 국제다각화의 수행 및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 관찰변인 간 경로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미디어기업의 해외사업연한과 상품투자는 국제다각화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국제다각화는 미디어 기업의 지리적 확장에 이어 사업 영역의 확장 단계를 거쳐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상품투자가 국제다각화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국제다각화수행에 있어 지리적 확장 보다는, 지리적 확장 단계를 거쳐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국제다각화 정도가 기업성과인 매출에 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해외 미디어 사업자들이 증가하며, 국내 미디어 시장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글로벌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자원에 대한 분석, 이 자원을 어떤 전략을 통해 어떻게 수행하여 이의 성과가 어떻게 충족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국내 미디어 기업들의 경쟁강화를 위한 주요한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서 타국의 미디어 기업들과 경쟁하는, 또한 이를 계획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전략 수립과 정책결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교육적 개념으로서의 성찰과 그것의 실천적 의미에 대한 탐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reflection’ as a methodological principle for fundamentally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utlook focused only on ‘what’ and ‘how’, and seek for the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introspective thinking and attitude in the classroom class. The educational worry in our classroom has been focused on ‘what to learn’ and ‘how to teach’. The researcher judged this phenomenon alienated the students and teachers to make the school class unintellectual, and focused on the ‘reflection’ from an educational concept as a plan to overcome it. The reflection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education theory by Dewey and Freire as the philosophical base for conceptualizing the reflec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education. Dewey argued the experience must be reorganized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for the human’s experience to add up to the growth. The reflective thinking means a series of thinking process that can draw the more valid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ment and verification on various hypotheses; this thinking originates from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effort for converting the indefinite situation into the definite situation. Freire is a pedagogist who argued the education should aim for the ‘introspective practice’ and the ‘mutual communication’. He adduced the ‘problem-posing education’ a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evil of the banking education; he defined the teacher as an existence who explored with the students. He emphasized students should also deviate from the passive listener’s position and become the joint critical explorer through the conversation with th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o put together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reflection’ in the education theory by Dewey and Freire, the reflection can be defined as the virtue required for teachers and students as the critical doubt about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overall process, and the attitude of exploration, and as what should be maintained consistently in all processes of class. The implications for smoothly realizing the ‘reflection’ as this educational principle in the classroom class were discussed in the ‘curriculum’ aspect and the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irst, the necessity of slimming the national curriculum is discussed in the ‘curriculum’ aspect because it is judged as a task to be executed preferentially in order to create the condition for doubting and exploring critically enough during class. In other words, the appropriateness of reducing the absolute amount of the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 that becomes the criterion of the class and evaluation, and of simplifying and comprehending the components as well is examined from the introspective perspective. Subsequently, the case of the introspective class design is explored focusing on the model called the problem based learning(PBL) in the aspec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BL amo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s judged to be proper in induc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reflection in the class because PBL induces students to look back on the learning process and overall cognitive process with their peers and teacher. The reflection no longer only means the sedate psychological attitude or tendency. Recently, it is mentioned as one of the important future core competencies that should be cultivated through the education. It is hop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reflection is discussed educationally and the school education deviates from the aspect of unintellectual class delivering and accepting the fragmentary knowledge uncritically and becomes the intellectual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엇’과 ‘어떻게’에만 매몰된 교수․학습관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원리로서 ‘성찰’의 개념을 살펴보고, 성찰적 사고와 태도를 교실 수업에서 확산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리 교실에서의 교육적 고민은 주로 ‘무엇을 배울 것인가’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집중되어 왔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상이 학생과 교사를 소외시켜 학교 수업을 비(非) 지성적인 양태로 귀결시키는 기저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적 개념으로서의 ‘성찰’에 주목하게 되었다. 교실 수업의 맥락에서 성찰을 개념화하기 위한 철학적 기반으로서 듀이와 프레이리의 교육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탐색하였다. 듀이는 인간의 경험이 성장으로 귀결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경험의 재조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반성적 사고는 여러 가설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실험․검증의 과정을 통해 보다 타당하고 믿을 수 있는 지식을 도출해낼 수 있는 일련의 사고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사고는 불확정적 상황을 확정적 상황으로 전환하기 위한 심리적 노력의 과정에서 유발된다. 프레이리는 교육이 ‘성찰적 실천’과 ‘상호간 소통’의 형태를 지향해야 함을 역설한 교육학자이다. 그는 은행 저축식 교육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 ‘문제 제기식 교육’을 제시하고 있는데, 교사의 역할을 학생들과 함께 탐구하는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학생들 또한 수동적인 경청자의 입장에서 탈피하여 교사, 동료 학생들과 대화를 통한 공동의 탐구자가 될 것을 주문하고 있다. 듀이와 프레이리의 교육 이론에서 ‘성찰’에 대하여 탐색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교실 수업의 맥락에서 성찰의 의미는 ‘교수․학습 내용과 과정 전반에 대한 비판적 의심, 탐구의 태도로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요구되는 미덕이자 수업의 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교육 원리로서의 ‘성찰’을 교실 수업에서 원활히 구현하기 위한 시사점을 ‘교육과정’의 측면과 ‘교수․학습방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 대강화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는 수업에서 충분한 비판적 의심과 탐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수업과 평가의 준거가 되는 국가수준 성취기준의 절대적인 양을 감축해야 하고, 구성하는 내용요소 또한 간단화, 포괄화하여야 하는 당위성에 대하여 성찰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측면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Problem Based Learning, 이하 PBL)’ 모형을 중심으로 성찰적 수업 설계 사례를 탐색한다. 이는 여러 가지 교수․학습방법 가운데서도 특히 PBL이 동료 학생, 교사와 함께 학습 과정과 자신의 인지 과정 전반을 반성적으로 돌아보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의 성찰을 유도하고 수업에서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성찰은 더 이상 단순히 진중한 심리적 태도나 경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최근 들어서는 교육을 통해 함양해야 할 중요한 미래 핵심 역량 가운데 하나로 열거되기도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성찰’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조명되어 학교 교육이 단편적 지식을 무비판적으로 전달하고 수용하는 비(非) 지성적 수업의 양태에서 탈피하여, 지성적 수업의 모습으로 전환되는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계통인 poly(butylene succinate) [PBS]는 생분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S와 여러 가지 물질과 공중합시켜 최적의 물성을 갖춘 공중합체를 제조하고자 rigid한 cyclohexane 구조를 PBS 주쇄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하여 도입하였다. 또한 합성된 다양한 공중합체의 여러 가지 물성을 조사하였다. Cyclohexanedimethanol [CHDM]과 adipic acid 및 succinic acid를 사용하여 일단계 에스테르 반응과 이단계로 축합중합을 사용하여poly(cyclohexanedimethylene succinate) [PCDS], poly(cyclohexane dimethylene adipate) [PCDA]와 poly(cyclohexanedimethylene oxalate) [PCDO]를 합성하였다. 또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으로 PBCA 공중합체와 PBCS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일단계 에스테르 반응과 이단계 축중합으로 PCAS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PCDA의 diol/diacid의 최적 몰비는 1.05이였고, 중합 온도는 250℃보다 230℃가 더 높은 분자량을 중합체를 얻었다. PCDS의 합성 최적 몰비는 1.0이였으며, 중합온도는 230℃가 적합하였다. PBS/PCDA[PBCA] 공중합체에서 PBCA82 공중합체의 고유점도는 1.55로 증가하였으나, PBCA55인 경우는 PBS와 PCDA보다 점도가 낮았다. PCDS의 융점은 113℃였고, PCDA의 융점은 96.6℃로 낮았다. 10% 중량감소 온도는 PCDS는 411℃, PCDA가 386℃로 PBS의 344℃보다 우수하였다. PBS의 인장강도는 41MPa이고 신율은 270%였으나 rigid한 cyclohexane 구조가 도입된 PBCA91는 인장강도가 47MPa로 향상되었다. PBCA 공중합체의 고온 열안정 실험에서, PCDA의 함량이 증가하면 열안정성이 향상되었다. PBS/PCDS[PBCS] 공중합체의 경우또한 PBCS37 공중합체의 경우 약 70℃이상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 온도에서 우수한 열안정성을 보여 주었다. PBCS 공중합체의 인장강도는 낮은 값을 가졌지만, PBCS55 공중합체의 신율은 1200%로 높게 개선되었다. PBCS 공중합체의 용융온도는 대체로 110℃ 부근에서 관찰되었다. Poly(cyclohexanedimethylene adipate-co-succinate) [PCAS] 공중합체에서, PCAS55의 용융온도가 56.8℃로 가장 낮은 값이었다. PCAS 공중합체의 신율은 PCDS의 함량이 증가함에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CAS19의 경우 신율은 PCDS의 함량이 증가함에따라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시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점도의 감소 변화를 측정하였다. PBS는 484시간 후에 점도가 32% 감소하였으나 PCDA는 484시간 후에 60%감소하였다. PBCA 공중합체는 PCDA가 첨가될수록 광분해 속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PBCA91는 PCDA보다 광분해가 잘되었다.
김종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국제적으로 다양한 해양 자원 개발 및 이용에 대해 중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데이터 수집을 위한 장비와 이를 전송하는 장비 그리고 보호 장비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해양 자원이나 환경 등의 정보 수집을 위해서는 관측 및 통신을 위한 네트워트가 필요하며 이런 네트워크 시스템의 집합체를 기지국이라 부른다. 수중기지국은 환경적 요인의과 인위적 요인에 의해 손상 및 파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해저 장비의 파괴는 해양자원 개발의 손실 및 해양 오염, 경제적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조물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서 수중기지국 및 이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에 대한 자료가 미비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수중 기지국, 노드, 보호 구조물에 대해 조사하고 기지국을 구축하는데 있어 근간이 되는 센서장비를 보호하는 보호구조물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한국 해저에 보다 적합한 보호구조물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Damage to steam turbine components caused by solid particle erosion can degrade plant efficiency resulting in an increase in operating costs. One way to improve the erosion resistance is to apply erosion resistant boride coating to the susceptible turbine components. It is also important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boride coating before applying it to real parts of steam turbines. In this study, a high temperature particle erosion tester was made to comparatively evaluate the boride coatings in a simulated environment. From erosion tests at various conditions, boride coating was turned out to have superior erosion resistance to others such as the Cr/Mo steel, nitride and 75Cr2C3+25NiCr. On the other hand, the uncoated Cr/Mo steel showed the most poor erosion resistance among 4 specimens. For uncoated Cr/Mo specimens, maximum erosion was experienced at impingement angles of 30 to 60 degrees. For boride coating, however, the situation was altered so that minimum erosion was observed for low impeachment angles. From the investigation of eroded surfaces,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uncoated Cr/Mo steel was mainly eroded by a combined extrusion-forging and microcutting mechanism while the main mechanism of particle erosion for boride coating was cracking and chipping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