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우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과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들이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 고취와 이직의도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 자아효능감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하여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 고취와 이직감소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전남 G市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33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9월 1일부터 2015년 10월 28일까지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어린이집에 방문하여 직접설문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배부된 설문지 250부 중에서 무응답 및 부실한 설문지 17부를 제외한 23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전체 점수의 평균은 4점 척도에서 3.07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에서는 개별적 배려가 3.08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냈고, 분발고취 3.07, 카리스마 3.06, 지적자극 3.05 순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 전체 점수의 평균은 4점 척도에서 2.66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효능감 2.76로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냈고, 과제난이도 선호 2.65, 자신감 2.57 순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는 4점 척도에서 2.29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이직요소는 2.56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어린이집과 같은 소규모 기관 원장들의 변혁적 리더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은 유아반 교사보다 영아반 교사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원불교 보다 천주교의 경우가 이직의도가 높았고, 경력이 많을수록, 가정어린이집 교사일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매우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혁적 리더십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이 보육교사에 대한 보상 부분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어린이집 보육교사 직무스트레스의 해소와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향상으로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 고취 및 이직의도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첫째, 중앙정부 차원에서 어린이집 원장의 맞춤형 리더십교육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교육 및 활동 지원과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과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특성화된 교육과 자기개발 기회를 제공하고 시설간의 우수한 변혁적 리더십 훈련 및 교육, 프로그램의 정보교류의 활성화로 변혁적 리더십을 강화시켜야할 것이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효능감 고취와 이직의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정적인 보수체계를 제도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 어린이집, 변혁적 리더십, 자아효능감, 이직의도

      • 도시화에 따른 강수 사상 변화에 대한 연구

        김종우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에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집중이 심해지는 도시화 현상을 매우 짧은 기간 동안에 겪게 되었다. 도시화는 인구의 도시집중과 산업의 발전은 도시하천의 홍수피해를 격증 시키며, 도시화 현상의 부산물로 인해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도시화로 인하여 야기되는 수문학적 문제로는 유출의 변화, 자연 배수, 지하수, 수질, 물 수요의 증가와 공급폐기물의 처리 등의 환경 변화 등이 있다. 도시화가 강수의 형성과 발달 및 발생과정에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도시화로 인해 발생하는 열섬(Urban Heat Island) 현상으로 인하여 대기의 불안정을 유발시키고 이로 인해 대기의 상승작용이 활발하게 발달된다. 두 번째로 도시 지역은 포장면적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침투량의 감소로 인해 증발현상이 도시화 이전상태와는 다른 변이를 유발시켜 도시지역의 대기가 내포하는 수분보유수량의 변화를 야기시킨다. 세 번째로 산업발달로 인한 공장 및 인구 집중에 의한 화석연료의 사용과 배기가스의 증가는 강수의 생성과 발달을 돕는 응결핵의 배출을 증대시켜 강수의 발생빈도를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시 내에 발달된 고층빌딩은 기류의 장애 역할을 하며 정체전선을 지체시킨다. 위와 같은 주요한 4가지 원인에 의해 도시화가 강수의 빈도와 크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농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강우사상의 변화에 대해서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군집분석을 통해 우리나라는 4개 강수지역으로 구분하여 기초통계량을 산정하고, 경향성 변동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표 지점을 선정하여 연강수사상과 계절별 강수사상 이외에도 시간강수량도 분석하여 도시화가 강수사상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도시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수문학적인 변화는 강수사상에 영향을 끼치며, 이로 인해 도시유역의 강수발생특성은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post-Korean War period, South Korea peninsula has experienced urbanization, the process in which the population is highly concentrated in urban areas,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flood damages caused by rivers in the city. In addition, urbanization has resulted in various by-products includ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ualties and property loss. Hydrolog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consist of changes in outflow, draining, underground water, water quality, increase in water demand, disposal of waste mater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etc. Possibilities of urbanization having influence on rainfall formation, development, and occurrence are listed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urbanization, leads to instability of the atmosphere. This condition further causes the atmosphere to ascend. Secondly, metallic roads and paved surfaces are common in urban areas. This causes a decrease in the level of infiltration, which induces alterations compared to pre-urbanization conditions. As a result, this state changes the quantity of moisture retention of the atmosphere. Thirdly,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 and exhaust fumes elevates the exhaustion of the condensation nucleus. This state contributes to rainfall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thus can increase rainfall frequency. Lastly, high rise buildings commonly seen in urban areas act as a barrier to the atmosphere and delay the weather front. The four major factors stated above point out the high possibilities of urbanization having effect on the frequency and amount of rainfall. Therefore, this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urban and non-urban areas in terms of the changes ‘urbanization’ may cause to rainfall. The river regions in South Korea wer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area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Methods of analysis include basic statistical assessment and trend tendency analysis. Moreover, representative regions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not only yearly rainfall and seasonal rainfall but also time-rainfall, in terms of urbanization having effect on rainfall. As a result, hydrological changes caused by urbanization have effect on rainfall.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rainfall formation in urban areas is subject to alterations. Keyword : urbanization, precipitation, change analysis, trend analysis, cluster analysis

      • Studies on enantioselective total synthesis of ascospiroketal B

        김종우 서강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cospiroketal B was a kind of secondary metabolites isolated from the Ascochyta slicorniae, a marine-derived fungus. The relative structure of ascospiroketal B was elucidated by G. M. Kőnig in 2007 by use of various methods except the relative configurations at C2’, C3’ and C15. Key structural features include a tricyclic spiro keleton and 8 stereogenic centers containg one quaternary carbon center at C2 position. Although the synthesis of spiroketal-gamma-butyrolactone as a core without a qurternary stereocenter at C2 was presented by several groups so far recently, total synthesis of ascospriketal B has not been reported. The first synthetic route was presented for tricyclic spiroketal-gamma-butyrolactone core with a quaternary sterocenter at C2 of Ascospiroketal B. Ascospiroketal B는 해양에서 유래된 곰팡이인 Ascochyta slicorniae에서 분리된 2차 대사체이다. Ascospiroketal B의 상대적인 구조는 C2’, C3’, C15 위치를 제외하고, 2007년 G. M. Kőnig 연구실에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Ascospiroketal B의 구조적 특징으로 3개의 연결된 고리를 갖고 있으며, C2 위치의 4차 탄소를 포함한 8개의 입체화학을 갖고 있다. C2 위치의 4차 탄소의 입체 화학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핵심 구조인 spiroketal-gamma-butyrolactone의 합성은 최근에 몇몇 그룹에서 발표하였음에도 ascospiroketal B의 전합성은 아직 보고 되지 않았다. Ascospitoketal B의 4차 탄소의 입체화학을 포함한 핵심 구조인 spiroketal-gamma-butyrolactone를 최초로 합성을 하였다

      • Model-based reinforcement learning for process control and optimization

        김종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는 공정 최적화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문제의 수치적 해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순방향으로 작동하는 직접법 (direct optimization) 방법이지만, 몇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최적해는 open-loop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불확정성이 존재할때 방법론의 수치적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동적 계획법 (dynamic programming) 은 이러한 한계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그동안 공정 최적화에 적극적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이유는 동적 계획법의 결과로 얻어진 편미분 방정식 문제가 유한차원 벡터공간이 아닌 무한차원의 함수공간에서 다루어지기 때문이다. 소위 차원의 저주라고 불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서, 샘플을 이용한 근사적 해법에 초점을 둔 강화학습 방법론이 연구되어 왔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강화학습 방법론 중, 공정 최적화에 적합한 모델 기반 강화학습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공정 최적화의 대표적인 세가지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인 스케줄링, 상위단계 최적화, 하위단계 제어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문제들은 각각 부분관측 마르코프 결정 과정 (partially observable Markov decision process), 제어-아핀 상태공간 모델 (control-affine state space model), 일반적 상태공간 모델 (general state space model)로 모델링된다. 또한 각 수치적 모델들을 해결하기 위해 point based value iteration (PBVI), globalized dual heuristic programming (GDHP), and differential dynamic programming (DDP)로 불리는 방법들을 도입하였다. 이 세가지 문제와 방법론에서 제시된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번째로, 스케줄링 문제에서 closed-loop 피드백 형태의 해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직접법에서 얻을 수 없었던 형태로서, 강화학습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측면이라 생각할 수 있다. 두번째로 고려한 하위단계 제어 문제에서, 동적 계획법의 무한차원 함수공간 최적화 문제를 함수 근사 방법을 통해 유한차원 벡터공간 최적화 문제로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특히,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함수 근사를 하였고, 이때 발생하는 여러가지 장점과 수렴 해석 결과를 본 학위논문에 실었다. 마지막 문제는 상위 단계 동적 최적화 문제이다. 동적 최적화 문제에서 발생하는 제약 조건하에서 강화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원-쌍대 미분동적 계획법 (primal-dual DDP) 방법론을 새로 제안하였다. 앞서 설명한 세가지 문제에 적용된 방법론을 검증하고, 동적 계획법이 직접법에 비견될 수 있는 방법론이라는 주장을 실증하기 위해 여러가지 공정 예제를 실었다. Sequential decision making problem is a crucial technology for plant-wide process optimization. While the dominant numerical method is the forward-in-time direct optimization, it is limited to the open-loop solution and has difficulty in considering the uncertainty. Dynamic programming method complements the limitations, nonetheless associated functional optimization suffers from the curse-of-dimensionality. The sample-based approach for approximating the dynamic programming, referred to as reinforcement learning (RL) can resolve the issue and investigated throughout this thesis. The method that accounts for the system model explicitly is in particular interest. The model-based RL is exploited to solve the three representative sequential decision making problems; scheduling, supervisory optimization, and regulatory control. The problems are formulated with partially observable Markov decision process, control-affine state space model, and general state space model, and associated model-based RL algorithms are point based value iteration (PBVI), globalized dual heuristic programming (GDHP), and differential dynamic programming (DDP),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for each problem can be written as follows: First, for the scheduling problem, we developed the closed-loop feedback scheme which highlights the strength compared to the direct optimization method. In the second case, the regulatory control problem is tackled by the function approximation method which relaxes the functional optimization to the finite dimensional vector space optimization. Deep neural networks (DNNs) is utilized as the approximator, and the advantages as well as the convergence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thesis. Finally, for the supervisory optimization problem, we developed the novel constraint RL framework that uses the primal-dual DDP method. Various illustrative examples are demonstrated to validate the developed model-based RL algorithms and to support the thesis statement on which the dynamic programming method can be considered as a complementary method for direct optimization method.

      • 개수로 만곡부에서의 흐름특성 분석

        김종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심이 얕은 만곡수로와 수심이 깊은 만곡수로에서의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심이 얕은 만곡수로에서는 수치실험을, 수심이 깊은 만곡수로에서는 수리실험을 하였다. 중심각 180˚인 수심이 얕은 만곡수로에서 하폭을 고정시키고, 매 45˚ 마다 곡률반경 Rc를 5% 씩 증가, 감소시키면서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속방정식과 운동방정식으로 구성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곡률반경의 연속적인 변화에 따른 흐름방향유속분포, 횡방향유속분포, 편의각 및 질량이동유속 등의 흐름특성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폭 60cm, 높이 30cm 곡률반경이 210cm인 180˚ 만곡수로를 만들어서 수심이 깊은 고정상 만곡수로에서 수리실험을 하였다. 실험수로에서 B/H를 3.5, 4.0, 5.0로 변화시키면서 0˚, 45˚, 90˚, 135˚, 180˚ 마다 종방향유속, 횡방향유속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흐름방향유속의 횡방향경사는 Rc가 감소할 때 증가한다. 2) 횡방향유속은 Rc의 감소 영향으로 그 크기가 증가하며, 질량이동속도는 Rc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편의각은 Rc를 감소시켰을 때 점점 증가하며 하류로 갈수록 더욱 증가한다. 4) 고정상 깊은 만곡수로에서 종방향유속과 횡방향유속은 B/H가 감소할 수록 커지며 하류로 내려 갈수록 외측제방부근에서 최대유속를 형성한다. 5) 수심이 깊은 만곡부와 수심이 얕은 만곡부에서 흐름방향최대유속은 입구 단면에서는 내측에서 발생하고 하류로 갈수록 외측제방에서 발생한다.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 and hydraulic model were used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shallow channel bends and deep channel bends, respectively. The flow characteristics for the successive variation of radius of curvature were analyzed in shallow channel bends of which the angle was 180 degree, and constant width. Three cases were investigated; First case is that Rc is increased by 5 percent at each 45 in degree, second case is that Re is decreased by 5 percent at each 45 in degree, last case is that Rc is constant(Rc=13.11m). The flow charateristics for successive variation of radius of curvature in open channel bends are studied with a simplified numerical model composed of the mass and momentum equation. The terms analyzed in this study are secondary flow velocity, streamwise velocity, deviation angle and mass-shift velocity. Hydraulic model composed of a 180 in degree bend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210 cm, 60cm width, and 30cm height, was used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in deep channel bends with fixed bed. Streamwise velocity and transverse velocity were measured in the each 45 sections varying the ratio of B/H (3.5, 4.0, 5.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ransverse slope of streamwise velocity was increased when Rc was decreased by 5 percent at each segment in shallow channel bends. 2. Secondary flow velocity was increased when Rc was decreased by 5 percent at each segment, while mass-shift velocity is not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Rc 3. Deviation angle was increased when Rc was decreased by 5 percent at each segment and it was increased at downstream. 4. In deep channel bends with fixed bed, streamwise velocity and transverse velocity increased when B/H decreased, and the maximum streamwise velocity was formed at the out side banks when the flow gradually moved to downstream. 5. Maximum streamwise velocity was observed inside bank at inlet bend part, and outside bank at outlet, not only the shallow channel bend but also the deep channel bends with fixed bed.

      • 산화막 연마공정에서 초기단차제거 특성을 가진 세리아 슬러리

        김종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work, we focus on the influence of ceria-based slurries’ concentration in planarization capability and the application of the low concentration to alternate current ceria and silica slurry. When the concentration of abrasive goes down, the polishing ability decreases dramatically. The polishing with small amount of ceria abrasive have some serious problems such as low removal rate, increase defect and scratch, low selectivity, the poor profile etc. This suggests that the CMP performances with the low concentration slurries could be manipulated by controlling of surrounding systems such as dispersion, additive and mixing system. The condition which were slurry of 0.5wt% with dual surfactant and additive which was 0.2wt%, pH6.8, its polymer of 250K molecular weight has been shown the best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