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性別.經歷別에 따른 敎師들의 職務 葛藤 要因 硏究 / 金宗植

        김종식 東洋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이 학교 내에서 야기되고 있는 교사들의 지각된 갈등요인을 성·별, 교직 경력별로 규명해 보고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정도를 알아본다. 2. 교사들이 느끼는 갈등 상황을 성별 및 교육 경력별로 교사의 배경 변인에 다른 차이를 밝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 조사를 통해 갈등의 개념과 갈등의 모형, 갈등의 요인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다. 2.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다음의 내용들을 성별 및 교육 경력별로 비교 분석한다. 1) 교수활동 영역 2) 사무처리 영역 3) 학급경영 영역 4) 학교 경영활동 영역 5) 교원 인간관계 영역 6) 학부모와의 관계 영역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을 종합해 보면 교직원 조직은 학교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교직원 조직에서 중요한 요소인 남·여 교사의 구성이 학교직무 효과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교직이 차츰 여성화 되어가면서 남교사들의 활동적인 사무로 인한 시간부족, 사무처리, 각종 대외 행사 주관 등으로 인한 갈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교사들은 아동들의 학습지도 방법 등에 더 많은 갈등을 느낀다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정책적인 차원에서 교직의 바람직한 직무수행을 위한 남·여 교사의 적정한 비율이 되도록 하여 학교에서 일어나는 직무수행의 갈등을 줄여나갈 수 있어야하겠다. 교육 경력별에선 중견 교사들이 가장 많은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조직에서 사무 분장을 많이 담당하면서 갈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견 교사로서 부장업무를 담당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사무, 대외적인 활동 등 제반 업무를 담당하게 되는데 그에 따른 갈등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교사의 역할을 능력과 적성을 고려한 후 교사 개인에게 적합한 사무를 배정하고 업무량 또한 직무 수행에 부담이 되지 않는 적정량의 사무를 부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갈등이 지각 될 때 초등교사들은 이를 긍정적 측면에서 해결하려는 매우 건전한 태도를 갖고 있으며, 반면에 소수의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갈등이 지각되면 즉각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결혼을 한 여교사나, 남교사들이 경력이 많아질수록 갈등이 지각되면 그 상황과 함께 지내면서 대처해 나가는 회피경향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학교 경영자나 교사들은 갈등이 지각될 때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것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성공적인 갈등 관리에 최선을 다 할 때 교사들의 직무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되며, 갈등을 최소화하도록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 속에서 교육활동을 수행토록 노력을 발휘해야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of conflicts sensed by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and to understand differences derived from background factors, i.e. sex, and educational career. The specific aim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experience conflicts in carrying out their duties at school. Second, it shows differences in the situation of conflicts that teachers perceive, depending on their background factors, i.e. sex and educational career. The research problems are the following. First, it considers the concepts, models and factors of conflic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it analyzes the following fields of teacher's duties, depending on teachers' sex and educational career,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arried out with teachers. These fields include teaching activities, clerical work, homeroom management, school management activities, relationships with other teachers,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onclusions that I draw from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The organization of teachers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in general. The composition of male and female teachers, important to the organization of teachers, seems to affect the effectiveness of school duties to a great extent. In particular, as teaching becomes more and more feminized with an ever-increasing number of female teachers, male teachers tend to experience conflicts caused by their more active involvement with clerical work, supervision of various internal-external events, and the shortage of time. On the other hand, femal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more conflicts regarding the methods of instructing childr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proportion of male and female teachers needs to be balanced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so that teachers can carry out their duties more desirably, and experience fewer conflicts at work. In terms of a teacher's career in education, the mainstay of a school appeared to experience conflicts most, as they were usually in charge of clerical work in the school organization. The mainstay is the head of each department at school, responsible for various clerical work and interschool activities. In order to decrease the amount of conflict, schools need to allocate duties to each teacher on the basis of whether his or her ability and aptitude correspond to the character of the duties. Furthermore, schools must give teachers an appropriate amount of work, which does not keep them from carrying out their duties promptly.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have a very healthy attitude to resolve them in a positive manner, when sensing conflicts. Moreover, a few teachers with a short career in education tend to resolve conflicts instantly, as soon as they sense them. However, married female teachers or male teachers with a long career in education seem to have a tendency to avoid conflicts, or to delay their settlement. It seems that in sensing conflicts, school managers or teachers are required to do their best in managing conflicts successfully, not by showing an instant reaction to them, but by paying special attention and endeavoring to minimize them. Only under these circumstances, will teachers be able to carry out their educational duties more smoothly, and with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the end]

      • 비만 청소년의 걷기운동과 영양교육이 Adipocytokine 및 대사성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종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12주간의 걷기운동과 걷기운동 및 영양교육 병행이 신체구성, 아디포넥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인슐린 및 성장매개체 IGF-1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각 7명씩 운동영양집단, 운동집단,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운동영양집단과 운동집단은 동일한 걷기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1-5주 동안은 45-60% HRmax, 6-12주 동안은 61-70 HRmax의 강도로 주 3-4회씩 1일 30-50분 동안의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기간, 집단 간, 집단×기간에 따라 관찰된 변인들의 측정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구성에 변화에 있어서는 12주 걷기운동 후에 운동영양집단의 경우 체중 8.11kg(p<.001), 체지방률 7.50%(p<.001), BMI 3.64(p<.001), WHR .041(p<.01) 감소가 나타났다. 운동집단의 경우는 체중 2.25kg(p<.001), 체지방률 3.35%(p<.001), BMI 1.90(p<.001), WHR .009(p<.01) 감소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은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디포넥틴의 변화에서는 12주 걷기운동 후에 운동영양집단의 경우 2.95μg/ml(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도 1.74μg/ml 증가가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은 0.46μg/ml 감소하였다. 셋째,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변화에서는 12주 걷기운동 후에 운동영양집단의 경우 IL-6는 26.9pg/ml(p<.01) 감소하였으며 TNF-α도 15pg/ml(p<.05) 감소가 나타났다. 운동집단의 경우는 IL-6는 13.82pg/ml(p<.05) 감소하였으며 TNF-α도 8.14pg/ml 감소가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IL-6는 11.66pg/ml 증가하였으며 TNF-α도 6.43pg/ml 증가하였다. 넷째, 인슐린의 변화에서는 12주 걷기운동 후에 운동영양집단의 경우 7.63μIU/ml(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도 5.79μIU/ml 증가가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특별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IGF-1의 변화에서는 12주 걷기운동 후에 운동영양집단의 경우 59.56ng/ml(p<.001)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의 경우는 38.26ng/ml(p<.05) 증가가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은 39.22ng/ml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걷기운동과 영양교육을 병행한 집단이 신체구성, 아디포넥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인슐린 및 성장매개체 IGF-1에 더욱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운동 전보다 12주 후에 매우 유의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규칙적인 걷기운동과 영양교육의 병행은 기초대사와 지방분해 능력 및 근육량, 에너지 소비율, 지방질 이용의 증가를 통해 신체구성, Adipocytokine 및 대사성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걷기운동과 영양교육의 병행은 건강개선, 비만 관련 인자 및 비만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exercise programs(walking + nutrition education and walking) on body position, adiponectin, Inflammatory Cytokine IL-6, TNF-α, insulin and Growth Mediator IGF-1 in obese juveniles who are over 35% of body fat in the boys middle school.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twenty one obese men and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n=7), walking exercise group(n=7),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n=7). Each "an exercise group" and " a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performed the same walking program - walking exercise in 30~50min a day in a treadmill, 3~4 times a week (1~5 week; at the intensity of 45~60% HRmax, 6~12 week; 61~70 HRmax). The results based on the observed variants on period, intergroups, and group&#9747;period are as follows: 1.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in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at is, body composition such as body weight 8.11kg(p<.001), body fat mass 7.50%(p.001), BMI 3.64(p<.001), WHR .041(p<01)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body weight 2.25kg(p<.001), fat mass 3.35%(p.001), BMI 1.90(p<.001), WHR .009(p<01) after 12 weeks, but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2. The changes of adiponectin in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were in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adiponectin was increased 2.95ug/ml(p<0.05), 1.74ug/ml respectively, but the control group was decreased 0.46ug/m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ree groups. 3. The changes of blood vessel inflammation marker IL-6, TNF-α in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were de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at is, blood vessel inflammation marker such as IL-6 26.9pg/ml(p<.01) and TNF-α 15pg/ml(p<.05)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2 weeks respectively. The walking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IL-6 13.82pg/ml(p<.05) and TNF-α 8.14pg/ml significantly after 12 weeks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IL-6 11.66pg/ml and TNF-α 6.43pg/ml respectively. 4. The changes of insulin in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were in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insulin was increased 7.63?IU/ml(p<0.05), 5.79?IU/ml respectively, but the control group had no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5. The changes of Growth Mediator IGF-1 in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were increased after 12 weeks of exercise. That is, the concentration of IGF-1 was increased 59.5ng/ml(p<.001), 38.26ng/ml(<.05)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gnificant changes can be found in body composition, adiponectin, Inflammatory Cytokine IL-6, TNF-α, insulin and Growth Mediator IGF-1 of the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group. Especially very significant changes can be found in Inflammatory Cytokine after the 12-week exercise compared to that of the beginning. Namely, parallelism of regular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adiponetin, Inflammatory Cytokine IL-6, TNF-α, insulin and Growth Mediator IGF-1 throughout the increase of BMR, muscle mass, lipolysis, and the utilization of fat. There could be a great benefit in health improvement and the treatment of obesity, fat-related factors by keeping pace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in this regard.

      • 친화성(해송과 해송)과 비친화성(해송과 잎갈나무) 접목 조직의 해부학적, 조직학적 특징

        김종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Comparative anatomical and cellular characteristics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graft union were investigated using various microscopic techniques. Two different grafting methods were applied to pine/pine and pine/larch for autograft (compatibility) and heterograft (incompatibility), respectively. Histochemically, the grafting processes can be preceded by four stages: 1) formation of the necrotic layer, 2) proliferation of the callus, 3) development of the neo-cambium from the callus, and 4) restoration of a new vascular xylem. The necrotic layer composed of pectin and lignin was gradually degraded during the the grafting process only in compatible graft union (CGU). A large number of starch and lipid bodies in the cytoplasm were also gradually degraded during the grafting process and disappeared at the later stage of the grafting process. However, this degrad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incompatible graft union (ICGU). A bubble-like callus was generated from all living parenchyma cells at the grafting interface from both stock and scion in CGU. However, scion part in ICGU did not generate callus even when the stock showed a proliferation of calluses. A neo-secondary xylem, formed from the callus, showed the uneven deposition of a cell wall layer. Tracheid elements were mainly oriented horizontally in a swirled structure. TEM work showed the degradation of starch and lipid bodies in CGU but no degradation in ICGU as shown in light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density of cytoplasm in ICGU was gradually decreased, following vacuolization. The structure of mitochondria was also distorted in ICGU. The nucleus was condensed and gradually vacuolized in ICGU. Such changes, however, did not occur in CGU. The plasmodesmatal connection was damaged in ICGU. PDs were blocked by callose or phenolic compounds from the early stage of the grafting process. Structural changes of PDs also led to cytoplasmic disconnection. PDs in CGU showed opened structure and ER was passed throughout PDs. Cerium perhydroxides was loca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graft stage. CeCl3 accumulated on lipid bodies, mitochondria and cytoplasm in ICGU, indicating the generation of ROS. No cerium perhydroxides was observed around mitochondria and in cytoplasm in CGU. GDC in the scion part in ICGU was not expressed. Both TEM and molecular biological works indicated that the function of mitochondria was damaged in ICGU. The expression of GDC can be used as an early marker to examine the mitochondria activities in the grafting process.

      • ‘나’를 찾는 과정으로서의 시 쓰기 : 학위 창작품(시) 중심으로

        김종식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독 안에서 놀다가」 외 49편의 시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 환경의 경쟁 구조 안에서 정신적으로는 비정한 인간으로, 신체적으로는 점점 몰락해가는 비관적인 자아를 발견하고, 시 쓰기를 통해 그 매몰되어가는 자아를 건강한 자아로 회복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시를 쓰기 시작하면서 내 안에 비정한 타자가 있음을 발견했다. 조기에 명예퇴직이라는 상처를 입고 난 이후, 조그만 회사를 창업하고 운영하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경제적인 면을 먼저 생각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성장기의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양심을 최우선으로 살아왔는데, 어느새 속물적인 인간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 원인을 찾기 위해 우선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기 시작했다. 시 쓰기를 통해 과거 기억에 대한 새로운 발견은 현재를 바라보는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는 현실 세계에서의 생존 욕구와 미래의 행복 앞에 끊임없이 자신을 억압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산업 현장은 인간에게 유용한 재화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세계로서 최고선의 가치를 효율성을 두고 있다. 그 속에서 살아가는 개인은 자기가 속한 조직의 목표를 위해서 일종의 생산 활동의 도구 역할을 할 뿐이다. 하루하루 자신과 가족을 위해서, 자기가 속한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이끌려 다닌다. 그러는 사이 점점 자신의 존재에 대해 무관심해지기 시작하면서, 자기도 모르게 선량했던 자아를 상실하게 된다. 때로는 이기적으로 바뀌어가기도 하고 폭력적으로 변하기도 한다. 시 쓰기는 이 무감각하고 무의식적으로 살아가는 자아를 깨우는 작업이다. 또한 시 쓰기를 통하여 이기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 인간성을 회복시킬 수가 있다. 회상을 통하여, 과거 성장기의 어려운 환경을 극복해냈던 의지적 자아를 찾아올 수 있다. 그 결과 새로 탄생한 건강한 자아는 억압받고 있는 내 안의 타자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잃어버린 순수성을 되살려 준다. 시 쓰기는 또한 세계의 밝은 면과 그 이면에 있는 그늘도 함께 그려내는 작업이다. 우리 삶의 아름다운 장면을 포착해내기도 하지만, 어둡고 부정적인 면을 드러냄으로써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우리는 각자 나름대로 냉혹한 현실 속으로 떠밀려본 경험을 가지고 살아간다. 추한 모습에서 공감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은 누구든지 한 번 쯤은 생존의 본능 앞에서, 눈앞의 이익으로 비겁해져 본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시 쓰기는 내 안의 추한 모습을 들여다봄으로써 나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이 시 쓰기를 통하여 세계를 보는 시선을 미학적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게 해주는 힘이 되어 준다. 그 결과 미래와 연결된 현재의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게 해주는 새로운 눈을 갖게 해준다. 시 쓰기는 어떤 사건이나 경험에서 한 발짝 물러나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라봄으로써 평소에 보지 못하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게 해준다. 긍정의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기 시작하면, 평소에 사소하고 보잘것없어 보이던 것들도 커져 보이고, 도처에서 아름다운 광경들이 눈에 들어온다. 시 쓰기는 나의 일상생활에도 긍정적 에너지와 함께 아름답게 사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결국 시를 쓰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나’를 발견하게 되고, 더불어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 일측 폐 환기 시 Isoflurane과 흉부경막외 마취가 동맥혈 산소화에 미치는 영향

        김종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장기간 일측 폐 환기를 이용한 마취방법은 임상적으로 저산소혈증이 가장 큰 문제로 남아 있다. 흡입마취제가 저산소성 폐혈관 수축 반응을 억제하는 작용이 보고되었으나 일측 폐 환기가 필요한 대부분의 흉부 수술을 위한 마취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소마취제를 이용한 흉부경막외마취(thoracic epidural anesthesia, TEA)가 저산소성 폐혈관 수축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측 폐 환기를 이용한 마취 시 동맥혈 산소 분압과 폐장내 단락에 대한 상기 두 가지 마취 방법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방법; 일측 폐 환기가 필요한 개흉수술이 예정된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마취 방법에 따라 Isoflurane 군 (1 MAC isoflurane + 제3-4흉부경막외강내 saline 6ml + 0.5-1 ㎍/㎗ propofol + fentanyl + vecuronium + 100% 산소, 15명)과 TEA 군 (제3-4흉부경막외강내 0.5% bupivacaine 6 ml + 0.5-1 ㎍/㎗ propofol + fentanyl + vecuronium + 100% 산소, 15명)으로 나누어 측와위에서 양측 폐 환기 (two lung ventilation, TLV) 시작 30분 후와 일측 폐 환기 (one lung ventilation, OLV) 시작 30, 45, 60분 (OLV-30, OLV-45, OLV-60)후에 요골 및 중심정맥 카테타를 통해 혈역학 변수 (평균동맥압, 심박동수, 중심정맥압)와 동맥 및 혼합정맥혈액 가스 변수 등을 폐혈관이나 기관지 조작 전에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동맥혈 및 혼합정맥혈 산소 분압은 일측 폐 환기 시작 30, 45, 60분 후에 Isoflurane 군과 TEA 군 모두에서 양측 폐 환기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양군간에 변화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단락 및 동정맥 산소 분압차는 일측 폐 환기 시작 30, 45, 60분 후에 Isoflurane 군과 TEA 군 모두에서 양측 폐 환기 시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양군간에 변화의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일측 폐 환기 시 동맥과 혼합 정맥혈 가스 변수들 중 이산화탄소분압 (PaCO₂, PvCO₂), 수소이온농도 (pH), 혈색소 (Hb), 산소소모량 (CaO₂ CvO₂)과 혈역학 변수중 평균 동맥압, 중심정맥압 등은 두 군 모두에서 양측 폐 환기 시와 비슷하였다. 결론; 일측 폐 환기를 이용한 마취 시 isoflurane 마취와 국소마취제를 이용한 흉부 경막외마취가 동맥혈 산소 분압과 폐장 내 단락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존의 흡입마취법에 비해 선행진통 및 수술 후 통증 조절 등의 장점이 있는 흉부 경막외마취법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During one-lung ventilation (OLV) for thoracic surgery, hypoxic pulmonary vasoconstriction (HPV) may reduce venous admixture and ameliorate the decrease in arterial oxygenation by diverting blood from the non-ventilated to the ventilated lung. Volatile anesthethics are the drugs of choice in thoracic surgery despite the numerous experimental data showing their inhibiting effect on the HPV. The effect of thoracic epidural anesthesia (TEA) on HPV during OLV has not been determined. The object of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 with those of isoflurane on oxygenation & shunt during two lung ventilation (TLV) and OLV in human volunteers. Methods: Thirty patients who needed OLV for elective thoracic surger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group isoflurane (1 MAC isoflurane + saline 6 ml TEA + 0.5-1 ㎍/㎗ propofol + fentanyl + vecuronium; n=15) and group TEA (0.5% bupivacaine 6 ml TEA + 0.5-1 ㎍/㎗ propofol + fentanyl + vecuronium, n=15) with 100% oxygen in separate groups. Systemic hemodynamic data were recorded, and blood gas values were obtained 30 min after the start of TLV and 30, 45, 60 min after the start of OLV in lateral position. Results: Reductions in PaO₂ and increases in shunt fraction at all study times after the start of OLV were observe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centage change between the groups. The other blood gas data (SaO₂, SvO₂, PaCO₂, PvCO₂, pH, Hb, CaO₂, CvO₂) and systemic hemodynamics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central venous pressure) did not change all study times after the start of OLV in the two groups. Conclusions: In clinical practice, isoflurane and TEA for OLV was no different in terms of the arterial blood oxygenation and pulmonary shunt.

      • A Wideband CMOS Transceiver for TV-Band White Space Applications

        김종식 광운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 wideband RF transceiver integrated circuit is a fundamental device for portable TV white space applications. The 16⊥ ultra-wide bandwidth of the TV-band white space application raises critical design issues of the harmonic distortion problems in the transceiver and the broadband carrier signal generation in the synthesizer. In this dissertation, a 54-862 MHz single-chip CMOS transceiver is presented for TV-band white space communications and cognitive radio applications. Not only previous RF front-end architectures but also wideband LO generation structure are reviewed by focusing on design issues of ultra wideband system. To cope with design issues of wideband system, a single-conversion zero-IF structure with integrated harmonic filtering capability is employed for the RF front-end. A combined harmonic rejection mixer and coarse RF tracking filter significantly lessens the in-band harmonic emission problem in the transmitter as well as the harmonic mixing problem in the receiver. A fractional-N PLL with only a single LC VCO and a wideband multi-modulus LO generator seamlessly covers the entire band. A wideband semi-dynamic divide-by-1.5 circuit is adopted in the LO generator to reduce the VCO tuning range requirement by 25 %. A pseudo-exponential capacitor bank structure in the LC VCO substantially reduces the KVCO and fstep variations across the total band, which is beneficial for maintaining the PLL loop stability and dynamics over the wide band. The transceiver is implemented in 0.18 ??m CMOS, and operates with a single 1.8-V supply. The receiver achieves about 100 dB gain dynamic range, 3.5-6.9 dB noise figure, < -29 dB error vector magnitude, and -38.7/-41.97 dBc 3rd/5th harmonic mixing suppression. The transmitter delivers a nominal output power of -3 dBm, and exhibits OP1dB of > +6.4 dBm, OIP3 of > +15.9 dBm, and error vector magnitude of < -34.7 dB for 64-QAM signal. The image and carrier leakage calibration circuits suppress the leakage components below -41 dBc across the entire band. The synthesizer and LO generator achieves the integrated phase noise < 0.8 rms degree over the entire band. In addi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heavily congested spectrum environment where large unwanted interferences can always exist, a fast and flexible spectrum sensing scheme is proposed. A feedforward interference cancellation scheme with double sideband rejection is implemented for realizing high-Q bandpass filtering front-end, which can be used for detecting energy level in a given spectrum band. The bandwidth of the bandpass filtering RF front-end is tuned by controlling the cutoff frequency of the highpass filter in the feedforward loop. The developed wideband RF CMOS transceiver and the bandpass filtering RF front-end scheme could be instrumental for a single chip realization and will become an indispensable component for the TV-band white space devices.

      • TCP-friendly 전송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김종식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인터넷에서의 전송은 주로 TCP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비디오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서는 positive acknowledge에 따른 시간 지연이 TCP 보다는 UDP로 전송하는 경우가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TCP의 경우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에 적응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자율적으로 조절하는 반면, UDP를 사용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의 경우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상황에 무관하게 일정한 전송률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혼잡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DP 프로토콜 위에 TCP-Friendly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TCP-Friendly 알고리즘은 왕복지연시간과 패킷 손실률을 측정하여 처리율을 계산하기 때문에, TCP와 비슷한 데이터 전송률을 가진다. 그러나 TCP-Friendly 이용한 UDP 전송은 손실된 패킷을 재전송 하지 않기 때문에 유효 전송량(goodput)은 TCP 보다 높다. 실제 인터넷에서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TCP-Friendly 알고리즘으로 구현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TCP 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Recently the transmission in the Internet is mainly achieved via TCP protocol. For the real-time transmission of video data, UDP is more efficient than TCP which involves time delay due to positive acknowledgement. But, UDP has a serious effect of the network congestion by transmitting the constant amount of data without considering available network bandwidth, while TCP controls sending rate by adapting to the network status. In this thesis, we implemented the real-time video streaming system using TCP-Friendly algorithm using UDP. Since TCP-Friendly algorithm estimates the throughput via measured loss rates and round trip times, its throughput is similar to the throughput of TCP. However, the goodput of TCP-Friendly algorithm is higher than that of TCP since TCP-Friendly UDP transmission does not retransmit lost packe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oodput of TCP-Friendly is higher than T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