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선형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김재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에 의사소통 기능을 나선형으로 배열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의사소통 기능이란 학습자가 언어활동을 통해 수행하는 의사소통 목적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의사소통 기능 항목들을 주제, 문법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할 교육 내용의 유의미한 범주로 보고 이들의 효과적인 구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배열하기 위해서는 Bruner(1966)에서 제시한 ‘나선형 교육과정’이 적합하다. 나선형 교육과정이란 새로운 내용을 이미 학습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심화하며, 이를 위해 각 등급 사이에 유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전 단계에서 학습한 요소를 적절한 상황이나 문맥을 통하여 여러 차례 다시 제시하고 활용함으로써 다음 단계에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는 데에 근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도 나선형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재 개발 원리나 평가 등에서 이러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의 원리만 제시하였을 뿐 실제로 한국어 교재에서 교육 내용이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었는지 분석하고,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데 효과적으로 교육 내용을 제공하고 있는가를 반드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의 의사소통 기능이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나선형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와 방안을 연구하였다.

      • 박수근 삽화의 특성과 의미 연구

        김재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미술사를 대표하는 화가로 알려진 박수근(朴壽根, Park, Soo-Keun, 1914-1965)의 삽화 작품들의 특성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수근의 회화는 1930-60년대 한국의 정서를 잘 담아냈으며 단순한 선묘와 독창적인 기법을 보여준다. 그의 유화작품은 구상화풍에 기초하지만, 동시에 추상적 성격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화풍이 고착될 시기인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 중반까지 박수근은 삽화를 그렸다. 이러한 정황은 대표적으로 『장업계』,『교통』,『한국전력』사보와 그가 남긴 동화책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박수근의 작품 중, 잘 알려지지 않은 삽화를 분석하여 작가의 예술관을 보다 폭넓게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까지 박수근 작품에 대한 연구는 유화의 연대기, 소재와 기법의 독특성을 분석하는 예가 일반적이다. 이에 반해 박수근의 삽화에 대한 관심은 참고도판 혹은 부록으로써 살펴보는 정도로만 그쳤다. 하지만 현대 상업미술과 광고매체 의 발전과 더불어 삽화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삽화 역사의 초창기에 속하는 박수근 삽화의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밝혀 박수근 삽화의 위상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박수근의 삽화는 유화작품과의 연관성이 매우 크다. 소재 뿐 만아니라 구도, 기법을 표현하는 방법의 유사성은 그의 작품세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박수근은 유화작품들에서 질감(Texture matière) 표현기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화법은 근현대 회화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삽화를 그렸던 1950년대 후반은 박수근의 화풍이 확립된 시기였다. 박수근의 독특한 화풍인 선의 간결함은 두 장르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선을 단순하게 사용하기도 했지만 유화에서 보이는 두텁고 울퉁불퉁한 마띠에르가 삽화에서는 문지르기 기법(프로타주, frottage)을 통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한층 숙달된 선의 쓰임과 구도의 조화로움에서 삽화의 고유한 표현력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박수근의 삽화작품 이해를 위한 기본적 요소들로 그의 생애와 연대별 작품 발전과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삽화의 의미와 기능에 관해 살펴본 후, 박수근 삽화작품의 분류와, 특성 및 의미를 분석을 하였다. 박수근의 삽화는 표지, 목차화, 내지삽화가 있다. 특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장업계』에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전면삽화와 내지삽화가 상당수 실려있다.『교통』,『한국전력』사보 역시 내지 삽화 외에 표지를 그려 넣기도 했다.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그려준 동화책은 수채물감을 사용한 것으로 박수근의 회화능력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능성을 열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작품분석은 박수근의 삽화가 실렸던 잡지와 사보, 동화책 속의 삽화들을 소재와 기법,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박수근 삽화의 특성과 가치의 분석에서는 전반적인 회화의 장르를 비교분석하고 미학, 미술사적 가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의 삽화는 회화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지만 회화에 새로운 표현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미학․미술사적으로 볼 때 그의 삽화의 의미는 회화와 그 가치를 공유하는 점들이 많지만 보다 회화의 예술성을 보다 대중적으로 보여주었고, 대중과의 소통의 매체로 기능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순성과 상징성, 평면성을 특성으로 하는 그의 작품은 전통을 탈피해 모더니즘 미술의 선구적 면모를 보여주었다는 의미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살펴본바 박수근의 삽화는 삶의 방편이기도 했고 사회적 경험까지 반영하고 있다. 그렇기에 박수근의 삽화 연구는 그의 작품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그의 중요했던 시기의 삽화 작품의 특성과 의미에 관한 본 연구를 통해 그의 작품세계 전반이 새로이 조명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illumin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illustration works of Park Soo-Keun, one of the most renowned artists in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Park’s artworks vividly depicted the Korean sentiment of the 1930’s—1960’s by implementing simple line drawings and unique techniques. His oil paintings are based on the style of representational art,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shows the sense of abstract qualities. From the late 1950’s, when his art was becoming stylized, he primarily worked on illustration until the mid-1960’s. These circumstances could be found mainly in company newsletters such as Jangupgye, Gyotong, Hankook Joenryuk, and his storybooks. Based on these historical re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 wide range of Park’s art by analyzing his illustration works rather unknown up to now. Until now, the previous researches on Park’s artworks tend to focus on the chronicle of his oil paintings or the uniqueness of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n the other hand, not so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his illustrations; they were often discussed as references or supplements to some other major works. However, with a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and commercial art today, illustrations become more important; and we are to review the status of Park’s illustrated works by illumina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his illustrations that belong to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illustration in Korea. Park Soo-Keun’s illustrati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his oil paintings. The consistency of his painting style is manifested in the similarities of the method to express the technique, materials, and composition. He constantly showed a texture matière as a way of expression in his oil paintings. It exerted a huge effect on modern and contemporary painting, and is still being studied frequently. It was the end of 1950’s when his painting style became established. The simplicity of line drawings, which is Park’s distinctive style, could be found in his illustrations and paintings as well. Not only did he keep simple line drawings, he implemented a frottage stemmed from a matière, which creates a thick and uneven texture, in oil paintings. At the same time, the masterly use of lines and harmonious composition in his works demonstrated the intrinsic value of illustration. To understand the basics of Park Soo-Keun’s illustration works, this study addressed his life, the development of his artworks and patterns. Based on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s of the illustrations, and then categorized his works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Park’s work of illustration includes the front cover, table of contents, and the inside pages. Particularly in Jangupgye, which is important in his illustration work, there are a considerable number of illustrations for the front cover and the inside pages. His illustrations are also found in the front page of Gyotong and Hankook Joenryuk as well as the inside pages. Also, Park’s watercolor paintings in his storybooks that he made for his children opens up a new opportunity to research on his capabilityas a painter. The analysis of his artworks was primarily focused on materials, techniqu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company newsletters, magazines, and storybooks that included his illustration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Park’s illustration in conjunction to the overall genre of paintings from an esthetic point of view in art history. His work of illustration was highly affected by painting; however, it also created a new way of expression to it. From an art historical context, Park’s illustration had many values in common with painting, yet it was more focused on more popular aspect of the art of painting, and functioned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Furthermo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ism, simplicity and two-dimensionality, his works demonstrated a pioneering approach to Modernist art, transcending the old tradition. Throughout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Park Soo-Keun’s work of illustration was a means of life, and a reflection of the social experience. Thus, research on Park’s illustrations enables us to understand his artworks as a whole. I believe the overall aspect of his art can be re-evaluated through this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his illustrations at a crucial period of his career.

      •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김재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김재희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를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S와 K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S어린이집의 실험집단은 유아 원예활동을 실행하고, K어린이집의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연탐구 및 예술경험영역활동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 실험 전 후에 정서조절능력과 행복감 검사를 실시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서조절능력 검사도구는 양옥승(2011)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Self-Control Rating Scale; SCRS)로 ‘자기조절능력 평정도구 2011판’을 우은주(2016)가 수정, 보완한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 중 본 연구목적에 맞게 인지조절(11문항)을 제외하고 정서조절(19문항)만 평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행복감 검사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 검사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지도교수와 박사 1인의 도움을 받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는 예비검사와 사전검사, 본 실험과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고, 본 연구의 실험은 2019년 5월 2일부터 7월 19일까지 12주에 걸쳐 주 2회씩(30분, 60분) 총 24회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처치 후 사전, 사후검사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집단 차이를 확인한 후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covariate)으로 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인식하기, 정서대처하기, 정서억제하기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정서조절능력 전체에서 그 변화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그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부모관계, 교사관계, 친구관계, 몰입, 영성, 정서, 건강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행복감 전체에서 그 변화량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흥미로운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서 교육적 효과가 있는 지속가능한 활동으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또한 유아 원예활동이 누리과정의 생활주제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접근되어져 정서조절능력 향상과 행복감 증진의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 F. Liszt Ballade No.2의 에디션 비교 연구

        김재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에게 악보의 선택은 중요한데 에디션 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악보를 고르기에는 쉽지 않다. 에디션들마다 편집자가 다르고 편집 해석이 다르기 때문에 에디션마다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연주자들마다 서로 다른 미학적 관점으로 연주를 하기 때문에 같은 에디션으로 연주 하더라도 다른 음악이 나올 수밖에 없는데, 다른 에디션으로 연주하는 연주자들은 더욱이 큰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에디션은 연주자에게 중요한 역할이자, 작품해석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에디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연주하기 어려운 프란츠 리스트(F. Liszt, 1811-1886) 발라드(Ballade) 2번을 선정하여 한국에서 주로 쓰이는 독일의 헨레 원전판(G. Henle Urtext), 피터스 에디션(Peters Edition), 한국에서 판권을 가지고 출판되고 있는 음악춘추사의 파데레프스키 에디션(Paderewski Edition)을 선택하여 에디션의 특징과 운지법, 프레이즈(Phrase),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페달(Pedal), 마디 수 등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에디션마다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에디션마다 장, 단점이 다르고 연주자마다 보는 측면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악보가 좋다고 선정하기에는 어려웠다. 그러므로 연주자들이 악보에만 의존해서 연주하는 것이 아닌 작곡가와 작곡가의 작품, 그 시대의 환경 등 여러 측면에서 공부를 하여 자기만의 해석을 첨부해 연주를 할 필요가 있다.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music for musician, but it is not so easy to select because there are differences in each edition. Every edition has a different editor & its interpretation, so it has to have differences. Moreover, since every musician has played their music in different aesthetic perspectives which may lead to the different music in playing, musicians with different edition may present even larger differences. Therefore, the edition may be a starting point of music interpretation and play an important role for a musician as well. In order to assist the selection of edition, this thesis has selected the Franz Liszt (1811-1886) - Ballade No. 2, which is difficult to play, with the Urtext of G. Henle (Germany) mainly used in Korea, the Peters Edition, and the Paderewski Edition of Eumag Chunchu Publishing Co. published in Korea with the publication right, so that a comparison study has been proceeded with characteristics of edition, fingering, phrase, articulation, pedal, and number of node.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known that each edition has its own differences, and it is hard to determine which music is better because each edition has own pros & cons and different perspectives of each musici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musicians shall play the music not just depending on it, but adding their own interpretation to their play in various aspects of the composer, work of composer, and environment of such era.

      • 남성 무용수의 성정체성과 성지향성 형성과 경험에 관한 연구

        김재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남성 무용수의 성정체성과 성지향성 형성과 경험에 관한 연구 김 재 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무용의 내면에는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인 문화변화 양상이 투영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무용을 하는 남성들은 무용의 발전 양상에 따라 성역할의 혼동이 올 수 있는 여지가 존재 한다. 이러한 양상을 이해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점점 바뀌어져 가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의 성 문화적인 한계는 전통의 것과 마주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호모 포비아를 양성하는 반대 급부적인 영향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용 및 스포츠 활동 등의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성 정체성의 혼란과 후천적 활동에 자극 받아 나타나게 되는 성 정체성의 확립과 해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정체성 혼란 자들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를 높이고 이들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해 이들의 위치를 어떠한 접근을 통해 정의 할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생활의 전반적인 내용에 따라 분석하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택하였다. 단순한 통계적인 분류가 아닌 실제적으로 직업군의 하나인 무용계 내면으로 들어가 개인의 생애사적인 연구를 통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연구하여 직업과 선천적인 성 정체성 형성과정의 관계성을 들여다보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무용수들은 어려서부터 몸으로 하는 표현이나, 신체의 아름다움 등에 관심이 많았으며 이러한 성향을 발전시켜서 무용이라는 예술 분야에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몸에 대한 관심과 몸으로 표현하는 것을 좋아 했다는 부분은 자신의 관심사나 흥미를 구체적으로 선택하고 그 부분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삶에 있어서의 적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성정체성에 대한 자각이나 커밍아웃은 무용을 하는 집단의 분위기나 특징에 의해 촉진될 수 있었지만, 동성애에 대한 발견 및 이들의 성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영향이 있었던 것 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둘째, 남자무용수들이 정체성 형성과 무용을 선택을 하게 된 배경의 관계에 있어서 성정체성 부분과는 거의 관련이 없거나 전혀 무관하다고 보는 것이다. 성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제보자 모두 무용을 분명한 계기로 적극적인 선택을 했기 때문이다. 단, 무용이라는 분야의 성향이 개방적이고 유연한 사고방식을 가능하게 했고, 이들이 자신을 동성애자로 인정하고 커밍아웃하는데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셋째, 남자무용수들이 동성애자로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무용계가 새로운 것을 수용하는데 적극적이며, 타인에 대한 생각을 이해하는 정도가 높은 개방적인 집단이라서 동성애자임에 대한 부정이 일어날 소지가 적은 집단이라는 것이다. 또 몸을 사용하는 예술이라는 점에서 모든 무용수들이 자신의 몸으로 표현되는 아름다움에 지대한 관심이 있고, 또한 다른 사람과의 다름으로써의 가치와 아름다움에 오히려 주목하고 있는 점에서 무용분야가 동성애자한테 개방적으로 다가설 수 있다. 하지만 동성애 무용수라는 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사회 분위기, 그리고 학교나 무용단 내에서의 은근한 따돌림도 현실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문제들이다. 각각의 예술혼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이루어질 때가지 동성애 무용수만의 무용단이나 발레단이 필요하며 또한 그들을 수용적으로 받아들이고 인정해 주며 포용할 수 있는 우리의 자세도 필요할 것이다.

      • 소년범 수사면담 시 라포형성에 따른 진술의 신뢰성에 대한 질적 연구

        김재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사는 범죄현장을 보존하고 분석하며 물적 증거와 증거서류들을 수집하는 동시에 용의자와 면담을 통하여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그중 수사면담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과거의 조사는 심문을 통해서 단순히 자백을 받아내는 것에 불과하였으나 현재의 조사는 수사면담을 통해 피조사자로부터 양질의 진실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사면담을 통해 수집된 정보는 재판과정에서 진술의 신빙성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특히, 소년범은 성인과 달리 청소년만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수사기관에서는 이에 맞는 전문성을 갖춘 조사관이 부족하고 전문화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조사관은 수사면담의 효율성을 도모하고 소년범은 소년의 인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수사면담이 이루어지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소년범 수사면담 시 라포형성에 따른 진술의 신뢰성 상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는 라포형성과 관련하여 조사관, 목격자, 증인, 피해 아동 등 하나의 대상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라포형성이 쌍방향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여 소년범과 조사관 모두 연구대상으로 삼았고 대상별, 그룹별, 사례별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년경찰 업무를 하는 조사관 6명과 소년범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수사면담 시 대부분의 조사관은 수사경험을 바탕으로 친밀감을 표현하거나 공감과 경청의 방식으로 라포를 형성하였다. 둘째, 수사면담 시 라포형성의 방법과 그 정도에 따라 진술의 신뢰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라포형성이 잘 된 경우에는 진술의 양이 증가하고 신뢰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라포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소년범의 불성실한 태도가 나타나고 기억 회상의 정도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사면담 시 조사 환경변화에도 진술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관은 소년범이라는 특성에 맞는 맞춤형 라포형성을 전제로 한 수사면담이 필요하고 수사기관은 조사관의 전문성과 자질을 높이기 위해 과학적인 수사면담 시스템의 구축과 교육이 필요하다. 특히, 소년범의 특성에 맞는 수사면담의 효율성을 위해 「소년범 수사면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소년범의 인권 보장과 효율적인 수사면담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vestigation is the serial procedure to preserve and analyze crime scenes, to collect physical evidences and evidence documents at the same time and to discover substantive truth via interviewing with a suspect.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is the most critical proceedings. Even the investigation in the past was simply to extract a confession through an interrogation; the current police enquiry is focused on collecting high-quality truthful information from the interviewee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via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has affected the credibility of testimony on the trial proceedings. Especially, juvenile suspects have unique traits unlike adults; the investigative agencies have had lack of professional investigators and systemized education.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investigators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and the juvenile suspects are guaranteed the basic human rights during the interrogation proceedings.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redibility of testimony and the establishing a rapport on the juvenile suspects’ investigation interviewing.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examiners have mainly focused on one aspect of the investigators, eyewitnesses, witnesses, and victims etc. On the other han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the idea that forming a rapport interactively has differentiat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because of studying on both the juvenile suspects and the investigators. Besides, this research have studied as groups, individually, and case-by-case basis. The researchers have discovered the result from an in-depth interview based on six police investigators of juvenile crime and eight suspects of actual juvenile crimes. First of all, the most of investigators have formed a rapport by sympathizing or listening to the juvenile suspects to express intimacy based on their interrogation experiences on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Secondly, the credibility of testimony has depended on the degree of building a rapport. On the well formed a rapport case, quantities of the testimony and the reliability of investigation interviews have increased. However, on the lacked a rapport case, the juvenile suspects have misbehaved and decreased the times of recalling their memories. Thirdly, the atmosphere of interrogation has also affected the credibility of the investigation interviewing. Therefore, the investigators must need individualized methods of forming a rapport with the juvenile suspects who have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investigative authorities have to systemized investigation interviewing programs and education for developing investigators'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Especially, we have suggested the manual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ve interviewing with juvenile suspects and guaranteeing juvenile's civil rights and expected the systemized and sophisticated investigation interviewing on going.

      • 부·모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재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Effortful control (EC) has been known as a key construct of self-regulation (Eisenberg & Spinrad, 2004). EC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mpathy, academic competenc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morality in children (Valiente, Eisenberg, Fabes, et al., 200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parents' own EC and parenting behavior influenced children's EC and subsequently their school adjustment in a sample of Korean children (ages 10-11 yrs., N=389). More specifically, using data from both mothers and fathers, we examin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mothers' and fathers' EC and parenting behavior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C and its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EC, especially moth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in turn predicted high levels of children's EC and positive school adjustment. And fathers' parenting was influenced by mothers' parenting more than by their own EC. Therefore, mothers' EC which modulates their emotions and inhibits their negative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to enhanc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ubsequently influence children's adjustment. It wa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rough intervention program design to foster EC of children and parents, especially mothers. 본 연구는 정서조절능력 발달의 핵심이라고 알려진 의도적 통제에 초점을 두어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통제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라는 환경체계 중, 의도적 통제의 기질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의 의도적 통제를 포함하여 세대 간의 전이를 고려하였다. 또한, 의도적 통제능력이 환경에 의한 경험에 의해서 더욱 성숙된다는 사회화 특성을 고려하여 부모의 양육행동을 함께 조사하였다.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은 사회성, 대인관계, 공감능력, 학업적 유능성 등과 관련이 높기에(Valient et al., 2004)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의 영향력을 강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부·모 각각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의 매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의 경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아동의 성에 따라 구조모형에서 경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소재의 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389명(Mage = 10.4, SD = 3.8)이고,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교사가 연구자료 수집에 함께 참여하였다. 연구 자료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각각 자신, 아동, 혹은 배우자에 대한 보고를, 아동은 실험과제에 참여를, 교사는 아동에 대한 보고를 함으로써 다양한 정보자와 조사방법을 통해서 수집되었다. 부·모의 의도적 통제는 Derryberry와 Rothbart(1997)의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ATQ) 척도로, 부·모의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의 양육행동 척도로,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는 Rothbart 등(2010)이 개발한 Temperament in Middle Childhood Questionnaire(TMCQ) 척도로 부모가 보고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Eisenberg 등(2000)이 개발한 퍼즐박스 과제에 아동이 직접 참여하여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Stright 등(2007)이 NICHD연구에서 사회적 기술, 교사-아동관계, 또래지위, 학업적 유능성 등으로 구성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여 교사가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한 기초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통해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인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 및 양육행동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의미있게 나왔다.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는 자신의 양육행동을 통해서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쳐서 아동에게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기질적, 행동적 의도적 통제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아버지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의 기질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영향력은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아동의 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의한 부(-)적인 영향을 받았다. 또한, 높은 수준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는 모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경로의 상대적인 크기를 조사한 결과,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부·모의 의도적 통제보다는 양육행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고,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가 행동적인 의도적 통제보다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의도적 통제가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질적·행동적 의도적 통제를 매개로 학교생활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는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구조모형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학령기 아동이 학교생활적응을 잘하기 위해서는 남녀 상관없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이 중요하고, 아동이 높은 의도적 통제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아버지보다도 어머니가 스스로 자신을 조절하는 높은 수준의 의도적 통제를 가지고 양육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이 가정 내에서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버지 스스로의 의도적 통제능력보다는 어머니가 자신을 잘 조절하여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함으로써 아버지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가정 내의 분위기가 아동의 의도적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아동의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에 대한 부모의 영향력은 다소 다른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아동의 연령적 특성으로 기질적 의도적 통제와 행동적 의도적 통제 성숙의 안정성이 다른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된 퍼즐상자 실험과제가 문화적 차이로 그 타당성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숙고해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를 구분하여 조사하여 아동에 대한 각각의 독특한 영향력의 경로를 예측할 수 있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아동의 통제능력을 향상시켜 조절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어-아랍어 광고 텍스트 번역 분석에 관한 연구 : 문화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김재희 韓國外國語大學校 通飜譯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어-아랍어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관련 어휘 번역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의미하는 광고 텍스트의 종류는 관광지 또는 국가에 대해 이미지를 제고하고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데에 활용되는 관광 광고 텍스트를 의미한다. 관광지 혹은 국가를 홍보하거나 알리는 관광 광고 텍스트의 핵심은 도착 문화권의 독자에게 출발 문화권에 고유한 새로운 문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출발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출발어를 사용하는 사회 공동체의 고유한 역사·사회·경제·정치·언어·관습 등을 표현하는 수단이 언어이며 이를 문화 관련 개념, 혹은 문화 관련 어휘라고 한다 문화 관련 어휘 번역은 번역의 분야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분야이자 번역사에게는 가장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A Study on Korean-Arabic Translation of Advertisement Texts : With Focus on Culture-Specific Term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im Jae-Hee Advertisement is a special language that expresses demands, choices and motivation of the customers meanwhile informs the information of products and helps to create a good image of an enterprise. As a language for application, the tourism advertisement has independently developed and becomes an informal language for specific use. So it is different from common English in words choosing and sentences making. Besides, an attractive advertisement also needs to use figures of speech to package itself. All this requires our attention in translation tourism advertisements. In today’s globalised world, tourism is one of the most dynamic industrial sectors, and tourist promotion has become one of the fastest-changing areas in marketing. New platforms like the Internet offer great benefits and pose great challenges for multinational tourist promotion. Appropriate, market-targeted translation is paramount to achieving successful results, especially in the case of countries where tourism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income. This paper analyses some of the main translation and reception factors involved in the internationalisation of tourist promotion campaigns, by focusing on multimedia examples – including websites and television advertising. Tourist promotion experts are not always ful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issues such as the way different markets use technology, how different cultures and language audiences face and deal with intersemiotic elements, the value that users assign to the various elements present in multimedia promotional tourist texts. Sometimes, localising such material may not be the best choice, and hiding or avoiding differences might lead to unsuccessful reception, a stereotyped projection or even a misleading image of the product or destination being promoted. Among other things, I will present a semiotic and cultural analysis of some of the main interface, design, contents, marketing and technical aspects of selected tourist promotional website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and I will show how these elements have an influence on the potential loss or gain of the ‘national’ content of the text. Finally, the paper also intends to raise awareness about, on the one hand, the importance of the translator’s role and agency in the conception, creation and development of online advertising campaigns and,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empirical research and audience needs in multilingual multimedia advertising. A tourism advertisement is the application of advertisement in tourism. Through the media, it delivers the information of tourist attraction and tourist products to customers.

      • 영양상담 모니터링에 따른 성조숙증 및 소아비만 아동의 식습관 개선도 향상

        김재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성조숙증 및 소아비만을 진단 받은 학령기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영양상담 모니터링을 통하여 식습관 개선의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식습관 조사는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량 및 식사속도, 균형적인 식사 및 올바른 간식 섭취, 외식 및 야식 섭취, 물 섭취 등을 중심으로 총 1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1:1 문답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각 연령별 평균 신장과 체중은 2007년 한국 소아 발율 표준치와 비교하였을 때, 신장과 체중 모두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식사의 규칙성과 식사량 및 식사속도에 관한 조사결과는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하루 식사 섭취 횟수가 증가하고, 아침 식사 섭취 횟수는 주 4회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식사량의 일정한 정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과식 횟수는 상담 횟수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속도는 점점 느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적인 식사 및 올바른 간식 섭취에 관한 조사 결과는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하루 3회 식사 시 어육류찬 및 채소류찬의 섭취 횟수는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선호하는 음식의 종류는 어육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공식품 & 패스트푸드 순으로 나타났으며, 채소류와 김치류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간식의 섭취는 과일과 우유는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빵류 및 과자류, 음료수 등의 간식 섭취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푸드 및 가공식품의 섭취는 영양상담 전에도 높은 섭취 횟수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및 야식 섭취횟수는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섭취하는 외식의 종류는 한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야식의 경우 과일류, 가공식품 & 패스트푸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물 섭취량은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영양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통해 식습관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음이 나타났다. 지속적인 영양상담을 통해서 올바른 영양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한 식습관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사료되며, 영양상담의 중요성과 영양상담의 활성화를 기대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