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蔚山廣域市 都心體系 設定과 地域的 特性에 관한 硏究

        김임식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울산을 대상으로 도시의 도심지역을 찾고 이를 통해 지방도시의 도심부와 도시공간구조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우선 울산에 관련된 연구문헌 및 자료를 고찰하여 도심지역의 형성과정과 도시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밝힌 후,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지표 중 인구, 토지, 시설물 지표에 해당하는 각각의 변수들을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크게 도심지역과 부도심지역 및 기타지역으로 구분하였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지역은 다시 제1도심ㆍ제2도심ㆍ제3도심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제1도심지역은 신정동으로 현재 울산의 모든 제요소를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적 특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을 보여준다. 제2도심지역은 옥교, 성남, 복산 등 6개 지역으로 중구의 구도심부라고 일컫는 지역인데, 인구밀도나 지가 등은 매우 높은 반면에 시설물은 취약한데, 도시기반시설이 도시생활 수준에 대응하지 못하여 인구나 상업환경이 약화되는 공동화 현상이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제3도심지역은 삼산을 비롯한 달동으로 주변지역의 도시환경 구축이 완료됨과 함께 점진적으로 도시확산이 이뤄지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도시 자원의 계속적인 유입과 입지가 이뤄지고 있다. 둘째, 부도심지역으로 무거동과 태화, 야음, 전하 및 농소 등 모두 6개 지역이 여기에 속한다. 무거동을 비롯한 옥, 야음, 태화지역은 도심지역의 연접해 있으며 도심지역의 외연적 확산에 의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는 특성을 보여 주며, 전하, 농소동은 도심지역에서의 접근성이 낮아 비지적 확산에 의한 독자적인 도시환경이 형성된 특성이 있다. 그 중 농소는 기존의 도심지역과의 사이에 개발제한구역이 형성되어 있어 접근성이 낮지만, 농공산업단지의 조성과 산업단지의 배후 주거지 형성 등으로 자체적인 도심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이다. 셋째. 기타지역으로 점이(漸移)지역과 이심(移心)지역 및 외곽(外郭)지역 등 3가지로 정리하였는데, 여기서 전이지역이란, 광역적 의미로 인식하여 부도심지역에 인접하는 지역으로 주변지역의 자원을 이용이 용이한 도시환경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라 정하였으며, 병영, 방어, 일산, 화정, 남목 등지이다. 이들 지역은 도시적 환경 접근이 불리하였으나 도시의 재구조화나 환경의 개선 등으로 점차적인 인구의 유입이 형성되고 있다. 이심지역은 도시계획상 기존 시가지와의 사이에 개발제한구역을 두고 비지적으로 도시환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지역의 여건에 적합한 도시환경을 구축한 지역으로 효문, 온산, 언양, 온양, 범서, 웅촌, 삼남 등지가 포함되었다. 이들 지역은 지역 특성상 기존 시가지와의 접근이 분리되어 있으며, 비교적 농촌적 환경에 있다. 1995년 도농통합 이후 울산의 외형적 규모는 매우 크게 확대되었지만, 기존의 시가지를 제외한 군 지역은 자체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은 대부분 농촌적 환경이 높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들 지역에 대한 도시적 개발 환경은 아직 미치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도시 내에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도시 개발환경이 매우 열악한 환경이라든지, 공업시설 환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적 특징을 보여 준다. 이에 군집된 지역으로는 북정, 약사, 두서, 서생 등 모두 13개이다. This study has analyzed Ulsan as the object to find the central area of the city and also studied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of regional cities and urban spatial structures. First of all, after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entral area and the changing process of urban spatial structures and analyzed variables of criteria which constitute a city like the population, the land, and the facilities with statistics. An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3 areas: CBD, minor CBD, and the rest of the areas. The conclusion is as the following: First, the CBD area can be, again, divided into these 3 areas: the 1st CBD, the 2nd CBD, and the 3rd CBD. The 1st CBD area is Shinjung-dong(新亭洞) and includes all criteria of Ulsan these days as well as showing the best of local characteristics which express urban characteristics in the most powerful way; the 2nd CBD areas, the old CBD, 6 areas of Okyo-dong(玉橋洞), Sungnam-dong(成南洞), Boksan-dong(福山洞), and etc. where the population and land values are very high while the urban facilities are absolutely not enough that it has lead to the donut phenomenon losing its population and commercial environments slowly because the urban infra-facilities have not been provided enough to meet the urban life standard; the 3rd CBD area, Samsan-dong(三山洞) and Dal-dong(達洞) where the urban environmental construction of the surrounding areas have completed as the urban criteria have simultaneously flowed into there because the urban area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Second, the minor CBD areas are 6 areas of Moogu-dong(無去洞), Taehwa-dong(太和洞), Yaeum-dong(也音洞), Junha-dong(田下洞), Nongso-dong(農所洞), and etc. Moogu-dong(無去洞) including Ok(玉洞), Yaeum(也音), and Taehwa(太和) areas are on the CBD and show the characteristics continuing the urbanization due to the external expansion of the central area while Junha(田下) and Nongso-dong(農所洞) have the characteristics formed their own unique urban environments by the leapfrogging expansion due to the low accessibility from the central area. Especially, Nongso(農所) has lower accessibility than Junha(田下) since there is the greenbelt area between Nongso(農所) and the existing CBDs; however, it has its own CBD as it has established the agriculture and industry complex and their residential districts. Third, the other areas are 3 areas of the transition, the decentration, and the suburb. The transitional area is the area, on the minor CBD in a wide view point, where has the convenient urban environments with ease of using sources from the surrounding areas. The transition area includes Byungyoung(北亭), Bangoe(伴驅), Ilsan(日山), Hwajung(華亭), Nammok(南牧), and so on. These areas had no accessibility to the urban environments, but the re-structuralization or improvements of their environments have created the population influx in the areas. The decentrational area has the greenbelt area between it and the existing towns according to the urban plan and has built urban environments with leapfrogging. In addition to that, it has also constructed adjusting urban environments suitable to their locality. It includes Hyomoon(孝門), Onsan(溫山), Onyang(溫楊), Bumsu(凡西), Oongchon(熊村), Sannam(山南) and etc. These areas are comparably in agricultural environments having separated access to the existing towns. After the rural and urban consolidation in 1995, the external size of Ulsan has expanded very wide; nevertheless, Gun areas with the exception of formal towns, the areas where there have been no self-urbanization, show highly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that there have been no urban developments yet. Although they are in the city of Ulsan, they show the rural characteristics which urban development environments are very inferior and industrial facility environments cover the most of the areas. They are 13 areas of Bookjung(北亭), Yaksa(藥泗), Doosu(斗西), Susang(西生),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