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통상 정책에 관한 한국기업의 대응전략 : 하이닉스반도체의 상계관세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상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1995년 1월 WTO 출범과 더불어 ‘보조금 및 상계조치에 관한 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보조금 문제와 관련된 국제적 규범이 마련되어, 반덤핑 관세에 관한 협정과 함께 주요 불공정 무역 행위에 대한 구제 수단으로 이용 되고 있다. 2005년을 전후로 세계 경제가 비교적 활황을 띄면서 반덤핑 및 상계관세 제도의 활용도는 다소 약화되는 듯하였으나, 최근에는 유례없는 세계 경제 불황의 영향아래 선진국을 중심으로 유치산업 보호를 위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있으며,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부과법을 강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보조금 및 상계관세 조치는 반덤핑 관세에 비해 그 이용 빈도는 낮으나, 다루는 분야가 각국의 산업 정책 및 조세제도 등으로 그 미치는 영향은 결코 작다고 할 수 없다. 특히 기업구조조정과 관련된 문제는 국가의 경제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코 소홀히 다루어 져서는 안된다. 한국의 경우, 그 동안 주요 교역국이었던 미국과 EU에 의해 철강 및 화학 제품에 대하여 보조금 문제로 제소되어 왔다. 최근에는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제품에 대한 미국과 EU의 제소가 있었는데, 바로 하이닉스반도체의 D램에 부과된 상계관세 조치가 그것이다. 하이닉스반도체 D램에 대한 상계관세 조치는 단발적으로 반도체에 미치는 영향만으로 분석될 수 없다. 이는 한국의 여타 산업부문에서의 기업구조조정도 통상 분쟁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한국 정부 및 기업에 중요한 숙제를 던져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EU·일본 정부의 對한국 반도체 상계관세 조치 사례를 중심으로 WTO 보조금협정 및 상계관세 제도와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미국·EU·일본 정부의 상계관세제소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주요 쟁점 및 기업구조조정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현행 WTO 보조금 협정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와 기업차원의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와 정책대안적연구방법을 병행 사용하였으며, 국내외의 국립도서관 및 사설 경제 연구기관의 연구자료와 하이닉스반도체의 공개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결론으로는 한국 정부와 기업이 상계관세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와 조사 축적을 통해 WTO 보조금 협정의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기술적으로 보조금 조건 설정으로 혜택을 최소화하며, 상계관세율의 예측을 통해 보조금 효과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마지막으로 상계관세 제소에 피제소국이 아닌 제소국의 위치에서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각국의 내부적인 자료는 접근에 한계가 있어 WTO의 공식적인 통계자료들과 보도매체와 연구자료를 근거로 본 주제에 대해 접근 하였으며, 이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상계관세조치의 경우 더욱 그렇지만, 통상문제는 특성상 각국의 시각차가 매우 크고 접근 자료에 따라 자국에 유리하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많으므로, 본 논문은 한국의 입장에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음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 비지니스 영어 평가 개발에 관한 연구 : 영어 업무 능력에 대한 TOEIC의 예측 타당도 검증과 델파이 연구

        김은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글로벌 비즈니스 시대에 인터넷을 통해 시시각각 세계 곳곳에서 들어오는 정보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게 되었다. 국제무역, 금융, 교육 투자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확한 정보를 빠르게 입수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서 인터넷의 공용어인 영어는 그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다. 비즈니스의 무대가 세계화 되어 가면서 국제적인 비즈니스 의사소통능력은 조직과 국가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세계의 흐름에서 뒤쳐지지 않고 세계 경제에 동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한국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비즈니스 영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TOEIC이 가장 선호되고 있지만, 학습자들은 영어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서도 많은 경우 현장에서 직접 영어로 업무를 수행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곧 TOEIC 시험이 한국 비즈니스 현장에서 필요한 영어 업무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TOEIC 시험이 한국 비즈니스 현장에서의 필요한 영어 업무 능력을 어느 정도 평가하고 있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시시 제출한 TOEIC 시험 성적과 실질적인 영어 업무 능력 평가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한국 실정에 맞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 66명, 상사 34명을 대상으로 입사시 TOEIC 성적과 영어 업무 능력에 대한 자가, 상사, 동료 평가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비즈니스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직원과 상사가 생각하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으며, 이를 TOEIC 시험 내용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 실정에 맞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OEIC 점수와 영어 업무 능력에 대한 자가 평가, 상사 평가, 동료 평가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와 회귀분석 결과에서, TOEIC의 듣기 점수와 TOEIC의 읽기 점수는 듣기 능력과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데도 한계가 있었다. 또한 말하기/듣기와 쓰기에 관한 영어 업무 능력에 대해서는 전혀 예측을 해 주지 못하였다. 둘째, 직원과 상사의 입장들을 대상으로 업무수행을 잘 할 수 있는 직원을 선발할 경우 평가해야 할 영어 업무를 분석해 본 결과, 직원이 응답한 항목은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 순이었고, 상사가 응답한 항목은 쓰기, 말하기, 읽기, 듣기 순이었다. 셋째, 직원과 상사가 생각하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내용을 삭제하고 총 45개 항목과 TOEIC 기출 600문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즈니스 현장에서 종사하는 사람들의 비즈니스 영어 평가 개발시 반영되어야 할 내용과 실제 TOEIC시험 문항간에 차이가 있었다. 고객 상담, 업무상 전화 통화, 외국 바이어와의 미팅 등 27개 문항은 실제 TOEIC시험에 반영되어 있지만, 프리젠테이션 자료 작성, 보고서 작성 등 18개 문항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넷째, 비즈니스 영어 평가 개발시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직종별, 업무별, 언어기능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업종과 업무에 따라 공통적으로 하는 업무들도 있지만, 주요 업무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비즈니스 현장에서 비즈니스 영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TOEIC이 실무에서의 영어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읽기, 듣기뿐 만 아니라 쓰기 및 말하기 영역에 대한 평가도구의 개발 및 보급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업종과 업무에 따라 하는 비즈니스 영어 업무가 다르므로, 업종과 업무에 따라서 평가 내용을 달리해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한국 비즈니스 상황에 맞는 업종별, 업무별로 다른 평가 내용을 선정하여, 네 가지 언어 기능을 모두 골고루 평가할 수 있는 비즈니스 영어 평가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앞으로는 업종과 업무에 따라 비즈니스 영어 평가 모형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we head into an era of the global business, the information from all over the world became the key determining factor measuring success and failure of our present and future. English, which is globally used in the internet as a public language, has gotten important by accessing the information fast and accurately from the different fields such as international trade, finance, educational investment and using it effectively. As we extend our business to the abroad, the good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international business reinforces the strength of nations and organizations. It has also been a critical factor to keep up the current trend in business and to cooperate with the world business. Under these circumstances, we prefer the TOEIC test to evaluate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in Korea, but we have had difficulties in performing our duties in English at work despite achieving a high score on the TOEIC test. This dictates that the TOEIC test does not evaluate the English proficiency well, which is needed in doing the business in the work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TOEIC test predicts the English proficiency in the workplace to some exten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EIC score and the proficiency of doing tasks in English and propose the better ways to evaluate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appropriately with respect to Korea business situation.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are 64 employees and 34 senior workers. This study will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part scores of TOEIC(submitted when applying the company) and the proficiency of the working skills in an office, which are evaluated by one, their seniors and their peer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show which contents should be involved in business English testing.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OEIC test, we show the better ways to evaluat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in accordance with the Korea business situation.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TOEIC scores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each group's English office work ability, the Listening Comprehension part score correlated low with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value in the task of listening. The TOEIC reading part score correlated low with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in the task related to reading. The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part scores of TOEIC did not correlate with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in the task related to speaking and writing. Second, the analysis results of tasks having to be evaluated in business English testing were that the English tasks suggested by the employees were related to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in order. However, English tasks suggested by the employers were related to writing, speaking, reading and listening in order. Third, both the employees and the employers suggested that all 45 contents be reflected to the business evaluation. Comparing these contents and TOEIC's 600 question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material which should have been reflected to the business English evaluation and the real TOEIC questions. Only 27 contents such as business talk, the conversation by phone, and meeting with the foreign buyers were reflected in the TOEIC test, but the other 18 contents such as writing reports and presentation were not. Finally,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on business English according to its job, tasks, and language function. There were common tasks and different tasks. In conclusion, the TOEIC test, which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in the workplace, does not evaluate the business English proficiency, enough, which is required in the workpla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the evaluation tools pertaining not only the reading and listening but also writing and speaking accordingly to the Korean business situation. We should choose the right evaluation contents with the different job and task, and develop the business English tools evaluating the overall four language functions because the different business tasks were required according to the job and task. Furthermore, the empirical research on business English evaluation is need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evaluation model of the business English according to the job and task.

      • 기초자치단체의 커뮤니티케어 욕구에 관한 연구 : 서산시를 중심으로

        김은상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that Seosan City has been developing Community Care through which the elders spend their lives in their own home as a preparation for the super-aged society in 2026.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ims to survey the demand for Community Care services and resource in Seosan City.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Social welfare worker, Medical care providers, Elderly aged over 65, and General people who live in Seosan City. All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Windows for 21. The survey questions were provided with the Likert scale answer choices. The survey of community care nee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are and the category of study subjects was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ge group, the survey on the need for community care health care and the survey on the desire for leisure activities showed that the elderly had higher desire than adults, and the survey on the need for housing security showed that adults had a higher desire than the elderly. Second, the survey of community care health insurance needs based on religious status and the survey of social activity leisure needs showed that people with religion have higher needs than those without religion. Third, a survey of community care social activities based 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showed that people with good health conditions had higher needs than those with poor health conditions. Fourth, the survey on the desire for health insuranc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eople studied generally showed that medical care workers and elderly group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health care than other groups. Fifth, the survey of nutrition nee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ose studied showed that medical care workers and elderly groups were more aware of nutrition management needs than welfare service providers. Sixth, the survey on the desire for housing secur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eople studied showed that medical care workers and general people group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housing security than the elderly groups. Seventh, the survey on the desire for soci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ose studied showed that welfare service providers and medical care workers, general people group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leisure activities than the elderly groups. The current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 as a pilot study for developing Community Care services appropriate for Seosan City. In addition, if Community Care with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i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Seosan City’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which is an undergoing program as ‘Community Care’ can be realized by. As a conclus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rawn. First, since the pilot program for community care has been conducted with a small budget, the infrastructure of the Community Care should be developed by closely rela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olicy. Second, the autonomy, creativity, and diversity of the residents of Seosan C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gram through active engagements of residents, not through the government-driven strategy. Third, I hope that optimal community care system which is appropriate for Seosan City will be established in spite of undergoing trial and error.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가 되는 2026년을 앞두고 건강한 노후를 자신이 살던 곳에서 보낼 수 있는 커뮤니티 케어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산시에 적합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및 자원에 관한 욕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커뮤니티케어 욕구 조사는 서산시 소재 복지시설 관계자, 의료기관 종사자, 65세 이상의 노인, 그리고 일반인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일반적 특성,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및 자원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욕구 조사를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for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커뮤니티케어 욕구 조사에 대한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욕구조사와 연구 대상자 분류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욕구 조사를 파악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령집단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건강보장 욕구 조사와 사회활동여가 욕구 조사에서 노인이 성인보다 욕구가 높게 나타났고, 주거보장 욕구 조사에서는 성인이 노인보다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종교 유무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건강보장 욕구 조사와 사회활동여가 욕구 조사에서 종교가 있는 사람이 종교가 없는 사람보다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커뮤니티케어 사회활동여가 욕구 조사에서 건강상태가 좋은 사람이 건강상태가 나쁜 사람보다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자의 분류에 따른 건강보장 욕구 조사에서는 대체적으로 의료기관 종사자와 65세 이상 노인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건강보장 욕구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의 분류에 따른 영양관리 욕구 조사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와 65세 이상 노인 집단이 복지시설 관계자 집단보다 영양관리 욕구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대상자의 분류에 따른 주거보장 욕구 조사에서는 의료기관 종사자와 일반인 집단이 65세 이상 노인 집단보다 주거보장 욕구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 대상자의 분류에 따른 사회활동여가 욕구 조사에서는 복지시설 관계자, 의료기관 종사자, 일반인 집단이 65세 이상 노인 집단보다 사회활동여가 욕구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는 서산시에 적합한 커뮤니티케어의 사전 욕구 조사로써의 의미가 있으며 국토교통부 사업으로 진행 중인 서산시 도시재생뉴딜사업과 협업하여 커뮤니티케어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한다면 서산시가 커뮤니티케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함과 동시에 주민참여에 의한 함께 돌봄 시스템을 만들어 정서적지지, 자원봉사와 나눔, 안부 확인 등으로 ‘커뮤니티케어’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커뮤니티케어는 작은 예산을 가지고 작은 규모로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하여 케어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자체 주도의 사업설계가 아닌 주민참여를 통한 주민의 자율성·창의성·다양성을 반영하고 지역에 맞는 복지체계 네트워크를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성과에 대한 집착보다는 시간을 가지고 시행착오를 거치더라도 제대로 된 서산시 실정에 적합한 최적의 커뮤니티 케어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 객실승무원이미지가 항공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1968년 국영사업이던 대한항공이 민간항공으로 다시 태어난 이래 , 1988년 우리나라 제 2민항으로 아시아나항공이 출범한지 십수 년이 지난 지금 대내외적으로 항공사의 경제적 활약 뿐 아니라 그 밖의 사회적 활동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더욱이 해외여행 자유화와 소득 증대 등으로 인해 교통수단으로서 항공사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졌으며 이에 항공사 또한 다양해진 고객의 요구에 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때이다. 계속해서 생성되고 변화하는 이미지의 속성을 볼 때, 기업의 무형의 자산으로서의 이미지 역할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항공사로서는 각 이미지원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있어야 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항공사의 이미지원 중 객실승무원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항공사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예약/발권을 시작으로 지상직원의 서비스, 비행스케줄, 광고나 홍보, 기내 물품의 다양성 등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으며 항공사 고객과 접점시간을 가장 오래 공유하는 객실승무원 이미지의 증요성은 당연하다할 수 있겠다. 항공사 이미지의 구성원으로 객실승무원 이미지를 조명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1. 각 항공사 이미지상의 선호하는 항공사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항공사 이미지 요인 중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는 항공사 이미지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각 항공사 객실승무원 이미지 중 선호하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각 항공사별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는 객실승무원의 대표적인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부여는 다를 것이다. 가설 5.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객실승무원의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부여는 다를 것이다. 항공사 이미지의 형태를 몇 개의 차원으로 묶어 그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객실승무원이미지역할을 알기 위해 객실승무원 이미지요인을 다시3개로 묶어 항공사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항공사객실승무원의 주요이미지를 알아 보았다. 분석방법은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프로그램인 SPSS ver.11.0: PSS Inc., 2001)를 이용하였다. 가설의 검정을 위해 집단간의 차이검정기법으로서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성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된 내웅의 통계적 유의도 검정은 사회과학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95%의 유의도 수준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1. 항공사 이미지에 있어서 국내항공사 이미지를 외국 항공사에 비해 월등하게 선호하는 걸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2.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는 항공사 이미지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되어 두 번째 가설도 채택되었다. 3. 선호하는 객실승무원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O항공과 K항공 객실승무원의 이미지가 타 항공상 객실승무원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다. 4. 각 항공사별 객실승무원의 이미지는 객실승무원의 대표적인 이미지요인 중 특정한 요인과 정(+)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외형적인 요인은 A항공사 객실승무원, 인성적 요인은 O항공 객실승무원, 업무 수행 요인은 K항공 객실승무원이 가장 높은 상관성이 있는 걸로 나와 지지되었다. 5.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객실승무원의 이미지에 대한 중요도 부여가 다를 것이라는 가설에서는 탑승횟수, 연령, 직업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부분에서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으며, 학력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걸로 검정되어 가설이 기각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듯이 항공사의 이미지원으로서의 객실승무원의 위치는 간과할 수 없는 것임에 틀림이 없다. 논자는 이를 바탕으로 객실승무원의 이미지 중 어떤 요소에 더 비중을 둬야 할 것인지를 알고 독려하고자 한다. 국내 항공사에 대한 이미지가 월등하며 이에 포함된 두 항공사객실승무원이미지에 인성적 요인과 업무 수행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면 이를 항공사이미지를 발전시키는 요소로 개발 시켜야 할 것이다. For several decades since Korean Airline as a national enterprise was privatized in 1968 and the second civil airline Asiana Airline was launched in 1988, the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of these airlines are remarkable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Moreover,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and the rise of income have made it easy for people to access airlines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In response to this trend, airlines need to be keen for meeting customers' diversified demands. Considering the nature of images that continue to occur and change, airlines that heavily depend on their image as their intangible asset must examine each of their image source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cabin crews among airlines' image sources, and to develop a representative image of cabin crews. Elements composing the image of an airline include booking/ticketing, ground crews' service, flight schedule, advertisement and promotion, the assortment of in-flight goods, etc. but it is most natural that the image of cabin crews is important because they spend the longest time with passengers. In this research to illuminate the image of cabin crews as a factor of airline imag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formulated. Hypothesis 1 There will be an airline image preferred. Hypothesis 2 Among the factors of airline image, the image of cabin crew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airline image.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cabin crew image preferred. Hypothesis 4 Airlines will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weighing the importance of the representative image of cabin crews. Hypothesis 5 Respondents will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weighing the importance of the representative image of cabin crews.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airline image from a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and, in order to find the role of cabin crew image, analyzed the effects of three factors of cabin crew image on airline image. In addition, main images of airline cabin crews were investiga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ver.11.0: PSS Inc., 2001).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inter-group difference test methods such as t-test and ANOVA,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etc.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nalysis results was tested at significance level of 95%, which is commonly applied in social science resear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Respondents exceedingly preferred the images of Korean airlines to the images of foreign ones, so Hypothesis 1 was accepted. 2. As it was pro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at the image of cabin crews has a positive (+) effect on airline image, Hypothesis 2 was also accepted. 3.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preferred cabin crews was accepted because the images of crews of Asiana Airline and Korean Airline were preferred to those of other airlines. 4. The hypothesis that in each airline the cabin crew image will be in a positive (+) correlation with specific factors among representative image factors of cabin crews was supported as the external factor was in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rews of Asia-based airlines, the character factor with the crews of Asiana Airline and the work performance factor with the crews of Korean Airline. 5. With regard to the hypothesis that respondents will b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weighing the importance of the representative image of cabin crew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ir trips, age and occupation but the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in terms of gend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academic qualification. Thus the hypothesis was rejected. As presented above, the image of cabin crew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irline image and the representative image of cabin crews was different among air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applied in establishing airline image strategies.

      • Algorithm engineering on multikey quicksort and multi-byte string matching

        김은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classical algorithmics, the analysis of algorithms for combinatorial problems focu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asymptotic worst-case run-times. However, asymptotically fast algorithms might not be efficient in practice. In addition, with growing requirements for innovative algorithm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grows larger. Algorithm engineering copes with these problems and bridges the gap between the efficient algorithms developed in algorithmic theory and the algorithms used by practitioners. In this thesis, we study algorithm engineering on string matching problem and focus on two issues. First, we consider multikey quicksort for sorting strings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suffix array construction algorithms. Bentley and Sedgewick proposed multikey quicksort with 'split-end' partitioning for sorting strings. But it can be slow in case of many equal element strings, because 'split-end' partitioning moves equal elements to the ends and swaps back to the middle. We improved multikey quicksort in such a case. First, we improve the operation of swapping equal elements from the ends back to the middle in 'split-end' partitioning. Then we improve multikey quicksort by using another partitioning method called 'collect-center' partitioning, instead of 'split-end' partitioning. In case of many equal element strings such as DNA sequences, HTML files, and English texts, multikey quicksort with 'collect-center' partitioning is faster than that with 'split-end' partitioning. Second, we consider a problem of false matches on multi-byte character set texts. In practice, how the pattern and the text are encoded can make the classic string matching algorithms report false matches. But,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the matching on multi-byte texts and especially there is no result based on suffix approach such as Boyer-Moore algorithm, Horspool algorithm, and its variant which can skip quickly over the text areas that are seen not to contain a match thus have a fast searching speed. We present two algorithms for searching strings on multi-byte texts in this thesis. First, we improve KMP algorithm by adopting a character-based prefix function to avoid false matches on multi-byte texts. Next, we improve Sunday algorithm, a variant of Horspool algorithm, by adopting a character-based shift table. A prefix function with character as a unit and a shift table with character as a unit are proposed for the first time. These algorithms do not only eliminate false matches, but also ensure a fast searching speed without a large slow-down, compared with based algorithms. 고전적인 알고리즘에서는, 조합 문제를 위한 알고리즘의 분석으로써 점근적인 최악 시간 복잡도의 이론적인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점근적으로 빠른 알고리즘들이 실제로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혁신적인 알고리즘들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과 동시에, 이론과 실제 사이의 차이는 날로 커져가고 있다. 알고리즘 엔지니어링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여, 알고리즘 이론으로 개발된 효율적인 알고리즘들과 실제로 사용되는 알고리즘들의 차이를 메우는 교량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열 검색 문제에 대한 알고리즘 엔지니어링을 다루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두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째로, 접두사 배열 생성 알고리즘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인 문자열 정렬을 위한 멀티키 퀵소트를 개선한 결과를 제시한다. Bentley와 Sedgewick은 'split-end' 분할을 적용한 멀티키 퀵소트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split-end' 분할 방식은 기준 원소와 동일한 원소들을 배열의 양 끝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중앙으로 모으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문자열에 기준 원소와 동일한 원소들이 많이 있는 경우 느려질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경우에 멀티키 퀵소트를 개선한다. 먼저, 'split-end' 분할 작업을 개선한 결과를 제시한다. 그리고 우리는 'split-end' 분할 대신에 새로 제시하는 'collect-center' 분할 방식을 적용하여 멀티키 퀵소트를 개선한다. DNA 염기서열, HTML 파일, 그리고 영문 텍스트와 같이 기준 원소와 동일한 원소가 많은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에 ‘collect-center’ 분할을 적용한 멀티키 퀵소트는 'split-end' 분할을 적용한 것보다 빠른 속도를 보인다. 둘째로, 우리는 다중바이트 문자집합 텍스트에서 오검색을 제거한 결과를 제시한다. 실제로, 패턴과 텍스트가 어떻게 인코딩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기존의 문자열 알고리즘은 오검색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다중바이트 텍스트 상에서의 문자열 검색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Boyer-Moore 알고리즘, Horspool 알고리즘 등과 같은 접미사 접근방식에 기반한 결과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다중바이트 텍스트에서의 문자열 검색을 위한 두가지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먼저 우리는 오검색을 피할 수 있도록 문자단위 접두사 함수를 적용하여 KMP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문자단위 이동 테이블을 적용하여 Horspool 알고리즘의 변형인 Sunday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문자단위의 접두사 함수와 문자단위의 이동 테이블은 처음으로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들은 오검색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들과 비교했을 때 큰 속도 저하 없이 빠른 속도를 보장한다.

      • 혁신성과와 기업성과를 기준으로 한 벤처기업군의 차별화 경영요소 연구

        김은상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venture business is understood as the cradle of job creation and the engine of growth in a country, the social and economic importance of venture firms has increased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For this reason, government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rush to implement policies to support the venture business. In spite of their significance, many of these firms disappear from the market not long before their creation. One of the reasons why they fail too often is that efforts for innovation do not guarantee innovation as a result; and innovation performance do not guarantee economic performance either. In this thesis, I intend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venture firm and to help devise a strategy for a firm to move towards higher economic or innovation performance. I classify venture firms into nine groups by their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ir management compon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work aims to offer an entrepreneur a specific strategy for moving his/her firm toward higher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study, this thesis uses 2012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that surveyed 2,034 of accredited venture companies. This data that contains the answers of venture firms to specific questions about management components, is reliable so the Korean government makes use of it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venture business and for making policies for the venture business. With a cluster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I identify and map nine groups on the three-by-three matrix which indicate three levels of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We name each group as Dust, Surviving, Economic, Dreaming, Planet, Gathering, Potential, Practicing, and Star. Then, we assume five growth paths on the three-by-three matrix in order to get practical implications. I analyze the differences of neighboring groups along the paths in their management components by using probit analysis about six dimensions of management components: founder, organization, technology, fund, marketing, and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The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a firm along the five paths shows that management components which a firm needs to move toward an adjacent group are different among groups on the same path as well as on different paths. For example, given a level of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 between the low and middle degree of innovation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that between the middle and high innovation performance. Likewise, given a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 between the low and middle degree of economic performance is also different from that between the middle and high economic performance. My model provide an entrepreneur with a conceptual model to locate their position on the matrix of the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o conceive his/her firm strategies: how to control the management components for higher innovation and/or economic performance. 벤처기업은 국가 성장 동력 및 일자리 창출의 요람으로 그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벤처기업이 창업 후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사라져간다. 벤처기업이 사라지는 이유 중 하나는, 벤처기업이 신제품 개발 및 신시장 개척과 같은 혁신성과를 이루기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혁신성과를 이루기 힘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혁신성과가 창출된다고 하더라도 기업성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벤처기업을 혁신성과와 기업성과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벤처기업을 분류하고 각 그룹 간 경영요소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벤처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혁신성과 및 기업성과 향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실증연구를 위하여 벤처협회가 매년 대규모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벤처정밀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정부가 벤처기업의 실태 파악하고 벤처 육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신뢰성 높은 자료이며, 벤처기업들의 경영자원들에 관한 상세한 설문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벤처기업 혁신성과의 상, 중, 하 수준 및 기업성과의 상, 중, 하 수준에 따라 9가지 그룹(Dust, Surviving, Economic, Dreaming, Planet, Gathering, Potential, Practicing, Star)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후, 실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9가지 그룹에 대해 5가지 경로를 설정하고 프로빗 분석을 실시하여 각 경로상의 그룹 간 경영요소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연령과 기업규모 외에도 기업가, 조직, 기술, 자금, 마케팅, 외부자원활용의 6가지 차원으로 경영요소를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경로 간에 유의미한 경영요소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로 내에서 이웃한 그룹 간 유의미한 경영요소 또한 그룹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의 정도에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면, 기업성과가 낮은 그룹들 간의 분석에서, 혁신성과가 낮은 그룹과 중간인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는 혁신성과가 중간인 기업과 혁신성과가 높은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혁신성과가 낮은 그룹들 간의 분석에서, 기업성과가 낮은 그룹과 중간인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는 기업성과가 중간인 기업과 높은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가가 자사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향후 전략적 방향에 따라 어떤 경영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國家競爭力 提高를 위한 EDI適用에 관한 硏究

        김은상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European Community(EC) had proclaimed a single market and guaranteed the free movement of goods and service within its area. it threatened other counties to lose major export opportunities. Korea's major trade partners, such as U.S.A., Canada, Australia, EC, France, Japan,Singapore,Hong Kong, etc., already automated the trade procedure. As a result, they are advancing their trade-related business and increasing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o these outside pressures, since the late 1980s, there has been widespread recognition an Korean government and industries that Korean farms cannot be competitive on international markets without improving the trade procedure and reducing the trade expense. Furthermore, Korea have a short social overhead capital(SOC) such as highway, bay, industrial water, power, transportation, airport, network, railroad, etc.. In order to reduce inbound and outbound logistics cost, the change an situation of Korean trade have been strongly demanding the paper's trade procedure via EDI. This paper analyzes the primary factor of weaknesse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 Korea. As a result of study on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if the adman and commerce network, the custom clearance network and the logistics network which as currently promoting, are unified into integrated trade network which this paper proposes the total trade model(TT Model) via EDI. This performs the important role of social indirect capital's expansion and the price as well as quality competataveness.In the view of considering the nation as an enterprise or industry, the national competition as also the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of products. This paper propose the plan to strengthen the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t as proven by quantitative analysis that the logistics and trading cost reduction, the primary factor of price competitiveness, has effects on the strengthen of the price advantage, just-an-tame(JIT) and performance of the terms of trade. This paper analyzes the expected effects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ffects based on the estimations of the research and government institutions since 1989. The quantitative effects are (1) the reduction of trade procedure handling time, (2) the reduction of trade procedure handling expenses, (3) the creation of demand for national information industries. It is expected to take a qualitative effects through the whole economy and society of Korea. Also it take 19-28 days to completely process the trade procedure with 26 types of trade-related documents. When paper's trade procedure is realized, the trade procedure handling time is reduced to 4-7 days. 〈Table Ⅳ-4〉 summarized the reduction time by comparing current and paper's trade procedure. By analysis as page 139, it is expected that reduction expenses would be 4.2 billion(80 billion dollars base per year) dollars thru TT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