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픽 모델링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사회 연결망 분야 연구 동향 분석

        김유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많은 학술 분야에서 사회 연결망 분석을 적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개인, 집단 등 대상과 대상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인터넷을 비롯한 기술의 발전과 복잡계 사회로의 이행에 따라 다양한 문제와 현상이 개체간의 관계성으로 해석되었으며 그에 따라 사회 연결망 분석의 방법론이 각광받고 있지만 연구 분야에서 사회 연결망 분석의 동향은 국내 특정 학술 분야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으로 사회 연결망 분석의 적용 다양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 연결망 분석 관련 국내외 학술 문헌을 수집하여 사회 연결망 분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6년간 전 세계 학술 문헌 데이터베이스인 scopusDB로부터 사회 연결망 분석 관련 문헌 58,122건을 수집하였으며 이를 정제하여 최종 56,951건의 문헌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문헌의 제목, 초록, 키워드, 저자 키워드의 텍스트 데이터에 대량의 문서로부터 유의미한 주제를 도출할 수 있는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여 사회 연결망 분야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 주제를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개의 토픽과 각 토픽의 시간에 따른 상승/하락 양상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수집한 문헌의 연구자 정보로부터 학술 분야를 추출, 학술 분야 연결망을 분석한다. 연결망은 전체 연결망과 각 4년 단위의 총 5개 연결망으로 나누어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연결망 지표를 도출하여 확인하였다. 중심성은 물리학과 생물학, 교육학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사회학 및 심리학은 점차 영향력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사회 연결망 분석을 적용한 연구에서의 다양한 주제와 분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연구자들의 연구 주제 탐색 및 사회 연결망 분석을 적용한 연구의 다양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ocial Network Analysis(SNA) has attracted a fair amount of attention in various research areas. SNA is a process of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such as individuals and groups. Although the methodology of SNA has become an interesting field for researcher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ing technologies and emergence of complex systems, research trends of SNA have not ful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the trends of the social network fiel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scholarly articles related to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First, topic modeling is applied to corpus obtained from title, abstract, keywords of the literature. Twenty topics and their ascending or descending trends are identified. Secondly, we extract the academic fields from the researcher information and analyze the academic field network. Results show that Physics, Biology, and Education have taken a central position in the network, while Sociology and Psychology have gradually become less influential.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future researchers to explore research topics in SNA and improve the diversity of future research.

      • 塘村 黃暐 硏究

        김유빈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angchon Hwang-wee was born in the early 17th century after Im-jin war(壬辰倭亂) and Jeong-yu-jae-ran(丁酉再亂). This period when the dispute between the West and the South was confronted due to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And court has become a division of the state on the whole of society. In this society, through the poetry and writing explained the dangchon’s attitude of life. He had a consistent attitude of ardent patriotic sentiment and lived a life that didn't follow the power. Dangchon lived in a time of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t the time of the Manchu war of 1636(丙子胡亂), he participated in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exercise. And He became Jeong, Hong-myeong’s special solider, he practiced his loyalty by his wholly charged and managing the soldiers. During he stayed in his hometown because he was impeached, he could see the state worrying about the country for the king. Dangchon’s an attitude that didn't follow his authority could be seen in his friendly relation. He didn't mate people who follow the power and party sharing and didn't even face them. In this way, we could infer that he had an attitude of not following authority. And Dangchon’s position of focusing on the record can be confirmed in his book. Dangchon had seven books except Dangchon-jip(塘村集). Dangchon-hanhwa(塘村閑話) and Bukgwan-diary(北關日記) contain contents about his activities and interests. Jangcheon-sejeog(長川世蹟), Ikseonggong-silgi(翼成公實記), Mumingong-silgi(武愍公實記) contain a story about his ancestors could be inferred that he has the will to succeed the family. Through Chungryol-record(忠烈錄), Jeongchung-record(旌忠錄), he showed respect and admiration for the ancient writers of loyalty and righteousness. These writing activities showed Dangchon had an attitude that values keeping records.

      • 성인 당뇨환자의 건강관리행태 및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김유빈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고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1차년도(2013년), 2차년도 (2014년), 3차년도(2015년)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22,898명 중 구강검사에 참여한 21,651명을 추출하여 이 중 당뇨병 진단을 받은 만 19세 이상 성인 1,4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소득수준, 교육수준), 건강관리행태(음주, 흡연, 운동), 당뇨병 치료여부가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치주질환 이환 여부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치주조직 점수 부여 원칙으로 사용한 지역사회치주요구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유무는 성별과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치주질환 유병률은 평생 흡연 경험이 없는 자, 현재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치주질환의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당뇨병 환자의 성별, 나이, 평생흡연여부, 현재흡연여부가 치주질환의 이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당뇨병의 관리 정도와 아울러 건강관리행태에 따라 치주질환 유병률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당뇨 환자의 효율적인 건강관리와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figure out the health care habit of adult diabetic patients, to research the relevance with periodontal diseases. For this, this study utilizes the primitive data of the first year (2013), the second year (2014) and the third year (2015) in the sixth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21, 651 who participate in the oral test are extracted among 22,898 in total, and 1,417 adults over 19 who are diagnoses with diabetes are selected. The study figured out the effect factors on periodontal diseas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x, age, marital status,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health management habit(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and whether they received diabetes treatment or not. Status of periodontal diseases utiliz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CPITN)used as the principle of score granting of periodontal tissue i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SPSS 22.0 is use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First, the research show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ex and income level in the relation of periodontal status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persons who never experienced smoking in their life time and the persons who are not smoking now show low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Thir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sex, age, whether they have smoked for a life time, whether they are smoking now, 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ansition of periodontal disease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find out that the health care status along with the treatment level of diabetes influences to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health care and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diabetic patients.

      •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의 관계적 맥락에 대한 크로노토프 분석

        김유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uditory culture allows the sound,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to be heard. On the other hand, the visual culture again shows the object, which exists in reality. Sound is presentational in a sense of being construct, which doesn't exist in reality. Unlike this, the visual object represents a subject. In this way, auditory sense and sight are the conflicting sensory modality, but are integrated to be experienced. However, we downplay auditory experience amid the visually-centered society. In other words, there is tendency of failing to recognize this while living in the sound consumption culture. This writing aims to let it be informed of which we are in the middle of society that sound consumption culture and visual culture coex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s formed under relational context according to the chronotope analysis. For this, it will discuss richly about sound consumption culture and will suggest substantial data of proving relational context of using mobile sound media.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chronotope analysis, which shows the living behavior of including the use of media on the coordinate planes. As the chronotope analysis is what grasps the use of media in the spatio-temporal context by adopting a method of Time-GIS, it is a new media-use survey method of seeing it relationally and integratively, with escaping from the functionalist perspective that had been taken by the existing media-use surveys. mobile sound media is 'relational and network-based media,' not 'isolated media.' This implies that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s formed along with the media behavior as well as the living behavior amid the daily space time. This characteristic was expressed as the statement as saying of "being put under the relational context" in this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uggest one perspective of looking at mobile sound culture by concentrating on the media-based property in 'auditory media' itself. In other words, the aim is to research into which listening custom was created by the media-based property in mobile sound media, which is a research subject, and into influence of this upon daily life.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integrated with three kinds. First, it will escape from the tendency of a visually-centered research by performing a research on mobile sound media,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dia of initiating the sound consumption culture. A research on culture of using mobile sound media has been performed extremely restrictively compared to its social-cultural value. Second, the aim is to clarify that mobile sound media is digital media and is formed under the relational context. The existing researches analyzed the use of mobile sound media in a frame same as the analogue media, thereby having failed to highlight the property as digital media. Also, it grasped mobile sound media from the isolated sight, thereby having failed to have an essential insight into the pattern of using mobile sound media. Third, this writing discusses about the chronotope analysis that was suggested by Lee Jae-hyeon(2009), thereby aiming to clarify that this can be one paradigm of surveying the pattern of using media. Also, it suggests a concept dubbed 'media rhythm,' thereby likely proposing on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pattern of using media. This study adopts this approach, thereby likely attempting the first quantitative research in a research on culture of using mobile sound media, which had been standardized by a qualitative research. 청각문화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사운드(sound)를 들려주는 반면, 시각문화는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다시 보여준다. 사운드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구성물이라는 점에서 제시적(presentation)이다. 이와 달리 시각물은 대상을 재현(representation)한다. 이렇듯 청각과 시각은 대립하는 감각양식이지만 통합적으로 경험된다. 하지만, 우리는 시각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청각경험을 경시한다. 즉, 사운드 소비문화 속에 살면서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은 우리가 사운드 소비문화와 시각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사회 속에 있음을 알리려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MP3플레이어의 이용이 관계적 맥락하에 이루어지고 있음을 크로노토프 분석에 의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운드 소비문화와 관련된 풍부한 논의 및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의 관계적 맥락을 입증하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 이용을 비롯한 생활행동을 좌표평면상으로 나타내는 크로노토프(chronotope) 분석을 적용하려 한다. 크로노토프(chronotope) 분석은 시간 지리학(Time-GIS)의 방법을 도입해 미디어 이용을 시공간의 맥락에서 파악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미디어 이용조사들이 취한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관계적이며 통합적으로 보는 새로운 미디어 이용조사법이다.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는 ‘고립적인 미디어’가 아니라 ‘관계적이며 네트 워크적인 미디어’이다. 이는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이 일상의 시공간 속에서, 생활행동뿐 아니라 미디어 행동과 함께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을 본 연구에서는 “관계적 맥락하에 있다”라는 언명으로 표현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청각 미디어’ 그 자체의 미디어적 속성에 집중함으로써, 모바일 사운드 문화를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즉, 연구대상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의 미디어적 속성으로 말미암아 어떠한 청취관습이 생겨났고, 이것이 일상생활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려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사운드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가장 대표적인 미디어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시각중심적인 연구경향에서 탈피할 것이다.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이용 문화에 관한 연구는 그 사회문화적 가치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둘째,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가 디지털 미디어이며, 관계적 맥락하에서 이루어짐을 밝히려 한다. 기존 연구들은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을 아날로그 미디어와 동일한 틀에서 분석했기에, 디지털 미디어로서의 속성을 부각하지 못했다. 또한, 고립주의적 시각에서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를 파악했기에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 패턴에 대한 본질적 통찰을 하지 못했다. 셋째, 이 글은 이재현(2009)이 제시한 크로노토프 접근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함으로써, 이것이 미디어 이용 패턴을 조사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음을 밝히려 한다. 본 연구는 이 접근법을 채택함으로써, 질적 연구로 획일화되었던 모바일 사운드 미디어 이용문화 연구에 있어 최초의 계량적 연구를 시도할 것이다.

      • IoT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수 병해충 발생 예측시스템

        김유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는 ICT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는 기술 융합의 시대이다. 농업 분야에서도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적용하여 현장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한 돌발적인 병해충의 발생 및 외래 병해충의 유입이 증가하고, 그 결과로 농작물의 피해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림부를 비롯한 관련 기관에서는 기상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병해충 예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주요 작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고,특용과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특용과수는 재배지 기후환경 및 과수의 생육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제공되는 병해충 예찰 정보는 이러한 조건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특용과수에 맞는 병해충 예찰을 위해서는 기상청의 기상정보와 재배지 기상정보, 병해충 및 작물의 생장 환경정보 등 관련 연구간 상관관계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 신시나리오에 맞게 재배지 기후환경, 작물의 생육환경, 병해충의 생태적 특징 등 다양한 분석 모델을 통해 병해충의 발생 시기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히 매실 낙과의 원인이 되는 복숭아씨살이좀벌 예찰을 위해 IoT 기반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수 병해충 발생 예측시스템을 제안한다. 주요 적용 분야는 병해충의 방제를 목적으로 과수의 생태적 환경과 병해충의 발생특성 간 상관관계에 따른 예찰 알고리즘과 기상청 및 재배지의 기후모형 분석을 통해 병해충의 발생 시기 예측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나노셀룰로오스 기반 고분자 복합체의 기계적 강화와 에너지 하베스팅으로의 응용

        김유빈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 속성을 갖춘 소재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요즘, 용이한 접근성과 수급성,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경량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비독성과 생분해성 덕분에 인체와 환경에 무해한 ‘나노셀룰로오스‘에 관한 연구가 그 중에서도 독보적인 관심을 얻고 있다. 나노셀룰로오스는 에너지 전환과 저장, 환경, 촉매, 제지, 생체재료, 복합소재,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주요 소재로 채택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친환경적인 기원이 강조되는 에너지 전환과 복합소재 개발 분야에서는 더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나노셀룰로오스를 선구 물질로 하여 표면 개질 반응을 통한 나노셀룰로오스 소수성 강화재와 화학적 가교 반응을 통한 나노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1단원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소수성 강화재와 복합소재에 대해 다루었다. 나노셀룰로오스의 표면 개질 반응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고, 변화한 표면 성질과 복합소재의 기계적/유변학적/열적 성질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의 2단원에서는 나노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개발과 응용에 대해 다루었다. 나노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의 화학적/구조적/형태학적/나노유체학적 성질들이 탐구되었고, 압력 조건 하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디바이스로의 응용 또한 연구되었다. Interests on development and the utilization of various sustainable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boosted. Nanocellulose, inter alia,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due to the fact that it represents ubiquitousic character, high mechanical properties, non-toxicity, biodegradability, and most of all, eco-friendly nature. Currently, nanocellulose is being employed as the main material towards energy conversion, energy storage, environmental engineering, catalyst, biomaterial, display, and nanocomposite research. In this sense, I developed the nanocellulose-based hydrophobic reinforcement and the chemically crosslinked membrane for the purpose of green nanocomposite and energy conversion device. In chapter 1, it was demonstrated that nanocellulose was surface-modified by hydrophobic small molecules through EDC/NHS protocol and the nanocomposites exhibited unique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which were the indicative of mechanical reinforcement. In chapter 2, it was presented that the chemical, structural, morphological, and nanofluidic properties of nanocellulose-based membrane were systematically examined and its application towards ionic energy harvestor was facilitated.

      • 산티아고 시에라(Santiago Sierra)의 작품 연구 : ‘불화(Disagreement)’ 개념을 중심으로

        김유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 exploration and analysis of works by Spanish contemporary artist Santiago Sierra based on the concept of ‘Disagreement’ mentioned by Jacques Rancière. In terms of art history, his works have been primarily criticized for having derived from Minimalism and Conceptual Art of the 1960s and 1970s. Sierra's most well-known works involve hiring laborers to complete menial tasks. His pieces are viewed as a criticism of capitalist society, they in turn are critiqued for exploiting those who are alienated for utilizing such a method of working. When it comes to his works of art, the most striking dispute pertains to the problem of aesthetics and ethics arising from delegated performers. This is related to the topographical changes caused by a performer’s involvement in contemporary art. As Sierra’s works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involvement of performers, viewer participation in Minimalism after the 1960s is reviewed as a prerequisite of its discussion. The strategy of negativity that stands out in Sierra’s works can also be found in the traditions of the system criticizing art. We can take a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Sierra’s works when we examine how the realm of art has been reconstructed by the conditions of participation and involvement with an increase in joint work since the 1990s. An argument over relational aesthetics and ‘antagonism’ between art critic and curator Nicolas Bourriaud and art historian Claire Bishop is a typical example that showcase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toward participatory art. Bishop brings into question the ‘ethical turn’ in which any artistic judgment is encroached by ethical criterion as joint works increase in contemporary art or a social turn is made, moving beyond simply pointing out that ‘antagonism’ is absent from Bourriaud’s aesthetic judgment. The core of Sierra’s ethical criticism is that his works are either a model of ‘bad’ collaboration or an unsuccessful exploitation involv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This criticism is again challenged by a critique of the ethical turn mentioned above. The latter faces a point that is overlooked when any ethical involvement in art is exceeded and there is a risk from the united community. At this point ‘disagreement’ is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partage du sensible)’ through dissensus, not consensus, which is the invention of a new subjectification. This responds to the topography deriving from the concepts of ‘part of those that have no part(part des sans parts)’ and ‘anyone(n’importe qui)’. Thu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concept of ‘Disagreement’ to explore any aesthetic judgment that might be overlooked in Sierras’ work by ethical judgement. In particular, it seeks typical scenes of ‘Disagreement’ such as <Wall Enclosing a Space> as being in the way, <133 Persons Paid to Have Their Hair Dyed Blond> as a negation of a united community, and <No, Global Tour> as a self-organization in lieu of any demonstration. Although his work reveals its compatible stance with an increase in joint work and an expansion in discussion on participatory art, it has been treated as some example case. And yet, Sierra’s work is seen as an attempt to expand productive discussions on aesthetic experience as it simultaneously brings questions over both aesthetics and ethics to the contemporary horizon. 본 논문은 논쟁적 예술가로 알려져 있는 스페인의 현대미술가 산티아고 시에라(Santiago Sierra)의 작품을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가 말하는 ‘불화(Disagreement)’개념을 통해 분석한 연구이다. 시에라의 작품에 대한 비평은 미술사적으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범주에서 주로 다뤄지며, 돈을 주고 고용한 사람들을 무용하고 모욕적인 노동에 종사하도록 한 작품으로 알려졌다. 시에라의 작품이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제시되고 인식될 때, 역으로 단지 그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소외된 자들을 착취할 뿐이라고 비판받는다. 그로인해 시에라의 작품을 논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논쟁은 위임된 수행자(performer)로 인해 발생하는 미학과 윤리의 문제이다. 이는 현대 미술에서 참여로 인한 지형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시에라의 작품 역시 수행자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논의의 전경으로서 1960년대 이후 미니멀리즘에서 대두된 관객 참여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시에라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부정성의 전략은 제도비판 미술 전통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1990년대 이후 협업의 증가로 인한 참여의 조건들이 미술의 영역을 어떻게 재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시에라의 작품이 갖는 현재적 위치를 조망하게 해준다. 특히 미술 비평가이자 큐레이터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와 미술사학자 클레어 비숍(Claire Bishop) 사이에 발생한 관계의 미학과 ‘적대(Antagonism)’ 논쟁은 참여미술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부리오의 미적 판단에서 ‘적대’가 삭제된 것에 대한 지적에서 나아가 비숍은 현대미술에서 협업의 모델이 증가함에 따라, 즉 사회적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예술적 판단이 윤리적 기준에 의해 잠식되는 ‘윤리적 전회’를 문제시한다. 이 같은 논의 선상에서 특히 시에라에게 첨예하게 제기되어 온 윤리적 비판의 핵심은 그의 작품이 ‘나쁜’ 협업의 모델이자 주체의 재현에 가담하는, 혹은 실패하는 착취라는 점이다. 이러한 비판은 다시 앞서 언급된 윤리적 전회 비판에 의해 도전받는다. 후자는 예술에서 윤리적 판단의 개입이 초과될 때 간과되는 지점과 합일된 공동체의 위험을 직시한다. 이 지점에서 랑시에르의 ‘불화’ 개념은 윤리적 전회 비판이 자리하는 토대가 된다. ‘불화’는 합의(consensus)의 공동체가 아닌 이견(dissensus)을 통해 감각적인 것을 나누는 일(partage du sensible)이며 이는 곧 새로운 주체화의 발명이다. 이는 몫 없는 자들의 몫(part des sans parts), 아무나(n’importe qui)와 같은 개념들이 발화하는 지형과 상응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시에라의 작품에서 윤리적 판단으로 간과될 수 있는 미학적 판단을 모색하기 위해 ‘불화’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특히 가로 막기로서 <공간을 막는 벽>, 합일된 공동체의 부정으로서 <금발로 염색하고 돈을 받은 133명의 사람들>, 시위 대신 자기조직화로서 <아니오, 글로벌 투어>를 대표적인 ‘불화’의 장면들로 추적한다. 동시대 미술에서 협업의 증가와 참여미술에 대한 논의가 확장될 때 그의 작품은 양립된 입장들을 첨예하게 드러냄에도 불구하고 주로 일부 사례로서만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시에라의 작품은 미학과 윤리에 대한 질문을 동시대적 지평 안으로 다시 불러들이기 때문에 미학적 경험에 대한 생산적 논의들을 확장시키는 시도로서 파악한다.

      • 유아의 놀이유형에 따른 실외놀이시설 색채 연구

        김유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발달 과정 중 유아기는 눈에 보이는 신체적인 성장을 하게 되고, 인지발달에 따라 객관적 시각 및 사회적, 정서적 성장 및 변화를 겪는 시기이다. 이러한 유아기의 아동에게 있어 놀이는 유아의 생활에 필연적인 것으로 자연스러운 방식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할 수 있는 유아기 발달의 주도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다양한 놀이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놀이에 대한 자연적인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유아가 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놀이 환경의 색채는 자극을 통해 어린이의 심리적, 생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요인으로 유아의 감성 및 정서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아기 아동은 인지발달학적 특성 상 형태보다 색채에 강하게 반응하고 민감한 심리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끊임없는 환경과의 접촉 속에서 놀이 활동을 하는 유아에게 색채의 영향은 더욱 그 비중이 크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주거지역 및 보육시설의 유아놀이터 실외놀이시설 색채를 살펴보면 특별한 지침 없이 시공자나 관리자의 일방적인 색채 선택에 의해 배색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맹목적으로 밝고 화려한 색을 유아가 좋아할 것이라는 통념 하에 놀이시설의 기능 및 사용 목적에 관계없이 선호색 위주의 색채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무계획적인 색채적용 및 강렬한 원색 위주의 색상 남용은 유아에게 부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줄 수 있다. 또한 놀이 몰입의 상실 및 시각적, 감정적 혼란을 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적, 사회적 약자인 유아의 바람직한 놀이 활동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현 실외놀이시설 색채의 해결 방안으로 선행 연구 및 문헌에서는 놀이의 활동성을 위한 색채, 놀이 공간이라는 장소적 명시성을 줄 수 있는 색채, 놀이의 욕구가 생기도록 흥미를 유발하는 색채, 색채 감각을 향상시킬 수 색채, 환경 색채의 일부로서의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색채 적용과 같은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그에 따른 전문적인 설계 지침이나 기준은 마련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앞서 조사한 실외놀이시설 색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놀이의 기능 및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색채 체계를 밝혀내는 것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실외놀이시설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의 유형에 따라 바람직한 감성을 유도하는 색채를 구분하여 적용하였을 때 유아의 놀이 몰입 및 감성적 발달에 긍정적 효과를 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유아의 발달 및 놀이특성, 유아의 색채별 심리, 실외놀이시설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실외놀이시설의 색채가 놀이의 기능적 측면에서 사용자의 감성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 1차 연구 문제 > 실외놀이시설에 나타나는 놀이유형 분포 < 2차 연구 문제 > 놀이유형별 바람직한 색채 도출 및 적용 방안 이에 착안한 1차 연구로는 유아놀이터의 대표 실외놀이시설 7개 이용 시 나타나는 놀이유형의 분포 정도를 알아보았다. G.Moore(1983)의 유아놀이 이론에 따른 3가지 놀이유형(신체놀이, 사회놀이, 인지놀이)에 따라 나타나는 놀이행위 각 6개를 설문 항목으로 삼고 빈도 분석하여 놀이시설별 나타나는 놀이유형의 분포를 알아내었다. 2차 연구에서는 놀이유형별 바람직한 감성을 유도하는 색채를 도출하기 위해 감성어휘를 통한 색채 추출 방법을 선택하였다. 놀이유형별 놀이행위 시 적합한 감성을 유도하는 색채 특성과 색채 팔레트를 도출하였다. 또한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토대로 대표 실외 놀이시설 7개의 색채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연구의 결과로 실외놀이시설에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유형 분포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각 놀이시설 당 2~3개의 놀이 행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상위빈도의 3개의 놀이행위를 놀이유형별로 조합하여 놀이유형의 분포 정도를 알아내었다. 정글짐은 신체놀이유형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시소는 신체놀이유형과 사회놀이유형이 고르게 분포하여 있는 형태로 나타났다목마는 신체놀이유형과 인지놀이유형의 비율이 고르게 나타났다. 놀이집은 사회놀이. 미끄럼틀은 신체놀이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으며 그네와 흔들 유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놀이바닥(고무매트, 놀이집)에서는 신체, 사회, 인지놀이유형이 전체 비율이 고르게 나타났으나 인지놀이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2차 연구 결과로 놀이행위별 감성어휘를 통해 놀이유형별 바람직한 색채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한 개의 놀이유형 당 3가지 감성어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신체놀이유형이 일어나는 범위에서는 자유분방한, 기운찬, 재미있는 감성을 주는 vivid, bright, deep tone의 R/Y/G/B/P 색상 계열의 적용이 바람직하며 보색 배색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놀이유형이 일어나는 범위에서는 정다운, 부드러운, 재미있는 감성을 주는 Bright, pale, Light pale tone의 R/Y/B/P 와 같은 색상 계열의 적용이 요구되며 동일 배색 및 유사 배색의 적용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인지놀이유형이 일어나는 범위에서는 Vivid, Bright, Dark tone의 P/G/B/N 계열의 적용이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사 배색방법이 권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가지 놀이시설에서 2개 이상의 놀이유형이 나타날 경우에는 앞서 제시한 색채 추출 방법과 같이 각각의 놀이행위에서 나타나는 감성어휘 3개를 선택하고 색채 특성 및 색채팔레트를 제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어휘에 따른 색채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아 집단의 설문을 통한 감성 반응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나 유아 대상의 언어적 발달 특성상 색채에 대한 정확한 감성을 표현 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작한 색채감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추론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었다. 실외놀이시설에서 나타나는 놀이별 감성에 따라 색채를 구분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본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한 유아의 생리적 반응 측정 및 행동 관찰실험을 통한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