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일부 학부모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식행동 및 미취학 자녀의 식행동과의 관련성

        김예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food behavior and knowledge on salty taste and its relationship to their preschool children's food behaviors. Subjects were mothers with preschoolers living in Nowon-gu,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about mothers' salty test,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and salt-related eating behavior of both mothers and preschool children. Survey was conducted by self-report after getting permission from mother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 data of 61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program(ver. 20). Preschoolers were 2~5 years old and their motjers 30~42 years old. Maternal occupation was almost house wife. Mothers' salty test result showed that most mothers preferred bean sprout soup with a 0.31% concentration of sodium chloride. Mothers' salt-related knowledge scores were mean 7.04 of total score 10. The question with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 was ‘exess intake of salt can cause hypertension, osteoporosis, stomach cancer and so on’(96.7%), while that with lowest percentage(29.5%) was ‘What is the recommended amount of salt intake by WHO?’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ith family was 55.7% in 1~3 times a month. The food type of eating out was mainly Korean food. Frequency of eating delivery foods was 45.9% in 1~2 times a month.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score between mother and their preschoolers showed that mothers' score was lower than their preschoolers' one, which means that preschoolers' eating behavior were better than their mothers. However since a lot of eating behavior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preschoolers' eating behavior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Salty foods with high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by mothers and preschoolers were ‘salted dry fish, stock fish’ and ‘soup, stew, noodle soup’. In addition, there a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n most of salty foods. Ramen soup intak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between the two groups. Preschoolers eat less ramen soup compared to their mothers. The snacks of both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were fruits. When preschoole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ir mothers'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high score mothers' preschoolers were highest in eating behavior. High score mothers' preschoolers have low intake frequency of salty food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better than mothers' one. However preschoolers' dietary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mothers. Therefore mothers should have an appropriate eating behavior for their children. In addition,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preschoolers' mothers.

      • 나이지리아 '국가실패'의 배경에 대한 연구

        김예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나이지리아가 세계 10대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 및 수출 국가로서 성장 잠재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경제, 사회 부문에서 국가실패 현상이 나타난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나이지리아는 자원부국인 동시에 다국적 기업이 나이지리아의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천연자원 발견 이후 경제가 급변한 나이지리아 사례를 분석하기위해 네덜란드 병(Dutch disease)과 다국적 기업에 의한 종속이론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였다. 제1장에서는 먼저 나이지리아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과 유전을 발견한 이후의 경제, 정치 역사를 기술하였다. 제2장과 3장에서는 네덜란드 병과 다국적기업에 의한 종속이론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제시하고 이를 나이지리아 사례에 대입하여 분석을 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2장과 3장에서 분석한 결과에서 더 나아가 나이지리아의 국가실패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이지리아 정부의 정책과 국민들의 삶의 지표를 반영하는 “세계거버넌스지표 (Worldwide Governance Life Index)”와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나이지리아의 국가실패의 배경에는 네덜란드 병과 다국적 기업이 미친 영향이 하나의 변수로서 작용을 하였으나 근본적인 원인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요인 모두 정부의 정책과 제도를 통해 개선이 가능한 사안으로 국가의 역할에 따라 개선과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었다. 따라서 나이지리아 정부의 정책 및 제도적 문제점과 부정부패가 만연한 사회 등 국가 내부적으로 발생한 문제점이 국가실패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다. 나이지리아에서 나타나는 빈곤과 내전, 정치·사회의 혼란들은 나이지리아 정부가 공정성과 투명성, 정당성을 확보하고 다종족 국가라는 특수성에 맞는 정책을 실현해나갈 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가 BRICs를 이을 Next-11국가 중 하나로 평가한 것처럼 잠재된 성장력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Nigeria’s state failure in the area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Nigeria, despite having high growth potential as the world’s tenth-largest oil-exporter and possessing natural gas is an example of a state failure. Scholars have used various theoretical paradigms to analyze the severe recession and social chaos that occurred after the discovery of natural resources. This study explains why Nigeria, a country greatly influenced by natural resources is an appropriate case to be analyzed using Dutch disease and Dependency Theory reliance on a multinational company. It’s analysis of Nigeria’s breaking point and the resulting data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background of the phenomenon as state failure Nigeria’s government experienced.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describes general details about Nigeria, its economical and political history after the discovery of an oilfield.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it proposes advanced research and a notion of Dutch Disease and Dependency Theory, which are analyzed by applying the case of Nigeria. The fourth chapter compares and analyzes Nigeria’s Worldwide Governance Index and Human Development Index that are reflecting Nigerian government policy and the people’s life. These indexes explain the state failure background and compensate the limitations that are examined in second and third chapter. Analysis shows that The Dutch disease and influence of multinational company in the state failure background are variables but it is not the determining causes. In conclusion, it can be inferred that a Nation’s internal affairs such as the Nigerian government policy, institutional problem, society where corruption is rife, made Nigeria a state failure.

      • 초급발레수업을 위한 동작과 음악의 지도방법 프로그램 모형 연구

        김예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발레동작에서 음악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것을 기반으로 초급발레수업을 음악과 동작을 동시에 습득하기 위하여 지도방법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모형은 1단계, 2단계, 3단계의 구성으로 나누어서 단계적인 수업을 하기위해 음악적 요소로서 박자, 템포, 악센트, 프레이즈 조직에 대해 연구하였다. 발레수업의 지도방법에서 동작의 예술성을 높이기 위해서 음악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발레교수법들 중 Vaganova, Royal Academy of Dance, Cecchetti, Bournonville 교수법의 교육특성을 제시하였다. 그 중 Vaganova 교수법, Royal Academy of Dance 교수법의 수업을 분석하여 초급발레수업을 위한 지도방법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서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음악적 요소를 세분화하여 실질적으로 발레수업에서 발레동작과 어떻게 상호 작용을 이루어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는가에 역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 째, 발레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악적 감각을 갖추어야 하며 적절한 음악선택을 위해서는 음악적 요소의 박자, 템포, 악센트, 프레이즈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두 번째, 초급발레수업에서는 느린 템포의 음악으로 단조롭지만 지루하지 않게 다채로운 선율의 음악을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정확한 스텝을 실행하고 그 스텝을 음악에 맞추는 것을 학생들이 동시에 생각할 수 있도록 학생의 능력에 맞고 실제적인 스피드로 설정한 템포로 하고 멜로디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네 번째, 음악은 동작의 선율에 생동감을 넣어 더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지도자가 먼저 인지하여 프로그램의 모형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동작과 음악을 습득할 있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지도자는 단순히 음악성의 개념으로 박자와 템포가 아닌 음악을 내면 깊이 이해해야 한다. 무용교육은 음악의 어떻게 바람직하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수업내용까지 달라지며 초급발레수업을 위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 1, 2, 3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동작과 음악을 습득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동작은 간단하면서도 같은 동작을 반복 훈련하고 동작에 맞는 음악을 사용하여 수업하는 과정에서 음악과 무용이 하나가 되도록 노력해야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법의 미흡한 연구를 더 깊이 분석하여 초급발레수업의 프로그램 모형 연구를 지속할 것이며 이 프로그램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 program model of teaching methods for acquiring movement and music together at beginners ballet class on the basis that ballet movements entail music inevitably. Program model was divided into 3 step composition as Step 1, Step 2, and Step 3, and researches on beat, tempo, accent, and praise organization as the music elements increasing effectiveness of movements with proceeding classes by stages were conducted. This research showed that musical elements played a big role to increase artistry of movements at the teaching methods for ballet classes, and suggested education characters of each teaching methods after finding materials of teaching methods of Vaganova, Royal Academy of Dance, Cecchetti, Bournonville among teaching methods for ballet internationally well recognized. Among them, class of teaching methods of Vaganova, Royal Academy of Dance were analyzed and constructed as a program of teaching methods for an beginners ballet class. On the basis of them, following 4 conclusions were drawn to teach effectively at classes after studying the tex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s described as above focusing at creating a synergy effect making an interaction between musical elements and ballet movements with departmentalizing musical elements. First, musical sense must be qualified to accomplished ballet movements, and beat, tempo, accent, and prase as musical elements were essential for choosing proper music. Second, the music in a slow tempo with various melodies not to be bored must be chosen at the beginners ballet class. Third, tempo in the actual speed must be set for the students to carry out exact steps and match their steps to the music and recognize melody clearly. Forth, a teacher must recognize first that music can make more plentiful expression adding a liveliness to melody of gesture and have students learn movements and music on the basis of the program model. Accordingly, a teacher must understand the music deeply not just beat and tempo as a simple musicality. Dance education depends on how properly to use the music. A teacher have to try to make music and dance get together in the process of the class with practicing the same movements over again and using the proper music to the movements. Research on program model for an beginners ballet class will be kept up with analyzing the insufficient research, and this research needs to be past through the tests used at education field.

      •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전략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시장 선도자 및 추격자 전략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예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 연구들이 국내외로 수행되어 왔으나, 기업의 전략 관점에서 접근한 개방형 혁신 연구는 부족하였다. 대기업 대비 활용 가능한 인적‧물적 자원에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 개방형 혁신 활동을 전략적으로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가장 일반적인 기업 전략인 선도자 및 추격자 전략에 따라 차별적으로 개방형 혁신 활동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중소 선도기업‧중소 추격기업의 개방형 혁신 전략, 특히 개방형 R&D 전략의 관점에서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07개 중소기업 중에서도 201개 선도기업과, 301개 추격기업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업 R&D 활동의 주요 변수로는 내부 R&D, 공동 R&D, 외주 R&D, 구매 R&D 전략을 포괄하여 기업의 개방형 R&D 전략과 혁신성과 간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KIS 2012 Data를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전략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내부 R&D는 특허 출원성과에, 중소 선도기업은 신사업 발굴 및 특허 출원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중소기업의 공동 R&D는 신사업 발굴성과 및 특허 출원성과에, 중소 추격기업은 특허 출원성과에 유의하였다. 외주 R&D의 경우 중소기업, 중소 추격기업 모두 신사업 발굴성과에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중소 선도기업, 중소 추격기업 모두 구매 R&D가 신사업 발굴성과에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Numerous studies regarding SM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on their performance have been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s. However, most of them did not analyze the effects of SM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from a strategical approach. SMEs should pursue a different open innovation strategy due to limited resources but, in fact, there were few studies focusing on SM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differently utilizing market leadership and followership strategy which were the most common strateg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s to compare SMEs, market leader SMEs and follower SMEs' open innovation strategies, especially from an approach of open R&D strategy. For this, this study primarily takes samples of 1,007 SMEs, and it does 201 market leader SMEs and 301 follower SMEs among taken ones. This study verifies a relationship between SMEs’ open R&D strategies including in-house R&D, cooperation R&D, outsourcing R&D and purchasing R&D for the major fact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studies, this study utilizes KIS 2012 data with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house R&D of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patent performance, and in-house R&D of market leader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new business and patent performance. Second, cooperation R&D of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new business and patent performance and cooperation R&D of market follower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patent performance. Third, outsourcing R&D of both SMEs and market follower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new business performance. Finally, purchasing R&D of SMEs, market leader SMEs and market follower SMEs is statistically effective to new business performance.

      •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학구조개혁 평가의 정책이슈 분석

        김예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used big data analysis on the ‘Text Big Data on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structed from university specialty periodicals, ministry of education literature, and Korean newspaper articles reflecting the various positions of the suppliers, consumers, experts, and authorities of education polic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auge the attention of the media on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find keywords, and identify the major policy issues of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in the media and how they change. This study examin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keywords of the first and second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s? Second, what are the major policy issues of the first and second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s? This study collected 2,124 articles from the 20 daily general newspapers with the largest circulations, 54 ministry of education documents, and 503 articles from periodicals specializing in colleges (the Kyosu Shinmun, the University News Network, and the Daehak Journal) from August 1, 2013, when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ppeared in sight, and September 15, 2018, after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e Assessmen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ran keyword analyses using word frequencies and TF-IDF weighting, the basic analyses of text mining. After that, this study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100 most frequent words. Finally, this study found the policy issues of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pplying a topic modeling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lgorithm.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nalyzing the words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on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frequently used words or the keywords in the preparation period and the execution/reflux periods of the first and second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s.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in the preparation period, words such as ‘reduction,’ ‘junior college,’ ‘capacity,’ ‘local colleges,’ and ‘index’ appeared frequently. In the execution/reflux period, words such as ‘level D,’ ‘level E,’ ‘announce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college,’ and ‘independent improvement college’ appeared frequently. From the TF-IDF analysis results, the words ‘Ministry of Education’, ‘capacity,’ ‘support,’ ‘president,’ and ‘student’ were important in all periods, and in the execution/reflux periods of the first and second cycles of th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words such as ‘level D,’ ‘level E,’ ‘independent improvement college,’ and ‘restriction’ which were related to the follow-up measures to the evaluation. Second, the topic analysis found that the flow of the policy issues in the preparation period of the first and second cycles was similar and the execution/reflux period of the first and the second cycles was similar. An analysis of the preparation period of the first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ntified ① the need for college structural reform, ②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③ opposition from colleges, ④ follow-up measures from lower-ranking colleges, and ⑤ laws on college structural reform as policy issues. An analysis of the execution/reflux period of the first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ntified ①evaluation results, ② follow-up measures from lower-ranking colleges, ③ member complaints on evaluation results, ④ the closing and normalization of corrupt colleges, and ⑤ initiatives by colleges as policy issues. An analysis of the preparation period of the second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ntified ① changes in the government’s financial aid, ② opposition and resistance to the evaluation process, ③ closing faltering colleges, ④violations of university autonomy and strengthening accountability, and ⑤ follow-up measures from lower-ranking colleges as major policy issues. An analysis of the execution/reflux period of the second cycle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for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ntified ① evaluation results, ② the mood in higher educa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results, ③ closing faltering colleges, ④ follow-up measures from lower-ranking colleges, and ⑤ corrupt colleges as policy issues. Unlike prior research on policy analysis, using big data to analyze education policy is significant in that this method can collect and analyze the viewpoints of the stakeholders while the policy continually changes, and offers implications on policy implementation. Big data analysis methods can be used in various education policy studies. 이 연구는 교육정책의 공급자, 수요자, 전문가, 교육당국의 다양한 입장이 반영된 국내 신문기사 및 교육부자료, 대학전문지를 바탕으로 구성한 ‘대학구조개혁평가 텍스트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대학구조개혁평가 정책에 대한 언론매체의 관심도와 핵심 주제어를 파악하고, 언론 및 관련 매체에 나타난 대학구조개혁평가의 주요 정책이슈와 정책이슈가 어떻게 변동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와 2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대한 핵심 주제어는 무엇인가? 둘째, 1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와 2주기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대한 정책이슈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학구조개혁 평가 정책이 가시화된 2013년 8월 1일부터 2018 대학기본역량 결과가 발표된 이후 2018년 9월 15일까지, 54개 교육부 문서와 대학전문지(교수신문, 한국대학신문, 대학저널)의 503개 기사, 발행 부수 상위 20개 종합일간지의 2,124개 기사를 수집하여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의 기초 분석인 단어 빈도 및 TF-IDF 가중치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빈도분석 결과 상위 출현 100개 단어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잠재 디리클레 할당 알고리즘 기반의 토픽 모델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토픽 분석을 수행하여 대학구조개혁평가 정책이슈를 도출하였다.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구조개혁 평가에 대한 교육부 문서와 신문 기사의 단어를 분석한 결과 1주기·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준비기와 추진·환류기의 주로 사용하거나 중요하게 사용되는 단어의 구성에 차이가 있었다. 빈도분석 결과 1주기·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준비기에는 ‘감축’, ‘전문대’, ‘정원’, ‘지방대’, ‘지표’ 등의 단어들이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1주기·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추진·환류기에는 ‘D등급’, ‘E등급’, ‘발표’, ‘역량강화대학’, ‘자율개선대학’ 등의 단어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다. TF-IDF 분석결과 전 시기에 걸쳐 ‘교육부’, ‘정원’, ‘지원’, ‘총장’, ‘학생’이 중요도가 높은 단어로 나타났으며, 1주기·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추진·환류기에는 대학구조개혁평가결과, 후속 조치와 관련된 ‘D등급’, ‘E등급’, ‘자율개선대학’, ‘제한’ 등의 단어들이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분석을 통해 도출한 각 시기별 대학구조개혁평가 관련 정책이슈는 1주기·2주기 준비기와 1주기·2주기 추진·환류기로 나누어져 유사한 흐름으로 논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준비기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한 정책이슈를 분석한 결과 ①대학구조개혁의 필요성 제기, ②평가지표 및 평가방식, ③대학의 반발, ④하위대학 후속조치, ⑤대학구조개혁 관련 법안이 분석되었다.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추진·환류기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한 정책이슈를 분석한 결과 ①평가결과, ②하위대학 후속 조치 방안, ③평가결과에 대한 구성원들의 항의, ④비리 대학 퇴출·정상화, ⑤대학의 자체노력 방안 강구로 분류되었다.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준비기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한 정책이슈를 분석한 결과 ①정부 재정지원 방안 개편, ②평가과정에 대한 반발과 저항, ③부실대학 폐교, ④대학의 자율성 침해와 책무성 확보, ⑤하위대학 후속조치가 주요 정책이슈로 분석되었다.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추진·환류기의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한 정책이슈를 분석한 결과 ①평가결과, ②결과 발표 후 대학가 분위기, ③부실대학 폐교, ④하위대학 후속조치, ⑤부정·비리 대학으로 분류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된 정책분석 연구와 달리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육정책을 분석하는 방법은 시시각각 변화되는 정책의 흐름 속에서 이해당사자들의 입장을 즉각적으로 수합·분석하여 정책 시행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빅데이터 분석기법들은 향후 다양한 교육정책 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장르 개념 비판 연구 : 셰익스피어 수용과 「괴테의 마이스터에 대하여」 비평문을 중심으로

        김예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Die deutsche Literatur des 18. Jahrhunderts löst sich von der Regelpoetik des Aristoteles und wird zur romantische Poesie, einer Mischung in der Poesie Poesie der Poesie selbst wird. Der Grund, warum diese Arbeit die Kritik von Über Goethes Meister gewählt hat, liegt darin, dass Schlegel sein Konzept der romantischen Poesie auf Wilhelm Meisters Lehrjahre anwendete. Diese Studie untersucht die Reihenfolge des Verlaufs von Schlegels Forschung, indem sie den Prozess des theoretischen Wandels von der Gattungspoetik zur romantischen Poetologie untersucht. Darüber hinaus wird hier versucht, Schlegels Essay Über Goethes Meister zu analysieren. Schlegels Gattungsbegriffsforschung begann mit der Auseinandersetzung mit Regelpoetik und entwickelte sich dann zur Poetologie. Um diesen Übergang in einem Wort zusammenzufassen, handelt es sich um eine kontinuierliche Kritik an getrennter Gattungspoetik. In Anlehnung an Forschung seiner Zeit kritisiert Schlegel in Über Goethes Meister ebenso den Gattungsbegriff und diskutiert die Form des Romans. Diese Diskussion repräsentiert den Roman als die alle literarischen Formen in sich vereindende Form. Die Form des Romans ist eine Vermischung aus lyrischen, dramatischen und epischen Formen, dabei die Regeln der Gattungspoetik gebrochen werden. In diesem Punkt ist die romantische Poetologie eine Überwindung der Gattungspoetik. Die Überwindung bedeutet, dass dadurch eine neue Gattung sich entwickelt. Demnach ist Roman eine Form, das entsteht (oder wird), wenn die Grenzen der Gattungen durchbrochen werden. Die romantische Poesie ist nach Schlegel ein Gattungsbegriff, in dem lyrische, dramatische und epische Formen vermischt werden. Friedrich Schlegel kritisiert die Gattungspoetik und argumentiert, dass Gattungsbegriff ein ewiges Werden ist. 본고는 장르론적 관점에서 독일 초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비평가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비평문을 분석하고자 한다. 18세기 독일 문학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장르 시학에서 벗어나, 문학 자체가 문학을 생성하는 혼합적 형식인 낭만주의 문학으로 변한다. 본고가 「괴테의 마이스터에 대하여 Über Goethes Meister (1797)」비평문을 선택한 이유는 슐레겔이 낭만주의 문학이론을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 Wilhelm Meisters Lehrjahre (1795)』에 적용시켰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장르시학에서 낭만주의 문학이론으로 이어지는 슐레겔의 이론적 변화 과정을 일별해 봄으로써 그의 연구의 대략적인 궤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괴테의 마이스터에 대하여」를 분석해 보았다. 슐레겔의 장르개념 연구는 규범시학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천재 시대의 문학을 조명한 다음, 초기 낭만주의 문학연구로 이행해 갔다. 이러한 이행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정형화된 규범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슐레겔의 연구 궤적에 따를 때「괴테의 마이스터에 대하여」에서 슐레겔은 장르를 비판하고 소설의 형식을 논한다. 결국 이러한 논의는 초기 낭만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형식인 소설을 나타낸다. 소설의 형식은 장르 시학의 규칙이 와해되어 서정적, 극적, 서사적 형식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 때, 장르의 규칙이 와해된다는 뜻은 ‘극복’이라는 의미와 유사하다. 극복이라는 단어는 생성된다는 의미이고, 이러한 슐레겔의 서술은 장르가 생성된다는 말이다. 이에 따를 때 소설은 장르의 경계가 와해된 것으로, 생성하(되)는 장르이다. 슐레겔에 따르면 낭만주의 문학은 서정적, 극적, 서사적인 형식이 혼합된 장르이며, 그 결과 소설이 나타난다. 이상의 논의를 따르면, 프리드리히 슐레겔은 기존의 장르 개념을 비판하고, 장르란 스스로 생성하는 포에지라고 주장한다. 장르론적 관점에서 분석해본 연구작업은 향후 독문학과 비교문학 작업에 작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2ADE 교수설계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예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가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 속에서 초중등학교에서 인공지능을 교육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지식과 인공지능 역량을 겸비한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인공지능 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적절한 교수설계 모형이 부재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교수 체제 설계 모형들의 한계를 분석하고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아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2ADE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설계 모형의 단계에 따라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20차시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뒤 통합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 프로그램 개발은 ‘분석(A)-설계(D)-평가(E)-분석(A)-개발(D)-평가(E)’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분석(A) 단계에서는 학습자 실태, 학습자 및 전문가 요구, 교육과정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설계(D) 단계에서는 교육 목표, 평가 도구 및 프로그램 등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전문가 집단에게 평가(E)를 받아 피드백 내용을 분석(A)하여 개선하였다. 그 후 개발(D) 단계에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수업 자료 등을 개발하고 2차 평가(E)를 통해 완성하였다. 완성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인공지능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고 창의 융합적 태도를 기른다’이다.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6주에 걸쳐 적용한 결과 2ADE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흥미도와 난이도 모두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과 초등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2ADE 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김예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은둔형 외톨이’의 사회참여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전공 김 예 슬 지도교수 김 진 숙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로 은둔 생활로 인한 후기 청소년들의 심리‧ 사회적 문제를 제거하고, 원만한 사회생활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사례 연구의 대상은 은둔생활이 평균 1년에서 1년 6개월 된 집단으로 6개월 이상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평균 연령 만 24세의 후기청소년으로 ‘은둔형 외톨이의 모임’이라는 온라인 카페에 가입되어 있는 3명의 회원들로 본인이 참여 의사를 밝혀 집단이 구성되었다. 미술치료는 주 1회 70분씩 총 16회기로 진행하였고, 본 연구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우울과 대인공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지-행동 치료의 이론을 적용하여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평가 방법으로 우울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MMPI-우울척도와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와 대인공포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인관계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사회참여에 관한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인지-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HTP 그림검사를 통해 개별 인지-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미술치료가 종결된 후에 원만한 사회생활과 치료의 지속성을 위해 온라인을 통한 만남으로 사후관리를 하였고, 연구의 결과로서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결과의 평균치를 통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3명의 은둔형 외톨이 중 2명은 사회생활을 시작하였고, 1명은 중단했던 학업을 다시 시작하면서 사전 ‧ 사후 인지-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비추어 보면 인지-행동 집단 미술치료가 후기 청소년 은둔형 외톨이들을 집 밖으로 이끌어내었고 사회참여에 긍정적인 인지-행동 변화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for 'ひきこもり'[Hikikomori. Seclusion Lonelier] Kim, Yea-Seul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Adviser : Kim, Jin-Sook, Ph. D., A. T.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late adolescence's mentalsocial problems on the ground of self seclusion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of case study were the age of 24, 24, 25 years 3 late adolescence. They were members of 'ひきこもり' on-line club who had not been adopted to social skill well for more than 6 months. Group Art therapy was held 16 sessions 70 minutes for a week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ory to decrease case study group’s depression and astraphobia. As Method of analysis,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 Depression and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 Negative were applied to see decline of depression, Relationship Change Scale for decrease of astraphobia and sociality scale was used to inquire social participation effectiveness. Cognitive Behavioral is also analyzed by using K-HTP picture test to see individual cognitive behavioral changes. Researcher kept managed this case group on-line for the normal sociality and durability of this treatment after the case study. As a resul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according to the pre and post test averages. Two of three participation had started their community life and the other one could had gone back to her school again.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between pre test and post test result. Therefore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elps ‘Late Adolescence ひきこもり’ active and results positive effects on their Cognitive Behavioral changes for social participation.

      • Endosperm development and seed viability in Arabidopsis and xBrassicoraphanus

        김예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specific or intergeneric hybridization provides a crucial source of evolution in nature. However, such evolutionary driving forces are prevented by hybridization barriers, among which postzygotic barriers involve hybrid inviability such as abnormal embryo/endosperm development and hybrid sterility. xBrassicoraphanus, a newly synthesized hybrid between a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and a radish (Raphanus sativus), displays seed abortion which is a common type of postzygotic barriers. To examine developmental defects in the hybrid, we examined seed development of xBrassicoraphanus and several Arabidopsis mutants defective in endosperm development, medea (mea), demeter (dme), a-type cyclin dependent kinase (cdka;1), and f-box-like 17 (fbl17). The histological analysis of xBassicoraphanus seeds revealed that a newly synthesized hybrid was successfully fertilized but exhibited an endosperm cellularization failure which is similar to endosperm defects in Arabidopsis mutants dme and mea. In order to overcome seed inviability caused by abnormal endosperm, we performed the in vitro culture of embryos surrounded by aberrant endosperm and successfully rescued viable plantlets. This work suggests that a developmental defect of endosperm may contribute to the postzygotic hybridization barrier to prevent a cross between unrelated species. 자연계에서는 종간이나 속간 교잡을 통해 종의 합성이 이루어지고 진화적으로 다양한 종이 분화되어왔다. 하지만 종·속간 교잡시 교배 장벽이 존재하여 새로운 교잡종이 합성되기 어려운데, 교배 장벽 중 수정 후 교배 장벽(postzygotic hybridization barrier)은 수정 후 배유나 배의 발달에 문제가 있어 교잡체 자체가 죽거나, 만들어진 교잡체가 불임인 경우를 말한다. 배추(Brassica rapa)와 무(Raphanus sativus)의 교잡종으로 새로 합성된 배무채(xBrassicoraphanus)는 수정 후 교배 장벽의 흔한 현상인 종자의 치사를 보인다. 신배무채 종자의 배유에서 발달적 결함을 찾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배유 발달에 결함이 있는 애기장대 DME, MEA, CDKA;1, FBL17의 돌연변이체 종자와 신 배무채의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배무채의 배유는 성공적으로 수정은 되나 세포화(cellularization) 과정에 문제가 있는 애기장대 DME와 MEA 돌연변이체의 배유와 비슷한 표현형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비정상적 배유 발달로 인한 종자 치사를 극복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는 비정상적 배유를 가진 종자를 기내배양(in vitro culture)하여 정상적인 식물체로 발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유전적으로 거리가 먼 종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수정 후 교배 장벽이 극복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애도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김예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가 스트레스에 관한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은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의 경험의 과정을 이해하고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유방암 2기를 진단받고 부분절제술을 진행했던 환자로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완료하고 유방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호르몬제를 복용하고 있는 50세의 이혼 여성이다. 사례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주 1~2회씩 60분~100분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의 목표는 상실감 탐색,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 및 감정 탐색, 상실감의 인식 및 표현, 상실감 재구성 및 감정 발산, 자기이해 및 자기수용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도움을 줄 지지 원천 발견 및 확인, 자기수용을 통한 긍정적 자아상 확립,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계획으로 하여 미술치료 회기를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회기의 일지 및 녹화 자료, 축어록, 참여자의 느낀 점, 연구자의 현장메모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 경험과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참여자의 작품 사진, 현장 관찰 내용, 참여자의 축어록을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객관적으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려 주의를 기울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언제나 외로웠던 내 모습>, <상실경험으로 인해 부정정서를 경험>, <감정표현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승화>, <유방암을 통해 깨달은 삶의 의미 발견 및 수용>, <긍정적인 자아상 확립 및 희망찬 미래에 대한 소망>이 포함된 5개의 상위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몇 가지 의미로 함축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애도미술치료를 통해 과거에 경험하였던 상실 감정을 탐색하고 표현해보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병의 재발에 대한 두려움을 깨닫게 되었고 이러한 불편함 및 걱정을 미술작품에 드러냄으로써 불안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경험을 하였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억압되었던 상실의 감정을 바라보고 표출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깨달으며 자아를 수용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는 자신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정의 정화를 경험함으로써 통찰하고 새로운 감정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체험을 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유방암 환자로서 힘들었던 시간을 떠올리고 이를 미술작품으로 표현하여 감정을 승화하는 과정을 통해 잃어버린 여성성에 대해 회복하려는 경험을 체험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위한 애도미술치료는 신체적·정신적인 상실의 경험을 해소하지 못해 언제나 외로움을 겪었던 참여자에게 새로운 삶에 대한 기대와 긍정적인 미래에 대한 계획을 해낼 수 있는 힘을 전달하였고 스스로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자가 치유적인 능력을 획득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what breast cancer patients have experienced through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and what its meaning 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nderstood and explored the proces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by apply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patients diagnosed with stage 2 breast cancer and underwent partial resection, and are a 50-year-old divorced woman who complet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nd is taking hormone drug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breast cancer. The case was conducted for about 4 months from January 2022 to April 2022, and a total of 16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for 60 minutes to 100 minutes. The goal of mourning art 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was to explore loss, search for causes and emotions that cause stress, recognize and express loss, reconstruct and release emotions, discover and identify sources of support to help in stress situations,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through self-acceptance, and plan for a positive futur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diaries and recorded data from each session, wordbooks, participants' feelings, and researchers' on-site memos. In the data analysis, the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To this end, photos of the participants' works, field observations, and participants' keywords were repeatedly compared and analyzed, and attention was paid to objectively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ive top and 12 sub-topics were derived, including "Always Lonely Me", "Experience Negative Emotion due to Loss Experience", "Overcoming and Sublimation", "Discovering and Accepting Life Meaning Through Breast Cancer", and "Hope for a Hopeful Future". First, i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expressing the feelings of loss experienced in the past through mourning art therapy, participants realized the fear of recurrence of diseases that constantly unconsciously arise, and experienced anxiety and stress by revealing these inconveniences and worries in art works. Second, the participants realized how to express their emotions in the process of looking at and expressing the feelings of loss that had been suppressed through art work, accepting the self and forming a positive self-image. In this process, participants delivered a message of comfort to themselves and experienced the purification of emotions to gain insight and prepare for new emotions. Third, the participant recalled the difficult times as a breast cancer patient and experienced the experience of recovering lost femininity through the process of sublimating emotions by expressing them as art works. In summary, mourning art therapy for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delivered the ability to plan for a new life and a positive future to participants who always suffered loneliness because they could not relieve the experience of physical and mental lo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