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여성의 발레 교육 참여에 따른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분석

        김예람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발레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의 차이를 분석하고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사설 발레 학원에서 발레 교육을 참여하고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300명을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기술통계 및 신뢰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독립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연령)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고 회복탄력성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발레 교육 참여(참여기간, 참여빈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참여기간과 참여빈도가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인 발레 교육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인지된 신체능력이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보다 큰 차이가 났으며, 공통적으로 대인관계와 긍정성의 하위요인인 자아확장력, 자아낙관성, 생활만족도, 감사하기에 관계를 나타냈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 여성의 발레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발레 교육 참여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회복탄력성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adult women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ballet. 300 female adults who received ballet education in private ballet academ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sion 25.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test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look for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in general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resilience. Second,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f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ballet education (period of participa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longer the participation period and frequency of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higher the rate of participation rate of participation. Third,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the adult ballet education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s for the subfactors of physical self-efficacy, there were broader differences in perceived physical ability than in physical self-expression confidence according to that, and that was commonly link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self-expansion skills,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appreciating that were the subfactors of positivity. In other words, it could be judged that resilience is stronger when physical self-efficacy is better.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resilience becomes stronger when physical self-efficacy becomes higher during participation in ballet education because it's found that the ballet participation of the adult women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resil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