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삼각함수그래프 지도에 있어 개념 이해 생성을 위한 수준별 문제의 효과 :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김영순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수학적 개념이해 생성을 위한 수준별 문제의 설정이 학생들에게 올바른 수학 개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단계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는 일임을 강조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삼각함수 그래프지도에 있어 수학적 개념 이해 생성을 위한 수준별 문제의 설정이 학생들에게 올바른 개념이해와 문제해결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4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이해생성을 위한 수준별 문제해결 테스트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수학적 태도(흥미)면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실험집단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이 이해 생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4) 실험집단에서 학생들은 자주적으로 이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평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개반 65명을 대상으로 2007년 1학기말 성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을 대상으로 2007년 11월 중순부터 12월 초까지 1학년 10-나 단계의 삼각함수 그래프단원에 대한 수업을 실험집단은 수학화 학습과 수준별 문제의 단계별 절차를 거치는 수업을 3주동안 5차시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을 5차시를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이후 수학적 태도 사후 검사와 성취도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수능형 성취도 평가지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개념이해생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업 진행 동안 수업 장면을 촬영하고 인터뷰를 시도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k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도 부분에 있어 이해생성을 위한 수준별 문제 테스트에서 통계적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다소 높았지만, 독립표본검정에 의하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실험시간이 짧고 단기적인 연구로 보기에는 미약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기에 연구자의 의도된 결과대로 나오지 않았으며, 본 연구는 앞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다각도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판단된다. 둘째, 수학적 태도 면에서 자신감, 융통성, 의지영역에서는 실험반과 비교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반성영역과 가치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수학적 의사소통으로 올바른 개념 이해 생성이 일어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시행착오를 거치고 영향의 차이가 경우에 따라서 미비 할 수도 있지만, 수준이 다른 학생들 사이에 수학적 의미를 교환하는 과정이 관찰되었다. 넷째, 실험집단의 학생 중 극히 일부 학생은 자주적으로 이해 생성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모둠활동에서 관찰이 된 것인데 모둠의 발표자는 자기가 생성한 이해방법을 다른 학생들에게 정확히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의사소통의 방법을 가지고 있었다. 위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수준별 문제의 단계별 과정을 거치면서 학생들은 올바른 개념이해생성이 일어날 수 있으며 오류를 범하는 것도 올바른 개념이해 생성의 과정이라 볼 수 있다. Students need to enhance their own problem solving ability of each mathematical concept. The primary role of teaching is not to explain theories but to create mathematical communications that will promote capability to accept the mathematical concepts. These days we require mathematical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ut we don't have much time to generat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math classroom. Explanary teaching focused on textbook and education for the sake of examin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blamable practice which goes against formation of mathematical concept.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observe the forming process of mathematical concepts from the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make problems according to their own level.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have set up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1)We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group in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their level to generate conceptual understanding? (2)Were there any mathematical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raditional group? (3)How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s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genera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experimental group? (4)Did students have methods to generate conceptual understanding independently in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consisted of 70 student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An experimental group had group activities and problem solving classes according to students level. Comparative group had traditional explanary teaching focused on textbook. After experiment students got mathematical attitude test which vented this experiment. I developed a achievement test which was verified by an expert and 5 other colleagues.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level test for genera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showed little higher in achieve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independent sample test. Second, it was apparen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n effect on the domain of introspection and value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s for self confidence, adaptibility and intendness. Third, students who were in experimental group exchanged their mathematical concept with others in different level. Fourth, in group activities few students knew how to generate conceptual understanding independently and the presenter of group had a way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conclusion, students produced a genera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their stepped courses which was used problems according to students level and even the errors could be part of study. In this study I selected a 10-th grade class in Gapyong Gyeonggi Province and it was conducted for a relatively short period. Lastly, I believe that many researchers and their materials have to be made for genera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e mathematical education.

      •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정서적 몰입과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순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외식산업의 노동시장은 사업의 확장 및 신규 브랜드 진출 등으로 외식업체간의 인력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외식업체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고감도의 인적서비스 즉, 세련된 매너와 섬세하고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레스토랑의 목표인 고객만족과 재방문을 실현하기 위해서 고객 영접부터 안내, 주문받기, 음식제공, 불만해결, 환송까지 레스토랑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은 레스토랑의 직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레스토랑 직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외식산업은 외식경영자와 관리자, 직원 및 고객이 삼위일체가 되어야만 사업적 특징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고객중심적인 Q(Quality), S(Service), C(Cleanliness)를 갖춘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따라서 외식산업은 유능한 인적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외식시장 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레스토랑 관리자나 많은 경영자들은 직원들이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을 갖고 근무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주인의식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기만 할 뿐 직원들은 어떤 조직 환경 내에서 주인의식이 생기고, 직원들이 주인의식을 갖고 근무하면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조직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강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심리적 주인의식의 개념, 심리적 주인의식의 요인, 심리적 주인의식의 결과요인으로 직원의 태도(정서적 몰입, 서비스 지향적 조직 시민행동)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조직과 직무에 대한 심리적 주인의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또한 종사원의 태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위한 표본 선정시 2011년도 패밀리레스토랑부문 NCSI(국가만족도) 조사에서 1위∼4위를 차지한 T.G.I.프라이데이스, 빕스, 아웃백, 베니건스 브랜드의 서울경기에 위치한 매장을 표본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이들 정규직 직원으로 하였다. 그 중 304부가 회수되어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가설 1,2,3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4는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1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2개요인 중 조직 주인의식과 직무 주인의식이 정서적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모두 채택되었고, 가설 2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요인 중 조직 주인의식과 직무 주인의식은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2개의 요인 서비스 제공행동과 자발적 참여행동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가설 3은 정서적 몰입은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2개의 요인인 서비스 제공행동과 자발적 참여행동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모두 채택되었다. 가설 4는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의 심리적 주인의식과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는 조직 주인의식과 직무 주인의식이 서비스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서적 몰입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주인의식의 하위요인 직무 주인의식이 자발적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정서적 몰입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주인의식의 하위요인 조직 주인의식이 자발적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정서적 몰입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조직의 경영자나 실무자들에게 조직을 잘 이끌어 가려면 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 즉, 직원들의 심리상태를 경험하고 어떠한 반응을 보이는지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조직구성원들은 심리적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을 강하게 보이며 조직구성원들의 서비스 제공이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정서적 몰입을 이끌어내고 심리적 주인의식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국세환급제도의 합리적 해석과 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순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납세자가 세금을 납부한 후 과세처분에 대한 법원의 취소판결이나 과세관청의 경정 등에 의해 국가가 더 이상 세금을 보유할 법적근거가 없어지게 된 경우 국가는 이를 납세자에게 환급해야 한다. 이러한 환급금은 오납금, 과납금, 환급세액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과세처분이 당연무효가 되거나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된 경우는 오납금이 발생하고, 과세처분이 취소사유에 해당하여 권한있는 기관에 의해 취소된 때에는 과납금이 발생한다. 그리고 조세정책적 목적이나 조세행정상 필요에 의해 법에 정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환급세액이 발생한다. 위와 같이 환급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납세자는 국가를 상대로 환급채권을 갖게 된다. 과거 조세법률관계를 권력적 관계로 파악하던 입장에서는 주된 관심이 과세권자의 조세채권의 확보 및 적법성 문제였고, 환급제도는 시혜적인 측면에서 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조세법률관계는 법에 정한 조세채권채무관계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납세자의 환급채권은 국가의 조세채권에 대응하는 납세자의 권리로 인정된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조세환급금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주로 소송법적 구제방법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었다. 즉, 환급거부결정이나 부작위결정 또는 충당결정 등의 ‘처분성’을 인정하고, 처분의 무효사유를 넓히며, 환급금청구소송을 공법상 당사자소송으로 보아 권리구제를 확대하고자 하는 차원이었다. 이런 논의는 납세자의 권리구제를 위해 많은 기여를 하였지만, 조세환급을 둘러싼 구체적인 분쟁 상황에서 해석의 지침을 제공하거나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국세환급금에 관한 규정의 해석과 관련하여 주요쟁점을 추려내어 타당한 해석을 검토하고, 제도적으로 미흡한 부분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국세환급금에 관한 이론적 부분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세환급청구권의 법적성질과 특성, 과세처분의 무효․취소 구별기준, 과세처분의 공정력 등을 검토함으로써 이후의 논의에 대한 해석의 지침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세환급청구권은 공법상의 원인에 기하여 발생하는 국가에 대한 공권이지만, 금전채권의 일종으로서 양도나 압류, 질권 설정 등 사적자치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검토를 전제로 하여 국세환급청구권자, 국세환급금 양도, 국세환급금의 충당과 소멸시효, 국세환급가산금에 관해 주요쟁점별로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국세환급청구권자에 대하여는 납세보증인이 납부하였다면 구상관계를 검토하여 그에게 환급해 주고, 명의신탁 약정에 기한 명의대여의 경우는 명의신탁자(실질귀속자)의 체납국세에 충당할 것이 아니라 명의수탁자(명의자)에게 국세를 환급하는 것이 타당하다. 더불어 가공세금계산서에 있어서도 납세자의 신의성실원칙 위반을 이유로 국세환금청구권을 제한할 수 없다고 본다. 다음으로 국세환급금 양도에 있어서는 해석상 포괄적 양도담보권의 설정을 인정할 수 있으며, 국세환급금에 대한 압류전부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조세의 우선징수권을 확보할 필요성은 국세환급금의 양도와 마찬가지이므로 과세권자의 선충당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국세환급금의 충당과 관련하여서는 충당요건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충당은 국세징수법상의 징수행위와 다르고 담보적 기능이 있으므로, 충당의 효력 발생시기를 충당적상시로 소급하는 것으로 해석론을 제시하였다. 국세환급금의 소멸시효 중단사유에 관해서는 무효확인소송이나 무효선언 의미의 취소소송의 제기를 국세환급금의 소멸시효 중단 사유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세법상 소득처분과 관련하여 법인세 부과처분 및 법인에 대한 원천징수 고지처분, 주주 등에 대한 종합소득세 부과처분 등이 행해진 경우 소득처분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소멸시효 중단 사유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 즉, 동일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소득이 의제되는 것이므로 법인이 제기한 법인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주주 등의 국세환급금의 소멸시효 중단사유에 해당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국세환급가산금과 관련하여서는 환급가산금 규정이 없는 경우에도 그것이 국가의 강제력에 의해 징수된 것이라면 국세기본법의 국세환급가산금 규정을 유추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국세환급가산금의 각 기산일 규정이 불분명하므로 이를 검토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해석은 ‘언어의 가능한 범위 내’라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으며, 제도적으로 미비한 부분이나 불비한 부분은 해석으로 전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요국의 국세환급제도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현행 국세환급제도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국세환급청구권자에 관한 일반적인 규정의 필요, 환급세액을 과오납금과 분리하여 별도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세환급금이 양도될 때 국세환급가산금이 어떤 방식으로 국세환급금에 부종하는지 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과세권자의 선충당권이 헌법적으로 정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선충당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세환급가산금에 있어서는 국세환급가산금의 기산일과 이자율을 납세자와 과세권자 사이의 공평성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현행 국세환급가산금 기산일 규정은 통일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기산일 분류기준을 납세자측과 과세권자측의 귀책사유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세환급가산금의 이자율이 관세환급가산금이나 법인세법상 결손금 소급공제 후 환급세액을 추징할 때 이자율과 다른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므로 이자율이 통일적으로 규정될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국세환급가산금의 이자율을 체납가산금이나 납부불성실가산세의 이자율과 비교해 보았을 때 현저히 균형을 잃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를 시정할 필요가 있다. 국세환급금은 국가의 조세채권에 대응하는 납세자의 채권임에도 불구하고 현행법 규정이나 현행법의 해석상 조세채권과의 균형이 이루어지 않고, 오히려 조세채권이 국세환급채권보다 우월한 측면이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이런 균형을 이루기 위한 합리적인 해석과 제도적 개선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On making an assessment, the assessor has the equivalent of a assessment against the taxpayer. The assessor is entitled to collect the amount of its assessment administratively using roughly the same collection procedures as a judgment creditor uses to collect the judgment from the judgment debtor. On the other hand the taxpayer can claim the tax refund for many reasons, but they are based on the same basis. That is, there is no ground for the tax assessor to enjoy the unjust enrichment just because of the incorrect tax payment by the taxpayer. The "overpayment" can arise in several ways: (1) through overwithholding of taxes, (2) through an error in the calculation of the tax liability, (3) through carrybacks from other taxable years in income tax or cooperate tax, (4) through the refund fora - i.e., the National Tax Tribunal, the Court, since the assessment is confirmed of nullification or cancellation. Up to the present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refund claim system. They are chiefly concentrated on the nature of the right to the tax refund and the jurisdictional procedure of suit for refund - i.e., the civil action or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n the contrary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ax refund system. The legal relationship in the tax has the independent logics and characteristics differing from the legal relationship in administrative law or private civil law. But the right to tax refund is the taxpayer's legal right corresponding to the tax obligation, and it is similar to the right of the civil claim.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right of tax refund and the tax obligation, and it is in the taxpayer's discretion as to how he dispose of it. However there are much confusion in the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fund tax law.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fund tax system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article of the taxpayer is necessary to be enacted. That is, who is the taxpayer and whether the tax guarantor, the joint taxpayer and the secondary taxpayer can refund claim or not. Seco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period of appropriation as to the taxpayer's assignment of the right to tax refund. The taxpayer may transfer to another person the rights to national tax refund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the Presidential Decree. At this time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immediately appropriate. But the term of 'immediately' is not clear,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transferee to anticipate when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appropriat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limit the period of appropriation within 7 days. Third, the rights of a taxpayer to any national tax refund or additional amount of national tax refund shall become extinct by a prescription, if he does not exercise them for 5 years from the time it is exercisable.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enacted the article of suspension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ax law -i.e., the action of confirmation of nullification or cancellation. Fourth, after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immediately determine the excess amount paid in error of tax amount, remains after appropriating shall be repaid to the taxpayer within 30 days from the date when the repayment of national tax is determined. However it is not clear to the required conditions of appropriation and the time of legal forc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when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appropriate, the tax obligation should be extinct at the later day which of the due date of tax payment or the date that the right of tax refund takes effect. Fifth, when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appropriates or pays a national tax refund, he shall add to the national tax refund the interest. However it is unclear from which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add the interest. It is necessary to be revised to make the criteria for judgment - i.e., the cause of tax refund is on the taxpayer or the assessor. Finally, when the Collector of the Tax Office shall add the interest, it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terest rate as may prescribed in the Presidential Decre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eriod from the day next to the below enumerated days till the day of appropriation or decision on payment, and the interest rate of deposits in the financial institutions. However the interest rate is very lower than that of additional tax or underpayment. Interest is a charge for the use of borrowed money and reflects the time value of the use of the mone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keep the balance between the interest of tax refund and that of underpayment.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law which constitutes the embodiment of the rule of law in tax law demands not only legality in the assessment and collection of tax, but also the refund of improperly returned or collected tax payments to the taxpayers. For that reason it is very important to keep the valance between the right of tax refund and the tax obligation. In order to do this, it will be necessary that continuous effort is made to interpret reasonably and review the tax refund system Key-Word : tax refund, incorrectly paid tax, overpayment, interest rate, action by parties with interest, appropriation, off-set, the statute of limitation.

      •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존재와 실존적 신인식의 문제

        김영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God's Existence as a Postulate by Kant and the Problems of Existential Cognition of God Kim, Young-Soon Department of Philosophy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oint out the limits of God’s existence which is ‘postulated’ by Kant’s moral performer,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God’s existence as transcendental through Kierkegaardian and Jasper’s theistic understanding of God’s existence, and think of the possibility of a transcendental argument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God’s existence. According to Kant, the range of human cognition is limited to the ‘world of experience’,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world of senses which is captured by the mind through the form of sensibility; the word of time and space. Despite Kant’s theory, traditional metaphysicians argue that cognition of the existence of God is possible, and also that it is the one true realization that God exists. That’s why Kant opposed the idea of understanding the God theoretically and had a critical view of the traditional demonstration of God’s existence. Kant’s ultimate goal when he argued impossibility of the demonstration of God’s must be considered using both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Kant’s regulation of the impossibility of understanding transcendental man through limitations and denial of metaphysic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as the groundwork to set “Metaphysics of typical” which that lead to “Moral metaphysics”. For Kant,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God was all about ‘using reason’ and as one who wanted to establish new metaphysics it was an unavoidable matter. Kant pronounced his metaphysics as a structure of freedom, the soul and God.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Kant ‘postulated’ God as a condition to make human’s moral when he past the argument that there is freedom beyond the phenomenal to the field of practical reason. To Kant, supreme good both means “the highest good” and “the perfect good”. The highest good means a good that corresponds with moral law and the human will; the perfect good corresponds with goodness and happiness. When it comes to Kant, happiness is an essential factor of ‘the supreme good’. At this point, though happiness is not a judgmental factor when we decide moral behavior, but we also consider this as the result of moral behavior. ‘For good’, the content of the highest good, needs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or happiness, God is required. Kant concluded his theory of “God’s existence” by ‘requirement’ since there is no chance of knowing and proving God’s existence in the world of cognition. When it comes to Kant expelled God itself is from all the realities of human being and made God “one product of reason”. Jaspers developed his theism of philosophical faith to overcome Kant’s religious point of view. According to Jaspers, it is ‘Grenzsituation’ like death, agony, strife and responsibility which explain the best existence. Death at the ‘Grenzsituation’ is indeed a decisive end of a human being and it’s a possible foundation to breakthrough to primarily self in front of transcendental to the being. The limitation that we face at the ‘Grenzsituation’ does not come from our internal power. That suggests a transcendental man who made that limitation. To Jaspers that transcendence is not recognized as reality but just as a statement. A transcendence being cannot reach true real existence that is beyond the phenomenal reason. However, this transcendence is true existence. It is a true existence which is hiding and cannot be an object ever. Questioning true existence transcendence is metaphysics. The most important way to see metaphysics is called ‘solving a password’. Not until all knowledge and all philosophy is abandoned can we truly ‘chiffrelesen’(solve the password). Kant’s contribution to philosophy is simply undeniable through entire history of philosophy. The structural and organized theory of the Critique of Reason philosophy strongly insists that philosophy, ideas and human life should based on reason. However, Kant’s way to interpret religion unavoidably faces a limitation. In particular, he bas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transcendental existence on his moral-religion and also discouraged a change in human existence. Therefore, now we must give some thought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God through theistical existence philosophy. Since not just a God is ‘postulated’ to become a moral performer in the situation of the existential crisis and the crisis of our entire lif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revelation is strongly needed to com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world to this side. Therefore, Nocolai A. Berdyaev argued that the situation of modern religion is “a time of disorderliness, devastation and crisis of religion.” Furthermore he insists it is the new spirit that only can overcome this current crisis. Concerns of the age we are living in and problems with religion like Berdyaev suggested show that the theistic understandings of the God’s existence, like Jaspers and Kierkegaard, are needed. If Kant’s required God existence and limitation of the understanding God is a moral explanation of transcendental existence from the bottom, beyond that and toward transcendental exist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 could be a revelation explanation. In that sense, to mature the world of moral life, philosophy now has an assignment to explain the philosophy which confronts the revelation and existence more thoroughly.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존재와 신인식의 문제 철학과 김영순 指 導 敎 授 김광명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적 행위자를 위해서 ‘요청’되어진 신의 존재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지적하고 키에르케고르와 야스퍼스의 유신론적 신 존재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초월적 존재로서의 신 존재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칸트에 의하면 인간의 인식 범위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감성의 형식과 범주를 통하여 마음이 포착한 감각 세계, 인지된 경험 세계 즉 현상계에만 국한 된다. 이러한 칸트의 생각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형이상학자들은 신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며,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하나의 참된 인식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칸트는 신을 이론적으로 인식하려는 노력에 반론을 제기하고 전통적인 신존재 증명에 대한 비판을 수행했다. 칸트가 신존재 증명의 불가능성을 주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의도한 것은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의 목적을 함께 살펴보아야 가능할 것이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형이상학에 대한 제한과 부정을 통한 초월자에 대한 인식 불가능성을 규정한 것은 당위적인 것에 대한 형이상학 즉 도덕형이상학을 세우기 위한 선행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칸트에게 신의 존재에 관한 증명은 전적으로 이성 사용에 관한 문제였고 새로운 형이상학을 건설하고자 했던 그에게 이것은 다루지 않을 수 없는 불가피한 문제였다. 왜냐하면 그가 밝힌 대로 칸트의 형이상학은 자유, 영혼 신에 관한 체계이기 때문이다.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현상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들 즉 자유, 영혼불멸, 신의 존재를 실천이성의 영역으로 넘기면서 인간의 도덕적 삶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신을 ‘요청’하였다. 칸트에게 최고선은 최상선과 완전선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최상선은 도덕법과 의지의 일치인 덕을 의미하고, 완전선은 덕과 행복의 일치를 의미한다. 칸트는 이렇게 행복을 최고선에서 필수 요소로 삼는다. 이러한 점에서 행복이 도덕적 행위의 규정 근거 일수는 없지만 도덕적 행위의 결과로서 기대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최고선의 구성요소인 덕을 위해서는 영혼의 불멸성이, 행복을 위해서는 신이 요청된다. 칸트는 인식세계의 신은 알 수도 없고 증명되어 질 수도 없다고 하여 신존재를 ‘요청’의 문제로 귀결하였다. 그리고 칸트에게 있어서 신 자신은 인간의 모든 현실로부터 추방되어 하나의 사유의 산물이 되었다. 야스퍼스는 이와 같은 칸트의 신관을 극복하기 위해 유신론적, 철학적 신앙을 전개하였다. 야스퍼스에 따르면 실존을 가장 잘 해명해주는 것은 죽음 고뇌, 투쟁, 책임 같은 ‘한계상황’이다. ‘한계상황’ 가운데 죽음이야말로 인간의 현존재에게는 결정적인 종말이 되고 실존에게는 초월자 앞의 본래적 자기에게로 비약할 수 있는 가능근거가 된다. 한계상황에서 부딪히는 한계는 우리 자신의 힘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한계를 만든 어떤 초월자를 암시해 준다.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이 초월자는 실재로서 인식되어지지 않고 다만 언표될 뿐이다. 초월적 존재는 현상적 사유를 넘어서 참된 실재에 도달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초월자는 참된 존재이다. 이것은 절대로 대상이 될 수 없는 어떤 숨어 있는 존재이다. 이 참된 존재로서의 초월자를 향하여 물어나가는 것이 형이상학이다. 이 형이상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방법은 ‘암호 독해’라고 한다. 모든 지식과 모든 철학이 좌절할 때 비로소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Chiffrelesen)할 수 있다. 칸트의 철학이 기여한 바는 철학사 전체를 통틀어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특히 이성비판철학에 대한 그의 체계적이고 치밀한 논리는 철학과 사상, 그리고 인간의 삶이 보편적 이성에 정초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에 대한 철학적 입장이 종교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는 나름대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그의 도덕적 신앙을 통해서는 초월적 존재와의 접촉을 결핍하게 만들었고 인간의 실존적 삶의 변혁을 약화시키기에 충분하였다. 그러므로 지금은 다시 유신론적 실존철학을 통한 신 인식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다. 실존의 위기, 삶의 총체적 위기 앞에서 단지 도덕적 행위자가 되기 위한 ‘요청’으로서의 신이 아닌 저편에서 이 세계를 향해 꿰뚫고 들어오는 계시로서의 (철학적) 신앙이 절실하게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베르쟈에프(Nicolai A. Berdyaev)는 현대의 종교가 처한 현실에 대해서 현대를 황폐화된 무질서의 시대이며 종교의식의 위기라고 규정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줄 수 있는 것은 새로운 영이 아니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베르쟈에프와 같은 시대적 고민과 종교적 문제는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와 같은 실존적 유신론적 신존재에 대한 신인식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칸트의 ‘요청’으로서의 신 존재와 신 인식의 한계는 아래로부터의 초월적 존재에 대한 실존적, 도덕적 해명이라면, 그것을 넘어서 위를 향한 초월적 존재에 인식과 실천은 이른바 계시적 해명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도덕적 삶의 세계가 더 성숙되기 위해서 이제 철학은 야스퍼스가 말한 것처럼 계시에 직면한 철학과 실존을 더 깊이 해명해야만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고 볼 수 있다.

      • 전기안전사고 및 예방대책

        김영순 順天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지 전기안전은 전기에너지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전력의 손실, 전기설비 파손의 재산적인 손해 그리고 전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로 줄이며 사고로 인하여 산업계에 미치는 2차적인 피해를 경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전력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전기안전사고는 산업재해가 감소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매년 증가하고 있어 전기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한 종합적인 예방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전기에너지가 위험원으로 작용하여 사고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인해 인명상해나 재산상의 손해가 일어나는 주요한 전기재해는 전기화재, 감전사고, 전기폭발 그리고 전자파장해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재해의 통계적인 분석을 기초로 하여 전기화재, 전기감전 및 고조파장해를 포함한 전기설비사고를 각 원인별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정전기에 의한 재해, 낙뢰재해와 전자파장해를 고찰하고, 전기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 유형별로 전기적인 재해에 대한 예방대책을 제안하였다. Abstract Electrical Safety Accidents and it's Preventive Measures Kim, Young-Soo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dvisor : Prof. Park, Kyu-nam The electrical safety aims to minimize the loss of electrical power, property and life caused by breakdown of electrical facility and electrical hazard. And It also aims for the reduction of secondary damages which are involved in industry. However the electrical safe accidents are increasing annually, despite of the decreasing trend of the industrial disasters. Therefore overall preventive measures are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the electrical safety accidents. The electrical disast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electrical fire, shock and explosion and electromagnetic trouble caused by electric energy. This thesis investigated electrical fire, shock and facility accidents including harmonics trouble based on the statistic analysis of electrical disasters. And the disasters of static electricity, thunder and electromagnetic waves are considered. The preventive measures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case of electrical disasters.

      • 일제의 토지조사사업과 제주도 지세제도 변화 연구

        김영순 제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Land survey project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change of land taxation system of Jeju Isl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nge of land taxation system of Jeju Island between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Jeju Island was isolated from mainland Korea and the policy of central government was not executed well.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f Jeju Island wasn’t good. The ratio of land tax for Jeju Island in total tax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other areas. So the land taxation system of Jeju do was special and different from mainland Korea. The collected tax except tributes offered was used for the finance of the local government making it possible for Jeju Island to have an independent accounting. The target of the land tax was not the private land in jeju island. The land tax was imposed on rent for the land owned by government, land cultivated in government-installed ranches and slash-and-burnt field. The supervision governor of Japanese Empire wanted to increase the land tax to acquire colonial finance. But in the case of Jeju island, the land tax collection system was not well prepared and they couldn’t achieve the goal. Japanese Empire made taxation land system that imposed land tax based on land price after deciding the land price through national land survey project to acquire colonial finance. The land survey project in Jeju Island was finished after notifying land investigation on January 4, 1916. With the result of land survey project, they set land types depending on the usage of land and divided land into taxation land and non-taxation land. They made land registration system deciding the land price based on the profits of land. But the purpose of land price investigation at the land survey project was to increase the land tax. When the land survey project was near complete, Japanese Empire made a separate instruction on August 1916 to collect the land tax of Jeju Island. This was a transitional step to change to taxation land system. As a result, the land taxation system was changed twice in a short of period in jeju Island. This study reviewed the record of land registration in Jeju island that was confirmed by land survey project and practically analyzed the course to decide the land price. Then it estimated the content of newly started land taxation system and the imposed land tax in Jeju do from 1917. As a result, it included a large sum of private land for taxation and the land tax was increased giving great land tax burden to the people of Jeju Island.

      • 수학에서 NIE학습이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교육의 한 방법인 신문활용교육의 이론과 실제학습 방법에 관한 구체적 예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에 있어 학습자의 학습성취도와 수학교과에 관련된 태도변화를 알아보았다. 본론에서는 신문활용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과 실험연구에서는 신뢰수준 90% 이내에서 차이가 없는 두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두어 실험집단에게만 NIE학습지를 배포하고 통제집단에게는 교과서 위주의 강의식 수업을 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중 점수변화가 심한 중반 30%에 해당하는 중위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교과에 관한 태도변화를 사전사후로 나누어 각각 검사해 나갔다. 결론에서는 두 집단간의 학습성취도와 태도 변화를 항목별로 신뢰수준 90% 및, 99%로 알아봄으로써 미디어교육의 한 방법으로 제시한 신문활용교육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변화에 영향을 줄 뿐아니라 학습에 임하는 태도변화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