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초 김연수바디 춘향가 선율분석 : 적성가·천자뒤풀이·군노사령·집장사령·춘향모 탄식 대목을 대상으로

        강민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95

        As stated above, most of the melodies in the five parts of Kim, Yeon-su style Chunhyangga; Jeokseongga, Cheonjadupuri, Gunnosaryeong, Jipjangsaryeong and Chunhyangmo sigh part are Ujogil and a small number of Gyemyeongil and Dullungje melodies appear. Especially, in the Ujogil melody, the sol scale and the ra scale are mixed, a variety of Bonchung keys are used and the paragraph is changed frequently.

      • 김연수의 ‘나 그리기’ 감성미술 교육프로그램 연구

        김연수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 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63

        The Korean policy-making authority has carried out revisions on educational policies for better future education in several-year intervals. Since the early 2000s creativity in art education has gradually been held in higher esteem according to revised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such altered educational policies, art education practitioners currently present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exploiting various snippets of information and new mediums as part of creative art education. In addition, a lot of research on sensuous artistic activities is being conducted with respect to creativity. While making constant forays into altering educational policies to create a creative fusion-style education, education authorities have chosen to define the talented individuals needed in our society and companies as “creative persons.” This signifies how creative education has become a seminal topic of conversation not only in the educational world but also in our society as a whole. In 2015 the educational world began putting stress on art as an educational device to develop creativity and pursue changes in art education. Creative art education aims to improve confidence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and expressiveness enhancement. However, the fundamental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creativity is explored not in oneself but in external surroundings and senses. Although the creative expression of emo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fusion of various visual experiences and learning as well as reinterpretations of knowledge, it is knowing oneself and living with belief. This study presents an elucidation of the meaning of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through imagination and forges its ideological foundation and principle through reading classics. It draws out the principle of “imagination” that envisages one’s own existence from “what heaven confers is called ‘nature’ (天命之謂性)” and the principle of original ideas that understands the reason of one’s existence from “accordance with this nature called the Way (率性之謂道)” in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This thesis reveals that confidence is the state of knowing and believing in oneself. It understands the process in which one proceeds to a state of confidence as “cultivating the Way called ‘education’(修道之謂敎).” This paper sees imagination, originality of thought, and confidence as the main principles of construction through Oriental classics such as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en Diagrams of Confucian Philosophy(聖學十圖). Imagination is considered to be triggered by knowing of one’s existence and know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o am I?” In addition, originality of thought is to know oneself using emotions from the body that we have become aware of through imagination. The process of knowing “myself” is referred to as “self-drawing.” The “self-drawing” program was conceived in order to recover one’s beliefs and confidence through this process. I consider that the knowing of and belief in myself enables me to attain my own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my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others. And, this knowing of and belief in myself can be equivalent to something like confidence “creative persons” should have in our contemporary society. This paper tries to confirm that creativity is not nurtured but is already within me. It also asserts that the meaning of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lies in knowing of love and belief, the principles of one’s existence and proceeding to confidence through “self-drawing.” The fruits of this paper demonstrate that “self-drawing” as creative emotional art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principles deriving from ancient classics which aid self-realization, the recovery of confidence, and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It can be associated with leading joyous lives in which we are one and live as other being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creative emotional art pertaining to classics. 우리나라의 교육정책은 더 나은 미래 교육을 위해서 몇 년을 주기로 정책 개정을 시행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개정된 교육정책에 따라 미술교육에 있어서 창의력이 점차적으로 중요시 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된 교육정책에 따라 미술교육의 일선에서는 창의적 미술교육의 일환으로 각종 정보와 신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창의성과 연결하여 감각적 미술활동을 통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교육정책 또한 창의 융합형 교육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사회와 기업에서도 필요로 하는 인재 상을 ‘창의적인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와 같은 창의력 교육이 교육계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커다란 화두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15년 교육계에서는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의 도구로 미술을 중요하게 바라보기 시작했으며 창의미술이라는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창의적인 미술교육의 목표는 올바른 인성교육과 자신의 표현력 신장을 통한 자신감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창의력을 자기 자신에서가 아닌 외부환경과 감각을 통한 것에서 찾으려 하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고 본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각적 경험과 학습의 결합, 지식의 재해석이 창의적 감성 표현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창의적 감성 표현은 자기 자신에 대한 앎이며 믿음으로 살아가는 ‘나’의 모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을 통한 창의적 감성 미술교육의 의미를 고전읽기를 통하여 사상적 토대와 구성 원리로 밝혔다. 『중용』의 천명지위성에서 나의 존재에 대한 것을 그려보는 ‘상상’과 솔성지위도에서 나의 존재 이치를 알고 나에 대한 믿음과 사랑의 ‘창의’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자기 자신에 대한 앎과 믿음이 자신감이며 자신감으로 나아가는 ‘나’의 모습을 수도지위교로 이해하였다. 『중용』및『논어』,『성학십도』의 고전을 통해서 상상과 창의와 자신감을 주요 구성 원리로 보았으며 상상은 ‘나는 무엇인가’라는 나의 존재에 대한 앎을 시작으로 하였다. 창의는 상상을 통하여 알게 된 내 몸에서 나오는 감정으로 ‘나’를 아는 것이다. 이러한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나 그리기’라 명칭 하였으며 ‘나 그리기’를 통해서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자신감을 찾도록 ‘나 그리기’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앎과 믿음은 곧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로 인성교육을 스스로 이루게 하며 이러한 자신에 대한 앎과 믿음은 자신감으로서 현대 사회에서의 ‘창의적 사람’과도 그 의미가 통한다고 보았다. 창의력은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 안에 있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며 ‘나 그리기’를 통해서 창의적 감성미술교육의 의미를 자기 자신의 존재이치인 사랑과 믿음을 스스로 알고 자신감으로 나아가는 것에 두었다. 창의적 감성 미술교육으로서 ‘나 그리기’는 고전을 통한 원리 속에서 미술교육이 이루고자 하는 자아실현과 자신감, 올바른 인성교육의 효과와 더불어 모두가 하나이며 또 다른 존재로서 살아가는 행복한 삶과도 연결될 수 있음을 밝힌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며 고전과 연결한 창의적 감성 미술에 대한 재해석의 시도로서 의의를 갖는다.

      • Symmetric and Kähler–einstein Fano polygons

        김연수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investigate symmetric and Kähler–Einstein Fano polytopes mainly focusing on the two dimensional singular case. In particular, we construct some examples of symmetric but not Kähler–Einstein singular Fano polygons which cannot exist in the smooth case. In fact, we completely classified all such cases. We also show that symmetric and Kähler–Einstein Fano polygon admits a non-trivial rotation and construct examples of a Fano polygon that isKähler–Einstein but not symmetric. To understand more about Kähler–Einstein Fano polygons and symmetric Fano polygons, we introduce a new notion called the B-transformation of a Fano polygon. In particular, if a Fano polygon is symmetric or Kähler–Einstein then the B-transformation of the Fano polygon is also a Fano polygon. Then, we show that the property of being symmetric for Fano polygons is invariant under the B-transformation.

      •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소속집단에 따른 체격, 기초체력, 전문체력의 특성분석

        김연수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소속집단에 따른 체격, 기초체력, 전문체력의 특성을 분석하여 레슬링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목적으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속집단에 따른 체격 차이는 BMI와 목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둘째, 소속집단에 따른 기초체력 차이는 근력 중 배근력(k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근지구력 중 반복 점프(회/30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유연성 중 체후굴(cm)과 브릿지(cm)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20m 왕복달리기(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가 높은 값을 보였다. 셋째, 소속집단에 따른 등속성 근기능 차이에서는 각각 신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좌굴/신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국가대표에 비해 고등부가 높은 값을 보였다. 넷째, 소속집단에 따른 무산소성 파워 차이에서는 평균파워(Watts)와 체중 당 최고파워(W/k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에 비해 국가대표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피로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고등부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들이 높은 값을 보였다. 다섯째, 레슬링 선수들의 체격과 전문체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격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에서 피로율(%)은 BMI(kg/m2), 목둘레(cm)와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중 당 최고파워(W/kg)는 모든 체격 요인(BMI, 체지방률, 목둘레)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체격과 등속성근기능과의 관계에서 좌굴근은 체지방률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신근은 BMI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레슬링 선수들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초체력과 무산소성 파워와의 관계에서 배근력은 피로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복점프는 피로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후굴은 체중 당 평균파워(W/kg), 피로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왕복달리기는 체중 당 평균파워(W/kg)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격과 등속성 근기능과의 관계에서 배근력은 우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복점프는 우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후굴은 우신근, 좌신근, 좌굴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왕복달리기는 좌신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선수들의 소속집단에 따른 특성은 고등부와 대학부에 비해 국가대표 집단이 기초체력과 슬관절의 신전근, 피로율과 무산소성 파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비교적 우수한 경기력을 가진 국가대표의 특성으로 볼 때 고등부와 대학부 선수들은 앞서 서술한 레슬링과 관계된 체력요인과 무산소성 파워, 하지 각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그레코로만형 경기의 특성으로 볼 때 상지의 근기능 및 무산소성 파워도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상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que, basic fitness, and Specific Fitness according to the belonging group of wrestling Greco-Roman style athlete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athletic performance of wrestl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al variabl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que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 belonging to BMI and neck circumference(p<.05).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howed higher than the university department. Second, the difference in basic fitness according to th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k musclestrength(p<.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petitive jump(times/30 seconds) of muscular endurance(p<.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exion(cm) and bridge(cm) of flexibility(p<.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20m shuttle run(p <.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each extensors of isokinetic contraction muscle function according to the group (p<.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flexion/extension(%) (p<.05). High school wrestlers players had higher than a member of the national player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ower (Watts) and peak power per weight (W/kg) in the anoxic powe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p<.05). National wrestlers player had higher than a member of the high school wrestlers play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igue ratio(%)(p<.05) A player of the national team showed higher than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player.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que and specific fitness of wrestlers, the fatigue rate(%) was correlated with BMI(kg/m2) and neck circumference(c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que and anaerobic power. Peak power per weight (W/kg) correlated with all physique factors(BMI, body fat percentage, neck circumference). In relation between physiqu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buckling muscle was correlated with body fat percentage. Left extensor was correlated with BMI.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sic fitness and specific fitness of wrestlers, the back muscle strength was correlated with the fatigue r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fitness and anaerobic power. Repeated jumps were correlated with fatigue rate. Backward flexibility was correlated with average power per weight (W/kg) and fatigue rate(%). shuttle run were correlated with average power per weight (W/k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qu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the back muscle strength was correlated with the right extensor muscle. Repeated jump was correlated with right extensor. Backward flexibility was correlated with right extensor, left extensor and buckling muscle. shuttle run was correlated with left extens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estling Greco-Roman style of athle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basic physical strength, extensor muscle, fatigue rate and anaerobic power of the national team compared to the high school and college. performance, high school and college players need more systematic training to improve the fitness factors, anaerobic power, and leg muscle strength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wrestling. However, the myofunction and anaerobic power of the upper extremity will be important factor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co-Roman race.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upper limbs.

      • 조선후기 이룡(螭龍) 장식 공예품 연구

        김연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late Joseon Dynasty craftworks, unlike ordinary dragons, a unique form of dragon can be found reminiscent of lizards. With thin body, long tail split into two branches, was referred to as ‘the hornless dragon(螭龍)’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Chinese literature. Hornless dragon has been used since ancient China, and its existence can be found in white porcelain during the Joseon Dynasty, starting with the Goryeo celadon. As the decoration was not widely used in Korea, the term was not established and was sometimes referred to as ‘Banryong(蟠龍), lizard, and gekko.’ Although it has been widely confirmed that hornless dragon was decorated with craftwork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jade, metal, wood, and ceramic, independent research on hornless dragon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rough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Chinese and Joseon records, as well as surviving craftwork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origin,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Hornless dragon has been decorated on craftworks since ancient China, various records have mentioned the origin and form of hornless dragon, and it is generally recorded that Li(螭) is the same or similar to a dragon. Li was also used as a variety of examples, including one of the dragon's children: Yongsaenggujja(龍生九子), a young dragon and Imugi. Thus, it was recognized early as an auspicious animal related to water, and furthermore, the properties of being wary of getting drunk were passed on, decorating cups and bottles. According to record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of hornless drag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dragons and Gyoryong(蛟龍) is that there are no horns and scales, and it's tail is split into two branches. However, in some cases, a mane or a single horn appears in the actual relics, so the typical appearance of this figure is that no scale and the tail split on both sid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hornless dragon in China were divided into pre-Qing Dynasty and post-Qing Dynasty. Han Dynasty was the time when decorative craftworks began to be produced in earnest. The view, which is recognized as a "hornless dragon," was basically stereotyped in Han Dynasty, with an S-shaped twisted body, a long tail divided into branches, and a single horn running in the middle of the head. In the Tang Dynasty, natural materials such as animals and plants that can be seen in everyday life were commonly used, naturally reducing the frequency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use in crafts. It appeared in various materials such as jade seals, metal cups, and lacquerware, and was closely related to the imperial family by decorating Emperor Huizong(徽宗, 1082-1135)'s JeongMyeongbo(定命寶). Hornless dragon of Yuan Dynasty succeeded Song Dynasty was decorated it with ceramic, metalware, and lacquerware. It was during the Ming Dynasty that hornless dragon decorations began to become very popular, and as the original symbolism, which was considered sacred in connection with the imperial family, was reduced and the tendency to be auspicious symbol became clear. It featured almost all craftworks, including porcelain, jadeware, and furniture. This trend became more prevalent during the Qing Dynasty as the materials, models, and decorative techniques of new craftworks were revived and developed. In the case of decorative designs, the designs were transformed into straight and abstract designs, while various materials were decorated like Ming Dynasty. The hornless dragon image, which began in China, is confirmed to have been accepted since the Goryeo Dynasty. It is mainly inscribed and extruded in high-quality celadon, and is excavated from a small number of kilns and consumption sites. The hornless dragon desig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ransverse, semi-shaped, and single-shaped. Based on the tea set(茶具) and consumption site excavated together, it is possible that hornless dragon design celadon was used for ceremonies related to tea ceremonies(茶禮) or ritual ceremonies. It seems that various craftworks were introduced through exchanges with Song Dynasty, and the records suggest that it was recognized as a design symbolizing the king's authority.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of the early Joseon Period appears in the Cheongokjan(靑玉盞) which appears in the ‘Five Rites’(五禮儀) of the Sejong sillok(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and Junjakdoseol(尊爵圖說, Illustration of Royal Drinking Vessels) in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the State). There is a record that the Ming-dynasty (1368-1644) jade cups with hornless dragon double handles(玉螭耳杯) was bestowed, indicating that the image was directly accepted through its actual appearance. Moreover, several ceramics imported from China were excavated in Bongrae District 1, Cheongjin District, and Gongpyeong-dong ruins. Also a bronze cup with auspicious animal handle(靑銅瑞獸付盞) was excavated in addition to Chinese ceramics, and the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works excavat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influenced by Ming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after the 19th century, the use of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s by the royal family and upper class increased rapidly, and the inflow of craftworks from literature, portraits, and Chaekgado(冊架圖) is confirmed. This was the result of the influx of Qing Dynasty's Hornless dragon decoration through material exchange with Qing China played a crucial role in re-lighting the hornless dragon decorated craftworks. Hornless Dragon Deco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examined in detail through jade, metal, wood, and ceramic craf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craftworks of four materials are as follows, focusing on materials, uses, and decorative spaces. It is crucial that the use and hierarchy of the craft is determined by the decorating hornless dragon. There are few decorative decorations other than royal items, and some upper-class ceramics were also found to have been produced by the Bunwon(分院), a royal ceramic factory. Through this, it was discovered that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was limited to royal items and had a common decorativ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materials, uses, and decorative spaces of the craftworks. And then, this study focused on the royal items to find out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rnless dragon decoration was limited to jade cup in Karye(嘉禮) Dongroiyen(同牢宴), but was actively used as auspicious design when Chinese craftworks were introduced to Court banquet. This aspect was identified through the addition of the types and numbers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shown in Uigye(儀軌, the royal book).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itual of the Korean Empire(大韓帝國), its use was then expanded to gold investiture books(金冊), ritual objects, and architectural decorations. As such, it is believed that various aspects of the Korean Empire's decorations dating back to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referred to in the records through the use of imperial objects of Ming Dynasty. However, the actual ceremonies and ritual objects refer to the traditional Joseon and Qing Dynasty rituals, indicating that the use of these decorations is an example of the mixed nature of the Korean Empire's ceremonies. The use of these decorations also defines the purpose and status of craftworks, and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are considered to have various uses and hierarchies in the aspect of being auspicious while they are related to water and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days,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royal family, which was the background of decorating craftworks in a limited way, such as Ssangyigalho cheongokjan(雙耳蝎虎靑玉盞) in Karye(嘉禮) Dongroiyen(同牢宴) and gold investiture books(金冊) in official investiture ceremony(冊封儀禮), influenced the use and status of craftworks such as gold books. Since then, it has been widely used in woodcraft, ritual object, and construction amid the influx of Chinese craftworks and the flow of hornless dragon decoration to be auspicious.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decorative works of hornless drag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organizing the origin, acceptance process, composition, and meaning.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study the hornless dragon decorations that had not been reviewed in detail until now through various craftworks of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Empire. 조선후기 공예품의 장식 문양 중 일반적인 용의 모습과 달리 도마뱀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형태의 용을 찾아볼 수 있다. 두 갈래로 갈라진 꼬리와 가늘고 긴 몸체의 서수를 조선후기와 중국의 문헌에서‘이룡(螭龍)’이라고 하였다. 이룡은 중국 고대부터 사용되어온 연원이 오래된 문양소재로, 고려청자에 시문된 것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백자에서도 그 존재를 찾아볼 수 있는데, 국내에서 널리 사용된 문양은 아닌 만큼 용어가 정립되지 못한 채‘반룡(蟠龍), 도마뱀(蜥蜴), 도룡뇽(蛇師)’등으로 칭해지기도 하였다. 왕실 소용품을 중심으로 옥제·금속제·목제·도자제 등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에서 이룡문이 장식된 사례가 폭넓게 확인되나 국내에서 이룡문에 대한 단독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예품에 나타난 이룡장식을 정리하고 도상의 연원과 특징, 국내 유입과정, 그리고 성격과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룡은 중국 고대부터 공예품에 장식되었던 만큼 여러 문헌에서 이룡의 기원과 형태를 언급하였으며 대체로 螭가 용과 같거나 닮았다고 기록하였다. 점차 螭는 용에 귀속되어 이룡(螭龍)이라는 용어로 혼용되기 시작하였고, 용의 자식인 용생구자(龍生九子) 중 하나이거나 어린 용, 이무기를 일컫는 등 다양한 용례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물과 관련된 서수로 일찍이 인식되었으며, 더욱이 술에 취하는 것을 경계하는 속성까지 전해져 잔과 병에 장식되었다. 기록과 도설에 의하면 용이나 교룡과 대별되는 이룡의 특징은‘뿔과 비늘이 없고 짐승의 꼬리가 양 갈래로 갈라진 형상’이다. 그러나 실제 유물에서 이룡도상이 표현되는 양상을 보면 갈기나 외뿔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결국 이룡의 전형적인 모습은 ‘비늘이 없는 짐승의 몸에 가는 꼬리가 양쪽으로 갈라진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이룡도상의 형성과 전개과정은 청대 이전과 이후로 구분해서 정리하였다. 이룡장식 공예품이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던 때는 한대(漢代)이다. 옥기에 장식되며 S자형으로 꼬고 있는 몸체 표현과 여러 갈래로 나뉘는 긴 꼬리, 머리 중앙에 달리는 한 개의 뿔 등‘이룡’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견해는 기본적으로 한대에 정형화되었다. 당대(唐代)에는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동물이나 식물 등의 자연소재가 즐겨 사용되었기 때문에 자연히 이룡이 공예품에 사용되는 빈도가 줄었다. 이룡이 다시 공예품에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송대(宋代)로 ‘三代’를 추숭하는 흐름 속에서 방고기물(倣古器物)의 연구와 더불어 제작이 활발해져 한대 이룡을 모방하여 장식하는 경향이 짙어졌다. 옥제 인장과 금속잔, 칠기 등 다양한 재질에 등장하며 휘종의 정명보(定命寶)에 이룡이 장식되며 황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원대(元代)의 이룡은 송대 도상을 계승하여 자기와 금속기, 칠기에 장식되었다. 중국에서 이룡장식이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명대(明代)로, 황실과 연관되어 신성하게 여겨졌던 원래의 상징성이 축소되면서, 명대에는 길상화·도식화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자기와 옥기, 가구 등 거의 모든 재질의 공예품에 이룡장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청대(淸代)에 새로운 공예품의 재질과 기종, 장식기법 등이 활기를 띠고 발전하면서 더욱 성행하였다. 명대처럼 다양한 재질에 이룡이 장식되는 한편, 장식적인 도안의 경우 무늬가 직선적이고 추상적인 무늬로 변형되었다. 중국에서 시작된 이룡도상은 고려시대부터 그 유입이 확인된다. 주로 음각과 압출양각으로 양질의 청자에 시문되었으며 소수의 요장과 소비지에서 출토된다. 이룡문은 세부적으로 횡리형(橫螭形), 반리형(盤螭形) 그리고 단리형(團螭形)으로 시문유형을 나눌 수 있다. 동반 출토된 다구(茶具)들과 소비지를 바탕으로 이룡문 청자는 다례(茶禮)나 기우제와 연관된 의례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송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송대 공예품이 유입되면서 이룡도상도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기록을 통해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양소재로 인식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전기의 이룡은 『세종실록(世宗實錄)』「오례의(五禮儀)」와『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준작도설(尊爵圖說)에 나타나는 청옥잔(靑玉盞)에 나타난다. 명대 옥리이배(玉螭耳杯)를 하사받았다는 기록이 있어 실물을 통해 이룡도상을 직접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봉래구역 1지구, 청진지구와 공평동 유적에서도 수입된 명대 이룡문 자기편이 출토되었고 중국제 도자기 외에도 <청동서수부잔(靑銅瑞獸付盞)>도 출토되어 조선전기에 출토된 이룡장식 공예품은 명대의 영향을 받았으며 용과 유사한 이룡의 도상을 파악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후기 특히 19세기 이후로 왕실을 비롯한 상류층에서 이룡장식 공예품 사용이 급증하는데, 연행록을 대표로 하는 문헌과 초상화, 책가도 등에서 이룡장식 공예품의 유입이 확인된다. 이는 진하외교와 같은 청과의 교류를 통해 청대 이룡도상이 유입된 결과로 청나라와의 물적 교류가 이룡장식 공예품이 다시 조명받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룡장식은 옥제·금속제·목제·도자제 등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네 가지 재질의 공예품에서 재질과 용도, 장식공간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 시기와 재질을 관통하는 이룡장식 공예품의 특징은 ‘이룡’이라는 상위의 문양소재가 장식됨으로써 해당 공예품의 용도와 위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룡장식은 왕실 소용품 외에는 장식된 예가 거의 없으며 일부 상류층이 사용하였던 도자기의 경우도 그 생산은 왕실도자제작소인‘분원(分院)’에서 생산된 것임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이룡장식은 왕실 소용품에 한정적으로 장식되었으며 공예품의 재질과 용도, 장식공간에 따라 공통적으로 정해진 장식구성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왕실 소용품을 중심으로 이룡장식의 성격과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룡은 조선전기에는 가례(嘉禮) 동뢰연(同牢宴)에서 옥잔 등 일부 왕실 기물에서 한정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제 기물을 연향에 도입하면서 길상적인 문양소재로써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의궤도설에 이룡장식 공예품의 종류와 수가 추가되는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대한제국기에 황제국 의례를 성립하는 과정에서 금책, 속제용 기물 그리고 건축장식에까지 그 용처(用處)가 확대되었다. 이처럼 조선후기에서 이어지는 대한제국 이룡장식의 다양한 활용 양상은 번(幡)과 당(幢) 그리고 금책(金冊)을 비롯한 황제국 의물의 사용을 통해 기록상 명례를 참고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실제 의례와 의물의 모습은 전통적인 조선 의례와 청대 의례를 참고한 모습이 보여, 이룡장식의 사용이 곧 대한제국 의례의 혼용성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될 수 있다 하겠다. 이러한 이룡장식은 장식이 공예품의 용도와 지위를 규정하기도 하는 바, 물이나 왕실과 밀접한 의미를 갖다가 점차 길상성이 강화되는 양상 속에서 공예품에 다양한 용도와 위계를 부여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룡장식은 초기에는 왕실과 관련된 상징을 강하게 가져 옥배와 은잔 등 국내에서 오랜 기간 한정적인 방식으로 공예품에 이룡이 장식되는 배경이 되었고 <쌍이갈호청옥잔(雙耳蝎虎靑玉盞)>이 가례 동뢰연에, 금책이 친왕(親王) 책봉례에 사용된다는 등 공예품의 용도와 지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후 이룡장식은 중국제 기물의 유입과 청대 이룡이 길상화되는 흐름 속에 가구, 속제 기명, 건축에까지 널리 사용되어 길상적인 장식으로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이룡장식 공예품의 연원, 유입과정, 구성, 성격과 의의를 정리하여 이룡장식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기원국인 중국에서 이룡도상의 태동과 전개, 그리고 다양한 재질의 공예품을 통해 조선후기를 넘어 대한제국기까지 이어지는 이룡문의 장식 양상을 파악하였다는 점 등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던 이룡장식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시도한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둔다.

      • 토양 내 중금속-유기 복합오염체의 흡착능 비교 및 흡착제를 이용한 중금속 제거 효율 연구

        김연수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산개발지역 주변의 토양은 광물처리과정에서 유입된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질과 토착 중금속이 혼재하는 복합오염체적 특징을 띠고 있으며, 따라서 유기물질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은 토양 내에서 유동성이 증가하여 광역적인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물과 중금속이 결합된 복합오염체의 보다 빠르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형광 chemometric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키토산 기반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의 복합오염체를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실제 토양 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유기물질인 부숙토를 이용하여 현장 토양 내에서의 복합 유기물질의 이동에 관한 모사 실험을 실시하여 복합오염체의 제거 효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복합오염체는 10 mg/L 휴믹산, 펄빅산, 자연 유기물, 부숙토 용액에 구리, 납, 카드뮴을 첨가하여 인공적으로 조성하였고, 반응 전후 유기물질 성상의 변화를 Synchronous와 Excitation-Emission Matrix 형광 스텍트럼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중금속 카드뮴이 가장 유기물과 결합력이 약한 반면 구리와 납은 유기물과 결합이 잘 이루어져 파장 390 nm에서 보다 쉽게 퀜칭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흡착제는 키토산에 마그네타이트를 tripolyphosphate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첨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외에도 pre-carbon, 벤토나이트를 흡착제로 사용하였다. 복합오염체에 대한 흡착능을 평가하기 위한 회분식 실험 결과, 복합오염체의 훕착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최대 흡착량은 구리, 카드뮴, 납 복합체가 각각 2.5, 2.9, 6.0 mg/g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오염체의 흡착은 pH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이는 복합오염체의 흡착이 중금속보다는 유기물의 거동에 의해 좌우되고 흡착제의 표면전위변화에 영향을 받는 specific interaction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금속-유기 복합오염체 간의 결합능을 비교하기 위한 회분식 테스트 결과 오염토양만을 교반한 경우 synchronous 및 EEM 형광분석 결과 325 nm 파장 부근에서 가장 우세한 형광세기를 나타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리 > 카드뮴 > 납의 순서로 관찰되었다. 현장 조건을 모사한 컬럼 테스트의 실험 결과 전체적으로 유기물을 함께 섞은 Column 2와 컨트롤인 Column 1을 비교 했을 때 앞서 실험한 회분식 테스트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금속 용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착제가 투입된 Column 3, 4, 5은 중금속 제거가 효율적으로 잘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실험을 통해, 자원 개발 지역과 복토 적용 토양 주변 일대의 지하수에 유입되는 난분해성 오염물질의 신속한 분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토양 지하수 정화를 위한 정화처리 시스템 구성 설계 시 흡착 공정 충진 재료로 고려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한국인 눈꺼풀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김연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눈꺼풀을 포함한 눈확 안의 여러 구조들에 대해 정확하고도 세밀한 수술을 시행하는 데에는 무엇보다도 이들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 중에는 연구가 되어있지 않은 부분도 있고, 일부 구조에 대해서는 저자들 사이에 견해가 다른 부분도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목적은 눈꺼풀을 포함한 눈확의 여러 구조의 변이를 밝혀 눈꺼풀 수술에 도움을 주는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사람 눈 91쪽을 재료로 하여, 이중 50쪽은 위눈꺼풀과 눈확안의 구조의 변이를 조사하였고, 50쪽 중 20쪽과 새로운 30쪽을 합한 50쪽은 눈꺼풀판을 계측하고 눈확아래 지방칸의 구성과 변이를 관찰하였으며, 11쪽은 시상절단 조직 표본을 만들어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가로인대(superior transverse ligament)의 폭은 평균 9.0±2.5 mm (범위 4.8∼15.5 mm)이고 눈확 위모서리를 기준으로 할 때, 위가로인대의 앞쪽 가장자리의 위치는 12예(26%)에서 눈확 위모서리보다 평균 2.3±1.1 mm 앞쪽에, 34예(74%)에서 평균 3.5±1.3 mm 뒤쪽에 위치하였다. 2. 눈꺼풀올림근의 힘살널힘줄 경계(myotendinous junction)의 너비는 평균 20.9±2.6 mm(범위 10.9∼26.5 mm)였으며, 힘살널힘줄 경계와 눈확의 안쪽과 가쪽 모서리와의 거리는 각각 평균 15.2±3.2 mm, 6.9±3.9 mm였다. 힘살널힘줄 경계와 눈꺼풀틈새의 안쪽 눈구석과의 거리는 평균 7.3±3.0 mm였으며, 가쪽 눈구석과의 거리는 세 가지 유형이 있었는데, 가쪽 눈구석보다 더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86.1%)는 평균 6.3±4.5 mm 안쪽에 위치하였고, 더 가쪽으로 벗어나 있는 경우(11.1%)에는 평균 2.0±0.8 mm 가쪽에 위치하였으며, 일치하는 경우(2.8%)도 있었다. 힘살널힘줄 경계의 위치는 25예(54%)에서 눈확 위모서리보다 평균 4.0±2.4 mm 앞쪽에, 21예(46%)에서 평균 3.7±1.6 mm 뒤쪽에 위치하였다. 눈꺼풀판의 가장 높은 점에서 힘살널힘줄 경계와의 거리는 평균 8.7±1.8 mm (범위 5.3∼13.2 mm)였다. 눈확의 길이는 평균 42.4±3.5 mm이고, 눈꺼풀틈새의 길이는 평균 33.2 ±4.4 mm였다. 3. 눈확가로막은 눈확 위모서리 둘레의 뼈막에서 일어나 아래쪽에서는 눈꺼풀올림근 널힘줄에 붙으며 이 막의 일부인 깊은 층은 눈확지방의 뒷면을 감싸고돌아 눈꺼풀 올림근 윗면으로 계속되어 위가로인대까지 닿아 있었다. 4. 위눈꺼풀을 연속 시상절단한 조직 표본에서 눈꺼풀올림근의 널힘줄은 연속적인 다발을 이루어 내려와서 위눈꺼풀판의 위모서리와 윗부분에 닿아 있었다. 계속되는 널힘줄 다발은 눈둘레근의 다발이 잘린 사이로 지나갔고, 그 이후부터는 널힘줄 다발이 점점 희미해져서 관찰되지 않았다. 5. 위눈꺼풀판의 높이는 안쪽, 가운데, 가쪽에서 각각 평균 6.2±0.8 mm, 9.3±0.9 mm, 7.1±1.0 mm였으며, 아래눈꺼풀판의 높이는 각각 평균 3.9±0.5 mm, 4.6±0.6 mm, 3.8±0.5 mm였다. 눈꺼풀판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반달 모양이었기 때문에 대칭인 경우와 안쪽, 가쪽으로 치우친 세 가지 형태가 있었는데, 위눈꺼풀판은 가쪽으로 치우쳐진 형이 77.8%로 가장 많았고, 아래눈꺼풀판은 세 가지 유형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6. 눈확아래 지방칸의 구획은 안쪽, 가운데, 가쪽의 세 칸으로 뚜렷이 나뉜 경우가 34예(68%)였으며, 가운데와 가쪽 지방칸이 붙어있는 경우가 9예(18%), 안쪽과 가운데 지방칸이 붙어있는 경우가 6예(12%),구획이 구별되지 않고 한 칸으로 된 것이 1예(2%)였다. 세 개의 지방칸이 뚜렷이 구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방칸의 배열에 변이가 존재하였다. 7. 아래빗근은 세 개의 지방칸의 구획이 뚜렷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쪽과 가운데 지방칸의 사이를 가로질러 주행하였으며, 안쪽과 가운데 지방칸이 붙어있는 경우는 이 융합된 지방 덩어리의 아랫면에 붙어 뒤가쪽으로 주행하였다. 8. 눈확아래 지방칸의 형태학적 계측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눈꺼풀을 포함한 눈확의 여러 구조에 대한 변이를 밝혀 눈꺼풀 수술의 계획과 시행에 도움을 주는 바탕을 마련하였다고 하겠다.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urgical anatomy of eyelids and orbit is an essential key for a precise surgery of the eyelid. The anatomy of the eyelids and its relationships to the surrounding anatomic components are complex and this complexity is multi-folded by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each anatomic parts. So far there are only limited documents on anatomic description of orbital area, particularly in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cessary basis for surgical approach of eyelids by providing a detailed anatomical knowledge of the eyelid as well as it's relationships to the surrounding anatomic components. We have dissected eyelids of 64 Korean male and 27 Korean female, total of 91. In 50 eyelids variations of upper eyelids and orbital area, in 50 lower eyelids variations in dimensions of tarsal plate and fat compartment, and in 11 main attachment of levator aponeurosis in sagittal section were docum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mean width of orbit was 42.4±3.5mm and mean palpebral fissure was 33.2±4.4mm. The mean antero-posterior extension of superior transverse ligament (STL) was 9.0±2.5mm (range 4.8~15.5mm). The anterior border of STL was 2.3±1.1mm anterior from the supraorbital margin in 26% and 3.5±1.3mm posterior in 74% of 50 cases. 2. The mean width of myotendinous junction (MTJ) of levator palpebrae superior muscle was 20.9±2.6 mm (range 10.9~26.5 mm). The mean distance between MTJ and orbit was 15.2±3.2 mm on the medial side and 6.9±3.9 mm on the lateral side. The mean distance between MTJ and medial canthus was 7.3±3.0 mm. MTJ and its relationship with lateral canthus showed three types; average 6.3±4.5 mm medial to the lateral canthus in 86.1%, 2.0±0.8 mm lateral to the lateral canthus in 11.1%, and conincided in 2.8%. MTJ was 4.0±2.4 mm anterior from the supraorbital margin in 54% and 3.7±1.6 mm posterior in 46% of 50 cases. The mean distance from MTJ to the highest point of superior tarsal plate was 8.7±1.8 mm (5.3~13.2 mm). 3. The orbital septum orginated from the arcus marginalis of frontal bone and consists of two layers. The outer layer extends inferiorly and attaches to the levator aponeurosis; the inner layer, reflecting the orbital fat, runs superiorly and posteriorly to the levator sheath, which was thickened to form the superior transverse ligament. 4. In sagittal section of upper eyelid, the main attachement of levator aponeurosis occurs at the upper and anterior portion of tarsal plate, and fine connective tissue fibers from the aponeurosis fanns out to insert to the septa within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But we were not able to find the insertion of aponeurosis to skin. 5. The average height of upper tarsal plate measured 6.2±0.8 mm on the medial side, 9.3±0.9 mm in the center, and 7.1±1.0 mm on the lateral side. The average height of lower tarsal plate measured 3.9±0.5 mm on the medial side, 4.6±0.6 mm in the center, and 3.8±0.5 mm on the lateral side. The shape of tarsal plate is lunate and shows three variations; symmetric, medially shifted, and laterally shifted. Laterally shifted type is predominant (77.8%) in upper tarsus and lower tarsus shows even distribution of three types. 6. We have observed the definite compartmentalization of inferior orbital fat into medial, central, and lateral divisions in our cadaver dissections. Each one of these separate lobular groups of fat is well encapsulated, therefore being distinct and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The inferior oblique muscle originates from the anterior medial orbital floor and separates the medial fat compartment from the middle fat compartment as it passes posteriorly and laterally behind the equator of the globe. A fascial extension of the sheath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 and Lockwood's ligament, called the arcuate expansion, inserts on the anterior lateral orbital rim and separates the inferior orbital fat into the middle and lateral fat compartment. The composition of fat compartmentalization shows four variations; three separate compartments in 68%, fusion of middle and lateral compartment in 18%, fusion of medial and middle compartment in 12%, no separate compartment in 2%. In cases of three separate compartments, there are four variations in arrangement of fat compartment. 7. The inferior oblique muscle from its origin at the anterior medial orbital floor took a posterior and lateral course toward the inferior pole of the globe. In cases of three separate compartments, the muscle lay astride the medial and middle compartment and in cases of fusion of medial and middle compartment, the muscle passes under this fat lobules. 8. Detailed anatomic measurements of lower eyelid fat was performed by both a transconjunctival and a transcutaneous approach. This study would allow careful preoperative planning of eyelid surgery by providing a detailed knowledge of the anatomy of the eyelid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ous anatomic components in orbit thus would be helpful to minimize complications and optimize the outcome. There is little written ab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levator palpebrae superior muscle and superior transverse ligament with the surrounding anatomic components. So I undertook this anatomic study to closely examine their anatomy and interrelation among levator palpebrae superior, superior transverse ligament, orbit, and palpebral fissure. Through an anatomical study of relationships of the orbital septum and levator aponeurosis, I confirmed the Whitnall's original description and more recent observation in Korean that the levator sheath thickened to form the superior transverse ligament of Whitnall, run continuously inferiorly anterior to the levator aponeurosis and formed the inner layer of the orbital septum. I could not confirm the previous study of Korean that the levator aponeurosis was attached to the lower one third of the tarsal plate. Contrary to recent observations in Caucasian, I could find the true compartmentalization of the infraorbital fat and variations in arrangement of fat compartment was also clarified. The concept of compartmentalization is useful in the quantification of intraoperative fat excision. This detailed anatomical analysis would be helpful in performing upper eyelid surgery such as levator resection or oriental double fold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