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벤처기업 근로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김엘렌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기업의 대내외적인 경영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으며 경제 성장의 궁극적인 원동력은 무엇보다도 기술의 끊임없는 진보에 있어왔다. 특히 오늘날의 급속한 기술혁신은 전면에서 세계경제의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기술혁신과 이의 신속한 상업화가 국가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벤처기업은 그러한 기술혁신을 이루고 이를 신속하게 상업화하는 경제적인 활동주체로서 결국 벤처기업의 경쟁력이 국가경제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벤처기업이 생성,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경제적인 환경의 조성을 통하여 기술 혁신에 의하여 주도가 되는 경제적 성장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지금의 치열한 환경에서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수 있는 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한다. 한국경제는 지난 30여년동안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전략과 대기업중심의 중화학 공업육성 등 고도의 압축성장을 거듭해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외형중심의 성장에서 나타난 고비용, 저효율의 구조적인 문제가 심화되면서 경기부진, 대기업의 부도, 금융시장침체 등에서 IMF로부터 긴급금융지원을 받는 국가적인 경제위기로 확산이 되었고 따라서 정부는 이에 대한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했으며 산업구조를 기술․집약산업형으로 고도화시키는 전략을 모색, 기술집약형 벤처기업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주제는 이렇게 육성되어진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인의 특성, 조직구조, 조직문화, 보상공정성이 벤처기업 근로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같은 심리적인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아울러 성공적 벤처와 현재 어려운 상황의 벤처가 이들 선행변수와 결과변수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이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핵심연구인력의 사기저하와 이직의도의 증가 즉, 근로자들의 부정적인 조직 유효성은 바로 기업 경쟁력의 저하를 의미한다. 이처럼 벤처기업에 대한 관심은 급증하고 있지만 정작 벤처기업 근로자들의 태도를 조직행동차원에서 다룬 선행연구들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벤처기업 근로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같은 태도적인 측면을 다루는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인의 특성에 대한 지각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성공기업에서나 실패기업에서나 모든 창업인의 특성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 1은 채택이 되었다. 둘째, 조직구조의 집권화․공식화 특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조직구조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조직구조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직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채택이 되었다. 셋째, 조직문화에 대한 지각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 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성공기업과 실패기업에서 모두 조직문화는 근로자들의 조직유효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넷째, 보상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상관관계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여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성공기업이나 실패기업에서나 보장공정성은 근로자들의 조직유효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실패․성공기업은 앞에서 설명하였던 선행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조절 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통하여 검증한 결과 총 18개의 관계중에서 9개가 실패․성공기업이 조절변수 역할을 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조절효과는 판별분석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대기업 근로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아직까지 벤처기업 근로자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라는 점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선정하여 이들간의 관계를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보았고 더 나아가 성공기업과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비교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실패․성공기업을 연구모형에서 조절변수로 설정함으로써 성공하는 벤처근로자들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려 하였다는 점을 의의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한계점은 첫째, 많은 벤처들이 그 규모면에서 조직의 공식적 특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공식적인 특성을 가진 기업을 선정하려다 보니 많은 제약점이 따랐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결과변수로 태도적인 측면만 고려하였지만 보다 폭넓은 연구를 위해서는 태도외의 다양한 결과변수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모든 변수들의 측정에 있어 자기보고식(self-report)에 의한 설문지법에 의존한 자료수집으로 인한 변수관계의 왜곡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많은 벤처기업들에게 나누어 주었으나 내용상 정보유출을 꺼리는 벤처기업들로 인하여 예상했던 것보다 설문에 참여한 벤처기업수가 줄었고 또 일부업종에 국한되었다는 점으로 인해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The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for the past 30 years a high level of compressed growth based on an export-oriented economic growth strategy and a systematic upbringing of big conglomerates (chaebols) concentrating on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However, this external growth began to show some inherent structural problems such as high cost and low efficiency and as those problems became more and more severe, recession, bankruptcy of chaebols, and a crisis in the financial market followed to the point where the country had to receive an urgent financial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government therefore had to find a new breakthrough and actively helped upgrade the structure of the industry to technology-oriented areas giving birth to the era of venture-companies. This study focuses on those newly created venture companies and intends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fairness of compensation have on some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employe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illingness to change job. The study has done the analysis for successful venture companies as well as venture companies experiencing problems(non-successful). Furthermore, we have looked at whether or not the successful and non-successful companies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thos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crease in the turnover intent rate and low moral from core research manpower, in other words the negative psychologica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rings a decrease in competitiveness, People are the primary source of competitiveness for any economic entity with continuous growth. In that respect, this study hope to find its meaning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don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aling with behavioral aspects such as venture companies employe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of study are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 has been tested through a correlation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s showed a meaningful result. In other words, Hypothesis 1 was selec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do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both types of companies, successful and non-successful. 2.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centralization and formal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 has been tested through a correlation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s showed a meaningful result except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urnover intent. In other word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does influence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ot the turnover intent. Hypothesis 2 has therefore been partially selected. 3.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 has been tested through a correlation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s showed a meaningful result. In other words, Hypothesis 3 was selec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does influence greatly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mployees on both types of companies, successful and non-successful. 4.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compens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urnover intent has been tested through a correlation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s showed a meaningful. In other words, Hypothesis 4 was selec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fairness of compensation does influence greatly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employees on both types of companies, successful and non-successful. 5.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at the successful and non successful companies will contro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described before, has been dummy coded and tested throug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9 out of the 18 relationships have been shown to perform a moderating role for the successful and non-successful companies. Furthermore, a discriminant analysis has been done in order to see how well the discriminant of the study model does categorize the real group.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it ratio was 80% meaning the discriminant of the study does have a high level of forecasting pow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although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studies done on the attitude of employees working in big conglomerates, studies on employees in venture companies has been very limited. In addition, the factors considered having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ve been selected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their relationships in respect to venture companies verified. A comparative analysis has also been done between successful venture companies and venture companies experiencing difficulties.

      • 김정일 리더십 이미지 연구 : 『김정일선집』에 나타난 동기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김엘렌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the past, most of the studies on the leadership of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 were based on a structural, macro approach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system. However, after 2000, Kim Jong-il started to be active on the international diplomatic scene and began to show possible general leadership patterns that somewhat faded his bizarre and reclusive image. Nevertheless, in our society,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s still widely viewed as someone who is unstable, unpredictable, and capricious. Then again, was Kim Jong-il somebody unpredictable with no clear leadership pattern? If indeed Kim Jong-il was an unpredictable leader, nothing could explain the fact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did not collapse and succeeded in maintaining itself despite the numerous economic hardships and crisis it faced in the 1990s. Based on that problematic observation, the author felt a new approach was needed in the leadership study of North Korea's supreme commander. This study effectuated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image reflected in the speeches and publications, which has been so far an area of no great interest to researcher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it intends to demonstrate that the minute changes in leadership shown through the chang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t each period of analysis are one of the main pillar and driving force in maintaining the North Korean regime. To this end, I have distinguished 4 main periods in the politico-structural environment that triggers Kim Jong-il's political influence. I have effectuated a motive imagery analysis as well as a sectorial analysis to get knowledg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lead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adership image shown from the sectorial content analysis, I was able to determine minut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 The minute leadership changes shown in the speeches and publications lead us to view those speeches and publications not just as a medium to instill the image of the leader but also as a force to make the North Korean population comply to the system and, in the end, maintain the regime. I have distinguished 3 major motive imageries: achievement, power and affiliation intimacy imageries. The achievement imagery serves an indicator of outstanding activity to achieve a positive objective or result, to compete over excellence, to bring an unique achievement and an unprecedented absolute standard. Power imagery shows the influence and prestige associated with social power and privileges. Expressions that give considerable impact, strength, or influence to people, groups, institutions, countries and the world are power imageries. In order to get this power, aggressiveness and extreme risk-taking a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 and may result in wasteful and impulsive behavior. Affiliation intimacy imagery means the establishment, maintenance, restoration of friendship or intimacy between people, groups, and countries. The ambi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a theoretical approach of North Korean studies, which has been one of its weakest point. And to provide an expanded application method to analyze the speeches and publications through the quantitative motive imagery analysis highligh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approach has the merit of being able to explain the minutes changes in Kim Jong-il's leadership, an area which has been difficult to explain until now, through the changes of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keep adapting to the situation he is facing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Therefore, this tells us that Kim Jong-il's leadership, which did not show any change from a macro viewpoint, has in fact gradually changed in order to maintain the North Korean system.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us that the leadership pattern of the North Korean ruler has some correlation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ituational factors and that if we change the situational factors we can provoke a change of leadership pattern. These study results have been possible through a longitudinal analysis of 40 years of speeches and documents. On the other hand, although Kim Jong-il emphasized Songun (Military First) policy and Gangseongdaeguk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the sectorial analysis of Kim Jong-il's Sonjib shows that the Party was still the predominant institution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military documents have been excluded since Kim Jong-il came to power to continue the political legacy of his father shows that although on the surface emphasis is put on the Military First policy, in reality the Party comes first in the political system. Moreover, the numerous past studies on Kim Jong-il's leadership were not based on the military but on the Party. However, more studies on Kim Jong-il's speeches and documents are necessary so that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generally accepted. Breaking from the conventional macro leadership study and through the three motive (achievement, power, and affiliation intimacy) imagery analysis and sectorial analysis of Kim Jong-il's Sonjib, allowing to know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we will be able to reveal minute changes of leadership and this micro time-series approach will allow us to predict the behavior of other North Korean ruler and change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그 동안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일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구조적, 거시적 측면에서 접근한 체제중심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면서 북한 최고지도자에 관한 이미지는 불안정하고 예측이 불가능한 지도자라는 인식이 대부분이었다. 변덕스럽고 예외적인 인물로 간주되어 왔던 김정일은 2000년대 이후 본격적인 외교무대에 나서면서 개성을 지닌 일반적인 리더의 한 유형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사회에서는 김정일에 대한 이미지는 예측이 불가능한 인물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렇다면 북한의 최고지도자였던 김정일은 리더십 유형이 존재하지 않은 지도자였는가? 김정일이 예측이 가능하지 않은 지도자였다면 1990년대 이후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인 경제난과 위기 상황에서도 체제가 붕괴되지 않고 유지되었던 점을 설명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그 동안 거시적인 틀 속에서 어떻게 최고지도자 리더십이 구축되고 지배권이 발휘되어왔는지를 보았던 체제중심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지도자의 리더십이 말과 언어와 같이 개인적 특성을 알 수 있는 담화문을 통해 어떻게 드러나고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담화문에서 보여지는 리더십 이미지와 개인적 특성간의 상관성을 시계열적으로 교차 분석하였다. 개인적인 특성의 변화가 야기되고 있다면 이는 장기적으로 리더십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이는 어려움에 처해 있던 북한체제를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축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김정일의 정치적 영향력을 야기시키는 정치구조적 환경을 중심으로 크게 네 시기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김정일에게는 기존연구에서 보았던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리더십 외에도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작지만 유의미한 변화를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변화는 시대의 흐름, 상황, 조건과 적응하며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리더의 개인적 특성은 담화문의 부문별 분석에서 보여지는 리더십 이미지와 결합을 통해 변화하는 대내외적 상황에 따라 미세한 리더십의 변화를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 결국 북한 최고지도자의 담화문이라는 것은 단순히 지도자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북한체제에 순응하게 만들면서 체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담화문분석에 사용되는 동기이미지는 크게 세 가지로 성취, 권력, 친화감 이미지로 분류된다. 성취 동기이미지는 뛰어남의 기준을 지표로 하며 긍정적인 목적이나 성과,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경쟁, 유일무이한 성취를 수반하고, 전례가 없는 절대적 기준을 제시하는 행위나 목적 등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권력 동기이미지는 사회적 권력이 갖는 영향력과 위신, 특권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며 사람, 집단, 기관, 국가, 세계에 상당한 충격, 힘, 영향을 주는 표현이 있으면 권력 동기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권력을 얻기 위해 공격성이나 극단적인 위험을 감수하는 개인적 특징을 가지고 있고 사회적 힘과 공격을 취하는 것과 같이 낭비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이끌어낸다. 친화감 이미지는 타인과의 가까운 관계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여 사람, 집단, 국가 사이의 우정이나 친화적 관계를 정립, 유지하고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북한학 연구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었던 이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연구분석틀을 만들고 이를 개인적 특성을 알 수 있는 동기이미지라는 계량적 분석을 통해 담화문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확대·적용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근은 그 동안 거시적인 측면에서 김정일 리더십의 작은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 어려웠던 한계를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개인적 특성과 처한 상황에 따라 적응하며 변화하는 개인적 특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큰 틀 속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던 김정일 리더십이 사실은 조금씩 변화를 거치면서 이제껏 북한체제를 유지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보여준 연구결과는 북한 지도자 리더십 유형은 개인적 특성과 상황적인 요소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상황적 요소들을 바꾸어 주면 리더십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0년을 담고 있는 문헌을 종단분석을 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또한 『김정일선집』 부문별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김정일은 선군정치와 강성대국을 강조했지만 문헌을 분석해 본 결과 여전히 당 우위국가였다는 점이다. 특히, 유훈통치기부터 군사관련 문헌이 배제되기 시작했다는 것은 표면적으로 선군정치를 내세웠지만 내용적으로 보면 정치체계에서 선군보다 당군을 내세우려 했던 것이 아닌가 하는 해석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김정일 리더십이 군을 기반으로 나왔다기 보다는 당을 기반으로 한 리더십이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그 동안 기존 연구에서 발표되었던 대부분의 연구결과와 상반되는 주장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결과가 일반화되기 위해서는 김정일 문헌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결과가 축척이 되어야 한다. 기존의 거시적인 리더십연구에서 탈피하여 발화자의 담론을 담고 있는 『김정일선집』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을 알 수 있는 성취, 권력, 친화감과 같은 세 가지 동기이미지분석과 부문별 분석을 통해 리더십의 미세한 변화를 밝히는 이러한 시계열적인 미시적 접근은 앞으로 담화문을 통해 다른 북한 최고지도자의 행위와 북한사회를 전망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를 위한 미술기반 융합인재교육(A-STEAM)의 실천적 방안 연구 : 브루노 무나리(Bruno Munari)의 미술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김엘렌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공상과학 영화 속의 장면들이 제품화되고 현실이 되면서 창조경 제시대가 도래했음을 부쩍 느끼게 된다. 창조경제시대에는 과학, 기 술, 문화, 예술 등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산업 간의 융합이 일어나며 창의적인 경제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변화하는 시 대의 요구에 따라 교육에서도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해 융합인재 교육(이후 STEAM)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최근 그 출발점을 유 아기에서 찾고자 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미술영역에서 융합적 방법으로 작업하였 던 예술가, 디자이너, 그림책 작가, 미술교육자인 브루노 무나리 (Bruno Munari)의 미술교육방법을 고찰하고 STEAM 교육과의 공 통적 요소를 통해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 재 미술활동을 유아에게 적용해 보았다. 융합인재 미술활동의 사전․ 사후 변화를 통해 유아 대상 미술기반 융합인재교육(이후 A-STEAM) 의 실천적 방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과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에는 어떠한 공통요소 들이 있는가? 둘째,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유아의 사전․사후의 관찰, 사고, 표현, 놀이 활동에 어떠한 차이 를 나타내는가? 셋째,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유아를 위한 A-STEAM 교육의 실천적 방안으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 19명이다. 사전 미술활동을 1회 진행하였고 본 활동은 주 1 회 총 11회를 실시하였다. 융합인재 미술활동 계획안은 브루노 무나 리의 미술교육 중 그림책 2권, 교구 1개, 워크샵 7가지를 선별하여 STEAM 교육의 수업단계와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도록 유아교육 전문가 5인의 검토를 통해 완성하였다. 연구의 질적 분석을 위해서 는 유아의 활동 중 결과물, 활동 외 시간 중 그림, 사후그림, 사진, 녹음파일과 담임교사의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아 포트폴리오와 연구자의 관찰 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사전․사후 유아 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STEAM 교육과 브루노 무나리 미술 교육의 공통적 요소를 추출하고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관찰, 사고, 표현, 놀이의 4가지 요소를 도출하고 활동 차시별 유아의 평가 척도 를 완성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위해 미술교육 전문가 2 인,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을 통해 수정 보완 하였다. 평가 척도로 작 성한 사전․사후 유아 변화표는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 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찰활동의 하위요소인 탐색과 감상에서, 사고활동의 하위요소인 사고의 수렴과 확장에서, 표현활 동의 하위요소인 개방성과 독창성에서, 놀이활동의 하위요소인 흥미 와 상호작용에서 사전․사후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변화 시 기는 1차시에서는 개방성활동, 흥미활동, 상호작용활동이, 3차시에서 는 탐색활동과 감상활동이, 4차시에서는 사고의 수렴활동이, 11차시 에서는 사고의 확산활동과 독창성활동이 많이 일어나는 활동인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브루노 무나리의 미술교육 방법에 근거한 융합인재 미술활동은 놀이, 관찰, 사고와 표현 활동을 통해 유아의 역량과 작 품결과에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놀이 활동의 측면에서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와 흥미, 몰입과 협동, 배려 등 상호작용이 빈번하였다. 성공적인 감성적 체험은 유아들이 융합 인재 미술활동을 ‘즐거운 놀이’로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관찰활동 측면에서 오감과 도구를 통한 직접적인 관찰태도와 감상을 통한 간 적접인 탐구에 효과적인 변화를 주었다. 적극적인 관찰은 새로운 재 료와 기법에 대한 개방성을 높였다. 셋째, 사고와 표현활동의 측면 에서 유아가 관찰내용을 자신의 지식과 연관 지으며 사고를 수렴, 확장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 사후그림에서 나무의 구조, 형태, 크기, 표현방법에서 독창적인 작품들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관찰, 사고, 표현, 놀이 활동의 사전․사후 변 화를 통해 브루노 무나리 관점의 미술활동이 내재하고 있는 융합 교육으로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는 예술가 관점의 유아미술활동 이 STEAM 교육의 실천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가 유아를 위한 A-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 구 관점과 융합시대의 창의 융합적 인재들을 위한 미술교육의 방향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oducts in the scene of SF movie are becoming a reality, we feel close to the era of creativity economy which causes industrial convergence among science, technology, culture, and art, aims to build up a creative economic value. With this tendency, STEAM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of talents, even more recent research shows it needs to start from preschooler’s education. This study is about consideration of art education methods from Bruno Munari who were artist, designer, picture book writer, and educator working with convergent methods in many various fields of art. It is also to find out the ex-ante and ex-post change through common features between STEAM’s components & competency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possibility of Bruno Munari’s art education as a practical plan for preschooler’s Art centered STEAM education(hereafter A-STEA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 were asked. First, which are the common features of component & competence between STEAM education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Second, how different is the preschooler’s ex-ante and ex-post observation, thinking, expression, and play through STEAM art activity based on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ird, what meaning does STEAM art activity have as a practical plan of preschooler’s A-STEAM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choolers aged 7 at M child-care center located in Jeonju. STEAM art activity has been done 11 times excluding ex-ante Art activity once. STEAM art activity was composed of 2 picture books, 1 teachware, 7 workshops from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 STEAM art activity plan had been recast with 5 ECE expertises to adjust for the subjects’ developmental stage considering of a STEAM learning proces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materials such as STEAM art activity outputs, after activity-drawings, ex-post outputs, pictures, recordings, observation from homeroom teacher had been collected. With those reference, the observation records for each subject had been made. For the preschooler’s ex-ante and ex-post change analysis, the investigator extracted the common features of components & competency between STEAM’ education and Bruno Munari’s art education, then categorized with 4 features which are observation, thinking, expression, and play, finally tabulated them with each subelement. For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is evaluation scale, it was required the supplement and revision from 2 art education experts and 2 ECE experts. The chart of preschooler’s change had been tested Wilcoxon matched pairs signed ranks 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x-ante and ex-post STEAM art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exploration and appreciation as subelement of observation, in a convergent and divergent as subelement of thinking, in an openness and creativity as subelement of expression, in an interest and interaction as subelement of play. It also showed a changed time. It largely occurred openness, interest and interaction at the 1st activity, exploration and appreciation at the 3rd activity, convergent thinking at the 4th activity,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ity at the 11th activity. In conclusion, STEAM art activity based on Bruno Munari’s art education improved subjects’ competent and positive learning effects. In detail, i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TEAM art activity had been frequently occurred a spontaneous participation with interest and interaction such as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Achievement of successful emotional experience let the subjects perceive STEAM art activity as a ‘fun play’. Second, STEAM art activity influenced a significant change of either a direct search through five senses and an indirect search about appreciating works. Third, STEAM art activity make the subjects related their knowledge and extended their thoughts. It was turned out creative ex-post works in structure, shape, size, the way of expression. This study has verified the value of Bruno Munari’s art education as a convergent education through subjects’ change. This implied that an artist’s point of view could be a practical plan of preschooler’s A-STEAM education. 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perspective of an A-STEAM program development for preschoolers and a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creative and convergent type of talents in a new era.

      • Characterization and risk evaluation of nanoparticles released from antibacterial spray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printed electronics using conductive nanosilver ink, and nanoparticles generated from nanoaerosol generators

        엘렌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Part 1: ABSTRACT Characterization and risk evaluation of nanoparticles released from antibacterial spray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 Department of Nanobiotronics,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Il Je Yu) With the recent widespread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to consumer products, consumer exposure to nanomaterials released from these products has also increase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risks this may have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Many of the available product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AgNPs) are household products, along with machinery used in workplaces. While many studies have alrea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AgNPs contained in consumer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ase of AgNPs from sprays that contain these particles. Using an exposure simulation chamber as the setting for the experiment, various instruments, including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SMPS),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CPC), dust monitor, and mixed cellulose esters (MCE) filters, are connected to the chamber to measure the exposure levels of AgNPs when using the sprays. When evaluating the risk of inhalation exposure using the margin of exposure (MOE), spraying a whole can and spraying at an air conditioner both resulted in a high-risk concern level with a MOE ranging from 59-132, which was much lower than the no-risk concern level of 1,000. In addition, the dermal exposure levels with a single layer of clothing were estimated at 2-50 mg/kg.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results of another acute dermal toxicity study at concentrations up to 2,000 mg/kg/day and recent 28-day dermal toxicity data up to 1,000 mg/kg, neither of which showed any significant toxicity or systemic absorption in the blood or urine, the current dermal exposure levels were negligible when compared with the MOE no-risk concern level of 1,000. The current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high-risk inhalation exposure to AgNPs released when using antibacterial sprays. Part 2: ABSTRACT Characterization and risk evaluation of nanoparticles released from printed electronics using conductive nanosilver ink - Department of Nanobiotronics,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Il Je Yu) With the ever-increasing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our society is being surrounded by possible risk related to exposure to manufactured nanomaterials. The consumer market already includes many products that contain AgNPs, including various household products, such as yoga mats, cutting boards, running shirts, and socks. There is a growing concern over the release of AgNPs in workplaces related to the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ease of AgNPs during the operation of a printed electronics printer. Using an exposure simulation chamber, SMPS, CPC, dust monitor, and MCE filters are all connected to measure the AgNP exposure levels when operating a printed electronics printer. As a result, a very small amount of AgNPs was relea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rinted electronics printer and the number of AgNPs inside the exposure simulation chamber was lower than that outside. When evaluating the potential risks for consumers and workers using a MOE approach and target MOE of 1,000, the operational results far exceeded the target MOE in this simulation study and in a previous workplace exposure study. Therefore, the overall results indicate a no-risk concern level in the case of printed electronics using nanosilver ink. Part 3: ABSTRACT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generated from nanoaerosol generators - Department of Nanobiotronics,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Il Je Yu) There is an increase in nanotechnology over the years. Many people are being exposed to these manufactured nanomaterials. There is a developing concern for the potential risk it may have to the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Standardized methods to determine the harm of these nanomaterials is necessary. One crucial group of nanomaterials includes carbon particle comprising graphenes. This group of nanomaterials is found in many applications that are used in the society's everyday lives. In order to produce these materials in large quantity and to commercialize them to consumer application, ensuring the safety of these nanomaterials is indispensable requirement. In particula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of these materials is foremost important. Currently, there are only a few carbon nanomaterial aerosol generators that are available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Thus,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is to characterize these carbon nanoaerosols generated from these aerosol generators that are used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Various methods used include SMPS, dust monitor, CPC, and polycarbonate (PC) membrane filters to characterize the graphene in terms of shape characterization, size distribution, number concentration, mass concentration and MM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