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김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2일부터 3월 4일까지이었으며.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C 대학교병원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1년 미만 된 외래환자 중에서 43명(실험군 21명, 대조군 22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인 교육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교육책자를 배부하고 집단교육 시에는 교육내용에 대한 강의가 끝난 후 구성원들끼리 경험을 나누는 토의 형식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인별 교육은 환자가 투석을 받는 동안 침상 옆에서 개개인의 약물투여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설명하였으며, 매회 마무리 단계에서는 자가간호수행 일지를 점검하고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그에 대한 문제해결을 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정도, 자가간호수행 정도 및 생리적지표로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로서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은 홍계영(1999)이 개발한 도구로 송은숙(2002)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자가 간호수행 정도는 송미령(1999)이 개발한 도구로 이정화(2003)가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생리적 지표는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Kolmogorov - Smirnov test,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 test, repeated measure ANOVA 및 Bonferroni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주효과인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8.80, p=.002), 세 시점간의 지식 정도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653.65, p=.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9.84, p=.005). 실험군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정도를 측정시기별 다중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p<.05),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p<.05). 2) 제 2가설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자가간호수행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43091;는 지지되었다. 주효과인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57.46, p=.001), 세 시점간의 지식 정도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26.65, p=.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10.87, p=.004). 실험군의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측정시기별 다중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유의하게 높아졌고(p<.05),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p<.05). 3) 제 3가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 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생리적 지표가 더 양호할 것이다 &#43091;는 지지 되었다. 주효과인 생리적 지표는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세 시점간의 생리적 지표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군의 생리적 지표를 측정시기별 다중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p<.05),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증진시키고 생리적 지표인 혈중 칼륨과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간호중재라는 것이 실증적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혈액투석을 시작한지 1년 미만 된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교육프로그램은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을 유지 · 증진하기 위한 독자적인 간호 중재법으로 임상실무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for early hemodialysis patients on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The rese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uary 2, 2006 to March 4, 2006. Experimental subjects are 43 hemodialysis patients with less than 1 years (total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21, control group: 22) in C university hospital, G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e reserch wer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scale developed by Hong(1999), and partially modified and added by Song(2002), self-care practice scale developed by Song(1999), and partially modified and added by Lee(2003), physiologic index.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12.0 for Windows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Kolmogorov - Smirnov test,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t- 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Bonferron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the self-care practi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3) The third hypothesis, "the physiologic index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is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hemodialysis patients was increased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self-care and decreased physiologic index. Therefore this education program will be independent and very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which can be used in early hemodialysis patients.

      •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김애영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notion and training case studies of USA.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ims to increase the quality of artist training in Korea,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making Korea more developed nation. Through extensive research on the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teaching artist concept, applied with the current USA training system and case studies, following measures for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are suggested as below: 1) The term ‘teaching artist’ is the combination of an artist and a teacher, which is the most suitable term as it refers to those who teach arts education. 2) Arts colleges and regional arts institutions are needed to promote efficient teaching artist training and management. 3) Arts colleges and arts organizations should be authorized to give certifications and other methods of accreditation to skilled teaching artist. 4) Teaching artist selection process should be more rigorous. It also needs mentoring program and establishing a more intimate partnership between teaching artist and public schools. 5) Full-time employment should be offered to teaching artist so that they can manage class effectively and gain more respect with their profession from the gene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Although Korea system for arts policy and environment are different from USA, by examining the ca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rtist in Korea could be achieved faster. As it was the first attempt in researching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through USA case studies, one expects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예술교육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생겨난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개념과 교육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의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질적 성장이 국내 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에 영향을 미처 우리나라가 예술교육 선진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예술교육과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흐름과 개념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삼고자 하였고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현황과 교육 시스템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술교육을 행하는 예술가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제안하였다. 이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정체성인 ‘예술가’와 ‘가르치는 자’,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둘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효과적인 교육과 관리를 위하여 예술대학기관과 지역예술기관(지역센터 포함)에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자격증과 인증제도는 예술 대학과 지역예술기관에 그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공신력과 지역에서의 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선발함에 있어 더 엄격한 선발기준을 적용할 것과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능력향상과 효과적인 수업 진행을 위하여 멘토링 제도 도입, 그리고 학교및 교사와의 긴밀한 파트너쉽 형성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고용함에 있어 현재의 파트타임제에서 풀타임제로 변화해 갈 것을 제안했다. 풀타임제로의 변화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가 사회 속에서 직업으로써의 지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예술교육 활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의 나아갈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미국과 국내 예술정책과 환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앞선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시행착오를 줄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발전을 좀 더 앞당길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에 있어 미국 사례 조사를 처음 시도한 것으로 앞으로 더 많은 사례 연구를 통한 깊이 있는 연구들이 활발히 일어나길 기대해 본다.

      • 식물 형태의 오르골과 장신구 제작 연구

        김애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사적으로 보면 인간은 식물에게 삶을 의존해 왔으며, 특히 의식주의 문제 이상의 삶의 질을 위해서 꽃과 식물을 곁에 두었다. 하지만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하는 현대의 도시인들은 숲과 멀어지는 생활을 하고 있으며, 그 결과 삶의 쉼터를 잃은 채 건조한 나날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틈틈이 자연과 소통하길 원하는 사람들이 아름답게 피어난 꽃과 푸른 잎을 가까이 하기 위해 식물을 사용하여 육체적, 정신적 휴식을 도모한다. 한편 영원한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듯이 식물 역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삶과 죽음을 반복하며 번식을 이어간다. 그러나 인간의 환경 속에서 공생하는 식물의 경우 그 아름다움이 말할 수 없이 찬란하지만, 생물학적 이유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원래 자연이 가진 생의 주기보다 빨리 시들어버린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연과 함께하고 싶은 인간의 욕망이 꽃과 나무를 일찍 죽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우리가 만든 환경은 이미 자연에서 너무 멀어져 버렸기에 식물조차 제대로 살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인지 우리 주변에는 식물의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보이면서 동시에 오랜 기간 견고함을 유지하는 각종 생활용품 또는 디자인 용품들이 많다.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만든 꽃을 비롯하여 식물의 패턴과 이미지를 차용한 각종 장식들은 단독적으로, 또는 다른 사물의 한 부분이 되어 우리의 삶을 꾸민다. 그리고 여기에서 관건은 좀 더 섬세하고 조화로운 식물의 형태를 찾고 이를 구현하는 일일 것이다. 이번 연구 작품에서는 꽃꽂이 후에 버려지거나 부주의로 인해 죽는 식물을 만들지 않으면서 꽃과 식물의 아름다움을 풍부하게 즐길 수 있는 오르골과 장신구를 모색하였다. 꽃과 식물을 구현하는 일은 예로부터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으며 그 수준도 매우 높다. 따라서 단순히 식물의 모양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닌 다양한 식물의 움직임을 통해 아름다움과 동시에 생명력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오르골과 장신구의 주재료는 나무와 금속이다. 자연에서 얻은 친숙한 재료인 나무는 우리의 심신을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데, 이러한 나무와 금속의 결합 구조를 통해 보다 견고하고 복합적인 기능과 형태를 만들어가는 일은 금속공예가가 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자연의 모습과 식물의 형상을 가진 각각의 연구 작품들은 서로 다른 크기와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본질적으로 식물과 함께하는 편안한 휴식시간을 의도하고 있다. 전시공간에서 벗어나 탁자 위에 부담 없이 꺼내 놓고 언제든 즐길 수 있는 탁상용품, 또는 일과 중에 틈틈이 자연의 한 조각을 더듬을 수 있는 장신구를 통해 잃어버린 마음의 여유를 되짚어보는 시간이 되기를 희망한다.

      • 한국 출판만화 원작의 영화화와 흥행 연관성 연구

        김애영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산업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콘텐츠 사업은 하나의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창작 산업으로, 성공한 콘텐츠는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 이하 OSMU)를 통해 다양한 수익구조를 만들어 출판,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각종 비즈니스 영역으로 파생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그중에서도 만화산업은 창작 작품들의 중심으로써 문화콘텐츠의 핵심으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가장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OSMU의 성공 사례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최근에 들어서 많은 영상매체들이 만화를 원작으로 한 필름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그 움직임 또한 활발하다. 하지만 만화의 경우 주요 타겟 소비자가 아동에 집중되어 있으며, 비교육적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시장 확대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영화시장은 투자자본시장의 위축과 스타 의존적 기획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판만화의 영상화 작업은 출판만화나 영화 시장에 모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만화가 영상화되기 유리한 조건으로는 첫째, 만화는 다양하고 개성 넘치는 소재 및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영화의 스토리 보드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영상화하기에 용이하다. 셋째, 만화는 흥행 산업이기 때문에, 이미 흥행성이 검증된 만화들로 영화화를 시킬 수 있다. 넷째, 만화는 고정팬이 있기때문에 영화를 개봉했을 때 초기관객을 쉽게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이미 완결된 스토리로 만화의 내용에는 모든 사건의 배경 및 설정등과 기승전결이 나와있기 때문에 스토리를 만들기에 용이하다. 하지만 영화화 되어 흥행에 성공하는 예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이유로는 첫째, 만화는 주로 연재 작품들이 많기 때문에 영화의 짧은 타이밍에 다 담아내기는 힘들다. 둘째, 원작만화를 크게 훼손시키고 싶지 않은 원작만화의 팬들을 만족시켜야 초기 흥행의 초석이 된다. 셋째, 원작만화의 팬들도 만족시켜야 하지만, 기존의 영화 팬들도 만족을 시켜야 한다. 넷째, 만화는 비쥬얼 예술이기 때문에 캐릭터를 설정함에 있어 제약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극복됐을 때, 영화는 흥행에 성공을 한다. 영화가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영화의 선택을 신중히 해야한다. 그리고 이렇게 성공을 하는 영화들의 원작의 특성은 대부분 드라마성이 강하다. 또한 영화에서 만화, 만화에서 영화로 이어지는 마케팅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끊임없이 작품에 대한 인지를 시켜야한다. 영화가 흥행에 성공을 하면 원작 만화의 판매량은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처음엔 만화 독자들만 찾던 만화를 보지는 않았지만 영화를 개봉하면 영화를 본 일반 관객들도 찾게 되기 때문이다. 소수를 위한 만화가 대중을 위한 만화가 되는 것이다. 최근처럼 불황의 길만 걸어가고 있는 만화 시장도, 원작 사업으로 인해 새로운 곳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더불어 원작 만화의 위상도 더불어 높일 수 있다. Culture Contents Business is a Creative Business based on a knowledge; a successful contents is a high value added business that can make much values spreaded to various field of business, such as press, film, game, animation, and character, through the various benefit set of O.S.M.U(One Source Multi Use). Recently, various forms media actively releases and screens the films originated in Comics which is published. That is because: the comics published, no less, is usually targeted on children, but many people think that is not of benefit to them, so it's not easy to enlarge the market. And also, the film market has problem: shrinking of investment and expansion of dependence on movie stars. So the filming of comics published gives affirmative effects to both sides. The comic strip has five advantages of filming: various and individual materials and contents, the similar structure to the storyboard of movies, verified entertaining works ―less risk―, its own fandom ready to buy the movie tickets, and the last, the conclude story which has own background, setting up, and plot. For all these factors, only a few movies originated in comics succeed. Its causes are like these : first, it's almost impossible to put all the contents in the running-time of usual movies. And the fans who have loved original work are never satisfied with ruined that originality. At the same time, the fans who have loved movies aren't satisfied with ruined movie. Fourth, comics's visual of the second dimension is hard to transform to screen image in the third dimension. These have to be overcame to make the movie success. And also the original comic on which successful movie based have a certain character : a drama. Last, not forgetting, the marketing has to go on from one business field to others and then let the consumer to be familiar with the work and film. A good comic strips work opens to a possibility of a successful movie. And a successful movie interests people who have not read it in the original work. Then the comics for the minority can be change to for the majority after all the each proceeds increase. As a source of the contents, the comic strips, in slump, can make to create values in various fields, and its own reputation get enhanced.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애영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관 자원활용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는 사회복지관 운영에서 빈약한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는 점에서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의 복지자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구 경북의 40개 사회복지관에서 업무를 총괄하는 중간관리자나 자원개발·관리 담당자 40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분석을 토대로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 자원개발, 그리고 자원관리 실태를 고찰하고, 고찰을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활용 측면에서 보면, 현재 사회복지관은 기존의 최저배치기준에도 못 미치는 부족한 직원을 채용하고 있었으며, 일반자원봉사자와 전문인력자원봉사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물적자원의 경우 타 기관의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주로 개인과 민간단체가 식료품과 의류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후원하고 있다. 자원개발 측면에서는 인적자원의 확보를 위해 언론매체를 통한 확보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재정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유사한 방법으로 민간재원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자원관리 측면에서는 인적자원의 관리와 후원자 관리를 위해서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의례적이고 보편적인 관리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인적자원 또는 물적자원 개발·관리 전담직원은 대부분이 타 업무를 병행하는 사회복지사가 담당하고 있다. 개선 방안으로는 효율적인 자원활용을 위해 인력 충원, 직원들의 자원활용에 대한 의식 강화, 그리고 시민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변화가 요구되며, 지역사회 내의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전문기관간의 연계·협력을 강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개발을 위해 사회복지관은 전문적이고 다양한 자원개발 방법과 전문기법의 활용이 요구되며, 공공재원의 확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개발 전담 부서를 두고 전담직원에게 전문적인 교육이나 연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후원회 조직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원관리체계의 구축, 다양하고 전문적인 관리 방법의 개발, 그리고 전산화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원제공자들에게 개별적인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원관리 전담인력의 배치와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후원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여 사회복지관과 자원제공자들간의 신뢰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At pres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Korea have many difficulties in managing social welfare programs for the residents within communities. One of the difficulties was caused by the limited resources and fina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fore, in managing community welfare center, resource problem-solving should take precedence over other concern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using resources in community and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for utilizing efficiently and efficiently the limited welfare resour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rty of managers or the staff of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Kyu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ource utilization, while the social work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employed somewhat less than the minimum employment standard of staff abolished in 1998, quite a few residents were given social services from community welfare center. This is why a great many case loads were imposed on a worker in a day. Community welfare centers utilized actively the general volunteers and the professional volunteers, and the services of the other agencies. Commodity food and clothes were sponsored more satisfactorily than medical supplies or cultural necessaries, or renovation of housing. Individuals and private organizations generally concentrated on sponsoring the necessaries of commodity food and clothes than medical supplies or cultural necessaries, or renovation of housing satisfactorily,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was not positive. Second, in the aspect of resource development, mos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generally collected human resources, especially volunteers, through mass media, posters, individual contact of the social workers, and sectarian or social organizations. And for the finances,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interested in proposing the project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s of enterprises, or community chest of Korea, or sponsoring of individuals or groups etc. And also the sponsoring organization nearly failed to come into existence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of Daegu and Kyungbuk area. Third, in the aspect of resource management, almost all community welfare centers utilized very similar kinds of compensation methods for maintaining the sponsorship or volunteers' activity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lso the person who is charg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e resources needed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served concurrently two service responsibilities or more. They were generally not managers but social workers who have narrow experience in that field. On the basis of the actual status of the resource utiliz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area of Daegu and Kyungbuk, improvemen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ource utilization, community welfare center would prefer to employ more staff, while strengthening their awareness of the resource utilization in community. Th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welfare agencies and other professional agencies is required, in order to utilize efficiently the poor and limited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Second, in the aspect of resource develop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 should be required the design of various and special programs, professional strategies, the introduction of nonprofit marketing techniques. A great deal of effort should be put into the guarantee of public funds from the government. Moreover, it should actively organize the sponsoring organization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will bring to fulfill systematical resources development.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give it the chance to get professional training in resource management. Third, in the aspect of resource management, first of all, an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resources will be constructed. In addition, a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sponsors and volunteers will allow community welfare center to give the individual services and then maintain their activities, like donations and volunteer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use of donated and volunteer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use of donated resources will also create confid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resource-givers, which will make the sponsors continue their sponsorship activity. Finally, in order to activate or improve resource utilization, it is very significant for the director or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it. The awareness of staff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improvement devices proposed in this study. Besides, the subject of utiliza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funds for public finance should be studied to solve the resource problem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uture.

      • '쓰기' 에 나타난 고등학생의 통신언어 사용 실태 및 지도 방안

        김애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컴퓨터나 휴대폰이라는 특정 영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규범을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언어인 통신 언어가 일상 언어에 얼마나 스며들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일상어에 사용되는 통신 언어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고자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수업 시간 중‘쓰기’활동을 하여, 그 글속에 표현된 통신 언어 사용 비율을 분석하고, 그 유형을 살펴보고, 나아가 잘못된 언어 사용을 바르게 하도록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았다. 이때의 통신 언어는 표준어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329명의 글 중 48.94%인 161명의 학생 글에서 통신 언어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통신 언어의 일상어 침투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려주는 심각한 결과이다. 또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적(性的) 차이에 따른 통신 언어 사용 비율은 전체 161명 중 남학생이 39.75%인 64명, 여학생이 60.25%인 97명이었다. 이것은 평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감정 표현이 자유롭고, 특히 영남 지역이 타 지역보다 남학생들이 과묵하고 감정 표현에 서툴다는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학생들의 글 속에 표현된 통신 언어의 유형을 살펴보면,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이 바로 문장부호였다. 전체 6,966개의 문장 중, 1,201개의 문장에 통신 언어가 사용되었다. 문장부호는 33.72%인 405개 문장에서 보였고, 문장부호 중에서도 말줄임표가 가장 많았다. 그 이유는 컴퓨터상에서 생각하거나 주저할 때, 혹은 할 말이 없으나 대화에서 소외되지 않기 위해 계속 대화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던 표현이 쓰기에서도 그대로 습관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학생들의 삶 속 깊이 이러한 통신 언어가 스며들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새삼 놀라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국어 교육의 큰 문제점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10대 청소년들의 통신 언어 사용 자제를 위한 교육 방안을 아래와 같이 몇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첫째, 학생들의 사고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문법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사의 언어 사용이 모범이 되어야 한다. 넷째, 문장 부호 사용의 적절성을 가르쳐야 한다. 다섯째, 수업 시간에 표준어와 통신 언어의 개념 및 특징, 차이점 등을 직접 교수법이나 탐구학습 모형으로 설명을 하여 학생들이 어떤 언어 사용이 올바른 언어생활인지를 스스로 알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지속적인 피드백을 해 주는 교육, 즉 교육의 추수지도가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지도 방안과 더불어 실제 현장에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모형과 여기에 알맞은 지도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는 필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학생, 그것도 2학년에 국한된 연구 결과이므로 앞으로는 학교 전체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 일반계 고등학교들 간의 비교, 또 일반계 고등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 간의 비교, 또 이들 학교의 남녀 성(性)에 따른 비교 등이 이루어질 때, 대처 방안 또한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것이 생산될 것이다. 앞으로 필자가 하지 못한 이러한 연구가 많은 논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길 바란다. 그리고 이 연구가 학생들의 통신 언어 사용을 줄이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xtent to which telecommunication language has penetrated everyday language and to provide appropriate strategies for guidance. Telecommunication language, which is used in communications via computers and mobile phones, is a new form of language that deviates from standard linguistic nor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used in everyday language, the percentage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the school writings of non-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assessed. Then, a typology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used in school writings was made. Finally, specific strategies for linguistic guidance were devised. Telecommunication langua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standard language was excluded from this study.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found in writings of 161 (48.94%) of 329 students. The result shows that distortion of standard language by telecommunication language is widespread and serious. Gender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use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64 (39.75%) of 161 students who used telecommunication language were male whereas 97 (60.25%) were female students. The difference may stem from the fact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expressive than male students in production of emotive language and that male students of Gyeongsang province, who were observed in this study, tend to be more taciturn than male students of other regions. In the meanwhil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 students' writings was punctuation marks. From a total of 6,966 sentences, telecommunication language was used in 1,201 sentences. Punctuation marks were found in 405 sentences (33.72%). The most frequently used punctuation mark was ellipsis. In online communications, ellipsis is used to express one's interest in sustaining a conversation when one is thinking, hesitating, listening, or has nothing to say. The students' online usage of ellipsis is transferred to their offline school writing. The penetration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into everyday language of students was thus found to be more serious than expected. The deplorable condition is also alarming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The following strategies are proposed to restrict teenagers' use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First, education must change students' way of thinking. Second, grammar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Third, teachers should provide linguistic models to their students. Fourth, proper usage of punctuation marks must be taught to students. Fifth,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language and telecommunication language must be taught to students in lectures and in-depth studies so that students themselves realize the importance of correct usage. Sixth, continuous educational feedback to students follow-up service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trategies proposed above, this study proposed teaching models and guidance plans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tudents' proper use of standard language despite penetration of telecommunication langu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based on a survey of second-grade students of high schools in which the researcher teaches. In follow-up studies, the population should be expanded for more elaborate analysis and research. Furtherm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mpare students of non-vocational schools with those of other non-vocational schools and compare students of non-vocational schools with those of vocational schools. A comparative study that uses gender as the major variable should be also carried out. Such studies will produce strategies and methods that are more specific and realistic.

      • 살균소독제의 정량적 표면시험법과 현탁액시험법의 유효성 비교

        김애영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품접촉표면에 살균과 소독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살균소독제가 현행 관리규정에서 유효성을 입증하는 시험방법이 현탁액 시험법으로 식품산업 현장에서의 적용시 적절한 살균소독의 효과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실제 사용조건을 충분히 반영한 실험실적 시뮬레이션한 시험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현행 살균소독력 시험법(Suspension test)에 의해 허가받은 국내 유통·판매되는 살균소독제를 대상으로 정량적 표면시험방법인 CEN EN 13697, ASTM E2111-00 및 ASTM E2197-02의 유효성을 평가를 수행하여 현탁액 시험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지 건조조건 중 MLFC 건조조건이 가장 낮은 균 감소율을 보였고, 회수방법에서는 유리비드가 90%이상 균이 회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포함하여 선정된 3가지 시험법의 표준시험절차서를 작성하여,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고시되어 있는 살균소독제 유효성 시험법인 현탁액시험법은 살균소독제 전부가 현행 살균소독력 시험법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만족하였다. ASTM E2111-00에서는 10개 제품 모두 4 log 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ASTM E2197-02의 경우에서는 6개의 제품이 4 log 이상의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EN EN 13697의 청정과 오염 2가지 조건에서 선정된 살균소독제의 유효성을 평가한 결과, 4개의 제품만이 유효성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사용된 정량적 표면시험방법 중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STM E2197-02가 사용되는 표면이 실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 디스크를 사용하였고, 절반이상이 유효성 기준을 만족하였으므로 국내 살균소독제의 유효성 평가방법으로 적용 가능한 표면시험법으로 ASTM E2197-02를 선정하였다. A variety of chemic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re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sanitizing and disinfection on food contact surface, and chemic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re being approved by suspension test as a efficacy test under the current control regulation.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practical efficiency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for the field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thus, a efficient test that is determined by real condition at field and laboratory simulation is needed. This study examined to establish a efficient metho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global standards, 3 quantitative surface tests, CEN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EN 13697,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E2111-00 and ASTM E2197-02 for application of domestic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s, the recovery rate of inoculated bacteria on carriers was the best in Micro Laminar Flow Cabinet (MLFC) among 3 drying conditions (MLFC, drying oven, and desiccator) and by using glass beads in recovery methods than by using magnetic bar. The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of 3 quantitative surface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s were made and efficacy tests of domestic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10 products) were evaluated. The efficacy of all tested products were passed by suspension test. In 4 log reduction test, all tested products and 6 of 10 products were passed by the method of ASTM E2111-00 and ASTM E2197-02, respectively. However, only 4 products were passed by the methods of CEN EN 13697 (both clean and dirty conditions). ASTM E2197-02 was selected as an applicable surface test in Korea from the results and a reason why stainless steel disk is used in the method (stainless steel are being mainly used in food industry). Simultaneously, hard surface test and standard manual applicable to food industry are proposed in this thesis from the experiments.

      •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김애영 順天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Language is an aspect of cult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inseparable. We should be able to interact with the 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country where that language is used, as well as linguistic competence to communicate a language effectively. He/she would have some cultural misunderstanding and some cultural shock due to cultural difference without the socio-cultural situation of target language. Hence, education of culture is a necessity to reduce the above problems when English teachers teach English. When the target language is taught, the teachers should incorporate linguistic skills simultaneously. Therefore this study, paradigmatically analyzes the culture contents in the English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at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ree criteria and showed plans of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and they'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I introduces the purpose, the range and the limit; Chapter II introduces th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relations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the necessity of culture education; Chapter III analyzes the culture contents of 13 types of English textbooks by Stern, Finocchiaro, Bonomo and Chastin's cultural categories; Chapter IV portray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nglish textbooks and shows some real teaching plans of culture understanding education; Chapter V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amily and individual domains occupied most throughout first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ccording to Stern's theoretical paradigms; (2) The background of Korean culture excessively occupied by the background of culture criteria; (3) Behavior-culture most occupied by Finocchiaro, Bonomo, and Chastin's theoretical paradigms. The countermeasures to make the effective textbooks for understanding of culture education are as follows: (1) An increase of 25%~30% in both the cultural contents of British/American cultural backgrounds and contrastive culture backgrounds were required instead of reducing Korean and universal cultural backgrounds; (2) All textbooks should allow some space for a fixed cultural information about contrastive cultural background; (3) The cultural information which coincide with the interests and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should stimulate their conscious motivation.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some systematical aid books about the culture of target language were suggested to utilize many teaching materials with ease. Second, some adjustments were suggested be made within the textbook because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 impacts deeply upon foreign language learning. Some adjustments were made in the first grade middle school's '7th Education Curriculum' to that of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But evidently, the load of topics and the progression of teaching were subjects to further adjustments. Third, not only the improvements of English textbooks were required but also the evaluation system; reformation of the system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 extension of native speaker's workshops and opportunities to study English abroad. Fourth, English teachers were suggested to discard cultural stereotypes and prejudices - as a representer of cultural values. Hence it was stressed that they should have systematical knowledge with objective and clear analysis of culture and develop teaching models, also gathering materials of culture education with their colleagues to communicate effectively. To conclude, this study should continue to achiev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in order to evaluate the on going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target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