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오-의료용 저온-대기 유전격벽 방전 플라즈마 장치개발과 오존발생 특성

        김시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 developed a low-temperat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DBD plasma) device and analyzed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ree factors. Oxygen active species generated in the atmospheric pressure DBD plasma were confirmed by optical measuremen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per power consumption was confirmed. The dissolved ozone concentration dissolved in water was checked. The bactericidal effect of dissolved ozone water was confirmed in Staphylococcus aureus. First, the amount of ozone generated by the discharge length was measured. Increasing the discharge length increased the ozone generation rate per second. However, as the discharge length increases, the actual measured ozone concentration tends to be lower than the calculated ozone concentration. Second, the ozone generation ra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space volume was measured. Increasing the discharge volume reduced the ozone generation rate per second. Two experiments showed the maximum ozone concentration as a relation between space volume and discharge length. Finally, the ozone generation rat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glass tube flow rate and electrode length change. Reynolds number was calculated to distinguish laminar flow and transition flow.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the flow rate during laminar flow increased the ozone concentration. Uncertain ozone concentration changes were observed at the transition flow. Through the above experiments, it can be seen that three factors, the discharge length, the gas flow rate, and the space volum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ptimum ozone generation conditions. Based on this, a bio-medical low-temperatur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device (plasma sterilizer, plasma sterilization humidifier, plasma bleach sterilization washing machine, Air Plasma Jet) was manufactured. 본 연구에서는 저온-대기 유전격벽 방전 플라즈마(DBD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과 세가지 요소에 따른 오존발생 특성분석을 하였다. 대기압 DBD 플라 즈마에서 발생되는 산소 활성종을 광학적 측정법으로 확인하였다. 소비전력당 오존발생량을 확인하였다. 물에 용해 되는 용존오존농도를 확인하였다. 용존 오존수의 미생물 살균 효과를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확인해 보았다. 첫 번째 로 방전길이 변화에 따른 오존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방전길이를 늘 리면 시간당 오존발생률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방전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계 산된 오존농도보다 실제 측정오존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여준다. 두 번째 로 방전 공간부피 변화에 따른 오존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방전 공간 부피를 넓히면 시간당 오존발생률이 감소하였다. 두 실험을 통해 공간부피와 방전길이는 최대오존농도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리관 유량과 전극길이 변화에 따른 오존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레이놀즈수를 계산하여 층류와 천이 유동을 구분 하였다. 층류일 때 유량을 늘리면 오존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천이 유동일 때 유령 증가에 상응하지 않는 오존농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위 실험들을 통해 최적의 오존발생 조건에는 방전길이, 공간부피, 기체유량 의 3가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바 이오-의료용 저온-대기 유전격벽방전 플라즈마 장치(플라즈마 멸균기, 플라즈 마 살균 가습기, 플라즈마 표백살균 세탁기, Air Plasma Jet)를 제작 하였다.

      • 민노아 선교사의 청주지역 선교

        김시찬 서울장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00년도 청주지역에 선교사가 들어오기 전에 이미 선구적 구도자들에 의해 복음이 수용되어 상당수의 세례 지원자들이 배출되어 있었다. 당시 청주 상인들은 서울, 경기 지방 등 외지로 돌아다니면서 행상을 하는 일이 많았다. 청주군 신대리에 사는 오천보, 문성심, 오삼근 등도 행상을 하면서 생업을 유지하고 있던 중 어느 날 경기도 죽산군 둔병리(竹山郡 屯兵里)에서 열린 사경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이들은 그곳에서 기독교의 진리를 깨달은 후 예수를 믿기로 결심하고 자기 마을로 돌아와 동리 사람들을 모아 전도했다. 이들의 전도와 소문으로 사람들이 점점 많이 찾아들게 되자 나루터 근처 주막을 빌려 그곳에서 예배를 드리게 되었다. 이것이 충북 최초의 교회인 신대교회의 시작으로 이때가 1900년 10월 3일이었다. 이처럼 선교사들이 선교하기 이전에 교인들이 생겨나고 교회가 설립되었던 것은 선교사들의 열성적인 선교 이전에 목숨을 건 선구적 한국인 교인들의 전도활동에도 그 공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한국교회의 초기 선교과정에서 국내 구도자들의 역할이 근본적이었지만, 복음전도를 위한 선교사들의 헌신적인 노력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조선말, 일제의 침탈이 구체화되고 민족의 시련이 거듭되던 시기에 한국을 찾아 온 선교사들은 한국교회의 설립자이기 이전에, 민족이 겪고 있던 시련을 위로해 주던 사람들이었다. 저들이 교회의 지도자로서 교회 행정가로서 그리고 신학자로서 남긴 흔적은 오늘날 한국 교회의 신앙과 신학적 근간이 되었다. 한국에 내한한 초기 선교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알렌이나 언더우드 그리고 마펫 같은 핵심적인 인물들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동시에 서울과 평양을 중심으로 한 선교활동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안다. 그러므로 오늘의 한국기독교사 연구는 그 범위의 공간적 확대와 연구 내용의 다양화라는 두 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 한국기독교사 연구가 전래와 아울러 수용의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동시에, 중앙 중심에서 지역교회사로 그 연구의 주제가 확대되어야 한다. 그래야만 근대 한국인의 삶에 미친 기독교의 영향을 보다 폭넓게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민노아는 핵심적인 초기 선교사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변두리에 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민노아는 청주지역 선교를 담당하였던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사로 청주, 괴산, 보은, 옥천, 영동지역의 개척자적 선교를 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대상이 될 만한 가치가 있다.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사 민노아(Frederick Scheiblin Miller,閔老雅)는 1892년 11월 15일 부인 라이네케(Miller Anna Reinecke)와 함께 내한하여 1937년 10월 6일 그의 죽음까지 45년 동안이나 한국교회를 위해서 섬겼다. 특히 1904년 청주 선교부 설치 허락을 받고 33년간 ‘충북 선교의 아버지’로 불리울 만큼 누구보다도 청주를 사랑했고, 선교의 열정이 남달랐다. 그는 선교 과정에서 자신의 2명의 자녀와 2명의 아내를 잃었고 결국 자신도 죽고 말았다. 민노아는 문학적인 일에 탁월함을 보여 한국에 어떤 다른 선교사들보다 더 많은 금주 소책자와 전도지를 번역 보급하여 ‘소책자의 사도’로 알려져 있고, 복음성가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복음이 전파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한국에 있는 선교사들 중에 한국인 이야기의 기록자로 잘 알려져 있다. 민노아의 공헌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종합적으로 연구한 업적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점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첫째, 민노아가 청주 선교를 시작하게 되었을 때 청주 지역의 상황을 정리하여 민노아가 끼친 영향이 보다 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하고자 한다. 둘째, 민노아 이전의 청주 지역의 선교 상황과 청주 선교부의 설립과 함께 시작된 선교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청주지역에서의 복음의 확산과정을 통해 민노아가 충북선교에 기여한 부분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셋째, 민노아의 선교 사역이 소책자 문서를 통한 복음 전도, 찬송가 작사와 번역사역을 통한 한국교회의 교회음악에 공헌, 금주 금연 절제 운동 등 사회 계몽을 통해 근대시민 의식을 일깨우는 선교, 성서에 입각한 엄격한 치리의 구현 을 통한 교회의 도덕성 확보라는 네 가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주고자 한다.

      • 유아에서 청성 뇌간반응의 자동 판독을 위한 기준 모형 개발

        김시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Neonatal hearing loss has high prevalence rate than other diseases needed the screening test. Early detection of the hearing loss is very important that the patient can achieve good speech and hearing performances with the hearing aid or cochlear implant. Until now, hearing screening tests have limitation- The first, they take long if there is surrounding noise. The second, the averaging should be repeated if the infant is moving during the test. The third, the hearing screening test shows whether subjects have hearing loss or not rather than the levels of the hearing loss.So, author is willing to make a new template for automated neonatal hearing screening test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test is good especially in noise situation and the test shows levels of hearing impairment. Fsp ratios of nine normal infants in situations of no sound stimulation were evaluated. That ratio is 1.47 in 95% fractile. It became as a standard for the hearing screening test. 44 ears were evaluated with sequential sound stimulation of 50, 40, 35, 30 dBnHL. The optimal numbers of sweeps were obtained through the maximal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t became a standard model for the neonatal hearing screening test. If Fsp ratio is more than 1.47 at 30 Hz, 30dB, 1250 sweeps, the result of screening test is expressed as the pass. If it is 1.47 or less, the test automatically moves to the 30 Hz, 35 dB, 1500 sweeps. If it is 1.47 or less at this stimulation parameter again, the test moves to the 30 Hz, 40 dB, 1500 sweeps. If it is 1.47 or less at this situation, the test moves sequentially to the 30 Hz, 50 dB, 1500 sweeps. If Fsp is more than 1.47 at this point, the subject’s hearing threshold is 50dB. If Fsp is 1.47 or less, the conventional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should be performed for the accurate evaluation of the hearing threshold.Finally, the template for automatic interpretation of the auditory brainstem response in infa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신생아 난청은 선별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다른 어떤 질환보다 유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이는 조기에 발견하여 보청기 혹은 인공와우의 착용과 적절한 재활을 시행하면 정상에 가까운 언어, 청각 발달을 기대할 수 있는 극복 가능한 질환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선별검사를 위한 청력검사들은 측정 대상자 주변에 소음이 있거나, 측정 대상자들이 움직이는 경우 청성 뇌간반응의 평균화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난청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만을 알려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음 환경에서도 측정이 용이하고, 난청의 정도까지 알 수 있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자동화 청성 뇌간반응 검사기기 개발이 요구되어왔다. 저자는 이를 위해 난청을 자동으로 판독하기 위한 기준 모형을 만들고자 하였다. 청력이 정상임이 확인된 9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무 자극 하에서의 Fsp 값을 구하여 난청의 판독 기준으로 삼았다. 새로운 유아 44귀를 대상으로 50, 40, 35, 30dBnHL의 소리 자극을 주어 무 자극 하에서 얻은 Fsp 1.47이라는 값을 기준으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최대가 되는 최적의 자극 횟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난청을 자동 판독하는 기준 모형으로 30Hz, 30dBnHL, 1,250 sweep으로 자극하였을 때 Fsp 값이 1.47을 초과하는 경우는 청력을 정상으로 판독하나 Fsp 값이 1.47 이하인 경우에는 35dBnHL로 1,500 sweep을 시행하게 한다. 이 때 반응이 Fsp 1.47 이하인 경우에는 40 dBnHL, 1500 sweep으로 순차적으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40dBnHL에서 시행한 Fsp 값이 1.47 이하인 경우에는 50 dBnHL로 1,000 sweep을 시행하여 이 때 Fsp 값이 1.47을 초과하면 청력 역치가 50dBnHL임을 알 수 있고, Fsp 1.47 이하인 경우에는 난청으로 판단하여 고식적인 청성 뇌간반응 검사를 시행하는 난청 선별 기준을 마련하였다.

      • 재현의 정치학 : 데이비드 헤어의 『세계의 지도』읽기

        김시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50년대 이후에 일어난 영국 연극계의 변화는 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사회가 치렀던 사회적 혼란과 맞물려 있다. 존 러셀 테일러(John Russell Taylor)에 의해 “첫 번째 흐름(first wave)”과 “두 번째 흐름(second wave)”으로 명명된 영국 드라마의 격변기는 영국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 존 오스본(John Osborne)을 중심으로 한 “첫 번째 흐름”의 작가들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 영국의 젊은이들이 부딪혀 온 상실감을 드러내고 있다. 1968년에 시작 된 “두번째 흐름”에는 당대의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반영한 정치 극작가들이 등장했다. “두 번째 흐름”의 대표적인 극작가, 데이비드 헤어(David Hare)는 영국 사회 체제와 도덕성에 날카로운 비판을 한다. 헤어의 초기작은 사회 변화의 흐름과 유리된 삶을 살아가는 폐쇄적 영역을 풍자하고 있다. 또한 2차 세계 대전 전후를 배경으로 한 헤어의 역사 드라마는 역사 재현을 통한 영국 사회의 위선과 도덕적 타락 드러내기라는 주제로 확대되어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개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 상황 가운데 굴절된 개인을 보여주는 헤어의 작품들은 이상이 상실된 현실 속에서 잃어버린 선(善)을 추구해야 한다는 도덕주의자이자 이상주의자로써의 그의 목적을 실현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의 지도』(A Map of the World)는 전지구적 범위로 확대된 선(善)의 추구라는 헤어의 이상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역사 말하기이다. 『세계의 지도』는 왜곡이라는 단일한 주제를 바탕으로 소설의 영화적 재현이 지닌 자기 해석과 상업성으로 인한 왜곡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제3세계 재현의 문제에 대해서는 서구 중심의 비뚤어진 제3세계 지식인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제3세계와 제1세계의 위선적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세계의 지도』는 UNESCO 국제 기근 회의라는 소설 속 이야기와 메타의 소설을 영화로 제작하는 과정이 동시에 제시되는 극중극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두 사건이 동시에 무대 위에서 상영되는 방식은 소설의 영화적 재현이 갖고 있는 왜곡의 문제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하면서 관객에게 제1세계에 의해 왜곡되는 제3세계에 대한 정치적 문제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첫 번째로, 소설의 영화적 재현은 해석 주체에 따른 영화적 해석의 차이와 영화의 상업주의로 인한 왜곡 부추기기라는 두 가지 문제를 드러낸다. 원작 해석의 두 주체, 원작자와 영화 제작자간의 원작의 영화화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왜곡이라는 결과로 만들어낸다. 또한 영화의 상업적 성격은 경제 논리를 앞세워 원작의 주제 반영이라는 작가 정신을 퇴색시키고, 영상이라는 매체적 특징을 이용해 도덕적 개인 성장기를 이국적 낭만서사로 수정시킨다. 따라서 원작자의 의도를 배제한 영화적 재현은 원작을 벗어난 “다시 만들기”라는 재현이 지닌 왜곡의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두 번째로, 소설의 영화적 재현과 함께 『세계의 지도』가 제시하는 제3세계와 제1세계 관계에서 드러나는 왜곡의 문제는 예술적 차원에서 정치적 차원으로 전환되는 왜곡에 대한 다시 생각하기이다. 서구화된 정체성을 지닌 제3세계 지식인, 메타(Mehta)는 제3세계 국가의 현실을 파악하지 못한 채 제국의 우월성을 강조한 과거 식민지배 담론에 편입되어 제3세계를 열등화 시키고 있다. 하지만 영국좌파 기자 스티픈(Stephen)과 세네갈 대표 엠뱅구(MBengue)와의 대립은 메타를 나르시스적 시각에서 벗어나 공존의 길로 인도한다. 그러므로 메타는 서구 중심적 담론 속에서 상실된 도덕성과 이상주의적 가치관을 찾아가는 제3세계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정치적인 면에서 제3세계와 제1세계의 관계는 과거 제국주의가 신식민주의라는 경제적 차원의 형태로 변형된 현실을 반영한다. 언론 매체를 이용해 비서구 주체에 대한 무능과 열등의 이미지만을 생산하는 서구의 의도는 제국이 사라진 탈식민시대에 신식민주의적 발상을 드러낸다. 또한 제3세계의 원조를 위해 조직된 국제 회의는 서구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회합으로 만들 수 있다는 신식민주의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제3세계와 제1세계의 관계는 메타라는 개인에서부터 제3세계와 제1세계라는 정치적 차원에 이르기까지 식민주의의 잔재가 “여전히 그 자리에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세계의 지도』를 통해 소설의 영화적 재현과 제3세 계와 제1세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예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적 측면에서 도덕적 그리고 이상주의적 가치가 배제된 채 왜곡을 생산하는 재현의 정치학을 밝히고자 한다. Since the 1950s, the changes of British theatre have been related with the turmoil of post-war British society. John Russell Taylor described the new waves as the “first wave” and the “second wave”, which reflected the atmosphere of British society. Along with John Osbornes “Look Back in Anger”, the first waves dramatists depicted the sense of the loss of post-war young generations in the 1950s. The second wave includes political dramatists emerged in 1968 who wrote plays on the contemporary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David H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political dramatists among the second wave dramatists, has criticized British institutions and corrosive morality. In his earlier plays, Hare satires the restricted sectors in society which are isolated from the stream of social change. Moreover, his history plays extend his themes to hypocrisy and moral deterioration in post-war British society and individuals who a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ceitful social circumstance. Concerning with individuals who suffer from the distorted society in his plays, Hare has accomplished his purpose of pursuing the lost good as a moralist and idealist. A Map the World shows Hares idealism in aiming at the good and expands his perspective from the British field to the global one. A Map of the World describes the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process of adopting a literary work to film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world and the first world, dealing with the single theme of distortion. A Map of the World simultaneously presents the two episodes, a novel and a movie production process of Mehtas novel. The style of staging the two stories at the same time provides a way of understanding for the distortion in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novel and then actively leads the theater viewers to recognize the political distortion on the third world by the first world. Firstly, cinematic representation of the novel reveals that adopting a novel to films causes a distortion because a writer and a film maker have the different point of view and commercialism is heavily involved in the movie industry. Therefore, cinematic representation excluding a novelists intention is just “another remaking” and reveals a characteristic of the distortion in adopting a novel to film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world and the first world shows the distortion on political dimension. Mehta, a westernized third world intelligence, has involved in the colonial discourse, asserting that the western countries are superior to the non-western countries, by blaming the third world as inferior people. A dispute with a left-wing journalist, Stephen and a Senegalese representative, MBengue, however, makes Mehta get out of the narcistic point of view and lead to a way of cooperation. It is Mehta, the third world individual, who shows the process of looking for the lost morality and idealism in the West centric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world and the first world shows the reality that imperialism in past is converted into neocolonialism as an economic form. The West still produces and reproduces the images of incapability and inferiority of the non-Western subject through media. Futhermore, a UN conference on poverty to support the third world countries turns out to be a sort of assembly to accomplish their own interest of the western countri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world and the first world exposes that colonialism is still affecting both the individual life and the political relationship. This paper intends to figure out politics of representation that makes distortions which ignores the moralistic and idealistic values in the process of cinematic representation of a no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rd world and the first world in A Map of the World.

      • 프리캐스트 組立式 아파트의 接合部에 관한 硏究

        김시찬 경기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프리캐스트 조립식 아파트의 접합부에 대한 구조적 특성과 접합부의 방수에 대한 문제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국내의 건설공사는 노동환경의 변화와 사회요구(NEEDS)변천이라는 2가지 상호 복합화된 영향으로 건설산업의 구조적 체질인 위약한 부분을 실용화 시키고, 시공합리화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또한 재래식 공법의 합리화 및 조립식화에 의한 합리화 공법의 두가지 방향으로 발전하여 가는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조립식 공법의 접합부에 관한 연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국내의 공법화주택의 추진방향은 일본, 독일, 덴마크 등과 같이 고품질의 주택을 적은 노력으로 건설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강력하여야 하며, 다양한 정책지원과 지속적인 추진으로 공업화공법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2. 프리캐스트 조립식 아파트의 수평접합부는 슬래브와 내력벽을 통한 수직하중의 전달과 풍하중, 지진하중의 횡력에 대하여 균등하게 벽체에 전달하는 횡격막작용을 할 수 있도록 접합부가 구조체의 일체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3. 수평접합부에 전달되는 수직하중은 접합부의 몰탈에 의해 전달되며, 벽판의 하부에 나선형 철근 접합부 및 전기BOX 등에 몰탈이 충진되지 않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수평접합부분은 정확하고 밀실한 시공을 하여야하며,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충진된 벽판의 BLOCK OUT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지는 못하지만 밀실하게 충진되어야 할 것이다. 4. 조립식 공법에서 물과 접하는 부분의 누수를 줄이려면 현장전체의 공정표에 의해 방수공종을 적당한 시기에 맞추어 시공한 후 보양기간을 짧게하고 방수공사의 다음으로 이어지는 후속공종을 무리하게 진행시키지 말고 먼저 작업된 방수상태를 확인한후 후속작업 시기를 조정하여 시공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평접합부의 단열재로 시공한부위에 결로현상이 나타나는 곳은 보조단열몰탈에 완전 크랙을 발생시킨 다음 2단계 마무리 작업을 해야 결로 발생을 막을수 있고, 단열몰탈과 다른 자재와 연결되는 직각면은 기밀성유지를 위하여 실리콘 코킹등으로 마무리공사를 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We look around structure property and watertight matter for precast prefabricated apartment in a study. Internal construction work has two fators of the change of labor circumstance and social needs. Effects of mutual complex have put to practical use the weak part of construction indusrtry and made the motive power or construction rationalization and been developed two way's the rational method of construction by traditional and prefabricated. And in paper, the study is concluded follwing contens on joint of precast prefabricated construction. 1. It is strong strong that the governmental purpose is to built high quailty house with little working power which the like propulsive way of industrial hose of Japan, German and Denmark ; and then it has to grow mehod of construction with resources of diverse policy and lasting propulsion. 2. The joint must do wholly structure to do moment which lateral joint of precat prefabricated apartment uniformly deliver wall for vertical and wind seismic-lateral force through joint mortar. 3. Vertical load deliver in lateral joint by joint mortar, In the lower wall spiral bar joint and that it have many BLOCK OUT of electrical box and lateral joint exactly must construct. BLOCK OUT wall fulled with concrete or mortar trully don't restain, but it has to full in the lower wall. 4. If leakage of water contact with wate was reducted in prefabricated construction. After it constructs suitable watertight process by the critical path of tatal situation and shorten the period of protection and don't progress next process, and After the examenation of watertight'state, we must construct next work'period. And after sub-adiabatic motar products full crack, cold brisdge in part constructed by lateral-conect adiabatic materal is prevented by the fianl work of two steps. And for the back up of adege conected adiabatic mortar and others, we conclude that fianal construction construct by sillcon and cahlking etc.

      • 수박의 栽培管理 및 收穫 作業을 爲한 多技能 遠隔 로봇 시스템 開發

        김시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ttempts to develop the machinery or system to automate a specific one among various processes required for the greenhouse cultivation. Most R&D activities have been focused on pesticide and sorting. And some efforts have been successfully made in automating grafting process of fruit bearing vegetables and other plants. Many R&D efforts have been made world-wide including Korea toward automating harvest operation and other labor intensive cultivation process for greenhouse plants. They were, however, not successfully implemented to the real field operation. Most of them just showed the future feasibility of implementation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Major failures in their field implementation were caused by technic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robustness of decision making and the adaptibility of the system to variable task environment, and computing speed limited by the real time processing requirement. There were other critical factors related to economical and social aspects. Developed system or target system to be developed were too much complex for farmers to handle and maintain. In addition, the cost of the system was too high. However, machine or system operating time for an individual task was too short compared to the overall plant growth period. These days, differently from 1970s and 1980s', the issue of environment preservation was additionally spreaded over the nation. R&D activities on organic farming,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and precision farming have been widely spreaded and actively performed. Greenhouse cultivation often requires high investment of system. Because of that, plant density is high and precise environment control of plant such as atmosphere and nutrition is usually being exercised. It is also known to be desirable to maintain the greenhouse as a closed space separated from outside to prevent migration of bad insects and diseases from outside. Besides, the optimum atmosphere for plants are usually not good for human health because of the excessive CO_(2). And it is highly required to minimize the application of chemical pesticide and fertilizer. Major motivation of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the optimum and right direction to overcome those technical, econom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with which can be faced in automating greenhouse production. The proposed scheme was the man-machine hybrid automation via tele-operation which could handle various bio-production processes. Watermelon was chosen as a representative plant of weighted fruit bearing vegetables to implement and realize the proposed system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in cultivating greenhouse watermelon, harvesting required 58.9 hours of labor time per 10 a. And it required 26.4 hours of labor for sorting and packaging, 43 hours for grafting, 45.7 hours for seedbed arrangement, 46.1 hours for planting, and 26 hours for weeding. Considering labor requirement of individual task during plant growth, harvesting, pruning, and weeding were known to be most time consuming.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 efforts to substitute those labor intensive human functions. Various sophisticated and expensive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So far, however, it is still far from the success especially for the field operation. The specialized machine which fits to an individual task have been developed. These may help to automate each unit process successfully to some degree but resulted into the increase of the total production cost and decrease of the machine operation rate. In this research, tele-operative system automation, which is a new concept of automation for bio-production was proposed and prototype of a multi-purpose modular type tele-operative robotic system was developed. The goal was not limited to the acquisition of laboratory level basic technology but aimed to develop the practical multi-purpose high end system which utilized frontier technologies such as recognition and decision finding technology under variable environment and tele-operative task command and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proposition, job environment recognition with object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computer vision system. A man-machine interactive hybrid task sharing among operator, computer, and robotic manipulating unit through wireless task command and wireless image, control data and signal transmission was performed to overcom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automation scheme mentioned previously. Following shows summerized accomplishments from this research. 1)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task such as cultivation, harvest, and loading was analyzed. Functional specific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such as workspace, load capacity, motion trajectory, operating speed, required power, and maneuverability were set up based on the defined job function. 2) Wireless remote image acquisition and transmission system, which was utilized to monitor status of plant growth and cultivation state, was developed. 3) Loc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specialized to each individual cultivation task such as pruning, pesticide, watering, watermelon reorientation, harvest, and loading) were developed from remotely acquired images. 4) Gantry type moving frame driven on the rail was developed considering cultivation characteristics, mobility, and structural endurance. 5) Remote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was developed to control the motion of mobile gantry frame and robotic manipulator to perform various cultivation tasks. 6) A 4 dof (degree of freedom) Cartesian type manipulator and its drive control system were developed to perform various tasks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motion command data. 7) Watermelon transport device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load watermelon harvested by robotic manipulator. 8) Mechanical and electrical interfaces for the modular type detachable end tool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Modular type detachable various end-grippers for each task such as harvest, pesticide, stem cutting, attitude alternator, and pruning were designed and built. 9) Hardware and software interface module for remote wireless data and signal transmission, communication protocol, system control module were developed to realize the task allocation among operator, computer and robotic driving unit. 10) Touch screen based man-machine interface module for overall task and system control was developed. Software modules for task teaching, task type and space specification, system set up, and graphic user interface were developed. 11) Through individual remote task operation, hardware and softwar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were tested and analyzed. Field adaptability test of the developed system were performed and results were analyzed for each cultivation task. The developed system showed practical and feasible way of automation for the volatile bioproduction process.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system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ay when applied to the cultivation processes was described as follows. Irrigation and pesticide in the greenhouse used to be done to the whole cultivation area in a uniform manner. Existing device caused to the waste of resources and was not friendly to the environment. On the contrary, the developed system could apply the proper amount of resources to the specific site and make environment friendly cultivation possible. Pruning, watermelon reorientation, and harvest are major labor intensive operations. Usual attempt toward the full automation of those tasks could not actually reduce the required labor, since those attempt used to require the human's monitoring to guarantee the safe machine operation. In addtion, since task depends fully on the intelligence of machine, it still has lack of the robustness and stability in job execution. So far, pruning and watermelon reorientation used to be performed mannually. The developed system could reduce intenseness of the labor and afford to give the labor flexibility. And it also could provide the insurance of the operator's safety and prevent insect and disease from inflowing to the greenhouse by keeping operator away from the cultivation area. Developed system realized the real time processing, robust and precise object identification, and showed sucessfully the adaptability of various job and environments through selected sample tasks. More details on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tele-robotic system were described as follows. 1) Field adaptation of the developed system was succesfull through wireless local image processing with operator's task teaching. It took average 0.3 sec to perform the required image processing for each task. Recognition of the stem and watermelon was succesfully done from the complex background. 2) It wa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wireless data and image acquisition and remote task control system via GUI (graphic user interface) utilizing touchpad monitor could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integrated greenhouse management system via linking with plant growth control system and expert system for cultivation. 3) Task execu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sub-tasks such as operator's teaching, local image processing, workspace transfer, and robot execution. It took average 1.2 sec to change the workspace based on the setting of acceleration and decceleration time and maximum speed of the driving mechanism. It took average 15 sec for harvest, 10 sec for watermelon reorientation, and 4 sec for pruning, and 2.2 sec for point spraying. Researches related to plant science such as growth modeling, building spatio-temporal plant growth database, and quantitative monitoring of plant growth state were highly recommended utilizing the developed system. For further research, it was required to have a performance test and end-tool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continuous greenhouse site experimentation research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develope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