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스끄리뜨어와 힌디어 도구격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시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In Sanskrit and Hindi, Instrumental case expresses a wide variety of implications including instruments, means, methods, criteria, accompanying, and agent in passive voice. Thus,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has not only a high importance but also a need for learning and teaching of both languages - Sanskrit and Hindi. However, still few individu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not only Korea but also any other countries on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Therefore, this article is aime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and usage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languages in instrumental case.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cause of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wo languages. First, in this article, here states about karaṇa kāraka in Sanskrit focused on Paṇini's sūtras. Paṇini defined that the karaṇa kāraka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completing the verb's act in sentences with kāraka sūtras. With this, Paṇini sūtra presents the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implications of using karaṇa kāraka with subordinative sūtras. Karaṇa kāraka expresses instruments, means, methods, causes, reasons, agent, equivalents, accompanying, deficiencies, time lapse, price, exchanging value etc. and about conjugations of a few verbs. It is expressed through tṛtīyā vibhakti- the third case marker and some implications can be expressed by using the caturthī vibhakti and paṅcamī vibhakti. Next, in Hindi, instrumental case expresses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karaṇa kāraka in Sanskrit, so expressing the usage as an instrument with some acts of verbs. In general,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in Hindi are presented with the case postposition Se. It expresses instruments, means, methods, rides, accompanying, relatives, body abnormalities, criteria, units, and directions. As the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can be expressed by tṛtīyā vibhakti and caturthī vibhakti and paṇcamī vibhakti, it can be expressed with postposition Par, Meṃ and some complex postpositions in Hindi. Respectively looking at the implications of instrumental case in Sanskrit and Hindi, in this article, it is showed that most of the implications are similar, and what was expressed as a tṛtīyā vibhakti is represented by the postposition Se. However, some of the implications like cause, reason, equality, companionship, deficiency, and passage of time, differ in terms of meaning and expression of cas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words with individual meanings and the possessive postposition Kā. As a cause of these differences in both languages, this article presents two hypotheses. One is about changes in syntax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Indo-Aryan language and another is about changes resulting from the reduction of cases that can commonly happen in Indo-European language. Both hypotheses suggest that changes in the form of a language and changes with semantic cases of meaning which have similar implication take same form of expression depending on reduction of cases.

      • 화학제염 공정의 개발현황 및 개선방안 고찰

        김시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전 해체 과정에서 계통제염은 원전 해체 작업자들의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해서 가장 선제적으로 행해지는 제염활동이다. 계통제염 공정이 바르게 수행되지 않을 경우, Hot Spot이 생기거나 전반적인 공간선량률이 올라가서 공정을 수행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논문에서는 화학제염 공정의 과정 및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경수로의 경우, 화학제염을 수행해야 하는 산화피막이 철, 니켈, 크롬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화학제염 공정이 까다롭다. 그래서 산화와 환원 환경을 반복적으로 조성해 복합체를 제거하여 제염계수를 올리는 과정을 포함한다. 전반적인 화학제염의 공정단계는 유사하지만, 어떤 산화제와 환원제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추가적인 설비의 필요 유무에 따라 화학제염 공정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데, 해당 논문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4가지의 공정을 선정하여 단계를 자세히 서술하였다. 또한 해당 공정이 수행된 전 세계의 발전소의 경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으로, 미국, 독일, 일본의 사례를 검토하였는데, 화학제염 공정 수행 중 발생한 특이사항이나 추가적인 개선사항을 파악하고자 했다. 국내에서도 고리 1호기의 화학제염을 기점으로 독자적인 화학제염 공정 개발에 착수했는데, 한수원 중앙연구원의 CRI_Decom 공정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HyBRID 공정이 있다. 이 공정들의 특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화학제염 공정들이 앞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전세계에서 수행되고 있는 화학제염 공정의 경우, 제염 능력이나 공정 수행시 안전성 측면은 충분히 달성했다. 하지만 공정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2차폐기물이 최근 방사성폐기물 처리문제와 맞물려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2차폐기물을 저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새로운 공정이 시도되거나 무기산 기반의 공정을 개량 및 개발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이를 살펴보고 앞으로 화학제염공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decommissioning a nuclear power plant, system decontamination is the most preemptive decontamination activity in order to lower the exposure dose of the decommissioning workers. If the systemic inflammation process is not performed properly, hot spots may occur or the overall air dose rate may rise, which may become a major obstacle to the proces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se processes,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processes and types of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es. In the case of light water reactors,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is difficult because the oxide film to be chemically decontaminated is composed of a complex of iron, nickel, and chromium. Therefore, it involves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decontamination factor by repeatedly creating an oxidizing and reducing environment to remove the complex. Although the overall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steps are similar, the types of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ich oxidizing agent and reducing agent are used and whether additional equipment is needed. The steps were selec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experiences of power plants around the world where the process was performed. Representatively,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were reviewed, and it was attempted to identify specific issues or additional improvem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In Korea, starting with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of Kori Unit 1, the company started developing its own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There are the CRI_Decom process of the KHNP and the HyBRID process of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We tried to examine the peculiarities of these processes and to consider the direction in which these processes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being carried out all over the world, the decontamination ability and safety aspect during the process have been sufficiently achieved. However, secondary wast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is becoming a big issue in connection with the recent radioactive waste treatment problem.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new process is attempted in a direction that can reduce secondary waste, or a movement to improve and develop an inorganic acid-based process is being captured. We will look into this and consider the direction the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should take in the future.

      • 화장품 브랜드의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및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김시연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남녀 대상자를 대상으로 화장품 브랜드의 자아선호도, 브랜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9년 8월 14일부터 2019년 9월 04일까지 22일간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총 416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PASW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ɑ를 산출하였다.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 변인들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브랜드 태도, 선택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가설을 설정하고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 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지지되었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지지되었다. 셋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와 선택감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선택감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장품 브랜드 자아선호도가 선택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지지되었다. 넷째,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 브랜드 애착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4는 지지되었다. 마지막으로 화장품에 대한 선택감정과 브랜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화장품에 대한 선택감정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5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자아선호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애착, 선택감정,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브랜드에 대한 애착을 높게 지각할수록 선택감정과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of self preference,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of cosmetic brand for men and women who are using cosmetics.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to distribute and collect the questionnaires for 22 days from August 14, 2019 to September 04, 2019 and a total of 416 pages were analyz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used the PASW 21.0 statistical program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produced the Cronbach’ɑ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general trends of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brand attachment, brand attitude, and selection emotion. The hypothesis of the impact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 of brand attachment on brand attitude and the effect of selection emotion on brand attitude was established and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was obtain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on the brand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attachment.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1 that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Second, when the impact of self preference on brand attitude is researched, it was found that the self prefer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2 that self preference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Thir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preference and the selection emotion is reviewed, it was found the brand self prefer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ection emotion.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3 that the cosmetic brand self preferenc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ection emotion. Fourth, whe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its relationship with brand attitude is reviewed, it was found that brand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the hypothesis 4 that brand attachment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selection emo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supported hypothesis 5 that selection emotion of cosmetic brand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self preference of cosmetics brands,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achment,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and the higher attachment awareness on brand,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selection emotion and brand attitude.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obtained above results.

      • 머신러닝 분류 알고리즘 비교: 계절 인플루엔자 데이터 활용

        김시연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formances of five main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lgorithms(logistic, decision tree,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were compared based on 31,520 KINRESS data during 2012~2015.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one of three groups; infection of influenza, infection of common cold virus, non infection. Main covariates were 13 symptoms related with cold, history of influenza vaccine, age, region, month of inspection. To improve accuracy of each machine learning algorithm, hyperparameter values of algorithms were selected heuristicall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this data, random forest algorithm showed empirically the best performance (accuracy on training set: 59.44%, accuracy on test set: 59.19%, lift value on the class of infuenza infection: 3.48), the followings were support vector mach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and logistic algorithm consecutively.

      • 강원지역 로컬푸드 구매동기가 소비자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온라인정보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시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로컬푸드 구매동기가 소비자만족, 재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온라인정보품질이 조절효과는 나타내는지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이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고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2021년 10월 19일부터 2021년 10월 26일까지 로컬푸드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24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치를 제거하고 총 226부의 설문조사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의 자료 분석은 SPSS VER 21.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가설검증에 앞서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찾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로컬푸드 구매동기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경제적, 건강동기가 소비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컬푸드 구매동기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경제적, 건강동기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품질은 로컬푸드 구매동기와 소비자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정보품질은 로컬푸드 구매동기와 재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소비자들은 로컬푸드가 건강에 얼마나 기여하며, 경제적인 효율이 높은가에 따라 만족도와, 재구매의도는 높아지지만, 온라인 정보품질이 조절변수로써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온라인 채널에 있는 로컬푸드에 대한 신뢰가 높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로컬푸드 생산자들은 이러한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사실적이고 투명한 질이 높은 온라인 정보를 생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페이지랭크 알고리즘을 이용한 논문 분류 기법

        김시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술 논문의 발행 편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신규 논문이 추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직접 논문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주제의 논문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고 있다. 따라서 문서 자동 분류 기법을 활용하여 논문을 분류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서 분류 기법은 미리 정의된 범주들을 사용하여 가장 비슷한 범주로 문서를 분류하는 지도학습 기술이다. 문서 분류 기법은 일반적으로 벡터 공간 모델에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어간 빈도수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분류 기법은 단순한 단어의 유사도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논문이 가지고 있는 참고 문헌, 저자, 출처등 다양한 구조적 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대부분의 논문들이 자신과 유사한 연구 주제를 가진 논문을 참조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참조 관계를 활용한 새로운 논문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논문은 해당 주제의 중요 논문을 더욱 자주 참조한다는 가정 아래, 특정 주제의 논문들의 참조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논문의 중요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류 대상 논문이 참조하는 특정 주제 논문들의 페이지랭크 점수 합을 기반으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문서를 분류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이 제안 기법을 기존의 텍스트 기반 문서 분류 기법과 결합하여 특정 주제의 논문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는 하이브리드 문서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제안 기법은 단순히 많은 논문을 참조했다는 정보보다 특정 주제의 논문 중 얼마나 중요한 논문을 참조하고 있는지에 의하여 논문을 분류하므로 특정 주제의 논문을 보다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다양한 문서 분류 기법과 결합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제안 분류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디지털 라이브러리 CiteSeerX와 DBLP에서 제공하는 실제 논문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얼마나 정확히 문서를 분류하는지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The number of published research articles has been increasing remarkably each year. For any researcher, it is not an easy task to browse an academic archive to find relevant work in the middle of flooding research articles. Hence, there has been a need for developing automatic document classifications, which are defined as pigeonholing similar documents together into predefined domains. A popular approach in recent years has been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ith simple text-based similarities. However, this approach suffers from the limitation of word-similarity-based classifications, which cannot exploit sufficiently structural information of documents. Research articles have special features that are typically not found in other types of articles or documents, which are, namely: reference list, author, publication, and keywords. In research articles, references are organized scrupulously and articles with the same category reference similar important articles. Similarity in referenc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rticles cannot be easily perceived with word similarity, and typical document classifications falls short of expectation in this aspect.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 paper proposes a novel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 exploiting the characteristic that influential articles in similar fields are frequently cited by articles in the same class. Combined with the conventional text-based classification model, the proposed method classifies a document by PageRank-based scores of its references on a trained graph-based model.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topic of any given research article, our proposed method extends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rely counting the reference frequency by considering whether important sources within the subject class are referenced. In addition, this method is flexible enough to be combined with other document classification methods.

      •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NCS 학습모듈 인식에 관한 연구

        김시연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NCS 학습모듈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피부미용 종사자의 미용경영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용 경영 요소와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미용경영의 중점사항을 도출하고 NCS 학습모듈의 인식의 한계점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서울과 인천, 경기도 및 기타지역의 피부미용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경영에 필요한 우선순위를 조사한 결과, 피부미용 종사자들이 ‘경영일반’에 대한 중요성과 교육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피부미용 사업장이 영세하고 소규모 자영업의 형태가 많아 다른 서비스업종에 비해 경영의 일반적인 개념정립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경영에 기초적인 교육을 받아 사업목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경영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하리라 여겨진다. 둘째, 피부미용 종사자의 사업장의 운영 자가 평가 실태의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재무관리’(F=34.696, p<.001)가 원장의 사업장 운영 자가 평가가 가장 높았으며, 현장 경험에 따른 사업장 운영 자가 평가는 5년 이상 현장경험자들이 ‘재무관리’(M=4.19)가 제일 잘 이루어진다고 응답하였다. 즉, 피부 미용 산업 재무관리는 원장이 거의 대부분 운영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직급이 높고 현장경험이 높을수록 재무관리를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경험과 직급에 따른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에 대한 설문 결과를 살펴보면, 현장경험과 직급이 높을수록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 및 교육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CS 학습모듈을 교육받고 싶은 이유로는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해서로 나타났다. 따라서 NCS 학습모듈을 피부미용사업장의 창업 전 경영전략 수립 시에 교육하거나 경영시 경영전략상 문제점이 도출될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단 및 방향모색을 위해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NCS 학습모듈 교육이유로는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이 피부미용 사업장의 창업 전 경영전략 수립 시와 경영시 전략의 문제점이 발생 될 시 해결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경영전략 수립과 ‘경영상의 문제점 진단 및 방향 모색’을 위해 창업 전에 교육을 받고 싶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인식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나는 피부미용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이 피부관리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라고 생각하는 응답의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이러한 인식은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필요성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또한 피부미용 샵 경영관리 NCS 학습모듈 필요성에서 ‘직원관리하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직원관리에 대한 내용이 NCS 학습모듈에 더욱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하리라 여겨진다. 피부미용 샵 NCS 학습모듈의 문제점으로는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아 NCS 학습모듈의 홍보 및 설명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종사자들이 미용경영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NCS 학습모듈의 홍보와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경영관리 내용을 조사하고 재검토, 수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성인여성 얼굴왁싱 시술에 대한 만족도 연구

        김시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여성 얼굴 왁싱 시술에 대한 만족도 연구를 위해서 왁싱에 관심이 많은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하드왁싱을 사용하여 얼굴부위 4군데 지정하여 헤어라인 10명, 눈썹 10명, 인중 10명, 구렛나루 10명을 4그룹으로 나누어 총4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6년 3월 14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험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실험 전 일반적 특성 및 피부 관리 행동, 왁싱에 대한 인식정도에 대해 설문하였으며 피부상태의 유·수분을 알아보기 위해(Saebyul Internation,SK-03 skin analyzer)을 이용하여 왁싱 전과 후를 측정하였고, 피부, 모발, 두피 측정기 진단기(COSCAM,CCL-215,KOREA)로 카메라 ×100, ×400측사 조명갭과 렌즈를 장착하여 얼굴 왁싱 부위별(헤어라인, 눈썹, 인중, 구렛나루)로 측정 위치를 촬영하여 피부 색상, 투명도, 각질, 피지, 모공 상태를 확인하고, 얼굴왁싱 후 피부자극상태와 얼굴피부변화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연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왁싱 시술자들에 대한 변화를 살펴본 결과, 얼굴왁싱시술자들은 유수분의 변화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한 결과에서는 실험 전 보다 실험 후 유분은 감소하고, 수분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실험 후 설문을 통한 얼굴왁싱 시술자들의 만족도에서도 피부의 촉촉함 정도에서도 평균 4.0점으로 얼굴왁싱 후 피부가 촉촉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 왁싱 시술 후 피부에 대한 민감 상태에 따른 주관적은 자극도는 얼굴왁싱 후 따끔거리는 정도, 홍반 여부, 열감이나 화끈거림, 가렵거나, 트러블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따끔거리는 정도는 평균 2.33, 홍반 생기는 정도 평균 2.20, 열감이나 화끈거림 평균 2.28, 가려움 2.00, 트러블 2.00으로 대체적으로 평균 2.3 이하로 얼굴 왁싱 후 피부의 자극상태 즉, 피부의 민감 상태는 안정되어 있으며, 피부에 대한 민감한 반응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얼굴 왁싱 시술 후 각질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는 각질 생성 정도 1.95,피부의 매끄러워지는 정도 3.98, 각질이 제거되는 정도 3.98 점으로 나타났으며,얼굴 왁싱 후 기초화장의 흡수나 메이크업 화장이 잘되는 정도로는 3.98 점으로 얼굴 왁싱 시술 후 각질의 생성은 적으며, 피부가 매끄러워지고, 기초화장및 메이크업이 잘 될 수 있는 피부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왁싱 상태를 살펴보면, 얼굴 왁싱 후 제모에 만족 정도는 4.05점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얼굴 왁싱 후 꾸준하게 이용하고 싶다는 응답정도는 3.83 점, 다른 사람에게 추천을 하고 싶은 정도는 4.03 점으로 대체적으로 얼굴 왁싱 후 지속적인 관리 및 주변인에게 많은 추천을 하고 싶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얼굴 왁싱 시술을 통해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있었고, 뷰티 산업의 한 분야로써 전문적으로 왁싱 교육을 체계화하여 시술의 방향성을 찾고 전문성을 높여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왁싱 시술이 이루어져 고객과 미용 산업에 접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satisfaction of face waxing for adult female and conduct a survey of 40 adult female. This study divide facial part into 4 part and divide 40 women into 4 groups: 10 women for hair line waxing, 10 women for eyebrow, 10 women for philtrum and 10 women for sideburns. This research and survey conducted from March 14, 2016 to March 31. The survey asked about awareness rate of general feature, skin care behavior and waxing before the experiment. Also, in order to check oil and moisture contents of skin, use (Saebyul Internation, SK-03 skin analyzer) to measure before and after waxing. With skin, hair, scalp measuring instrument (COSCAM, CCL-215, KOREA), install flanking fire (x100, x400) of lighting cap and lens for camera to take photographs of facial waxing part’s measurement location (hair line, eyebrow, philtrum, sideburn) to confirm the state of skin color, the degree of clearness, dead skin cell, sebum and pore. And conduct this study to search for subjective satisfaction of skin stimulation conditions and change of facial skin after the facial waxing. After waxing, all groups in oil and moisture make the result more meaningful, and one of the four groups (hair line) had biggest difference for oil (before 80, after 67), one of the four groups (eye brow) had biggest difference for moisture (before 60, after 75). Comparing the picture of skin, hair and scalp after the waxing with the naked eyes, and can hardly see the remaining hair. Pore size also almost unchanged. The biggest difference with naked eyes is before and after of dead skin cell, it was removed clearly. And waxing is not only remove hair, but also remove old dead skin cell, sebum and downy hair, so skin looks brighter. In skin stimulation, other comes to 3.97point, sensitive skin comes to 3.98point. Statistically, there is no significance difference and after facial waxing, in skin stimulation survey, about dead skin cell condition, skin trouble, itching, heat sensation or burn, red spot, prick, it comes out to 2.15 point (SD=.20), all of it feel less than baseline before experiment. After waxing,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 about change of facial skin, like satisfaction of waxing, smooth skin, skin dryness, skin tone get brighter, remove sebum, make-up base and make-up feel better than baseline before experiment. And after experiment, the experimenters do facial waxing regularly and satisfaction of facial waxing’s average score is higher as 4.05 point (SD=.50). This study on facial waxing, and statistical records show that high satisfaction about it. As an area of beauty treatment industry, systematize waxing education to find direction of procedure and raise specialty. So, it is considered to can combine safe and effective waxing procedure with customer and beauty treatment industry to create adde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