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migroups that are groups

        김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에서는 semigroup에서 group이 될 수 있는 조건들을 찾아보았다. semigroup 중에서도 group과 그 구조가 비슷한 regular semigroup, inverse semigroup과 simple semigroup에 대해서 그 조건들을 찾아보았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example를 통하여 공부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semigroups which are group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condition for regular, inverse, and simple semigroups to be groups, and I try to find examples to understand them easily.

      •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직장인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김소정 水原大學校 호텔觀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여가’라는 말이 좋은 의미로 인식되고 있지만 정작 여가시간이 주어지면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TV시청을 하거나 잠을 자는 등 수동적으로 여가를 보내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그동안 여가보다는 노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왔기 때문에 여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부족하고 여가를 즐기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5일제를 앞둔 직장인들의 여가참여정도와 만족도를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제시하고 직장인들의 보다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여가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논문의 결과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정도, 만족도, 개선방안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은 여가의필요성이나 여가시간활용 등에 대해 성별, 학력, 직업, 월소득 등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여가만족도에 대한 점수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여가활동에 대해 만족함이 높음으로 연령이 낮은 직장인들은 여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지만 바쁜일과로 인해 여가활동에 시간을 많이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여가에 참여함으로 얻어지는 이득에 대해 살펴본 결과로는 전체적으로 휴식을 취할수 있다, 자기개발을 한다, 건강이 좋아진다 등 긍정적 결과가 나왔으나 현재 여가참여의 장애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일이 바쁘거나 시간의 부족, 관심과 열의부족, 경제적 부족 순으로 조사되어 직업노동, 가사노동 등에 절대적으로 시간을 빼앗길 수밖에 없는 현실을 잘 지적해주고 있다. 셋째, 여가활동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5점 만점에 3.63점으로 비교적 어느정도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일제를 앞두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에게 필요한 여가사항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많은 정보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가장 많았고 저렴한 숙박 및 휴가시설, 주위여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시간이 많아짐에도 나타날 수 있는 장애요인은 역시 경제적 여유가 가장 많이 지적되어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여가활동의 참여도 높아지고 그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는 결론을 내릴수 있다. 여가만족에 필요한 장애요인의 경제적 여유의 부족으로 조사되었던 것에서도 볼수 있듯이 만족스러운 여가생활을 이루기 위해 소득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앞으로 주5일 근무제 및 이와 같은 사회 시스템의 변화가 여가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심도있게 추론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조사와 의견조사를 병행하고 라이프싸이클에 따른 여가활동의 변화와 각 여가내용을 더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조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변화 과정은 DB로 구축하여 이 후의 추세를 예측하는 것이 필요할것으로 여겨진다.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we take the word 'leisure' as a very good meaning but when we do get leisure time, we don't know what to do so we normally spend it passively like watching TV or sleeping. This is because we only focused on work and not on leisure so we lack the right understanding of leisure and we are not used to enjoying the leisure time. This study has a goal of presenting participation rate and satisfaction of leisure life of workers who are about to face the 5 workday policy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productive and developmental leisure life of the work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categorized into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rat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vital statistic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First, for the understanding of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vital stat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cessity and use of leisure time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income and etc. However, when the score of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looked into, old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eisure lives and young people feel the necessity of leisure time but the reality is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time to spend on their leisure lives due to busy days. Second, when the benefits of the leisure were surveyed, people generally showed positive results such as resting, self-improvement, and better health but when the obstructing factors of leisure was analyzed, they generally showed that the reality does not allow leisure time in their work due to busy workhours and lack of time, interests, enthusiasm, and money. Third, the satisfaction of the leisure activity generally showed to be 3.63 out of 5 and this tells that people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leisure activity. When the people who are about to face 5 workday policy were asked what is needed in the leisure activity, most said more information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some said development of cheap lodging and vacation facilities. The obstructing factor of more time is also the financial matter. It can be concluded that as there more leisure tim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leisure activity increases along with the expenses of it. Since the obstructing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is financial difficulty, it can be said that income plays a big role in a satisfactory leisure life. In order to reason the effects of changes of social system such as 5 workday policy on the leisure life, studies needs to be made on the demanders' opinions. Also more detailed investigation needs to be done on the changes in the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lifecycle and each leisure content. DB of continuous changes is needed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trend.

      •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의 작품에 나타난 인간개념에 대한 연구

        김소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 1950-)의 조각 작품에 나타난 인간개념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 형상을 주제로 하는 조각 작품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적 맥락과 사회적 필요에 따라 그 형태와 의미가 변모하여 왔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인간의 이상을 상징하는 대상으로, 중세에는 기독교적 도상의 역할을 하였으며,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이 고조되었던 르네상스 시대에는 독립적인 인간존재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었다. 근대에서는 대중을 교육하고 시민의식을 고취시키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의 모더니즘 미술이 재료의 물성 및 자기지시성을 강조함에 따라 조각에서도 인체의 형상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러한 예술적 토대 위에서 1970년대 후반에 재료분석적 성격 위주의 작업을 진행하던 곰리는 라이프캐스팅 인체조각으로 작업의 방향을 전환하였다. 캐스팅 방식으로 인체라는 주제를 선택한 것은 당시 미술계에서 전통 미술로의 회귀로 읽혀질 소지가 있으나, 곰리의 조각은 인체의 재현이나 특정한 내러티브를 표방하는 전통적인 인체조각과 뚜렷이 구별된다. 그는 자신의 신체적 경험을 전달하고 관람자로부터의 상호소통을 이끌어 내며 실제 인간의 삶과 경험을 담는 매체로 인체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간 곰리의 작업에 대한 논의는 성공적인 공공조각과 대규모 협업 프로젝트 및 공공 퍼포먼스 작업 등에 의거하여 대부분 공공미술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졌다. 이외에도 곰리의 자신의 몸으로 인체조각을 제작하는 것에 의거하여 그의 작품을 자전적인 내러티브를 담은 자아실현의 결과물로 파악하는 논의들도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곰리 작업에 나타나는 인간개념을 다양한 국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우선, 곰리의 조각은 일대일로 대면하는 관람자가 이를 자신의 몸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존재를 구별해내는 주체와 객체의 상호관계 속의 인간개념을 구현한다. 특히 동일한 인체조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작업이나, 내부의 인체가 형상화된 콘크리트 입방체 작업은 인간 형상, 나아가 자기 자신을 지각하는 다양한 시점을 제시한다. 아울러 인체 형상이 완전히 사라진 설치작품에서는 관람자가 신체를 전제로 자신과 타인을 관찰하며 또 관찰되는 양상으로 그 의미가 확장된다. 또한, 공공 공간 및 자연환경에 설치된 곰리의 조각은 장소의 특성, 환경, 역사적 맥락을 반영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속 인간의 의미를 창출한다. 이러한 작업은 특정 지역이 처해있는 사회적, 경제적인 상태를 보여주면서, 그 속에서 지속되거나 또는 변화되는 인간 공동체를 부각시킨다. 사막, 바닷가 등의 자연환경에 설치된 인체조각 역시 특수한 환경 속의 인간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곰리의 공공 작품은 단순히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공공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미술조형물의 의미를 뛰어 넘는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곰리와 참여자들과의 협업 및 퍼포먼스 작업을 통해서 이러한 사회적 인간관계가 실천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규모 인체 토기 공동제작, 타인의 존재를 인식하기 위한 관람자들의 신체 접촉, 대중의 자발적인 퍼포먼스와 같은 실질적인 행위 자체가 작품의 내용이 된다. 이를 통해 인간관계와 상호소통의 다양한 의미가 개념적 도상이 아닌 실천적인 차원에서 조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곰리의 작업은 결국 ‘인간’의 의미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해 온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즉, 관람자와 대면하며 내적 자아를 이끌어 내는 인체조각에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인간 사회와 소통하는 공공 조각, 그리고 지역민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협업 작업과 대중이 만드는 공동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그의 조각은 현대조각에서 넓은 스펙트럼을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미술사적으로는 인체조각의 역사를 계승하는 동시에, 동시대 인간개념을 다층적인 의미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곰리 작업은 조각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verse notions of humanity expressed in the works of Antony Gormley(1950-). From the Classical era to the modern age, human figure sculptures have changed, both in image and meaning, to accommodate social needs of the times. In ancient Greece, for example, these sculptures symbolized the ideal human being; during the Middle Ages, the art form was adopted by Christianity to serve as an icon; even later, during the Renaissance when a human-centered world view emerged, human figure sculptures reflected the growing interest in humanism. Moreover, the modern era witnessed the role of human figures sculptures educating the public and encouraging civic mindedness. Beginning in the late 1960s, the human figure sculpture, as an art form, started to disappear as Modernism stressed both literality of material and self-referentiality. In the midst of this artistic movement, Gormley, who used to process material-analytical works in the late 1970s, shifted his art's direction to focus on human figure sculpture molded using the life-casting method. The fact that he chose casting as his method and human figure as a form of sculpture may seem to infer Gormley's return to pre-Modernist conventions. But Gormley's works clearly depart from traditional human figure sculptures that either replicate the human body or imply certain social narratives. Gormley selected the human figure first as a medium to convey his physical experience, and then to inspire communication by the audience, thereby encapsulating human life and its real-world experiences. As Gormley is widely known for his successful public sculptures, large-scale collaboration work, and public performance, the existing studies of his works are mainly conducted through the lens of public art. Besides, the fact he uses his own body for sculptures has allowed discussions that consider his works autobiographical.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diverse notions of humanity, and their various aspects, conveyed in Gormley's works. First, Gormley's sculptures embody the notion of humanity where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vites the audience to connect with the form as his or her own body, and then distinguish his or herself in awareness of existence. Specifically, the works in which identical human figure sculptures appear repeatedly or the concrete works entomb human figures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which the audience can perceive the human figure, and even further, themselves. This relationship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moreover expands to allow the audience to both observe themselves and to become observed by others, such as in Gormley's installation works where the human figure is noticeably absent. Gormely's works also create meaning of the notion of humanity in terms of social relationships in the public space and natural environments; specifically, the sculptures adopt and reflect their locations, mirroring character, circumstance, and historical context. These works represent a given area's society and economy, in addition to drawing forth the human communities sustained in and transformed by the space. The human figure sculptures installed in natural environments additionally reflect human life's diversity as a result of certain environments. Therefore, Gormley's public sculptures retain greater breadth of meaning than simply standing as public sculptures installed in public sites to draw the public's attention alone. Aspects of the aforementioned social relationship are also demonstrated by Gormely's collaborative works and participant-based performances. The physical activities of producing human figure terracotta figurines, recognizing others through touch, and coordinated volunteer performance can all constitute part of a work's content. Through this, both human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s various meanings exhibit a practical, rather than conceptual, quality. Therefore, Gormley's works seek out the meaning of humanity and its process of formation. From the human figure sculptures drawing forth the audience's inner self, to the public sculptures communicating with human groups, to the collaborative works produced by the local community and the open performance by the public, Gormley's works develop upon the broad spectrum previously established in contemporary sculpture. Thus, Gormley's works, expressing the varied notions of humanity in contemporary art while transmitting traditions of the human figure sculptures in the milieu of art history at the same time, are able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sculpture.

      • 서번트리더십이 종업원의 비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servant leadership may have an impact on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like non-task behavior through an operating mechanism. To identify the effect of leadership based on the subordinates-oriented approach unlike the leader-oriented approach whi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s of a leader as exactly as possibl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motivating mechanism of subordinates in the process that leadership transforms to the acts of subordinates. Leadership is a social process that leader and subordinates interact. In terms of self-conception like self-esteem, leadership has a major impact on self-conception or self-evaluation of subordinates through which may have a huge impact on individual'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few studies have been made on this. Therefore,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non-task behavior of subordinates and the mechanism of servant leadership.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320 noncommissioned officers who are professional soldiers working in the air force in Daegu and utilizes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servant leadership appear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but to be not associated with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ppear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ut a negative impa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with Sobel test,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ppeared to be partia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describ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non-task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he operating mechanism of servant leadership and by doing so,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mproving positive non-task behavior and reducing negative non-task behavior.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other studies in that it empirically analyzes the negative non-task behavior that'd not been dealt with too much until now. This study also expands the scope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by revealing that belief in the ability to perform a particular task successfully and motivation of it will lead to high productivity and spontaneou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at employees are reluctant to do harm to an organization.

      • 파편화된 여성 신체 이미지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소정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파편화된 여성 신체 이미지에 나타나는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서양 미술사에서 파편화된 신체는 억압적인 전통에 대한 거부로서 나타났다. 18세기 근대 프랑스 혁명기에는 역사적 주체의 절단된 두상을 통해 과거의 파괴를 표현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 인상주의 화가들은 우연적 또는 의도적으로 맥락 없이 화면에서 신체를 자르는 구도를 통해 완벽한 신체의 재현이 지배적이었던 이전의 미술을 거부하였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1차 세계 대전이후 초현실주의 화가들의 작품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우발적이고 이질적인 신체의 부분을 통해 억압되었던 인간의 본능이나 원초적인 욕망을 표출하여 이성적인 사고의 대안으로 삼기 위함이었다. 또한 파편화된 여성 신체의 표현은 가부장적 남성 사회가 만든 ‘여성성’에서 벗어나 주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주의 미술에서도 사용되었다. 이후 현대 미술가의 해체 중심적 시각에서 제작한 아브젝션(abjection)미술로 이어진 신체의 파편화는 여성의 신체를 여성적 정체성의 출발점이자 근거로 삼아 제작한 본 연구 작품에서도 나타난다. 파편화 작업에 대한 연구자의 관점은 사회적으로 억압되거나 침묵을 강요받아 온 여성, 그들의 신체를 통해 근대적 인식의 한계를 비판하고 더 나아가 여성 신체에 대한 새로운 표현의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연구 작품은 벽화기법을 변용하고 동양과 서양의 재료를 혼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재료기법적인 면에서 과거의 전통적인 양식을 탈피한 새로운 표현기법을 지향하고자 하였다. 이는 연구자 본인의 여성으로서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한국화 작가로서의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연구 작품에서 중요한 요소인 파편화된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남성과 달리 고정된 실체로 설정된 ‘여성의 신체’ 혹은 ‘여성성’을 비판하고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관계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하였으나, 이는 남녀의 성 차이를 드러내기 위한 투쟁이 아니라 여성주의 시각을 넘어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인정하고 소통하려는 작업이었다. 서양 미술사에서는 신체의 파편화 작업이 신체의 재현에 반하는 새로운 개념으로써 꾸준히 논의되어 왔는데 반해 한국 회화에서는 그리 활발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연구 작품에서 드러나는 파편화된 여성 신체 이미지 작업을 현대 미술의 탈중심 시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여성으로서, 동시에 한국화 작가로서 연구자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작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er’s art work,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ragmentized body images of women.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fragmentized body images of women appeared as a rejection of oppressive traditions. In 18th century France, artists such as Gericault depicted the destruction of the past using amputated bodies of historical agents. In the last years of the 19th century, however, impressionists rejected the art conventions they had inherited tha t reproduced perfect bodies and presented body parts through accidental or deliberated compositions in their paintings. After World Warone, surrealist painters actively used these same conventions in order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rational thinking. They expressed the oppression of human nature and primitive desires through accidental and heterogeneous body parts. In particular, images with fragmented women’s bodies, which aimed to express women’s independence and freedom from the ‘femininity’ created by patriarchal male society, were used in feminist art. Fragmentized body images continued in Abjection Art, constructed from a de-constructivist point of view, in which the woman’s body is seen as the starting point of female identity. The paper aims to criticize the limitations of modern cognition and further to explore new expressions of images of women’s bodies through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were oppressed or forced to be silent by society. In terms of the material technique, the researcher suggests a new expressive technique by modifying mural painting techniques and using a mixture of eastern and western painting materials, breaking from traditional techniques. The researcher’s art work is about her identity as a woman and a Korean painter. The fragmentized body image of women, which is a critical element in her art work, started from a self-examination about the i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nd criticizes the fixed image of women’s bodies and femininity. However, through her work, the researcher also wanted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while promoting understanding about humanity through the process. Whereas the fragmentized body image was discussed as being contrary to the concept of expressing bodies in perfection, it has rarely been explored in Korean painting. Thus,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lies in analyzing and examining fragmentized body images of women in the works of the researcher, a Korean painter, from the decentralization point of view of modern art. It is expected that this process will be a solid foundation on which to establish her identity as a woman, Korean painter, and a researcher.

      • 액티브시니어의 미용서비스 이용행태에 따른 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김소정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버세대의 확대로 인하여 시니어층의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패턴은 중요한 소비 의 축으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이들이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떠오르면서 그 중요성 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은퇴 이후 하고 싶은 일에 능동적으로 도전하고 경제력을 가진 50세 이상 시니어층은 기존의 시니어층과는 다르게 외모 가꾸기에 관심도가 높으며 다양한 뷰티 서비스와 상품구매에 지출을 아끼지 않는 강력한 구매력을 갖 추고 있다. 과거 고령층은 대다수가 자녀들에게 많이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현 재 노년층은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녀들에게 의존하고 투자하기보다는 자신 들의 삶을 계획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특성과 성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건강과 뷰 티, 여가 생활에 투자를 아끼지 않으므로 여가활동이나 문화생활, 뷰티관리 서비스, 건강관리 등 다양한 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특징을 보이 는 노년층을 액티브 시니어라는 신조어로 칭하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들의 화장품 소비와 외모 관리는 그들의 경제적 여유와 변화된 라이프 스타일로 인하여 지속적 으로 나타날 것이며 시니어들의 미용관련 소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고령화 로 인한 시니어 소비시장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 가고 있으나, 시니어세대와 관련한 미용 서비스 이용과 만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고령화 시대에 지속적인 인구 구조의 변화가 일어남을 감안 할 때, 새로운 시니어 세대에 대한 우리 사회의 vii 관심과 주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액티브 시니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미용 서비스 이용 행태를 조사하여 만족도와 관계를 분석함으로는 추세이다. 고령 층을 대상으로 한 패션과 뷰티 분야에서의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 표본은 여가활동과 경제활동을 갖춘 50대-60대의 액티브시니어의 기준에 부합하는 한국인으로 서울과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2021년 10월 1일부터 15일까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0부가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부관리 서비스경험 여부는 조사원의 90%가 피부관리 서비스를 받으며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상대적으로 피부관리 경험이 높으므로 부부가 함께 이용할 수 있 는 상품개발은 시니어 계층에 적합할 것이다. 피부관리실 형태의 이용이 가장 높았 으며 50대 초반에서 중반의 경우 메디컬스킨케어의 이용횟수가 높았다. 얼굴 관리 가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외모적인 만족도를 위해서는 얼굴 관리를 선호하며 습관 적으로 관리실을 이용하는 경우 전신관리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횟 수는 월 1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도 대체로 1회 이상, 여성의 경우 2~3회 이상 이용하고 있으며 노후 준비 여부에 따라 이용횟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헤어 미용 서비스의 적정시간은 남자는 30-60분 사이를 최적의 시간으로 생각하 고 있으며, 피부 관리와 비교하여 30분 정도 적게 생각하고 있었다. 현재 이용하는 미용실을 선택한 이유는 원하는 스타일을 잘 연출하는 이유가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난 이유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헤어미용의 경우 남성의 경우 대체로 디자이너에게 의존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헤어 미용 서비 스 만족도는 친절성, 전문성, 신뢰성, 이용 편리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영구 서비스의 경우 피부, 헤어와 비교 시 가장 적은 수가 경험했으며 여성의 경 우 이용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혼자 사는 경우와 부부 경우 이용 경험이 높았다. 노후 준비가 되어있는 계층보다는 준비되어 있지 않은 계층이 이용 경험이 높았으 며, 외모 관심도가 높은 층이 대체로 경험하였으며, 콤플렉스 커버를 위한 이유가 가장 높았다.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콤플렉스 커버 등의 심각한 문 제일 경우는 매스미디어 등에 더욱 의존하는 것으로 보였다. 네일 미용 서비스경험 여부는 시니어층의 미용 서비스경험 중 가장 적은 부분을 viii 차지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여성의 경험 여부가 높았으며 부부와 혼자 사는 경우 네. 만족도는 친절성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성, 신뢰성, 이용 편리성 순으 로 나타났다. 액티브시니어는 이들은 대부분 전용 뷰티관련 관리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희망을 가지고 있으며 관리실 선택 시 직원의 친절함을 가장 중요시 하였다. 향 후 액티브시니어의 연령대를 보다 세분화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각 미용 분야별, 적용 기술 등으로 구분하여 함께 비교할 필요가 있다. 액티브시니어라는 새로운 계층의 특징과 이들의 미용 소비니즈를 연계하여 미용 산업의 마케팅에 적 용한다면 뷰티 관련 시니어 시장의 큰 확대와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

      •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김소정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와 성별에 따라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 성취동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해 봄으로써 다양한 다중지능 측정 및 개발의 중요성을 알리고 다중지능 향상을 통해 학교생활적응과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다중지능과 성취동기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학교생활적응과 성취동기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넷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다중지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익산시 소재 3개 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 245명(남117명, 여128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문용린 외(2002)가 개발한 초등학생용 다중지능 검사 도구와 민병수(1991)가 제작한 학교적응 검사지, 아동용 성취동기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박성옥 외, 2004)에서 만든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이용한 통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과 t검증이다. 가설을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은 모든 하위 영역에서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 특히, 개인이해지능이 학교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관계를 보였고, 다른 지능들도 학교생활적응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성취동기의 관계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다. 특히, 성취동기와 가장 관련이 높은 하위지능은 개인이해지능이며 다른 지능들도 모두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성취동기의 관계는 모든 하위 영역에서 정적인 상관성이 있었다. 넷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다중지능의 전체 점수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하위 영역별로 음악지능, 언어지능, 대인관계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았다. 다섯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없었다. 여섯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의 차이는 없으나 하위 영역에서 모험심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다중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성취동기는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의 다중지능을 발달시키면 다른 기능들도 조화롭게 발달 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를 갖는다. The present paper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by gender in an effort to publicize the measurement and importance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mot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For this aim, following issues were set forth as themes of the study: First, what relationship does exist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Second, what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s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Fourth, what difference is there in multiple intelligences of children by gender?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gender? Sixth, what difference is there in children's motivation for achiev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5 children (117 males and 128 females) selected from among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 elementary schools in Iksan city.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in reference to the Tes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ed by Yongrin Mun, et. al (2002), the Test Paper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made by Byeongsu Min (1991) and questionnaires created as part of a study on developing the scales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ivation for achievements (Seongok Park, et. al., 2004)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t-test were employed. From the tests of the theme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a quite high correlation was found to exist in all sub-catego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mong others, individual intelligence for understanding show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adaptation to school life, followed by other intelligences that hav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it. Seco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ivation for achievements turned out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all sub-categories. Individual intelligence for understanding, in particular, featured to have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motivation for achievements along with other sub-categories of intelligence that revealed close relationship, too. Third,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sub-categories. Fourth,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general scores of children's multiple intelligences by gen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uch sub-categories of intelligence as music, langua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female students demonstrating fairly higher intelligence in them than males, though.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gender. Sixth, no difference could be monitored in students' motivation for achievements by gender except for a sub-category of adventure in which female students scored relatively higher points. Even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general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s might exercise positive influences on one another mutually. It may therefore be possible to conclude from the educational viewpoint that if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are developed, other intelligences can also be further developed accordingly.

      • 영상매체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한국어 교육 방안

        김소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lended learning-based lessons to select and incorporate "online media" that could be mixed and used in the field of teaching material-centric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visual media especially an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proposed methods to promote the learning effects and plans to put them to effective use in the classroom. The study first set a couple of research goals and searched for its methods. The research goals were ① classifying and analyzing visual media, ② searching for the types of lessons that could make use of visual media, ③ selecting visual media to be used in lessons, and ④ proposing blended learning-based Korean education. Trying to implement these research methods, Chapters 1 and 2 reviewed the advantages of visual media-based blended learn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lessons in previous studies and proposed research methods according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overall backgrounds of blended learning-based lessons in Korean education including the concept of blended learning and lessons based on visual media. Chapter 3 analyzed the types and genres of visual media, dividing them into "broadcasting-based ones," "Internet-based ones," and "others." The first two categories were based on videos focused on education. The Internet-based visual media were especially examined for each medium. The last category of other visual media was examined by the genre. Chapter 4 searched for blended learning-based plans for Korean education by using visual media based on the findings in previous chapters. After selecting lessons and visual media to be blended for overall lesson organization, the chapter organized a lesson in the pre-, during-, and post-lesson stages and proposed actual lessons plans based on them.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the learning objectives. If learners are stimulated for their interest and motivated, their foreign language learning abilities will be improved further. The present study chose visual media-based blended learning as a plan to fulfill all of these.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lead to ongoing attempts at visual media-based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future study of educational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