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센터에 내원한 복통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의 정확도 분석

        김성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최근 응급센터의 기능화, 전문화가 추진되면서 응급진료의 범위가 일반진료의 범위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응급진료의 신속함 때문에 응급센터로 직접 내원하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응급센터에서의 진료 후 추적검사 및 초기진단에 대한 확진이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퇴원 환자의 경우 더욱 심각하다. 게다가 응급진료 후 각 해당과로 의뢰되어 환자가 입원한 경우에도 응급센터에서 내린 진단여부에 대해 추가적인 확인과 정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저자는 응급센터로 내원하는 환자들의 주요 호소증상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복통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응급센터에서 내린 초기 진단과 퇴원 후 진단의 일치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진단 일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 응급 진단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응급센터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 년 7 월 15 일부터 2008 년 9 월 15 까지 두 달 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일개 3 차 병원 응급센터를 내원한 복통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로토콜에 따른 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추적검사의 방법으로 입원환자는 응급센터에서의 초기진단과 퇴원시 진단을 비교하였으며, 당시 내원하여 퇴원조치를 받은 환자의 경우는 내원 후 1 개월 내에 같은 증상으로 외래에 내원하여 추가검사 및 진료를 시행 받고 확진된 환자에서 초기진단과 추후 확진된 진단을 비교하였다. 진단분류는 ICD-10 의 진단을 기준으로 일치율을 0 점부터 5 점까지 나누어 분류하였다. 진단항목에서 4 개 항목 모두 일치할 경우 5 점, 모든 항목이 불일치시에는 0 점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각 연차별 진단에 대한 확신도를 1 점부터 5 점까지로 나누어 답변하도록 하였다. 일치도 분석은 중증도 및 입퇴원 여부, 질환의 종류 등을 기준으로 진단관련변수간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170 명 중 추적검사가 되지 않은 71 명을 제외한 9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입원한 환자가 60 명(60.6%), 퇴원한 환자는 39 명(39.4%)이었고, 내과적 질환은 61 명(61.6%), 외과적 질환은 38 명(38.4%)이었다. 전체 복통 환자의 진단의 일치율을 보면 모든 항목이 일치한 경우가 총 44 명(44.4%), 3 개 항목 이상 일치 혹은 연관성이 인정된 경우는 총 9 명(9.1%)이었으며 완전 불일치한 경우도 25 명(25.3%)으로 조사되었다. 입원 환자와 퇴원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입원 환자에서 진단의 일치도가 더 높았다(p<0.05). 내과계와 외과계질환의 진단의 일치도는 외과계 질환일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중증도와 진단의 일치도에서는 중증 질환일수록 일치도가 높았다(p<0.05). 전공의 각 연차별 진단과 일치도 간에는 큰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진단의 확신도와 일치도 사이에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진단의 불확신에 대한 이유에 대한 분석으로는 응급센터 내에서의 불가능한 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11 례(57.9%)로 가장 많았고, 적절한 병력청취나 이학적 검사가 어려운 경우나 지식이 부족한 경우로 대답한 경우가 각각 4 례(21.1%), 3 례(15.8%)로 조사되었다. 결론 응급센터에 내원한 전체 복통 환자의 진단 일치도 점수의 평균은 2.8 점이었다. 진단 일치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 중증 질환인 경우와 외과계 질환인 경우, 입원한 환자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중증질환과 외과적 질환에서 일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응급센터의 기능적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결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lthough the ratio of local residents to visit emergency department is increasing, follow up consultation or confirmation of primary diagnosis in emergency department is not performed. I investigated the degree of disagreement between emergency diagnosis and discharge diagnosis for abdominal pain. Also by analyzing factors which have effects on disagreement in diagnosis, I expected to figure out propriety of emergency care and improve quality. Methods A prospective study using protocol was carried out on emergency patients due to abdominal pain for 2 months. A degree of disagreement was measured from 0point to 5points in based ICD-10 code. Higher accordance of each digit, higher points was given. And I surveyed the confidence level for diagnosis by questionnaire. The analysis of disagreement degree was carried out based on disease severity, admission or discharge and the kinds of disease. Results Among enrolled 99 patients, 44 patients had perfect accordance of all digits (44.4%) 9patients had the score of 3 and over (9.1%). No accordance of all digits was shown in 25 cases (25.3%). According to analyzing factors, the degree of agreement was higher in hospitalized patients (p<0.05), surgical diseases (p<0.001), serious cases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grade of resident and between confidence level and disagreement. Conclusion The mean of disagreement point in diagnosing abdominal pain was 2.83 points. Severity, admitted patients and type of diseases were factors which had effects on agreement of diagnosis. This results is worthy of notice in a functional aspect of emergency medical center.

      • 죽음에 대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계

        김성은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빈번하게 대상자의 죽음을 접하고 간호하게 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극적 임종간호를 수행하고 총체적인 간호 중재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근무 경력 6개월 이상,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도구는 Thorson과 Powell(1988)의 죽음에 대한 인식 측정 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 총 25문항과 박순주(1996)가 개발한 임종간호 수행 측정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총 19문항을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한 통계분석은 실수,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 t-test와 One-way ANOVA 및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최대 4점에서 평균평점 2.33±.77점으로 보통의 죽음인식을 나타냈으며, 임종간호 수행에서는 평균평점은 최대 4점에서 2.76±.63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의 관계를 보면 신체적 영역과 죽음에 대한 인식(r=-.175, p=.04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인식 정도 중 근무 분야에 따른 통계적(F=2.54, p=.04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신경외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다른 근무 분야 간호사보다 죽음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수행 정도에서 연령, 결혼,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t=-3.33, p=.001), 미혼자보다 기혼자가(t=-2.39, p=.018), 임상경력이 오래 될수록(F=2.57, p=.050)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았다. 5.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하부영역 수행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학원 졸업자가 전문대 및 대학 졸업자보다(F=3.75, p=.021), 임상경력이 오래 될수록(F=2.68, p=.044) 영적 영역 임종간호 수행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은 중간 수준이었지만 부정적인 편이였으며 임종간호 수행은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신체적 영역에 치중되어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 항목 중 신체적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일반적 특성 중 근무 분야에 따라 죽음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연령, 결혼 여부, 임상경력에 따라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한국 저예산상업영화의 사례분석 : 달콤, 살벌한 연인을 중심으로

        김성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8년 하반기부터 주목받고 있는 독립영화가 한국 영화산업과 현재 위기 상황에 직면한 상업영화의 대안으로 보는 것에 대한 반발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상업영화의 대안은 단순히 독립영화가 아닌 또 다른 형태로서의 상업영화이다. 과거 몇 년 동안 대규모의 예산으로 만들어진 영화들의 흥행 참패로부터 시작된 영화 산업의 위기 극복 방안은 적은 예산으로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저예산상업영화이다. 그동안 저예산상업영화에 대한 논의에는 ‘예산’이 중심에 서 있었다. 이렇게 저예산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독립영화와 저예산상업영화의 개념이 불분명하게 사용되거나 양자가 흔히 혼돈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저예산으로 만들어진 상업영화’라는데 초점을 맞추어 본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저예산상업영화는 영화시장의 자본 위축에 따라 적은 예산으로 흥행에 대한 위험부담을 줄이면서도 더욱 더 다양한 콘텐츠를 양산해 낼 수 있는 영화산업의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간 독립영화와 구분이 모호했던 저예산상업영화에 대한 정의를 분명히 밝히고, 기획단계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소비자 연구를 시도하도록 하겠다. 더불어 저예산상업영화의 도구로서의 측면이자, 저예산상업영화의 발달 가능성이 잠재된 영화제작에 도입된 디지털 방식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으며, 제작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건비에 관련하여 연구하겠다. 마지막으로 저예산상업영화의 성공 사례인 <달콤, 살벌한 연인>을 중심으로 저예산상업영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분석하도록 하겠다. 현재 한국 영화산업은 저예산상업영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제작 편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저예산상업영화를 단순한 일회성 현상으로 보지 않고, 성공과 실패사례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저예산상업영화의 전략을 세우는 것은 장차 영화 산업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저예산상업영화에 맞는 효율적인 제작 시스템 역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각 영화마다 성공과 실패의 원인은 다르겠지만, 예산을 합리적으로 운용하고 효율성 있는 영화 제작을 위한 시스템 정리가 요구되는 것이 현재 저예산상업영화에 대한 현 상황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같이 저예산상업영화의 생산체계와 기획단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현재 영화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시도로서 시작되었고 그 대안에 대해 제언을 하는 것으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originally inspired by a rejection of the idea that independent movies in Korea will replace the present Korean film industry, and commercial films, which face a crisis at present. The substitute for commercial films will not simply be independent films, but another form of commercial film. In recent years many big-budget films have failed to make a higher profit in Korea than before. So, as the one of the solutions to overcome that drawback, low-budget commercial films have been introduced. Until now, the issue of 'budget' in film industry has been at the center of debate about low-budget commercial films. As the focus is on the limited budget, the concepts of independent films and low-budget commercial films have not been defined clearly and often have been used in a confused manner. Taking a critical view of this matter, this study aims to focus on “low budget commercial films”. Low budget commercial films are expected to become a new substitute for the film industry that could reduce the risk factors for success and at the same time produce a lot of films with a greater variety of content.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existing and previous studies, the definition of low-budget commercial films compared to independent movies will be made clear, and the issue of consumer research which should be conducted first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film production will be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the digital method which is introduced as a epoch-making technology, which holds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low-budget commercial films, will be examined as a tool for low-budget commercial films. Also to be studied is the issue of labor cost which takes up a large proportion of production costs. Lastly, centering on the film 'My Scary Girl' which has been one of the successful low-budget commercial films, the future direction for low-budget commercial films will be discussed. At present in the Korean film industry more and more attention is being paid to low-budget commercial film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fficient strategy with continuous studies about both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these film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and not only regarding it as simply a temporary phenomenon. It is also essential to establish an efficient production system suitable for low-budget commercial films. The reasons for success and failure for each film might be different, but the reshuffling of the system for film production which handle a reasonable budget operation and efficient movie production is necessary. In this sense,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aims to be helpful for present film industry with suggestions for th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of low-budget commercial films.

      • 헤드라인 제시 방식이 모바일 브라우징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에서 휴대폰은 더 이상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통신을 위한 매개체가 아니라 이동 중에도 인터넷 검색 또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여 활용하는 용도로 쓰인다. 특히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한 모바일 인터넷 뉴스 기사 검색 기능은 부족한 공간의 사용으로 인해 효율성과 주관적 만족도가 떨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목록 제시 방식이 모바일 브라우징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보 제공의 완전성과 정보 제공의 지연 여부의 2가지 측면으로 목록 제시 방식을 구분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탐색 과제를 통한 목록 제시 방식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실험 1에서는 불완전 정보 조건에 비해 정보 제공이 완전한 레이어드 팝업과 동적 제시 조건에서 사용성과 지각된 사용성이 높았으며, 정보의 지연이 없는 레이어드 팝업 조건이 동적 제시 조건보다 지각된 사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다양한 속도 수준을 포함한 동적 제시 조건과 레이어드 팝업을 재 비교하였으며, 최적 속도로 정보 제공 시, 레이어드 팝업만큼 지각된 사용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 3을 통해 터치스크린 환경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 본 실험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방식들 간의 차이만을 살펴보는 수준을 넘어서 작은 화면 내에서 정보 제공 시, 레이어드 팝업 또는 최적의 속도 제시 방식이 정보 탐색에 대한 사용성과 사용자의 주관적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음에 의의가 있다. Since the development of speed and memory of mobile device has increased the last couple of years it is very important to still have a good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device. Especially, users seek mobile device for hedonic usage like internet surfing. However, the way a user’s access internet on mobile device such as cell phone has some problems because of limitation of small display. It decreases not only usability, also user’s satisfaction when using mobile internet. In study1, we asked participants to perform searching task within 3 conditions. We presented incomplete condition, layered pop-up condition which provides contents of headline completely without delay, and moving caption condition providing headline completely, but with delay.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usability (RT, accuracy) within 3 conditi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yered pop-up and moving caption condition. Results also indicate that layered pop-up increases user’s satisfaction better than moving caption. These results mean that completeness of headline content has a stronger effect on mobile browsing services than postponement of content. In study 2, we hypothesized that optimal speed of moving caption increase user’s satisfaction as much as layered pop-up. We compared 3 variable speed of moving caption condition and layered pop-up. Results from study 2 showed people read 1.6 words per second within small screen and when providing optimal speed, user’s perceived usability increased. In study 3,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results from study 2 in touch scre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the completeness of headline content is a important factor in small screen such as mobile device. We also found the meaningful way to complement the limit of WAP service.

      • 해석 수준, 인지욕구 및 시간적 거리에 따른 소비자의 정보 탐색 과정

        김성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one's construal level and the need for cognition influence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by different temporal distances. Construal Level Theory, a recent social psychological theory, is being defined as psychological distance that each consumer can experience at any consuming circumstances. For example, imagine there were two undergraduate students who received different assignments. One was told to submit it after a month, while the other to submit it after a week. The one who had enough time compared to the other who had to submit it after a week would generally think she would put all her efforts to get a good grade. However, the one who did not have enough time, on the other hand, would think the details first she had to do right at the moment to complete the assignment. Thus construal level suggests that the longer the temporal distance increases, the more abstractly consumers view their issues. The construal level of the individual can be measured by Behavior Identification Form(BIF), a tool to help measure people's action. BIF designed by Vallacher and Wegner(1989) support the construal level theory in the context that people construe an event or an issue in abstract or detailed ways. Instead, it enforce more on individual behavioral tendency. Thus, in this study we would observe consumers' construal level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tendenc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explain people's consumption only with construal level. Though the person who tend to think in abstract way according to construal level theory can behave differently by her need for cognition. The need for cognition support the similar idea of construal level theory, focusing on one's cognition. For it means a cognitive tendency of people whether they enjoy thinking or not, it distinguishes people into two who have high level of need for cognition and who have low level of need for cognition. Then how the person of abstract construal level and low need for cognition would consume in a real purchasing event? It would be also different by temporal distance. She would have enough time or lack of time. Therefore this study does not limit people's consumption at the construal level, but together with the level of need for cognition and temporal distances. After surveying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high construal level and high level of need for cognition, 2)high construal level and low level of need for cognition, 3)low construal level and high level of need for cognition, and 4)low construal level and low level of need for cognition. Among them, this study concentrates on people of the second and third condition because they are the most frequent consumers marketers can meet at the actual circumstances. Total 192 students taking psychology class at Ewha Womens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and basic skin care cosmetics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hypothesis, especially hypothesis 2 was sup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construal level, the need for cognition and temporal distance. That is, it was predicted people with low construal level and high cognitive level in the near future search more central attributes than peripheral attribute of the product. And this will give influential implication to many marketers. Therefore marketers would need to be sensitive to consumers' internal and external state so that they would always give them the experience of satisfactory purchase.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향적 해석수준과 인지욕구 수준이 결합될 때 시간적 거리에 따라 정보탐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성향적 해석수준은 행동정체성 이론을 따라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상위 해석자와 구체적인 사고를 하는 하위 해석자, 해석수준 고/저 집단으로 구분해볼 수 있고, 인지욕구 수준은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려는 경향에서의 개인차로서(Cacioppo & Petty, 1982) 생각하기를 즐기는 사람과 생각하기를 즐기지 않는 사람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개인의 인지욕구 수준은 김완석(1996)이 개발한 한국형 인지욕구 척도를 이용하여 인지욕구 고/저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석 수준과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각 4개의 집단으로 분류된 사람들은 시간적 거리-가까운 거리와 먼거리-에 따라 각기 다른 시나리오를 받았다. 실험제품으로는 20대 여대생들에게 친숙한 기초화장품을 선택하였으며 이 제품은 시간적 거리에 따른 시나리오와 함께 정보탐색 추적 기법 중 하나인 Jav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정보 제시판에 제시되었다. 이 정보 제시판은 노트북을 이용하여 Internet Explorer 화면에 띄워져 실시되었다. 본 실험은 192명의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전공 및 교양 수업을 듣는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2(해석수준: 고/저) ? 2(인지욕구: 고/저) ? 2(시간적 거리: 가까운/먼)의 피험자 간 삼원 완전무선 요인설계로 8개의 실험조건의 24명씩 무선 할당되었다. 실험은 총 10분정도 소요되었으며 2명 이내의 소그룹으로 실시되었다. 실험 결과, 해석 수준, 인지욕구 수준, 시간적 거리에서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시간적 거리에 따른 해석수준과 인지욕구에 대한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가까운 거리에서 상호작용이 나타났고, 단순 단순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까운 거리에서 해석수준이 낮고 인지 욕구가 높은 소비자가 정보의 중심 속성을 더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먼 거리에서의 상호작용이 그래프 상에서는 나타났지만 통계적 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기 때문에 해석수준이 높고 인지욕구가 낮은 소비자가 먼 미래 상황에서 정보의 중심속성을 더 많이 살펴볼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보탐색 과정에서도 정보의 속성에 초점을 두어 해석 수준과 인지욕구 그리고 시간적 거리가 정보탐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 때 정보의 속성은 중심 속성과 주변 속성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심 속성은 본 연구의 실험에서 살펴보고자 했던 중심속성은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로서 사물이나 사건을 해결하고 특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때 주로 살펴보는 필수적인 속성들을 의미하고, 주변속성은 이와는 반대로 필수적이지 않은 속성들을 의미한다. 하지만 정보 속성은 특정 제품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속성을 구분할 때는 사전에 제품의 특성을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개인의 성향적 해석수준과 인지욕구 수준을 측정하여 시간적 거리에 따라 제품의 특성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소비자의 정보탐색 과정을 살펴본다면 다양하고 복잡한 실제 소비 상황에서도 소비자들 제대로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적절한 마케팅 전략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유해자극 감지성 척수후근신경절 세포와 피부 기능 관련 이온통로들에 대한 천연물 성분 α-Mangostin과 Echinochrome A의 효과

        김성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Garcinia mangostana Linn. (mangosteen)의 과피에서 분리된 크산톤 (Xanthone) 화합물인 α-mangostin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며, 성게의 가시에서 추출한 암적색 색소인 Echinochrome A (Ech A)는 러시아에서 항염증 효과 등을 통한 치료제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이 두 물질들의 다양한 이온채널에 대한 효과를 전세포 팻취클램프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통각을 담당하는 척수 후근 신경절 (Dorsal root ganglion, DRG) 뉴런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그리고 면역세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온채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세포 직경이 작은 DRG 뉴런들에서 α-mangostin 처리 (0.3-3 μM)는 안정막 전위 과분극과 막전도도 증가 및 활동전압 발생 억제를 일으켰다. 막전위 과분극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HEK293T에 과발현시킨 two-pore K+ 채널들 (TREK-1/-2, TRAAK, TRESK)에 α-mangostin을 투여해 보면, TREK과 TRAAK은 뚜렷이 활성화되었으나 TRESK는 변화가 없었다. α-mangostin (3 μM)은 DRG 뉴런과 ND7/23 신경세포주 세포에 있는 Na<sub>v</sub>의 기능을 40% 가량 억제하였다. 또한 잘 알려진 통각 수용체인 TRPV1 채널을 캡사이신으로 활성화시킨 상태에서는 α-mangostin (0.3 μM)에 의해 뚜렷한 억제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산성 pH 조건으로 활성화시킨 TRPV1에 대해서는 α-mangostin에 의한 억제효과가 없었다. 분자간 결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당 이온채널들과 α-mangostin의 안정적 결합을 유추할 수 있었다. In Silico ADME 실험은 α-mangostin의 생체적합성을 시사하였다. Ech A의 작용은 HEK293 세포에 과발현시킨 이온채널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다. 각질형성세포 기능에 중요한 TRPV3와 면역세포 칼슘신호에 필수적인 Orai1을 통한 전류는 수 μM의 Ech A에 의해 억제되었다. 반면 캡사이신으로 활성화된 통각수용체인 TRPV1은 Ech A를 추가 처리할 경우 더 활성화되었다. TREK-2는 Ech A의 단독 처리로는 아무 변화가 없지만, 2-APB나 아라키돈산 및 세포 외 pH 산성화 조건으로 부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Ech A를 추가 투여 시 전류 크기가 강력하게 증강되었다. TREK-1과 TRAAK에서도 유사한 활성 증강을 보였으나 TASK-1과 TRESK는 그렇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2-APB와 Ech A를 함께 처리하여 증강 활성화된 TREK-2는 잘 알려진 억제제인 Norfluoxetine으로도 억제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TREK-2에 대한 결합부위가 Norfluoxetine과 다른 것으로 알려진 Ruthenium red의 억제는 여전하였기 때문에, Ech A에 의한 TREK-2 구조 변형에 대한 흥미로운 추측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전의 in vivo 실험으로 알려진 α-mangostin의 진통 작용이 DRG뉴런의 여러 이온채널들을 통하여 일어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해양동물 유래 성분인 Ech A의 다양한 치료작용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로, TRPV3와 Orai1의 억제 및 TREK/TRAAK 이온채널의 활성 증강 효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α-mangostin, a xanthone isolated from the pericarp of Garcinia manogstana Linn (mangosteen), and Echinochrome A (Ech A), a dark red pigment isolated form the spines of sea urchins, on the ion channels playing key roles in the nociception and protective functions of skin. Although previous studies indicated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the two compounds, their pharmacological actions on the relevant ion channels have not been conducted yet. Whole-cell patch clamp study using mouse small dorsal root ganglion (DRG) neurons and HEK293T cells overexpressed with TRPV1 and various two-pore domain K+channels (TREK-1, TREK-2, TRAAK, TRESK) revealed that micromolar ranges of α-mangostin (1–3 μM) inhibits TTX-sensitive voltage-gated Na+ channel (NaV) and TRPV1 channel, while activating TREK-1, TREK-2 and TRAAK. The multiple effects on the DRG neuronal ion channels resulted in the membrane hyperpolarization and inhibition of action potential firing as well as the nociceptive receptor potential. Molecular docking simulation suggested that a-mangostin stably binds with the ion channels. Furthermore, in silico ADME tests revealed that a-mangostin satisfies drug-likeness properties. Then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ch A on the TRPV3, CRAC, TRPV1, TREK-1, TREK-2, TRAAK, TRESK and TASK-1 channels overexpressed in HEK 293 cells. Ech A inhibited TRPV3 and CRAC current with IC50 of 2.1 and 2.4 µM, respectively. The capsaicin-activated TRPV1 current was slightly augmented by Ech A. Although Ech A alone did not change the amplitude of TREK-2 current (ITREK2), a partial activation of TREK-2 by known agonists (2-APB, arachidonic acid, acidic extracellular pH) could be markedly augmented by the combined application of Ech A. Similar facilitation effects of Ech A on TREK-1 and TRAAK were observed when stimulated with 2-APB and arachidonic acid,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Ech A did not affect TRESK and TASK-1 currents. Interestingly, the ITREK2 maximally activated by the combined application of 2-APB and Ech A was not inhibited by norfluoxetine, but was still completely inhibited by ruthenium red. The selective loss of sensitivity to norfluoxetine suggested altered molecular conformation of TREK-2 by Ech A. The molecular docking simulation also indicated a common site with similar binding energy with norfluoxetine and Ech A. Above studies suggest that a-mangostin might be a candidate analgesic agent with multi-target modulation of ion channels. Also, I suggest that the Ech A-induced inhibition of Ca2+ permeable cation channels and facilitation of TREK/TRAAK K2P channels might underlie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ch A.

      • 생태학적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김성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기독교교육적 입장에서 밝히고,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교육과정을 제안하면서 생태영성의 회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전통적으로 이해된 영성은 시대마다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육체의 경멸, 쾌락의 부정, 가난, 훈련 등의 용어들과 관련되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성에 대한 이러한 이분법적 사고에 의해 형성되어진편협한 이해와 왜곡된 인식의 영성교육을 하나의 통전적이고, 전인적인 영성이라는 맥락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생태학적 영성교육’으로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기독교적인 바른 앎과 실천적 삶이 의미있게 잘 연결되도록 돕고자 한다. 그리고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구체적인 교육과정을 마련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연과 인간의 올바른 관계를 인식하고, 그 관계 안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사 즉, 하나님의 전일적 창조와 성령의 내재 초월적 교통 및 예수그리스도의 사랑의 구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역동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해 생태계 위기의 현실과 성격과 본질을 고찰해 보았다. 생태계 위기는 과학기술 및 환경정책의 적용을 통해 극복될 수 있는 인간의식과 사회구조에 대한 단순한 수정 및 개혁의 문제가 아니다. 이 위기가 사회적 부정의, 점증하는 폭력과 인권유린 그리고 환경파괴와 상호연관되어 있는 총체적인 지구적 변혁의 문제라는 의식은 우리에게 농업혁명, 산업혁명과 정보혁명에 이은 제 4의 혁명인 “생태학적 혁명”을 요구한다. 생태학적 혁명의 필요성은 생태계 위기의 근본뿌리가 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계를 결정짓는 인간의식, 가치관 및 우주론, 즉 현대문명의 패러다임의 문제를 인식하면 서 우리에게 정신적 혁명(spiritual revolution), 즉 새로운 영성을 요구한다는데 있다. 이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생태계 위기가 우리의 사회적 행위를 결정짓는 인간의 신념과 가치체계 및 세계관, 즉 문화와 영성의 위기라는 것이며, 동시에 이 위기는 새로운 생태학적 영성교육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가능성은 학습자로 하여금 생태학적 인식을 갖게하여 생태학적 영성을 발전하게 하는 것이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로 하여금 자연을 인간의 소유의 대상으로 삼는 인간 중심적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성서의 창조신앙을 하나님 중심적 세계관으로 재해석하도록 돕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연합, 상호작용을 통한 통전적(holistic) 영성 형성, 영적 성숙을 위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목적이 성취될 수 있다. 생태학적 영성교육의 내용은 성서의 이야기와 삼위일체 생태적 영성을 포함한다. 영성교육의 교수-학습과정은 지적인 차원과 이론적 차원, 정서적 차원, 그리고 학습자의 구체적인 실천과 봉사의 차원이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공유적 프락시스 접근(shared praxis appoach)방법을 적용한다. 생태학적 영성형성의 기초적인 장은 가정과 교회로 설정한다. 영성교육의 평가 방법은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보완하여 평가의 깊이를 더 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의 생태학적 영성교육은 생태계 위기 극복을 위한 기독교 영성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의 한 시도이며 그 교육 가능성을 밝힌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from a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and to suggest a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as a way of recovering ecological spirituality. Although traditional spirituality has been understood differently every age, it has been used mainly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 world, particularly scorn of body, denial of pleasure, promotion of poverty and disciplin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help connect well Christian faith, knowledge and life by establishing a new form of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n a context of an integrated and holistic spirituality. In fact,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has been done in a narrow and distorted way based on a dualistic understanding of spiritualty. And with provision of a concrete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learners will recognize a healthy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and then will find out the dynamics of seeking the work of God in the Trinity (i.e., God's creation, the fulfillment of Jesus' love, the transcendent and immanent communion of the Spirit). First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ecological crisis in terms of its reality, character and essence. We come to realize that the crisis of the ecosystem cannot be easily overcome by scientific technique, th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policy and the simple adjustment or reform of social structure. But rather, the eoclogical crisis is an issue of total global transforma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social injustice, increasing violenc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is ecological awareness requires the fourth renovation so called "ecological revolution" following Agricultural, Industrial and Information Revolutions. The necessity of such an ecological revolution requires us spiritual revolution, i.e., a revolution of new spirituality, as it is considered that a fundamental root of the ecological crisis is derived from human consciousness, value system and cosmology, that is, the paradigm of modern civilization that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crisis of the ecosystem is the crisis of human belief, a value system and a worldview which decides human social behavior, that is, the crisis of culture and spirituality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opportunity for us to create a new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will make the learner to have ecological recognition, thereby letting them develop ecological spirituality.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will help the learner to criticize an anthropocentric world view sees nature as means for human possession, and will help reinterpret creation faith in the Bible into a theocentric world view. That is, through the unity with God, the forma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by interaction, and the critical reflection for spiritual maturity,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can be achieve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ncludes stories in the Bible and `the Trinity' ecological spiritualit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applies a shared praxis approach so that intellectual, theoretical, and motional dimensions, and the dimension of the learner's concrete practice and service may be included. And home and church will be established as a basic ground where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is practised. Regarding the method to evaluate spirituality educat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will be complemented so that the depth of evaluation can be more deepened. In conclusion,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pirituality researched in this study is an attempt to generate a new paradigm of Christian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order to overcome a crisis of the ecosystem, and is to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such a kind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