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김상육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서울 소재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조사, 분석, 측정하고 그 영향변수를 밝혀냄으로써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노인복지관 본래의 기능이자 목표인 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지역의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가 사회복지사 개인의 안녕과 복리를 위해 중요하다는 측면에 그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는 서비스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는 시각에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는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준거는 마슬로우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였고, 이 이론에 따라 각 단계별 직무만족 결정요인을 작성,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는 배경에 관한 조사항목 11개를 포함해서 총56개로 작성하였으며, 이 이론에 따라 각 문항별로 5점 평정식 카테고리를 부여하여 응답토록 하였다. 설문지는 총252부를 배포하여 158부를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5월 6일부터 2003년 5월 31일까지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직무만족에 대한 개념정의 및 선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실증적 조사연구의 기초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만족실태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직무만족도의 조사결과는 리커트식 척도를 응용하여 만족도를 계량화한 직무 만족계수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문항별 카테고리를 1-5점의 만족점수를 부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본 연구 결과 직무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은 제 1단계 생리적 욕구에 해당하는 자신의 직책과 비교한 민간의 보수수준, 지장의 환경, 직장의 후생복지제도였으며, 그 다음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제2단계 안전 및 안정욕구인 정책결정사항의 일관성, 채용 및 근무평정, 전직, 이직ㆍ의도 등이었다. 한편,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제3단계 존경의 욕구인 승진, 발전가능성, 윤리, 도덕적인 면의 만족정도, 직장 분위기였고 그 다음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제4단계 사회적 욕구로 자기직장에 대한 자부심, 업무분장의 정도, 비공식조직의 참여회수, 직원 상하간의 의사소통 정도였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직무만족 결정요인으로는 보수의 현실화, 승진기회의 확대, 직장에 대한 안정성 순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alyze and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worker's welfare employed by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nd Kyonggi area. This study also attempts to find the relevent influential variables in order to provide the chance to consider how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levels and to provide such basic data as required to improve the service level to the users, which is a fundenmental fun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 For this purpose, an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for every worker's welfare employed by welfare center in order to measure their job satisfaction level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should be performed from the viewpoint that it can affect not only a social worker's welfare vut also the level of services provided to client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cumentary study and coroborative-evidence study has boon used together in this study. Maslow's Meed-Hierarchy theory is the center of the theoretical Satisfaction of 5 stages of Nee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is theory to conduct the surbey with questionnaires. The qustionnaire is made up of total 56 inquiry items including 11 items regarding ht rationale of the questionnaire. Each item is required to be answered by this theory and evaluated as 5 stages of points. The total number of 25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58 of them were amalyzed by using SPSS. The investigation had been done between 6, 5, 2003. and 31, 5, 2003. Data an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ies, SPSS analysis. In the documentary study, the research had been done to provide the base for the corroborative-evidence study by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definiton of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deciding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In the corroborative-evidence study, the research had mainly done to the social workers in Seoul and Kyonggi to confirm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is displayed by applying Lykert's scale which divides the categories into 5 stages of poin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result shows that the Job Satistfaction level is lowest at the physiological needs stage, which includes the wage level, the condition and the welfare system of the workplace compared with their positions in there. The second lowest is the safety needs stage, which contains the consistency on the policy decision, employment, evaluation, their minds on changing jobs. The next is Need of esteem, which can include the promotion, the posiblity of development, the level of ethical and moral satisfaction, the atmosphere in the workplace. The high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social needs stage, which is about the pride in the job, the sharing of dut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informal groups, the communication level between high and low ranks. The most valued diciding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to the social worker's welfare were the actualization of the wage, the expansion of the chance for promotion and the Satisfaction in their jobs i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