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페셜티 커피 속성에 대한 지각수준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상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원두커피 시장에 불어오는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의 니즈 파악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최근 관심이 커지고 있는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주요 속성을 파악하여 이러한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 수준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에 대한 지각 수준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소비 성향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스페셜티 커피의 주요 속성, 재 구매 의도, 소비성향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 요인을 정리하였다. 실증연구 단계에서는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스페셜티 커피를 커피 전문점에서 구매해 본 경험이 있으며, 스페셜티 커피의 의미를 알고 있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는 3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282부의 유효표본이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 분석 연구에 이용되었다. 본 조사 자료의 분석 방법은 각각의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그리고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분석과 조절효과에 대한 다중(조절)회귀분석을 SPSS for Windows Version 23.0 프로그램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에 의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에 대한 요인 분석결과, 믿을만한 품질과 익숙한 맛과 향에 대한 속성이 재 구매 의도에 대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은 비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 중 믿을만한 품질과 익숙한 맛과 향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을수록 스페셜티 커피의 재 구매 의도가 높아지는 연구 결과를 보여준다. 두 번째,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비성향 중 충동구매 성향과 유행추구 성향 소비성향이 소비자가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 중 믿을만한 품질과 익숙한 맛과 향에 대한 지각을 하고 있을 경우, 재 구매 의도에 대해 양(+)의 영향을 더욱 증폭시키는 연구 결과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 중 믿을만한 품질과 익숙한 맛과 향은 재 구매 의도에 대해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추론 할 수 있었으며,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 중 믿을만한 품질과 익숙한 맛과 향이 재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소비자의 소비성향 중 충동구매 성향과 유행추구 성향에 따라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스페셜티 커피의 속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재 구매 의도에 대한 스페셜티 커피 속성과 소비성향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스페셜티 커피 시장의 성장에 대한 기초자료와 마케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As interest in specialty coffee, which is emerging in the coffee market in recent years, grows, interest in consum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refore,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this study identifies the key attributes of Speciality coffee, which has recently increased interest, and determines the effect of consumers on the properties of Speciality coffee. In addition, it was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propensity for consumption would adjust the impact of perceived levels on the purpose of buying again. To this end, this study defined the main properties of Speciality coffee, its intent to buy again, and concept of propensity to consumption, and prepared the factors. In the stage of the empirical study,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general consumers who had experience purchasing specialty coffee at a coffee shop and who knew the meaning of specialty coffee. 282 valid sampl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methods of analysis in this research material have been used to analyze factors for each variable, to analyze reliability, to analyze the measuring of key variables, and to use multiple (controlled) regression programs for SPSS for Windows Version 23.0.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n the properties of specialty coffee, it was found that the reliable quality, the familiar taste and the attribute to the aroma have a significant (+)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However, health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buying back.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level of the reliable quality, the more familiar taste, and the aroma, the higher the intention of buying the coffee again. Second, when consumers perceive reliable quality and familiar taste and flavor among the properties of specialty coffee, impulsive purchasing type and fashion seeking type have significant positive (+)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is further amplified.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reliable quality of the specialty coffee and the familiar taste and aroma have a significant (+)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The influence of the reliable quality of the specialty coffee and the familiar taste and fragra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could be deduced to have a controlling effect according to the impulsive purchasing type and the fashion pursuit type among the consumption tendency of the consu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properties of specialty coffee has been limited and the scope of the study has been expanded. The influence of specialty coffee attributes and consumption tendency on re - purchase intention has been verified, And to contribute to basic data and marketing activities.

      • Deleuze의 반복 철학으로 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의 의미

        김상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관점과 결을 달리하는 Deleuze의‘반복’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영아의 놀이와 그 의미에 대한 탐색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Deleuze 철학의 반복을 바탕으로 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의 의미는 어떠한가?’로 설정되었다. 연구기간은 2020년 11월 2일부터 2021년 1월 28일까지이며, 8명의 영아들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 직접 참여관찰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영아 놀이에서 나타나는 반복의 순간들을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도출되었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차이들이 반복되는 실험의 여정이었다. 모래를 담고 쏟는 반복은 동일한 움직임의 반복이 아닌‘차이의 반복’으로, 영아는 스스로 차이에 집중하며 물질의 성질과 새로운 현상 및 관계를 마주해나갔다. 이런 차이는 깊은 몰입과 자발적 실험으로 이끌었고 그 속에서 영아의 앎의 영토가 확장되었다. 둘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감각과 마주치는 만남의 장(場)이었다. 감각을 발생시키는 차이는 영아가 자신의 감각을 열어 물질과 감각적인 만남을 시작하게 했다. 감각을 통한 반복은 감각하지 않아도 되는 대상으로 이끌기도 하고 영아의 과거 기억을 소환하기도 하였다. 셋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몸의 잠재성에 대한 탐험이었다. 영아는 자신의 몸을 다른 신체들이나 물질, 힘들과 결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반복을 거듭했다. 이를 통해 몸에 대한 지식을 일궈내면서 물질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몸의 기술을 창출해내었다. 넷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우연적 펼침과 흐름이었다. 우연히 마주친 사건은 영아의 놀이와 행동을 바꾸어놓았다. 그리고 우연히 시작된 반복은 영아에게 새로운 시도와 발견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다섯째,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시공간을 넘나드는 연결이었다. 영아의 반복놀이는 동일한 시공간 내에서 선형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그보다 과거 시공간에서의 경험이 현재의 시공간에서 놀이로 생성되었으며, 미래에 이어갈 놀이를 기대하며 현재에 속해있었다. 영아의 반복 속에서는 시공간을 넘나들며 차이 나게 얽혀들었다. 본 연구는 Deleuze의 반복 철학을 통해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을 다시 바라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의 놀이 속 반복은 같은 것의 반복이 아닌 끝없이 펼쳐지는 반복으로 나타났다. 반복을 통해서 드러난 차이는 그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다채롭게 뻗어나갔다. 그리고 영아는 그 안에서 운동과 실험, 사유와 탐구, 감각과 마주치는 경험을 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반복은 발달단계의 특성이나 정서 정화의 기능이 아닌 차이가 펼쳐지는 장(場)으로 영아는 그 차이에 집중하고 계속되는 변화와 차이생성을 긍정하며 자신만의 의미를 창조하고 있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는 전해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로 하여금 반복에 대한 기존의 판단과 편견을 유보하고 반복 그 자체에 귀 기울임으로써 그 안에서 계속되는 변화와 차이 생성을 긍정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Repetition in infant's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Deleuze, who has a new perspective on 'Repetition' and to explore its meaning.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is the meaning of Repetition in infant's play based on the Repetition of Deleuze philosophy?'. In this study, from November 2, 2020 to January 28, 2021, the moment of repetition in infant's play was observ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petition in infant's play was a journey of experiment in which differences were repeated. Repetition of pouring sand is not a repetition of the same thing, but a 'repetition of difference'. This difference led to deep immersion and spontaneous experimentation, in which the realm of knowledge was expanded. Second, the repetition in the infant's play was a meeting place for encountering the senses. Difference, which produces sensations, opened the infant's senses to initiate sensual encounters with matter. Repetition through the senses leads to objects that do not need to be sensed or recalls the infant's past memories. Third, infants explored the potential of their bodies through repetition in play. Infants combined their bodies with other bodies, materials, and forces and repeated repetitions in their own unique style. Through this, the infant developed body knowledge and created new body skills in relation to matter. Fourth, repetition in infants' play occurred by chance. A chance encounter changed the infant's play and behavior. Repetition, initiated by chance, also provided the infant with the possibility to try and discover new things. Finally, the repetition in infant's play was connected across time and space. Infants' repetition play did not occur linearly within the same space-time. Experiences in the past time and space were created as play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and they belonged to the present in anticipation of future play. In infant's Repetition, they were entangled in a difference across time and space. In this study, through Deleuze's Repetition philosophy, I tried to look back at Repetition in infant's play. It was found that the repetition in infant's play is not a repetition of the same thing, but an endless repetition. The difference revealed through the Repetition stretched out in a direction that no one could have predic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ant experienced movement and experimentation, thought and exploration, and encountering the senses within it. Repetition is a field where difference unfolds, not a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al stage or a function of emotional purif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nfants are creating their own meaning by concentrating on the difference and affirming the continuous change and difference creation.

      • 고전문학의 장르별 교육 방안과 그 실제

        김상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help teachers and students at real class situations by suggesting a method for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particularly from middle school textbooks, according to different genres.Reading and memorizing old terms in old character are usual practices in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However, these ways of teaching are concerned to be unwelcoming factor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unfamiliar with big vocabulary and historic background. To this end, this research proposed a teaching plan for classic literature concerning genre realization to have more exciting and easier classes.First, it is clarified that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related significance of it. And current practices of classical literature classes are looked based on survey to see the realities of it. It is shown that students who initially appreciate classical works start to feel it more difficult by the uncomfortable and non-strategic class method.Next, relation between genre and classic works is studied, and the need of genre-wide education for classical literature is also suggested. Example works are all from first semester of second grade: Seodongyo(서동요), Slgyunseol(슬견설), and TokiJeon(토끼전). Since they all are different in genre, and each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ose works are carefully chosen to represent idea of this research. Then thorough and detailed teaching plans and syllabus for each of them based on analysis of each work and characteristic are suggested.Meanwhile, the syllabus is considered as a strategy in the basis of expressive instruction model. To successfully practice this method, it is absolutely important for the teacher to have structural strategy; therefore it shall be acted out through the teacher's direct demonstration or explanation. Students will carry out their study initiatively, doing an individual activity and a group activity at the same time with the teacher's feed back.Teacher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gradually losing classic works in number from textbooks should try their best to help students recognize classical literature positively and find wisdom for their life. Especially in this school atmosphere that has too much attention given to the entrance exam, teachers should map out elaborate strategy,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is in various ways for students to appreciate literature and to develop their literary ability. If these trials are continuously carried away, practice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ould enhance expansive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ould be helpful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본 논문은 중학교 교과서에 실린 고전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장르 실현에 중점을 둔 고전문학 작품의 장르별 수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수업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흔히 고전문학 수업은 고어 독해나 암기 위주로 진행되곤 했다. 그러나 난해한 어휘와 시대적 배경을 낯설어하는 중학교 학생들에게 이러한 수업 방식은 오히려 고전문학 작품으로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고전문학 수업을 보다 수월하고 흥미있게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장르 실현을 중심으로 하는 고전문학의 장르별 수업 방안을 마련하였다.먼저 고전문학교육이 문학교육 범주에서 이루어짐을 밝히며 그 의의를 상정하였다. 그리고 고전문학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토대로 고전문학 교육의 현실을 살펴보았다. 처음에는 많은 학생들이 고전문학 작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지만 점차 경직되고 비전략화된 수업방식에 불만을 갖고, 고전문학 작품을 어려워하게 되는 것이 밝혀진다.다음으로 고전문학과 장르의 연관성을 고찰하며 고전문학 장르별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대상이 되는 작품들은 중학교 2학년 1학기 교과서에 실린 (1) 서동요, (2) 슬견설, (3) 토끼전인데 이 세 작품은 모두 장르가 다르고, 개성있는 작품인 만큼 본고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이 세 작품의 구체적 교육 방안을 각각 작품의 분석과 특징을 토대로 마련하였으며 이 작품들의 장르별 교육 방법을 학습 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한편 각각의 수업 지도안은 현시적 교수모형을 기반으로 전략화하였다. 이 방법은 교사의 체계적인 전략이 절대적으로 중요한데, 이는 교사의 직접적인 시범이나 설명을 통해 실현된다. 학생들은 교사의 안내에 따라 독립적인 활동과 집단적인 활동을 동시에 하면서 교사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자기 스스로의 학습을 이행해 나간다.점차 교과서 내의 고전문학 작품 수가 감소하는 현시점에서 오히려 교사는 학생들이 고전문학 작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그 안에서 삶의 가르침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속에서도 학생들이 문학의 즐거움을 느끼고 문학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사의 치밀한 전략과 정부차원의 노력이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면 점차 고전문학 교육의 현실은 발전적으로 나아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고가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Identification of seizure-induced neuronal cell death using MR-based high-frequency conductivity

        김상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발작은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탐산(glutamate)의 과도한 분비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뉴런에 칼슘의 과도한 축적을 일으키고 결국 괴사나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요소들을 활성화시켜 흥분 독성(excitotoxicity)을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간질은 Electroencephalogram (EEG)를 이용하여 뇌에서의 전기적 신호 변화의 확인을 통해 진단된다. MR-electrical property tomography (MREPT)는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고도의 기술로,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에 전도율과 유전율을 복원해내는 의료 영상 기법이다. MREPT 는 물체에 직접 전류를 흘려주지 않아 높은 주파수의 전류를 사용하여 고주파수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험 대상에게 안전성을 보장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MREPT 를 이용하여 발작 후 뇌에서 나타나는 도전율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발작 이후에 나타나는 생물학적 분자들의 변화를 반영 할 수 있는지 조사하였다. 흰쥐에 발작을 유발하기 위해 N-methyl-Daspartate (NMDA) 75 mg/kg(i.p.)를 주사하였고, modified Racine’s scale 을 기반으로 발작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발작 후 두 시간, 이틀, 일주일 째에 ultra-high field (9.4 T) MRI 를 이용하여 뇌에서 재구성된 도전율 영상을 획득하였다. 발작 이후 뇌에서의 생물학적 분자들의 변화는 웨스턴 블롯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NMDA 의 처치는 점수 3 에서 5 사이의 발작 행동을 나타냈다. MREPT 를 이용하여 측정된 고주파-도전율은 해마와 편도체에서 2 시간 째에, 피질에서는 2 일 째에 감소되어 나타났다. 반면, 발작은 흰쥐의 해마와 편도체에서 신경 세포 사멸을 유발했는데, 피질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생물학적 분자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해 보았을 때, postsynaptic density 95 (Psd95),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와 세포 사멸을 대표하는 단백질인 caspase 3 의 발현이 발작을 유발시킨 흰쥐의 해마와 편도체에서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이러한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는 피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발작을 유발시킨 흰쥐의 해마에서는 또한 성상세포의 마커인 GFAP 가 2 시간 째에 약간 감소되었다가 이후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편도체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MREPT 는 발작 이후에 나타나는 뇌의 손상, 특히 해마에서 나타나는 신경 세포의 손상을 비침습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라고 사료된다. Seizure is caused by the excessive release of excitatory neurotransmitter glutamate, which results in the excessive calcium accumulation in the neurons, leading to the excitotoxicity inducing necrotic or apoptotic factors in neurons. Generally,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used to help the diagnosis of seizure by recording of electrical changes in the brain. MR-electrical property tomography (MREPT) is the advanced technique for the measurement of electrical property. MREPT is featured with a high-frequency that penetrates the cell-membrane and can be used to obtain conductivity information. In the present study, I investigated whether the conductivity alteration measured using MREPT in the brain can reflect the alteration of biological molecules after seizure. Seizure was induced by the injection of N-methyl-D-aspartate (NMDA, 75 mg/kg) to rats. NMDA-treated rats were evaluated for the severity of seizure based on modified Racine’s scale, and scanned in ultra-high field (9.4 T) MRI for reconstruction of conductivity images using magnetic resonance conductivity imaging (MRCI) tool. The alterations of biological molecules by seizure were analyzed using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stry in the amygdala, hippocampus and cortex of rats. NMDA treatment increased seizure severity up to scores 3-5. Conductivity of high-frequency was differently changed in the various brain regions at 2 h, 2 days and 1 week after NMDA treatment. In the amygdala and hippocampus, conductivity was markedly decreased at 2 h after NMDA treatment. In the parietal cortex, it was decreased at 2 days and the decrease was consistent thereafter. Next, I found that NMDA treatment induced the neuronal cell death in the amygdala and hippocampus, but not in the cortex. In the amygdala and hippocampus, the protein expressions of postsynaptic density 95(Psd95) and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and the activation of caspase 3 were increased at 2 h or/and 2 days. However, NMDA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levels of these proteins in the cortex. The expression of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the marker protein of astrocytes, was also slightly reduced at 2 h after NMDA treatment and was subsequently increased in the hippocampus, but not in the amygdala. Thu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REPT may be an applicable technique, non-invasively identifying the brain damage, particularly in the hippocampus, after seizure.

      • 피카소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프로젝션맵핑 바디아트 제작

        김상아 성신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등장한 큐비즘은 실험적이며 새로운 모더니즘의 시작이었다. 큐비즘의 전성기 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화사조에 영향력을 끼쳤으며, 예술가들에게 지속적인 영감의 원천으로 해석되고 있다. 오늘날은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 학문들이 서로 접목되어 발전하고 있다. 그 중 바디아트는 미술사조, 과학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미학적이고 창의적인 조형 예술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큐비즘의 이론적 고찰을 하고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이 나타난 피카소의 회화 작품을 응용하여 프로젝션 맵핑 기법을 활용한 바디아트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다양하고 독창적인 바디아트 디자인 창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 학술지, 학위논문 등의 선행연구 및 인터넷 자료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을 도형성, 동시성, 투명성, 해체성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을 피카소 작품에 응용하여 프로젝션 맵핑 기술을 통한 바디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Ⅰ은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 중 ‘도형성’이 나타나도록 피카소의 작품 ‘페르낭드 초상’을 응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작품 속 여인의 모습과 유사하게 제작하여 작품을 재해석하고자 하였으며 배경을 단순화하여 표현하였고 인체 곡선 라인들을 도형성이 느껴지는 단면들로 구성하여 도형성이 드러나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Ⅱ는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 중 ‘동시성’이 드러나도록 피카소의 작품 ‘아비뇽의 처녀들’을 응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한 화면에 여러 각도에서 관찰한 다양한 시점이 존재하여 동시성 개념이 나타나도록 하였고 짙은 스킨 계열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맵핑의 효과가 높아지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Ⅲ은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 중 ‘투명성’이 나타나도록 피카소의 작품 ‘빌헬름 우데의 초상’을 응용한 것으로, 투명한 면들이 중첩되어 하나의 대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면들은 투명성을 가져 형태의 외곽이나 앞뒤 관계가 모호하지만 면들의 중첩을 통해 하나의 구성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작품 Ⅳ는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 중 ‘해체성’이 나타나도록 피카소의 작품 ‘앙브루아즈 볼라르의 초상’을 응용한 것으로, 대상의 인식이 어려울 정도로 각 부위와 면들을 해체하였으며 신체에 맵핑하는 것을 통해 배경과 대상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색 계열로 바탕을, 난색 계열로 인물의 얼굴을 구성함으로써 대비를 통해 구분되도록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이 프로젝션 맵핑 바디아트와 접목되어, 기술과 예술의 융합으로써 다양한 표현 방식과 디자인 창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더욱 다양한 작가와 작품, 기법을 응용한 작품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져 창의적이고 광범위한 바디아트 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지길 기대한다. In the 20th century, cubism arose at the beginning of new experimental modernism. From the best years to nowadays, cubism has affected lots of culture trend and artists have got durational inspiration from it.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f today can make many different studies collaborated and developed together. Body art is expressed in aesthetic and creative formative arts influenced by collaboration with trend of art and science technology. So, the study proceeds in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reates body art works with projection mapping techniques applied by Picasso’s paintings in formative characteristics so as to create various and creative body art design. The method of study is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such as internal and external books, journals and dissertation, interne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it,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ubism are classified with shape, simultaneity, clarity and deconstructivity. According to projection mapping techniques, body art works are made in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ubism applied by Picasso’s paintings. WorkⅠis made in shape, a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ubism applied by the Picasso’s painting ‘Portrait of Fernande.’ To the semblance of the woman in the painting, the work is reinterpreted in simple background, diagrammatic faces for human curvature. Work Ⅱ is made in simultaneity, a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ubism applied by the Picasso’s painting ‘Les Demoiselles d'Avignon.’ The work expresses simultaneity with diverse observed degree in various angles and uses dark skin tone to heighten mapping effect. Work Ⅲ is made in clarity applied by the Picasso’s painting ‘Portrait of Wilhelm Uhde.’ It expresses one object overlapping transparent facets though shapes and relations of each facet are unclear. Work Ⅳ is made in deconstructivity, a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ubism applied by the Picasso’s painting ‘Portrait d'Ambroise Vollard.’ Its parts and facets are too disaggregate to recognize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and object are classified with body mapping. As the background in cold colors and face in warm colors, its color contrast applies for classification. The study permits various expression way for collaboration of technique and art to create projection mapping art i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t will make body art design studies created and expanded with lots of artists, works and technique.

      • Thalidomide and dexamethasone maintenance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newly diagnosed multiple myeloma patient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 Asia

        김상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발골수종의 치료 성적은 유지요법의 발전과 함께 향상되어 왔다. 비록 탈리도마이드는 부작용이 드물지 않으며 전체 생존율에 대한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기는 하지만 탈리도마이드는 면역조절제 중 가장 먼저 유지요법으로써 연구되었던 약제이며 한국에서 흔하게 사용되어 온 약제이다. 현재는 차세대 면역조절제와 단백체저하제가 새로운 유지요법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진료 현장에서는 비용 및 약제 접근성의 측면에서 이러한 새로운 약제의 사용이 제한적인 경우가 드물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 탈리도마이드는 여전히 사용 가능한 선택지이다. 본 연구는 다발골수종으로 처음 진단되어 유도요법과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한국 환자들에서 탈리도마이드 유지요법의 효용성과 부작용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공개, 다기관 전향적 2상 연구이다. 본 연구에 등록된 환자들은 유도요법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후 총 12주기 동안 탈리도마이드와 덱사메타손을 병합하여 투약 받았다. 각 주기는 28일로 구성되었으며 1주기의 치료 당 탈리도마이드는 100 mg을 28일 동안, 덱사메타손은 40 mg을 4일 동안 투약하였다. 연구의 일차 목적은 시험약 투약 시작 후 1년 시점의 무사건 생존율이었으며, 이는 질병의 재발, 진행, 심각한 독성으로 인한 치료 중단 혹은 원인과 관계없이 사망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외에도 무진행 생존율, 전체 생존율 및 안전성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한국의 7개 의료 기관에서 총 43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 관찰 기간은 17.3개월 (범위, 1.1 – 32.2)이었다. 이 중 33명 (76.7%)의 환자만이 계획한 12주기의 유도요법을 모두 완료하였으며, 치료를 도중에 중단한 환자에서 치료 유지 기간의 중앙값은 5.6개월 (사분위범위, 2.9 – 6.9)이었다. 전체 환자에서 1년 무사건 생존율은 65.1% (95% 신뢰구간, 48.9 – 77.3) 이었으며 1년 무진행 생존율은 85.6% (95% 신뢰구간, 70.7 – 93.3), 1년 전체 생존율은 90.4% (95% 신뢰구간, 96.3 – 76.3)이었다. 자가조혈모세포이식 후 완전반응을 얻지 못했던 환자들 중, 4명의 부분반응 환자와 3명의 우수부분반응 환자가 유도요법을 받으면서 완전반응을 획득하였다. 무사건 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임상적 요소를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무진행 생존율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유도요법에서부터 탈리도마이드가 포함된 요법을 투약 받은 환자군이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위험도, 0.32; 95% 신뢰구간, 0.11 - 0.95; p = 0.041). 다만, 전체 환자 중 39명이 (90.7%) 유지요법 중 부작용을 경험하였고, 3단계 이상의 독성을 경험한 환자는 14명 (32.6%)이었다. 탈리도마이드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말초신경병증은 20명 (46.5%)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말초신경병증이 발생한 경우 탈리도마이드의 용량을 조절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약제 중단을 야기하는 부작용 중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요약하자면 한국 환자에서 탈리도마이드 유지요법에 대하여 연구한 본 연구에서 탈리도마이드유지요법은 기존의 보고와 비슷한 정도의 효용성을 보였으나, 상당한 수의 환자가 약제 관련 부작용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유지요법을 중단하게 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레날리도마이드와 같은 새로운 약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탈리도마이드 유지요법은 고려해 볼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중 하나이지만, 치료 중 말초신경병증과 같은 약제 부작용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한다. Clinical outcome of multiple myeloma has been improved with maintenance therapy. Thalidomide is the first immunomodulatory drug to be studied as maintenance therapy and has widely been used in Korea in spite of the concerns about uncertain survival benefit and considerable side effects. Currently, next-generation immunomodulatory drugs and proteasome inhibitors are actively investigated as promising maintenance treatment. However, in real clinical practice, it is often difficult to use these new drugs because of medical expense or drug accessibility. In such a situation, thalidomide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applicable alternativ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s an open-label, multicenter, prospective phase II study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thalidomide maintenance in Korean 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with multiple myeloma. Patients who underwent induction treatment followed by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reatment was planned for a total of 12 cycles, but terminated in case of disease progression or unacceptable toxicity. Each cycle was scheduled for 28 days, with 28 days of thalidomide at a dose of 100 mg and 4 days of dexamethasone at a dose of 40 mg. The primary endpoint of this study was event-free survival (EFS) at 1 year, which was defined as the time from randomization to disease relapse, progression, serious side effects or death of any cause. Key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overall survival (OS) and toxicity profile. From July 2013 to November 2015, a total of 43 patients from 7 medical centers were consecutively enrolled. Median follow-up duration of study participants was 17.3 months (range, 1.1 – 32.2 months). Only 28 patients (65.1%) completed all 12 cycles of maintenance treatment, and median duration of treatment was 5.6 months (Interquartile range [IQR], 2.9 – 6.9 months) in patients who experienced early termination of the study. EFS at 1 year was 65.1% (95% confidence interval [CI], 48.9 – 77.3). PFS and OS at 1 year was 85.6% (95% CI, 70.7 – 93.3) and 90.4% (95% CI, 96.3 – 76.3), respectively. Of those who failed to achieve a complete response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4 patients with partial response and 3 patients with very good partial response attained complete response during maintenance treatment. In univariate analysis of EFS, there were no clinical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FS. However, in univariate analysis for PFS, patients with previous thalidomide exposure benefitted with thalidomide maintenance (Hazard ratio [HR] 0.32; 95% CI, 0.11 – 0.95; p = 0.041). In terms of side effects, 39 patients (90.7%) experienced adverse events of any grade, and 14 patients (32.6%) experienced grade 3 or 4 adverse events. Peripheral neuropathy, which is a well-described side effect of thalidomide, occurred in 20 patients (46.5%) during the total study period. Thalidomide dose was modified in case of peripheral neuropathy, but it was still most common side effect that caused early termination of treatment. To summarize, thalidomide showed comparable efficacy with previously reported Western studies. But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patients experienced adverse events which caused treatment cessation. In conclusion, if there is a limitation in maintenance with other novel agents, thalidomide can be a reasonable strategy although side effects draw concern.

      • 한국 무역대리점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김상아 江南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10년, 무역수지 흑자 규모 417억 2000만 달러로 기존 최대치였던, 2009년 404억 5000만 달러를 경신하여 수출은 세계 7위, 교역 규모 면에서는 세계 9위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2011년 12월 5일 현재 무역규모가 1조 달러를 돌파 (수입 : 4855억 달러 / 수출 : 5133억 달러)하였다. 이는 우리나라가 건국(1948년)한 지 63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수출 주도의 경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1962년을 기점으로 약 50년 만에 세계에서 단 8개뿐인 '무역 1조 달러 클럽'(미국, 독일, 중국, 일본,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이탈리아)에 9번째로 대한민국의 이름을 새롭게 올렸다. 오늘날 대한민국이 부존자원의 부족과 기술수준의 낙후 등 제반 제약 조건을 극복하고 이 같은 경제성장을 이루기까지 무역의 역할이 지대하였다. 특히 무역대리점은 국제 간 상품, 자본, 서비스 등의 교역과 유통에 대하여 수출입업자를 대리하여 중재, 주선 등 서비스 제공하는 등 국내 무역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나 무역업의 자유화와 무역통상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무역대리점업의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을 고찰하고 무역대리점업의 경쟁력 강화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지난 2000년 1월 무역대리업의 전면 자유화로 무역대리업계는 정부의 관리지원제도에서 벗어나 업계 스스로 급격한 대외 무역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무역대리점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무역대리점업계가 자발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무역대리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무역대리점업계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해외 영업을 확충하여야 한다. 특히 구매 잠재력이 있는 아랍권, 브라질 등 타 국가와 지역들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무역대리업자의 해외 영업의 노하우(know-how)를 계발함으로써 해외 영업력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물류, 운송, 보험에서 외환에 이르기까지 무역 절차 전반에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문서교환)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업무전산화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셋째, 기존 무역대리업이 주로 하고 있는 수입 업무에서 벗어나 수출 증대를 위한 무역대리점의 역할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영세한 규모의 무역대리업의 공동화와 협업화를 통하여 효율적 경영을 통한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수입업협회(기존 무역대리점협회)의 기능 활성화이다. 1) 수입업협회와 무역협회를 통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가져와야 한다. 2) 협회 차원의 사업 전개를 통해 개별 회원사의 실익을 증대하여야 한다. 3) 기존 협회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무역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 및 제공함으로써 협회 차원의 해외공급선 개발 활성화가 필요하다. 4) 협회와 정부의 공조를 통해 원자재 가격 및 환율변동과 같은 시장 리스크를 헤지(Hedge: 위험회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수출입을 중개해 주고 수수료(Commission)를 받고, 기능을 수출입의 단순한 업무를 대행하는 것을 무역대리업의 주요업무라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무한경쟁의 심화와 서비스시장의 개방으로 인하여, 무역대리점업의 사업의 다각화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무역대리점들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업영역을 발굴하고 무역대리업자의 활동 영역을 넓히고 다양화해서, 복합무역으로의 전환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With a trade surplus of $41,720,000,000 in 2010, Korea ranked the world's seventh largest exporting country, and ninth highest in trade volume, breaking the records of $40,450,000,000 in 2009. As of December 5, 2001, the trade volume of Korea passed one trillion dollars(imports: $485,500,000,000, exports: $513,300,000,000). It was after 63 years from the founding of our country(1948), and it took 50 years since 1962 in which the export-led economic policies of the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were launched in earnest. It raised the Republic of Korea to the ninth member status of 'trillion-dollar trade club' which has contained only 8 countries in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and present development strategies of Korean trading agents, which have served as the primary figure i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is nation’s trade. Trading agents provide services and act as intermediaries to those related to trade and distribution on behalf of exporters or importers. After reviewing the past and present situations of Korean trading agents, this paper proposes development strategies for Korean trading agents to enhanc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as follows. First, trading agents need to intensify specialization, develop competitive business management skills,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business networks. Second, trading agents should pursue the utilization of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to reduce cost and magnify a trade size by electronic trade applications in areas such as distribution, transportation, insurance, payments and foreign exchange. Third, trading agents need to expand its role by extending and diversifying their services from imports to exports growth in response to constantly changing complex trading environments. Fourth, trading agents should increase collaboration and strategic alliances among the small trading agents to facilitate development and provide efficient services. Fifth, the role of the Korea Importers Association (the trading agents association) should be expanded. The integration of the Korea Importers Association (KOIMA) and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KITA) will improve efficiency in trading agents' services. Construction of the trade automation system on the internet homepage of the association and e-trade service provision are also essential. The association in concert wi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hedging instruments to manage market risks such as fluctuations in raw materials prices and exchange rates. The main duties of trading agents in the past were just mediating import and export to receive commissions and deputizing simple businesses, but recently,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trading agent business is on the rise due to intensified limitless competitions and opening of service markets. Departing from the existing frame, trading agents must strategically promote changing to a compound trade, discovering new business domains, expanding and diversifying activity regions of trading agents. Keyword : trading agents, trade policy, trade technology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